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F-22A_Raptor.jpg|width=100%]]|| || [[록히드 마틴]]의 [[F-22]] || || '''Stealth aircraft''' || [목차] == 개요 == '''스텔스기'''란 [[스텔스]] 기술을 이용하는 항공기를 뜻하는 말로, 스텔스 기능을 이용해 비밀리에 적지에 침투, [[정찰기|정찰]]하거나, [[공중전]]에서 승리하거나, 지상을 폭격하여 최종적으로 [[제공권]]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는 전술기를 이른다. 스텔스기에 있어 가장 요구되는 능력은 당연히 적군에게 탐지되지 않는 것이며 크게 스텔스 [[전투기]], 스텔스 [[폭격기]], 스텔스 [[공격기]], 스텔스 [[정찰기]], 다목적(멀티롤) 스텔스기 등으로 나뉜다. == 원리와 구조 == [youtube(ZJWkIMW07Ls?si=ihVCGLWaMm6kqBg_)]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텔스)] == 정말로 레이더에 안 잡히는가? == [youtube(sCdPlgr4S2A)] [youtube(QLBygb1T3XM)] 초기에 스텔스 기술이 적용된 기체는 실제로 레이더 주파수를 반사 또는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어 그 결과 항공기가 아예 잡히지 않거나, 반사량이 적어 [[새]] 또는 [[바람]] 정도로만 인식하게 만들 수 있었다. 그러나 하나가 발전하면 그것에 대항하는 무기도 발전하는 법. 레이더 기술 또한 스텔스기를 잡아내는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발전해왔고, 결국 초정밀 레이더 반사 기술과 새로운 전파의 사용 등으로 스텔스기도 상당 부분 잡을 수 있는 레이더 또한 개발되었다. '''즉, 스텔스기도 현대 기술력으로는 충분히 레이더에 잡힐 수는 있다.''' 그럼에도 계속해서 스텔스기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운용되는 이유는 아직 이 레이더의 기술이 완성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여전히 비스텔스기들에 비하면 월등히 낮은 피탐성을 보여주어 잡힐지라도 레이더의 정확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또한 현재까지 스텔스기를 잡아낼 수 있는 레이더는 대부분 지상레이더들 뿐이며, 이들도 [[F-35]] 같은 최신예기들은 거의 흔적만 겨우 볼 수 있는 상황이다. 이 기술이 항공기 레이더와 함선 레이더에까지 탑재되려면 아직 더 많은 시간과 투자가 필요하고, 기술력을 갖춘 극소수의 선진국들을 제외하면 상당수의 국가들, 특히 [[개발도상국]]의 군에서는 여전히 스텔스기를 탐지하기 어려운 사양의 레이더를 갖추고 있다. 이들 국가까지 개발이 완료, 또는 도입되어 교체나 업그레이드가 이루어질 때까지 걸릴 시간을 고려하면, '''스텔스기들의 전망은 아직 한참 밝은 상황이다.''' == 문서가 존재하는 스텔스기 목록 == 아래 목록에는 전파흡수물질(RAM)이 적용되었고, 지상 레이더 또는 대공무기 탐지기에 대한 스텔스 기술을 사용하며, 현재 개발 중이거나 실기체가 제작되어 운용한 기록이 있는 기체[* 즉, 기술실증기, 사업에 탈락한 시제기들 또한 포함된다. 다만 사업이 아예 취소된 경우에는 취소선을 적용한다.]