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스튜어트 전차)] [목차] == 개요 == [[스튜어트 전차]]의 파생형을 정리한 문서. 스튜어트 전차는 대전 초부터 대량생산된 경전차답게 파생형이 국가별로 다양한 편이다. == [[미국]] == === 자주포 개수형 === ==== T82 HM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he first prototype of the HMC T82. Aberdeen Proving Grounds, December 1943..jpg|width=100%]]}}} || || '''T82 HMC 첫번째 프로토타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econd prototype of T82 HMC.jpg|width=100%]]}}} || || '''T82 HMC 두번째 프로토타입''' || M5A1 차체를 기반으로 설계된 정글전 전용 자주포다. 개방형 차체에 105mm M2A1 경곡사포를 장착했다. 1943년 1월 개발이 시작되어 1944년 8월에 시제차량 두 대를 애버딘 병기 시험장에서 시험 운행했다. 1945년 6월 21일, 필요성을 느끼지 않아 양산되지는 않았다. ==== T56 GM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56_GMC.png|width=100%]]}}} || || '''T56 GMC''' || 1942년 9월에 M3A3 스튜어트 차체에 3인치 M7 대전차포를 장착한 자주포 개발이 시작되었다. 11월에 애버딘 병기 시험장에서 시험 운행을 진행했지만 경전차 차체에 장착하기에는 3인치 M7 대전차포가 무거워서 양산되지는 않았다. ==== T18 HM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perimental prototype of the Howitzer Motor Carriage T18, Aberdeen Proving Grounds, May 1942.jpg|width=100%]]}}} || || '''T18 HMC''' || M3 스튜어트 기반의 75mm 자주곡사포이다. 75mm M1A1 곡사포를 네모난 상부 구조물에 탑재했다, . 프로젝트는 1941년 9월부터 시작되어 1942년 4월에 폐기되었다. 오직 2대만 생산되었으며, 그 대신 M8 HMC가 선택되어 생산되었다. ==== [[M8 스콧]]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useum_of_American_G.I_M8_Scott_HMC.jpg|width=100%]]}}} || || '''75mm Howitzer Motor Carriage M8 "Scott" "General Scott"'''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8 스콧)] === 장비 교체 파생형 === ==== M3/M5 지휘전차 ==== [[12.7mm]] 기관총이 장착된 소형 포탑으로 포탑이 교체되었다. ==== M3/M3A1 사탄 ==== 론슨식 [[화염방사기]]가 주포대신 탑재되었다. 미국 해병대에 의해 24대가 1943년에 개조되었다. ==== M5A1 (E5R1-M3) ==== M5A1의 차체기관총 대신 E5R1-M3 화염방사기를 장착함. ==== M3A1 (E5R2-M3) ==== M3A1의 차체기관총 대신 E5R2-M3 화염방사기를 장착함. ==== M5A1 (E7-7, E9-9) ==== E7-7은 M5A1의 주포 대신 E7-7 화염방사기를 장착하였고, E9-9는 차재기관총 대신 E9-9 화염방사기를 탑재하였다. === 장비 추가 파생형 === ==== M5 도저 ==== M5에 도저 블레이드를 장착함. 포탑은 일반적으로 제거됨. === 자주대공포 파생형 === ==== T85 계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85.jpg|width=100%]]}}} || || '''T85'''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85E1.jpg|width=100%]]}}} || || '''T85E1''' || 스튜어트를 베이스로 하여 제작한 신형 차체에 M45 쿼트마운트를 장착한 자주대공포 파생형으로, 기존의 M3 하프트랙 베이스 자주대공포보다 나은게 없어서 시제형으로만 만들어졌다. ==== M3 (맥슨 쿼드마운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3 stuart with Maxson Quadmount.jpg|width=100%]]}}} || || '''M3 (맥슨 쿼드마운트)''' || === 비무장 파생형 === ==== M4 트랙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4_High_Speen_Tractor.jpg|width=100%]]}}} || || '''M4 Tractor, High Speed, 18 tons''' || ==== M5 트랙터 계열 ==== ===== M5 트랙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ractor_International_Harvester_M5_J1.jpg|width=100%]]}}} || || '''13 ton High Speed Tractor M5''' || 1942년 미국 인터내셔널 하베스터에서 개발된 M5 스튜어트 기반의 화포견인차/탄약수송용 트랙터이다. ===== M5A1 트랙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5A1 tractor.jpg|width=100%]]}}} || || '''13 ton High Speed Tractor M5A1''' || M5 트랙터에 지붕이 추가된 사양으로, 1945년 5월부터 1945년 8월까지 589대가 생산되었다. ===== M5A2 트랙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5A2 HS tractor.jpg|width=100%]]}}} || || '''13 ton High Speed Tractor M5A2''' || M5의 개량형이다. ===== M5A3 트랙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5A3 HS tractor.jpg|width=100%]]}}} || || '''13 ton High Speed Tractor M5A3''' || M5A1 트랙터의 개량형으로, 현가장치가 VVSS 형식에서 HVSS 형식으로 번경되었다. ===== M5A4 트랙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5A4 HS tractor.jpg|width=100%]]}}} || || '''13 ton High Speed Tractor M5A4''' || == [[캐나다 자치령]] == === 비무장 파생형 === ==== [[캥거루 APC|스튜어트 캥거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tanks-encyclopedia.com/M5_stuart-VI_Kangaroo.png|width=100%]] }}}|| || '''Stuart Kangaroo'''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캥거루 APC)] == [[파라과이]] == === 장비 추가 파생형 === ==== M3A1 (M4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3_stuart_recoilless_rifle.jpg|width=100%]]}}} || || '''M3A1 (M40)''' || == [[영국]] == === 스튜어트 Recc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tuart_Recce.jpg|width=100%]]}}} || || '''Stuart Recce''' || 포탑을 제거 후 정찰 차량으로 만듦. === 스튜어트 건 트랙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perial_War_Museum_Duxford_Stuart_VI_gun_tractor.jpg|width=100%]]}}} || || '''Stuart gun tractor''' || === 스튜어트 커맨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tuart command (Ft. Bernard Montgomery).jpg|width=100%]]}}} || || '''Stuart Command''' || 지휘전차형. 