[[파일:attachment/1191852767_fcfight4.gif]] [youtube(qs1kweGOoqw)] 일본 [[윳쿠리 실황]] 똥겜 리뷰어 ha ku의 리뷰 제목에 스트리트 파이터 3이라고 써있긴 하지만, 이 팩이 돌기 시작한 4년 뒤 훗날 정식으로 나온 [[스트리트 파이터 3]]와는 전혀 관계가 없다. 처음에는 Super Fighter III라는 제목으로 나왔지만, 얼마 뒤 [[스트리트 파이터 2]]의 로고에 II만 III로 교체한 버전이 훨씬 많이 퍼져서 문서 제목이 이렇게 되었다. [[패미컴]]용으로 1993년에 발매되었으며 의외로 이식 능력은 다른 해적판을 아득히 초월한다. [[캡콤]]이 직접 검수했다고 해도 믿을 만할 수준. 몇몇 판본에는 Super Vedio Games 명의로 되어있으나, 실질적인 개발사, 퍼블리셔는 완전 불명이며, 롬팩 안에 JY라는 글씨가 쓰여진것으로 보아, 실제로는 JY쪽이 관여되지 않았나 하는 추정만 돌 뿐. [* [[https://bootleggames.fandom.com/wiki/J.Y._Company|JY컴퍼니]]는 특유의 이상한 로고가 유명한 대만의 유명 부틀렉게임 퍼블리셔다. [[마스터 파이터 2]]를 찍어낸 허머 팀과도 관계가 깊었던것으로 보이며 JY가 발매한 부틀렉게임중 허머팀 개발작도 여럿 있다. / ref. [[https://youtu.be/qs1kweGOoqw?t=38|【ゆっくり実況】#70 レトロ海賊ゲー発掘隊【FC Super Fighter Ⅲ/Street Fighter Ⅲ】]] ] 기본적으로는 [[스트리트 파이터 2]]의 이식이지만, 같은 게임의 같은 해적판 이식인 [[마스터 파이터 2]]와는 차원이 다른 그래픽과 게임성을 자랑한다. 패미컴 스프라이트의 기본 색상수인 3색(4색에서 투명색을 제외하면 3색)만을 사용하는 다른 해적판과는 달리 [[록맨]]처럼 스프라이트 2장을 겹쳐 6색을 사용해 색감이 월등하다.[* 보통 패미컴에서 스프라이트 색상을 겹쳐 쓰기 위해선 카트리지에 특수칩을 사용해야 한다. 이 해적판의 특수칩은 록맨 1에 들어간 특수칩의 복제판으로, 비슷한 성능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게임을 이식하기에 부족했는지 패미컴 게임에선 굉장한 대용량으로 꼽히는 '''5Mbit'''의 용량을 전부 썼다고.] 등장인물은 원작의 12명에서 [[혼다]], [[장기에프]], [[마이크 바이슨]]이 짤린 9명. 기술들은 원작의 커맨드를 따라가지만, [[대공기]]종류는 정말 죽어라고 안나간다. [* 이 게임에서의 [[승룡권]] 커맨드는 →↘→+P. 쓰는 법인즉 앞버튼을 계속 안떼면서 밑버튼을 한번 눌렀다 뗀 뒤에 P를 눌러야 한다. 그런데 쓰기는 역시 어렵다...] 당연히 패미컴이라는 게임기의 성능 때문에 캐릭터의 크기는 작아졌지만, 프레임과 조작감은 확실히 해적판이라고 믿기지 않을 만큼 부드럽다. 게다가 조작버튼이 2개만 있는 패미컴이니만큼 [[게임보이]]용 [[열투 시리즈]]처럼 공격버튼의 지속시간에 따라서 약공격과 강공격이 갈리게 된다. 스테이지는 첫판 춘리의 스테이지만 오리지날이고, 나머지는 다 원작 스테이지를 단순화시킨 형태. 그리고 배경음악은 원작의 곡을 조금 다르게 뜯어 고쳤거나 오리지널인 것도 있다. 당시에 [[슈퍼패미컴]]이나 [[메가드라이브]]같은 16비트 게임기가 없었지만 집에서 스트리트 파이터 2를 하고 싶었던~~돈 없는~~ 꼬마들에게 이 게임은 확실히 사막의 오아시스였다. 해적판으로 나온 게임 중에서 몇 안 되는 명작. 나중에 56명이 나오는 개조버전도 나왔고(당연히 같은 캐릭터를 여러명 돌려놓았음), 어이없게도 [[마리오(마리오 시리즈)|마리오]]도 등장하지만, 원래 버전에는 없는 버그까지 생겼다. 웬만하면 그 개조버전은 플레이하지 않는 것이 건강에 좋다. 참고로 그 버전에 나오는 마리오의 베이스는 [[가일]]이다. 기술도 가일 기술이 탑재되어 있고, 엔딩을 보면 가일 엔딩이 나온다(...) 심지어 이 버전엔 혼다도 나오는데..혼다 역시 베이스는 가일이다... --[[닌텐도 올스타!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몇십년후를 미리 내다본 게임이라 카더라]]-- 2인 동시 플레이를 하기가 약간 힘든데, 이게 타이틀 화면에서는 아무런 표시가 없고 1P가 게임을 시작한 후 캐릭터 셀렉트 화면에서 2P 컨트롤러의 버튼을 눌러서 난입을 해야만 2인 플레이를 할 수 있다. 잘못하면 2인 플레이가 지원이 안되는줄 알고 몇년을 살아가게 되는 경우가 있다(...) ~~[[AVGN|오호라... 오락실 스타일이군?]]~~ 또한 1990년대 한국에도 닥친 광과민성 발작의 원인중 하나로 지목되기(...)도 하였다. 자세한것은 [[광과민성 증후군]]참조. [[https://www.youtube.com/watch?v=rmjC79yLgxw|동일 제작사 혹은 본작의 엔진을 활용한 것으로 추측되는 WORLD HERO라는 작품이 있다.]] 이 게임은 해적판이 아닌 무협소설 [[사조영웅전]]에 등장하는 캐릭터들로 구성돼있으며 패미컴 격투게임의 잘 알려지지 않은 수작이다. == 관련 문서 == * [[이미테이션 게임]] [[분류:이미테이션 게임]][[분류:패밀리 컴퓨터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