에 해당하는 경우에 등재하며, 위의 방식을 사용하지는 않지만 저피탐성, [[스텔스]]의 개념에 부합하는 역할 또는 성능을 가진 경우에는 이 목록에 등재하되 모두 '''취소선'''으로 구분한다. * 미국 * [[B-2]]: 미 공군이 운용 중인 스텔스 폭격기이다. '''세계 최초의 스텔스 [[전략폭격기]]'''이며, 전폭기 역할도 담당한 F-117을 제외하면 사실상 '''세계 최초의 스텔스 폭격기이다.''' * [[B-21]]: B-52, B-1, B-2를 모두 대체하는 미 공군의 차세대 스텔스 폭격기로 현재 개발 중이다. * [[F-117]]: '''세계 최초의 스텔스기'''이며 미 공군의 스텔스 공격기로 걸프전에 참전한 이력이 있다. 2008년부로 퇴역 처리 되었으나 이후로도 계속 운용되는 모습들이 지속적으로 포착되었고, 2021년에 공식적으로 현역으로 복귀하였다. 독특한 외형 때문에 각인되어 아직도 스텔스기 하면 이 F-117의 형태를 떠올리는 사람이 많다. 자세한 내용은 [[F-117]] 문서 참고. * [[F-22]]: 미 공군이 운용 중인 스텔스 전투기이다. 현재 전반적인 성능 면에서 세계 최강의 스텔스기라고 여겨진다. * [[F-35]]: JSF 프로그램의 최종 승자로 주요 스텔스기 중 최다양산이 이뤄진 기종이다. 대한민국 국군 등을 비롯하여 여러 국가에서도 운용하고 있다. * [[RQ-170]]: 미 공군이 운용중인 스텔스 무인기로, 이란에게 나포된 전적이 있다. * [[RQ-180]]: 미 공군이 운용중인 RQ-170의 후계기. * [[어벤저#s-3.6|MQ-20]]: [[MQ-9]] 기반의 스텔스 UCAV. * [[XQ-58A]]: 크라토스 사가 개발중인 스텔스 UCAV. * [[버드 오브 프레이#s-3|버드 오브 프레이]]: [[보잉]] 사의 스텔스 기술실증기. * [[X-32]]: JSF 프로그램 당시 보잉이 제안한 스텔스 시제기. X-35(F-35의 프로토타입)에 밀려 최종 탈락했다. * [[X-47]]: [[노스롭 그루먼]] 사의 기술실증 UCAV. 현재는 사업이 종료되었다. * [[YF-23]]: [[노스롭]] 사에서 개발한 스텔스 시제기. 그러나 YF-22(F-22의 시제기)와의 경합에서 밀려 채택되지 않았다. * ~~[[RAH-66]]~~: 미 육군의 스텔스 정찰공격헬기로 시제기가 비행하는데까지는 성공했으나, 군축과 사업 관리 실패로 인해 끝내 개발이 취소되었다. * ~~[[SR-71]]~~: [[록히드]] 사에서 개발해 미 공군이 운용한 고고도 초음속 정찰기. 다만 고고도와 초음속을 통해 추적을 피하는 방식을 사용해 통상적인 의미의 스텔스기로는 분류하지 않는다. * ~~[[SR-72]]~~: 현재 개발 중인 SR-71의 후계기. SR-72의 캐치프라이즈는 'Speed is the New Stealth'[* 속도가 새로운 스텔스다.]이며, SR-71과 운용 방식이 거의 동일해 역시 일반적인 스텔스기로는 분류하지 않는다. * --[[A-12]]--: 미 해군에 제안되었던 스텔스 공격기 및 폭격기로 군축과 사업 관리 실패로 인해 취소되었다. 심지어 시제기조차 '''단 한 대도''' 만들어지지 않았다. * 러시아 * [[Su-57]]: [[수호이]] 사에서 개발한 스텔스 쌍발전투기로 과거 프로토타입 시절 이름인 T-50이나 해당 전투기가 선정된 도입 사업의 이름인 PAK-FA라는 이름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현재 러시아 공군에서 운용 중. * [[수호이 체크메이트]]: 2021년 공개된 스텔스 단발전투기. Su-57의 [[하이로우 믹스|로우급]] 또는 가성비 모델로 보고 있다. 