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튜드베이커|[[파일:스튜드베이커 로고.png|width=20%]]]]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5c4e32be84c33719dd84233d32c84c92.jpg|width=100%]]}}} || || {{{#ffffff '''Champion'''}}} || 1955년식 챔피언 리갈 하드탑 쿠페. [목차] '''Studebaker Champion''' == 개요 == [[미국]]의 자동차 제조사였던 [[스튜드베이커]]에서 생산했던 승용차이다. == 상세 == === 1세대(1939~1941) === 해당 세대부터 3세대 차량까지는 대형차 라인업으로 판매되었다. === 2세대(1942~1946) === === 3세대(1947~1952) === === 4세대(1953~1956) === [[1953년]]에 처음 출시되었으며, 레이먼드 로위의 디자인 스튜디오에서 일하던 로버트 버크가 설계했으며, '로위 쿠페' 혹은 '로우 보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중앙 필러가 적용된 2도어 쿠페는 [[스튜드베이커 스타라이트|스타라이트]], 더 비싼 하드탑 쿠페는 [[스튜드베이커 스타라이너|스타라이너]]로 판매되었다. 로위 쿠페 외에도 단축형 4도어 세단과 이를 기반으로 한 2도어 세단 사양이 존재했. 2도어 세단은 차체가 더 컸으며, 후면 창문은 로위 쿠페의 창문보다 눈에 띌 정도로 크게 설계되었다. 2도어 세단보다 로위 쿠페가 수집가들에게 인기가 많았으며, 차체는 비슷하나 서로 공유되는 부분은 적은 편이었다. 전면부는 [[시트로엥 DS]]와 공유하는 듯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었다. [[1955년]]형에는 스타라이트/스타라이너 앰블럼이 삭제된 대신 랩어라운드 형태의 윈드실드가 적용되었다. [[1956년]]형 세단 사양은 대형 테일핀과 '아이브로(eyebrows, 눈썹)'라는 헤드램프 상단의 뾰족한 돌출부가 적용되었다. 쿠페 라인업은 [[메르세데스-벤츠]]를 연상시키는 중앙 사각 그릴을 적용해 [[스튜드베이커 호크|호크]]에 적용되는 외장 스타일을 가지고 있었다. 해당 차량은 랜드 스피드 레이스 대회 및 스톡카 등으로도 인기를 끌었으며, 지붕을 극한으로 낮춰 개조한 "촙드 탑(Chopped top)" 스타일과 같이 유선형 디자인의 차량을 더 유선형으로 만든 사례 역시 존재했다. [[파워트레인]]은 [[1954년]]형까지 85마력의 2.7L L-헤드 I6 엔진이 탑재되었으나, 이후 101마력의 3.0L L-헤드 I6 엔진이 탑재되었다. 해당 세대부터 단종이 이루어질 때까지 [[스튜드베이커 커맨더]]의 아랫급 중형차로 판매되었다. [[1954년]]형으로 왜건 사양인 [[스튜드베이커 코네스토가|코네스토가]]가 출시되었다. ==== 컨버터블 개발 비화 ==== || [[파일:StudeCommander-V2.jpg|width=100%]] || || 커맨더 컨버터블 프로토타입 || 컨버터블 사양은 제작되지 않았지만, [[1952년]] 말에 [[스튜드베이커 커맨더]]의 컨버터블 [[프로토타입]]을 생산해 수익성이 있으면서도 대량 생산이 가능한지 간을 본 적은 있었다. 해당 차량은 하드탑 쿠페 라인업이던 [[스튜드베이커 스타라이너|스타라이너]]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이후 [[1954년]] 형으로 변경되었을 당시에 엔지니어들이 사우스 벤드 주변을 주행하며 검증을 거치기도 했다. 또한, 차체 굴곡을 줄이기 위해 추가적인 구조 보강이 이루어져야만 했는데 [[파워트레인]]으로는 3.8L V8 엔진이 장착되었지만, 추가된 차량 구조로 인해 무게가 늘어나면서 [[제로백]][* [[미국]] 기준이므로, 0-60mph 가속시간]이 허용 불가능한 수준까지 올라가게 되었다. 여기에 회사 재정까지 부족한 상황이었고 회사 고위직들은 2도어 세단, 4도어 세단, [[1954년]]형 [[스튜드베이커 코네스토가|코네스토카]] 왜건이 2도어 쿠페보다 더 잘 팔릴 것이라는 오판을 했던 탓에 재원은 세단과 왜건을 위주로 투입되었다. 이로 인해 [[프로토타입]] 컨버터블 사양이 더 이상 필요 없게 되자 엔지니어였던 E. T. 레이놀즈는 차량 해체 후 차체 사우스 벤드 서쪽의 위치한 프루빙 그라운드에 있는 비밀 차량 묘지로 옮기라고 했다. 하지만, 엔지니어가 아닌 다른 직원들이 초기의 다른 자동차들 및 트럭 [[프로토타입]]들과 함께 시험장에서 썩어가는 것을 보길 원하지 않았기에 해당 차량은 구입할 수 있도록 허가를 요청했고 수석 엔지니어 진 하디그와 논의를 거쳤다. 이로 인해 그들이 직원들에게 차를 절대 팔지 않겠다는 조건으로 차를 구매하도록 허가했다. 이후 [[스튜드베이커]]가 역사 속으로 사라진 후인, [[1970년대]]에 이 차는 사우스 벤드 주유소 뒤에서 재발견되었지만 그 직원의 소유가 아닌 상황이었다. 이후 여러 소유주와 도색 과정을 거치면서 현재까지 잔존하게 되었다. === 5세대(1957~1958) === [[포드 모터 컴퍼니]], [[제너럴 모터스]], [[크라이슬러]]로 위시되던 '빅 3' 기업들과 [[내쉬]]의 저가 라인업 등 경쟁사 차량들에 대응하기 위해 '챔피언 스코츠맨'이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었다. 라인업은 세단 및 스테이션 왜건 사양이 있었다. [[파워트레인]]은 101마력의 3.0L L-헤드 I6 엔진 및 210마력의 4.7L '스윕스테이크스' [[OHV]] V8 엔진 2종이 탑재되었다. 차량의 전장은 5,141mm, 전폭은 1,925mm, 휠베이스는 2,959mm였다. 이후 [[스튜드베이커 스코츠맨|스코츠맨]]으로 판매되면서 단종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스튜드베이커의 차량)] [[분류:스튜드베이커/생산차량]][[분류:1939년 출시]][[분류:1958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