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스튜어트 전차)] [목차] == 개요 == [[스튜어트 전차]]의 운용국을 정리한 문서. M3 및 M5스튜어트는 구조가 워낙 단순하기도 하고 가격도 저렴해 [[제2차 세계 대전]] 기간과 냉전시기 공산주의 확산을 경계한 미국과, 잉여차량을 수도 없이 공여받았던 영국, 프랑스 등의 국가들에서도 벌크 가격으로 팔아치우거나, 혹은 거의 무상이나 다름 없는 가격으로 뿌리면서 '''수도 셀 수 없이 많은 수량들이 어마어마하게 많은 나라들로 수출되었다.''' 개중에는 이 전차를 현재까지 사용하는 나라들도 몇몇 존재한다. == [[아메리카]] == === [[북아메리카]] === ==== [[미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3A1_Stuart_in_the_Fort_Bliss_Museum.jpg|width=100%]]}}} || || '''미 육군 제1기갑사단 "Old Ironsides" 박물관 소장 M3A1'''[* 일련번호 8614. 독일 Baumholder에서 구조된 차량으로 추정된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5A1_early_'Carol'.jpg|width=100%]]}}} || || '''미 육군 제3기갑사단 33기갑연대 3대대 C중대의 M5A1 초기형 3051254-S번차 네임드 차량 "캐롤"''' || 원조 사용국으로서,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직후 퇴역시켜 잔존 수량을 타국에 공여하였다. ==== [[캐나다 자치령]]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shawa Military and Industrial Museum M3A1 'LEO'.jpg|width=100%]]}}} || || '''오샤와 군사 산업 박물관 소장 M3A1 "레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nadian_War_Museum_M5A1.jpg|width=100%]]}}} || || '''캐나다 전쟁 박물관 소장 M5A1''' || === [[카리브]] === ==== [[쿠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ubacastrostuart.jpg|width=100%]]}}} || || '''쿠바 육군 소속 M3 스튜어트'''[* 1959년 촬영된 사진이며, 사진의 차량은 무장이 탈거되어 임시로 장갑차로 사용했다고 한다.] || 쿠바 공화국의 대독 선전포고 이후 1942년~1943년 사이 미국은 [[무기대여법]]으로 24대의 M3 스튜어트를 지원했다. 쿠바 공화국에 지원된 M3 스튜어트들은 아바나의 콜롬비아 연대에 편제되었으며, 1950년대 [[쿠바 혁명]] 당시 M3 스튜어트는 정부군의 주력이었으며, 피델 카스트로 정권이 들어서고 살아남은 18대의 M3 스튜어트는 역시 마찬가지로 혁명에서 살아남은 [[M4 셔먼|M4A3E8]]들과 같이 훈련용으로 사용되다 소련제와 체코슬로바키아제 [[T-34-85]]를 들여오며 퇴역하였다. ==== [[도미니카 공화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ominican_Republic_M3A1.jpg|width=100%]]}}} || || '''도미니카 공화국 육군 소속 M3A1''' || ==== [[아이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2140855.jpg|width=100%]]}}} || || '''7E 벨뷰 샤도니에르 위치 국립 경찰 아카데미 소장 아이티 육군 소속 M3A1''' || M3A1 8량과 M5A1 5량을 도입하여 사용하였다. === [[중앙아메리카]] === ==== [[멕시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exican_M3A1.jpg|width=100%]]}}} || || '''멕시코 육군 소속 M3A1'''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exican_M5A1.jpg|width=100%]]}}} || || '''멕시코 육군 소속 M5A1''' || 도합 4량의 M3A1와 소수의 M5A1을 1947년에 공여받아 1980년까지 사용하였다. ==== [[엘살바도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3A1_at_Museo_Militar_de_la_Fuerza_Armada,San_Salvador,_2008.jpg|width=100%]]}}} || || '''산살바도르 군사 박물관 소장 엘살바도르 육군 소속 M3A1''' || 2차 대전 당시 도합 6량을 공여받아 [[축구전쟁]] 때 사용하였다. === [[남아메리카]] === ==== [[브라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º Regimento de Carros de Combate_M3A1.jpg|width=100%]]}}} || || '''제1전차연대 기지 소장 브라질 육군 소속 M3 스튜어트 네임드 차량 "더비 클럽"''' ||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427량을 미국으로부터 공여받아 사용했다. ==== [[칠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hilean_M3_light_tank.jpg|width=100%]]}}} || || '''칠레 육군 소속 M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useo de Tanques del Arma Caballeria Blindada M3A1 stuart.jpg|width=100%]]}}} || || '''육군 기병 차량 전차 박물관 소장 M3A1''' || ==== [[볼리비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olivian_M3A1.jpg|width=100%]]}}} || || '''제1기갑기병연대‘Calama’기지 