또한 동일한 단발 스텔스기인 F-35와 미그 사에서 개발 중인 MiG-LMFS와 직간접적으로 경쟁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 [[S-70 아호트니크]]: 수호이 사가 개발하고 있는 스텔스 UCAV. * [[PAK-DA]]: [[투폴레프]] 사에서 현재 개발 중인 스텔스 폭격기. * [[MiG-41]]: [[미그]] 사에서 개발 중인 6세대 스텔스기. * [[MiG-MFI|MiG-MFI(Project 1.44)]]: 미그 사에서 개발한 자사의 첫 스텔스 시제기. 미그 1.44, Project(프로옉트) 1.44라고도 하는데, 원래는 프로옉트 1.44가 당사에서 명명한 [[https://en.wikipedia.org/wiki/Mikoyan_Project_1.44|좀 더 정확한 이름이다]]. 당시 소련에서 미국의 F-22에 대항하기 위한 차세대 전투기 도입 사업인 I-90 사업에서 Su-47에 밀려 탈락하였다. 비록 양산에는 실패했으나, 당시 '''[[델타익]]이 적용된 전투기들 중 가장 스텔스 성능이 높았다'''고 전해지며, 현재 중국의 [[J-20]]과 형상이 '''매우''' 비슷해 J-20의 개발에 영향을 준 것 아니냐는 설이 돌기도 하였다. * [[MiG-LMFS]]: 미그 사에서 개발 중인 로우급 스텔스기. MiG-MFI의 연구개발을 통해 얻은 자사의 기술력이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 ~~[[Su-47]]~~: 수호이 사에서 개발한 기술실증기. 당시 소련의 차세대 전투기 사업인 I-90 사업에서 위의 MiG-MFI를 누르고 최종 승리했으나, 막상 얼마 못 가 [[소련 붕괴|소련이 붕괴하면서]] 예산 문제가 발생했고, 한편 Su-47도 스텔스 능력에 불리한 [[전진익]]을 채택한 바람에 스텔스기로서의 스텔스 성능이 몹시 부족해 양산에 실패하였다. 대신 수호이는 이후 이 사업을 통해 얻은 군납 독점권과 기술력을 가지고 본격적인 스텔스 성능을 가진 새로운 전투기를 설계해 I-90 사업을 계승한 러시아의 PAK-FA 사업에서 채택되었는데, 그것이 바로 T-50, Su-57이다. * ~~S-22~~: F-22 같은 제공권 제압기로 개발하였으나 소련붕괴, 그리고 전진익이 스텔스기 개발에 부적합하다 판단되어 사업이 중단되었다. 이것의 기술실증기가 바로 Su-47이었다. * 터키 * [[칸(전투기)|칸]]: 터키의 5세대 스텔스기 사업. * [[바이락타르 크즐에마]]: 바이카르 사의 스텔스 UCAV. * [[앙카-3|TAI 앙카-3]]: TAI의 스텔스 UCAV. * 인도 * [[AMCA]]: 인도의 5세대 스텔스기 사업. * --[[FGFA]]--: 러시아와 합작하려 했던 인도판 Su-57이었지만 사업이 취소되었다. * 스웨덴 * [[FS2020]]: 스웨덴의 5세대 스텔스기 사업. 아래 BAE 템페스트 사업을 담당하는 [[BAE]]와 공동개발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사업이 통합되지는 않았다. * 독일 * --[[MBB 람피리데]]--: 냉전기 독일이 개발하고 있었던 스텔스 전투기로, F-117보다 더 뛰어난 성능을 가지고 있었으나 정치적인 문제 때문에 사업이 취소되었다. * 프랑스, 독일 * [[FCAS]]: 프랑스 [[다쏘]]와 [[에어버스]], 독일이 2018년 4월 25일 공동 개발에 합의한 6세대 스텔스기 개발 사업이다. * 영국 * --[[BAE 템페스트]]--: 2018년 7월 16일 발표된 영국의 6세대 스텔스기 사업이다. GCAP로 통합되었지만 명칭은 계속 사용된다. * ~~[[DH-98 모스키토]]~~: 2차 세계대전 당시 운용한 기종으로, 당시에 일부러 노리고 만든건 아니지만 목제인데다가 속도가 무시무시하게 빨라서 금속만 겨우 탐지하던 레이더 기술로는 포착이 불가능했다고 한다. 