스튜어트 캥거루에 무전기를 추가했다. === 스튜어트 (18파운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3 stuart with 18pdr, north africa 1942.jpg|width=100%]]}}} || || '''스튜어트 (18파운더)''' || 18파운더(84.3mm) 곡사포를 장착한 형태로, 현지개조형이다. == [[유고슬라비아]] == === 대전차 자주포 파생형 === ==== SO-75 M-3A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O-75.jpg|width=100%]]}}} || || '''SO-75 M-3A3''' ||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들이 몇몇 M3A3에 추축군으로부터 노획한 [[PaK 40|7,5cm PaK 40]]을 탑재해 만든 대전차자주포이다. === 자주대공포 파생형 === ===== M3A3 FlaKviering38 탑재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3A3_with_2cm_FlaKvierling38.jpg|width=100%]]}}} || || '''M3A3 FlaKviering38 탑재형''' || 노획한 FlaKviering38 기관포를 포탑 대신 얹어 만든 자주대공포로, 1대만이 제작되었다. == [[크로아티아]] == === 비무장 파생형 === ==== 경찰 AP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roatian_M4_tractor_based_Police_APC.jpg|width=100%]]}}} || || '''Policija APC''' || == [[일본 제국]] == === 장비 제거 파생형 === ==== 스튜어트 롤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tuart_roller.jpg|width=100%]]}}} || || '''스튜어트 롤러'''[* 해당 차량은 이후 마닐라 호텔 앞에서 미 해병대 제1기병여단에게 노획된다.] || 일본 제국군의 몇몇 스튜어트는 무장을 탈거하고 롤러로 개조되어 1945년에 루존 섬의 비행장 부대에서 사용되었다. == [[나치 독일]] == === 견인차량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3L_tracktor.jpg|width=100%]]}}} || || '''197돌격포대대의 M3 스튜어트 기반 견인차량''' || == [[브라질]] == === X1A 시리즈 === 브라질은 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으로부터 공여받이 사용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37mm 전차포의 위력의 저하와 주변국들의 나날히 강해져가는 재래식 전력으로 인해 퇴역을 논의 하던 중, 1970년에 브라질 기업인 베르나디니(Bernardini) 사에서 브라질군을 위해 스튜어트 업그레이드를 제안하였으며, 그로 인해 탄생한 것이 바로 '''"X1A 시리즈"'''였다. ==== X1A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X1A.jpg|width=100%]]}}} || || '''X1A''' || 초기형인 X1A는 M3A1을 기반으로 해서 엔진을 [[사브]]-[[스카니아]] 사의 [[디젤 엔진]]으로 교체하였으며, 이로 인해 280HP으로 출력이 증가했다. 그 외에도 현가장치를 개선하고 포탑과 차체 상부의 장갑을 신형 디자인과 재질로 완전히 교체했으며, 주포로 DEFA 90mm를 채택하고 신형 화기관제 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여러 선진화를 이루어 총 80대를 생산했다. ==== X1A1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X1A1_in_1976.jpg|width=100%]]}}} || || '''X1A1''' || X1A의 성공을 본 베르나디니 사에서는 X1A에 2개를 1조로 묶은 3개의 신형 현가장치로 기존 현가장치를 교체한 X1A1을 제안하였으나, 군부에서 거부하여 양산되지 않았다. ==== X1A2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Bernardini_X1A2.jpg|width=100%]]}}} || || '''X1A2''' || X1A2는 X1A1을 기초로 해서 완전히 차체까지 교체가 완료되는 바람에 기존의 스튜어트와는 거의 관련성이 없을 정도로 환골탈태한 개량형으로, 중량 17t에 승무원은 3명, 주포는 90mm, 엔진은 300HP의 사브 스카니아 디젤 엔진으로 교체되어 고출력을 이루었으며, 1979년에서 1983년까지 30대가 생산되었다. === 자주대공포 파생형 === ==== XM-3E1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XM-3E1_prototype.jpg|width=100%]]}}} || || '''XM-3E1''' || 브라질 내에서도 스튜어트를 개조하여 자체적인 자주대공포를 제작하기도 했는데, XM-3E1이 이것으로 M3 스튜어트 차체에 [[M45 쿼드마운트]]를 장착하여 제조하였다. 그러나 시제형으로만 제작되고 군부에서 회의적인 반응을 보여 양산되지 않았다고 한다. === 교량전차 파생형 === ==== XLP-1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XLP-10_being_tested_in_1979.jpg|width=100%]]}}} || || '''XLP-10''' || XLP-10은 스튜어트 차체 기반의 [[교량전차]]로, 4대의 프로토타입이 제작되어 테스트용도로만 사용되었다. === 탄도미사일 발사 차량 === ==== XLF-4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XLF-40.jpg|width=100%]]}}} || || '''XLF-40''' || XLF-40은 X1A 차체 기반의 X-40 탄도미사일 발사 차량이다. == [[로디지아]] == === 무장 교체 파생형 === ==== M3A1 (2파운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litary-museum.jpg|width=100%]]}}} || || '''M3A1 (2파운더)''' || 무장을 [[2파운더#s-1|OQF 2파운더]]로 교체한 형태로, 현재 1량이 짐바브웨의 그웨루 군사 박물관에 야외전시 중이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스튜어트 전차, version=882)] [[분류:스튜어트 전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