소장 볼리비아 육군 소속 M3A1''' || ==== [[콜롬비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olombiastuart.jpg|width=100%]]}}} || || '''호세 마리아 코르도바 육군 사관학교 소장 콜롬비아 육군 소속 M3A1 스튜어트''' || ==== [[파라과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araguaian_M3_light_tank.jpg|width=100%]]}}} || || '''파라과이 육군 소속 M3A1 스튜어트''' || 현재까지 스튜어트를 사용하는 몇 안되는 국가 중 하나로써, 최소 10대 이상을 가동 중에 있다. ==== [[에콰도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3A1_participating_an_Equadorian_military_parade.jpg|width=100%]]}}} || || '''에콰도르 군사 퍼레이드의 에콰도르 육군 제11기병여단 "갈라파고스" 소속 M3A1, 2018년''' || ==== [[우루과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Uruguay_4th_Cavarly_Mechnized_Regiment_M3A1.jpg|width=100%]]}}} || || '''우루과이 4기병기계화연대 기지 소장 M3A1''' || == [[유럽]] == === [[동유럽]] === ==== [[소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ark_Patriot_M3A1.jpg|width=100%]]}}} || || '''애국 공원 소장 M3 경형'''[* 일련번호 U.S.A. W-301174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ubinka_M5L.jpg|width=100%]]}}} || || '''애국 공원 소장 M5''' || 소련군은 랜드리스를 통해 공여받은 1676대의 M3 스튜어트를 '''"M3 경형(M3 лёгкий)"'''라는 제식명으로 운용했으며 5대의 M5 스튜어트도 공여받았다.[* 라틴문자권에서는 M3 лёгкий을 M3L 또는 M3 light로 표기한다.] 소련은 전후 반환요청이 들어온 스튜어트들을 전시 중에 전량 격파되었다며 시치미를 때며 미국에 반환하지 않았는데, 훗날 미국이 조사해보니 잔존 개체 중 상당수가 '''놀랍게도 중국 공산당에 지원되어 국공내전 때 사용되었다고 한다.'''[* [[발렌타인 전차]]의 경우도 그랬는데, 영국이 전후 반환요청을 하자 이를 거부하고 공산당측에 지원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 [[서유럽]] === ==== [[영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5A1_Stuart_VI_‘T271197’_“Hothead”_(36610836476).jpg|width=100%]]}}} || || '''보빙턴 전차 박물관 소장 영국 육군 스튜어트 VI T271197호차 "핫헤드"''' || 북아프리카 전역에서부터 사용하기 시작하여, 종전 시기까지 도합 6,904량을 공여받아 마르고 닳도록 사용했으며, 전후에는 다수의 차량을 영연방 식민지, 국가들에 무장용으로 마구 퍼주기도 하였다. ==== [[프랑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elgium_private_collection_M3A3.jpg|width=100%]]}}} || || '''개인 소장 프랑스 육군 소속 M3A3 네임드 차량 "히레스" 16번 403526호차''' || 도합 651량을 공여받아 사용하였으며,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당시에도 기갑전력의 한 축을 담당했는데, 가벼운 차체와 높은 기동성으로 정글에서도 탁월한 성능을 보여주었다고 한다. ==== [[네덜란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00px-M3A1_Stuart_Amersfoort.jpg|width=100%]]}}} || || '''아머스포트 군사 박물관 소장 네덜란드 육군 소속 M3A1 스튜어트 네임드 차량 "암바라와" 5959번차 '''[* 일련번호 6960. ACF에서 생산된 차량이다.] || === [[중부유럽]] === ==== [[나치 독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z.Kpfw._M3_740_a.jpg|width=100%]]}}} || || '''Pz.Kpfw. M3 740(a)''' || 2차 대전 당시 독일군은 M3과 M5를 동부전선, 북아프리카 전역, 아르덴 대공세 등의 전장에서 노획해 사용했다. 독일은 노획한 M3 스튜어트에 '''"Pz.Kpfw. M3 740(a)"'''라는 노획무기 명칭을 부여한 후 운용했다. ==== [[폴란드 망명정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5A1_belongs to the polish 24th Lancers of the 1st Armoured Division. Belgium, September 1944.jpg|width=100%]]}}} || || '''자유 폴란드 육군 제1기갑사단 소속 스튜어트 VI''' || [[자유 폴란드군]] 측에 무기대여법으로 지원되었다. ==== [[헝가리 왕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ungarian_M3A1_Stuart.jpg|width=100%]]}}} || || '''헝가리 왕국군 소속 스튜어트''' || 헝가리 왕국군이 소련군으로부터 노획한 M3 스튜어트를 운용했다. ==== [[루마니아 왕국]] ==== 소련군으로부터 최소 5대를 노획해 사용했다. ==== [[체코슬로바키아 망명정부|체코슬로바키아]] ==== === [[남유럽]] === ==== [[이탈리아 