그 당시 기준으로라면 일종의 RAM과 대레이더 스텔스 기술을 적용한 셈이다. 그러나 역시 이 문서의 스텔스기 조건에는 성립하지 않는다. * 영국, 일본, 이탈리아 * [[GCAP]]: 세 국가가 참여하고 있는 6세대 스텔스기 사업으로, 사실상 위의 템페스트와 아래의 F-3 사업이 합쳐진 것이다. * 일본 * ~~[[X-2]]~~: 차세대 스텔스 전투기 사업(F-3)을 위한 최신 장비와 신소재 기술 등을 시험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한 기술실증기로, 스텔스기의 형상을 하고는 있으나 공기흡입구 등 일부 부분들이 RCS 수치 저감에 적합하지 않아 스텔스기로 분류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 --[[F-3]]--: 일본의 차세대 스텔스 전투기 사업으로 2037년대에 배치될 예정이었으나 GCAP로 통합되었다. * 중국 * [[J-20]]: 중국군의 첫 스텔스 전투기이다. * [[FC-31]]: 선양 사가 개발하고 있는 수출용 스텔스 전투기이다. * [[H-20]]: 중국군이 개발하고 있는 첫 스텔스 폭격기다. * 대한민국 * [[KUS-X]]: 대한민국의 차세대 UCAV 사업. [[대한항공]]이 선정되어 2020년 후반에 공격기형이 실전배치되고 2030년에 정찰기형이 배치될 예정이다. * ~~[[KF-21]]~~: [[KAI]]에서 개발 중인 주력전투기. 디자인 설계부터 차후 스텔스기로서의 개량을 염두에 두었으며, RAM의 일부 사용, 주파수 선택적 투과성 기술 등이 적용된 것은 맞으나, 아직 블록I, II 기준으로 본격적인 스텔스기로 분류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전투기의 피탐성은 MIN(Minimum Treatment) - RO(Reduced Observable) - LO(Low Observable) - VLO(Very Low Observable)로 분류되며, RCS가 -20dBsm(0.01㎡) 수준인 LO부터 스텔스기로 평가된다. 블록 I,II KF-21은 현재 RO 기준을 만족하는 상태이다.] * 호주 * [[MQ-28]]: 보잉과 합작하여 개발중인 스텔스 UCAV. == 가상의 스텔스기 목록 == === 영화 === * [[스텔스(영화)]] - [[F/A-37]] === 게임 === * [[강철전기 C21]] 및 [[코즈믹 브레이크]] - [[고스레이더]], [[고스레이더 117]], [[사야 스타라이트]] * [[골판지 전기 시리즈]] - 이클립스 * [[라스트오리진]] - [[B-11 나이트 앤젤]], [[P-22 하르페이아]] * [[에이스 컴뱃 시리즈]] - [[ADF-01]], [[ADF-11F]], [[ASF-X]], [[ATD-0]], [[CFA-44]], [[X-02]], [[X-49]], [[XFA-27]], [[XFA-33]], [[YR-99]] * [[도미네이션즈]] - [[나이트호크(도미네이션즈)]] === 기타 === * [[드래펄트]] : 분류가 ‘스텔스’ 포켓몬이다. * [[또봇 V]] - [[또봇 소닉 스텔스]] * [[원더우먼]]의 투명 비행기[* 비범하게도 가시광선에 대해서도 투명하다. 작품에 따라서는 미사일까지 투명이다.] [[분류:항공 병기]][[분류:레이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