왕국]] ==== ==== [[그리스 왕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reek_Stuart_Recce.jpg|width=100%]]}}} || || '''그리스 왕국군 소속 스튜어트 V Recce''' || ==== [[유고슬라비아 민주 연방]]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3A1_at_Belgrade_Armed_Forces_Museum.jpg|width=100%]]}}} || || '''베오그라드 군사 박물관 소장 M3A1'''[* 일련번호 8770 혹은 8776]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3A3_Stuart_001.jpg|width=100%]]}}} || || '''베오그라드 군사 박물관 소장 M3A3''' || 1944년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이 소수의 M3A1과 다수의 M3A3을 영국군으로부터 지원받아 1960년까지 운용했다. ==== [[포르투갈 제2공화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ntrada_del_museo_militar_de_Elvas,_Portugal.jpg|width=100%]]}}} || || '''엘바스 군사 박물관 입구의 M5A1'''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useu do Combatente M5A1.jpg|width=100%]]}}} || || '''리스본 전쟁 박물관 소장 M5A1''' || == [[아시아]] == === [[동아시아]] === ==== [[중화민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3A3_at_Armor_School_History_Museum_20130302.jpg|width=100%]]}}} || || '''후커우 기갑 학교 소장 M3A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OCA_M5A1_at_Tanks_Park.jpg|width=100%]]}}} || || '''후커우 기갑 학교 소장 M5A1''' || ===== [[중화인민공화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eijing_tank_museum_M3A3_Stuart_tank.jpg|width=100%]]}}} || || '''베이징 군사 박물관 소장 M3A3 스튜어트 "6019번차"'''[* 1962년 [[중인전쟁]] 당시 중국군이 인도군으로부터 노획한 차량이다.] ||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선 랜드리스를 통해 원래 [[국민혁명군]]에게 전해져야 할 차량들을 홍군이 [[국민혁명군]]을 사칭하여 가로채어 사용했으며, 이후 제2차 국공내전에서는 국민혁명군으로부터 노획하거나 혹은 소련에게 공여받아 사용했다. 한국전쟁 당시에도 M5A1와 M3A3를 사용했다는 설이 있으나 이에 관한 자료가 부족해 정확하지는 않다. 1962년 [[중인전쟁]]에서도 인도군으로부터 소수의 M3A3을 노획하여 [[아크사이친]]의 험악한 지형에서 사용하기도 했다고 한다. ==== [[일본]] ==== ===== [[일본 제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apanese soldiers and a Philippine native pose with a captured M3 Stuart, 1942.jpg|width=100%]]}}} || || '''일본 제국 육군 노획 M3 스튜어트, 1942년 필리핀''' || 주로 [[영국군]]과 미군이 방기하거나 패주하면서 노획한 일부 차량을 사용하였는데, NEI 전역 당시 5대의 M3 경전차가 [[필리핀]]에서 일본군에 노획되었으며, 얼마 안가 12대가 필리핀 전선에서 추가로 노획된 후 수리되어 제65전차연대에 배속되었으며 제65전차연대가 필리핀에서 철수하자 이 전차들은 다른 부대로 넘겨졌는데, 이 중 4대가 민다나오 섬의 제100보병사단에 배속되었다. 추가로 [[코레히도르]] 상륙작전 당시에는 M3 스튜어트 1대와 [[치하]] 2대가 상륙군 선봉을 맡기도 했으며, M3 스튜어트를 본 미군 보병들은 흔비백산하게되어 코레히도르 요새는 며칠만에 함락된다. 또한 상륙과정에서 [[치하]]가 높은 언덕에 못올라가자 M3 스튜어트가 대신 견인해주는 활약도 한다. 일본 제국 육군 제14전차연대는 M3 스튜어트로만 이루어진 소대도 있었으며 제14전차연대 소속의 어느 M3 스튜어트는 [[임팔 작전]] 당시 영국군의 [[M3 리]]를 격파하는 전과를 올리기도 했다. 이후 1944년 [[사이판]] 전투와 1945년 루손 섬 전투 당시 일본군이 유기하고 간 M3 스튜어트를 미군이 발견하기도 했다. 일본군은 결전병기용으로 필리핀에서 노획한 M3 스튜어트를 10대가량 비축하기도 했다. ===== [[일본|일본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aitei gunkan JGSDF 13 ton M5 International.jpg|width=100%]]}}} || || '''육상자위대 소속 M5 트랙터''' || === [[동남아시아]] === ==== [[인도네시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atria_Mandala_Museum_M3A3.jpg|width=100%]]}}} || || '''사트리아 만달라 박물관 소장 인도네시아 육군 소속 M3A3'''[* 뒤에 있는 전투기는 [[MiG-21]]이다.] ||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당시 네덜란드령 동인도 원정군으로부터 노획한 차량들을 사용했다. ==== [[필리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5-veteransmuseumphilippines-timcislo-2020-107w-1-1.jpg|width=100%]]}}} || || '''필리핀 재향 박물관 소장 필리핀 육군 소속 M5A1'''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ilipino_M5_stuart.jpg|width=100%]]}}} || || '''필리핀 육군 소속 M5''' || 독립 후 미군이 남기고 간 차량들을 1950년대까지 사용했다. ==== [[베트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he last M5 Stuart in Vietnam, captured from the French and now put on display in Hanoi.jpg|width=100%]]}}} || || '''하노이 군사 박물관 소장 M5''' || 1차 인도차이나 전쟁 당시 1대의 M5를 프랑스군으로부터 노획했다. ==== [[미얀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efence services museum M3A1.jpg|width=100%]]}}} || || '''국토 방위 박물관 소장 M3A1''' || === [[남아시아]] === ==== [[인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varly_Tank_Museum_M3A1_stuart.jpg|width=100%]]}}} || || '''기병전차박물관 소장 M3A1'''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varly_Tank_Museum_M3A3.jpg|width=100%]]}}} || || '''기병전차박물관 소장 M5A1'''[* M3A3라고 오기되어 있다.] || ==== [[방글라데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angladesh_Military_Museum_M3_stuart.jpg|width=100%]]}}} || || '''방글라데시 군사 박물관 소장 M3 하이브리드''' || ==== [[파키스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akistan_Army_Museum_M3_Stuart.jpg|width=100%]]}}} || || '''파키스탄 육군 박물관 소장 파키스탄 육군 소속 M3 스튜어트'''[* 우측의 차량은 [[M4A4|셔먼 V 크랩]]이다.] || 제1차 인도-파키스탄 전쟁 당시 소수의 차량을 노획하였다. === [[서아시아]] === ==== [[튀르키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3A1_ankara.jpg|width=100%]]}}} || || '''에티메스구트 전차 박물관 소장 터키 육군 소속 M3A1''' || 1942년부터 1944년까지 영국이 공여한 M3A1을 냉전 시기까지 운용했다. ==== [[레바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ebanese Army M5A1 High Speed Tractor towing a 155mm Modele 50 howitzer during the 1972 military parade.jpg|width=100%]]}}} || || '''1972년 군사 퍼레이드에서 155mm Modele 50 곡사포를 견인 중 인 레바논 육군 소속 M5A1 트랙터''' || ==== [[이스라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DF_Museum_M4_high-speed_tractor.jpg|width=100%]]}}} || || '''이스라엘 방위군 박물관 소장 이스라엘 육군 소속 M4 트랙터''' || == [[오세아니아]] == === [[오스트랄라시아]] === ==== [[호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52stuarttank.jpg|width=100%]]}}} || || '''호주 기갑 & 포병 박물관 소장 호주 육군 소속 M3 스튜어트''' ||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1941년 8월부터 1943년 중반까지 M3s와 M3, M3A1, M3A1s 등 도합 370량의 스튜어트를 공여받아 냉전 시기까지 사용하였다. ==== [[뉴질랜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ZA945Stuart.jpg|width=100%]]}}} || || '''뉴질랜드 육군 소속 M3 스튜어트''' || == [[아프리카]] == === [[서아프리카]] === ==== [[가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hana Armed Forces Museum M3 Stuart.jpg|width=100%]]}}} || || '''쿠마시 요새 가나군 박물관 소장 가나 육군 소속 M3''' || === [[남아프리카]] === ==== [[남아프리카 연방]]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epublic_of_South_Afrika_National_Museum_of_Military_History_M3A1.jpg|width=100%]]}}} || || '''남아프리카 국립 군사 역사 박물관 소장 M3A1'''[* 일련번호 10380. American Car & Foundry에서 생산된 차량이며, 남아프리카 연방군 내에 등록된 차량번호는 U46942이다.] || ==== [[로디지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litary-museum.jpg|width=100%]]}}} || || '''그웨루 군사 박물관 소장 로디지아 육군 소속 M3A1(2파운더)''' ||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스튜어트 전차, version=882)] [[분류:스튜어트 전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