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FC 포르투/간략)]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tephen Eustaquio2324.png|width=100%]]}}} || ||<-3> '''FC 포르투 No. 6''' || ||<-3> '''{{{#ffffff {{{+1 스테픈 유스타키오}}}[br]Stephen Eustaquio}}}''' || ||<-2> '''본명''' ||스테픈 안투네스 유스타키오[* 포르투갈계 캐나다인으로 Antunes와 Eustaquio가 포르투갈어권 성이나, 선수 본인은 이와 무관히 영어식으로 발음한다.[[https://www.youtube.com/watch?v=0hcDlZ9eJzQ|영상]]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선수 본인의 요청이나 발음을 우선해서 반영하고 있다. 이와 무관히 Eustaquio에 포르투갈어 표기법을 적용하면 '이우스타키우'가 된다. 한편 Stephen의 경우 사람에 따라 '[[스테픈]]', '[[스티븐]]' 등으로 발음법이 다르나, 상기 링크의 영상에서 마찬가지로 확인할 수 있듯 선수 본인은 '스테픈'으로 발음하고 있다.] [br]Stephen Antunes Eustaquio || ||<-2><|2> '''출생''' ||[[1996년]] [[12월 21일]] ([age(1996-12-21)]세) || ||[[캐나다]] [[온타리오]]주 리밍턴 || ||<-2>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캐나다)]''' | [include(틀:국기, 국명=포르투갈)] || ||<-2> '''신체''' ||[[키(신체)|키]] 178cm / [[체중]] 77kg || ||<-2> '''주발''' ||오른발 || ||<-2> '''포지션''' ||[[중앙 미드필더]] / [[수비형 미드필더]] || ||<|2> '''소속''' || '''유스''' ||GD 나자레노스 (2005~2010) [br] UD 레이리아 (2010~2014) [br] SCU 토헨스 (2014~2015) || || '''선수''' ||GD 나자레노스 (2013~2014) [br] SCU 토렌세 (2015~2017) [br] [[레이숑이스 SC]] (2017~2018) [br] [[GD 샤베스]] (2018~2019) [br] [[CD 크루스 아술]] (2019~2021)[br]→ {{{-1 [[FC 파수스 드 페헤이라]] (2020~2021 / 임대)}}} [br] [[FC 파수스 드 페헤이라]] (2021~2022) [br]→ '''{{{-1 [[FC 포르투]] (2022 / 임대)}}}''' [br] '''[[FC 포르투]] (2022~ )''' || ||<-2> '''국가대표''' ||[[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width=30]]]] 34경기 4골 ^^([[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캐나다]] / 2019~ )^^[* 2023년 11월 22일 기준] || [목차] [clearfix] == 개요 == [[캐나다]] 국적의 [[FC 포르투]] 소속 [[축구선수]]. 포지션은 [[수비형 미드필더]]이다. == 클럽 경력 == === 경력 초기 === 포르투갈계 부모 아래에서 자란 유스타키오는 7살에 포르투갈로 건너가 나자레노스에서 축구를 시작했다. 이후 UD 레이리아, SCU 토헨스에서 뛰며 선수 초기에는 주로 3부리그에서 활약했다. 2017년 6월 7일, [[레이숑이스 SC]]에 입단했다. 그리고 [[리가 포르투갈 2|2부리그]]에서 25경기를 뛰고 이듬해 겨울 이적시장을 통해 [[GD 샤베스]]로 팀을 옮겨 커리어 처음으로 [[리가 포르투갈|1부리그]]에서 활약했다. === [[CD 크루스 아술]] === 2019년 1월 15일, 멕시코 [[리가 MX]]의 크루스 아술로 이적했다. 입단 후 그는 [[클루브 티후아나]]와의 리그 데뷔전에서 교체로 출전한 지 불과 몇 분 만에 퇴장을 당했지만, VAR 검토 결과 옐로 카드로 정정되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부상으로 교체되었는데, 부상의 정도[* 십자인대 파열]가 꽤 심각해서 8개월이 지나서야 필드에 복귀할 수 있었다. === [[FC 파수스 드 페헤이라]] === 2019년 12월, 파수스 드 페헤이라로 임대되면서 1년만에 포르투갈 리그로 복귀했다. 임대기간은 2019-20 시즌 종료까지다. 2020년 2월 6일, [[포르티모넨스 SC|포르티모넨스]]를 상대로 데뷔전을 치렀으며, 후반기 동안 주전 수비형 미드필더로 준수한 활약을 펼치며 강등권 탈출에 공헌했다. 이러한 활약을 바탕으로 2020년 9월에 1시즌 임대 연장을 했으며, 이듬해 1월 250만 유로에 완전 이적했다. === [[FC 포르투]] === 2021년 1월, 포르투로 임대되었으며, 완전 이적 옵션이 포함되어있다. 2021년 2월 6일, [[FC 아로카]]전에 [[파비우 비에이라]] 대신 교체투입되며 포르투 소속으로 데뷔전을 치렀다. 경기는 2:0 승리. 포르투에서는 주로 교체멤버로 짧은 시간만을 소화했지만, 그럼에도 완전이적 옵션이 발동되며 2022년 6월에 정식으로 포르투 소속이 되었다. 이적료는 €3.5M이며 계약기간은 2026년까지라고 한다. 아무래도 출전 시간과 무관하게 [[세르지우 올리베이라]] 이적 후 스쿼드 멤버로 기용할 생각을 가지고 처음부터 임대로 데려온 듯. == 국가대표 경력 == 포르투갈 U-21 대표팀을 지낸 경력이 있다. 2019 UEFA U-21 챔피언십 예선 루마니아전에서 포르투갈 청소년 대표로 첫 데뷔전을 치뤘다. 하지만 같은 해 캐나다 국가대표팀의 제의를 수락하여 A매치 데뷔는 캐나다에서 했다.2019-20 시즌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미국전에서 처음 국가대표로 데뷔했고, 2021년 CONCACAF 골드컵 캐나다 대표팀에 선발되어 캐나다 대표팀의 4강 진출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특히 중앙 미드필더 포지션에도 불구하고 대회 3골을 기록하며 공격력을 과시했다. 이후에도 2022 카타르 월드컵 최종예선에서 캐나다의 1위 질주에 상당한 공헌을 하고 있는 대표팀 핵심 미드필더가 되었다. 그리고 호일렛과 함께 미드를 캐리하며 팀의 36년만의 월드컵 본선 진출을 이끌었다. == 플레이 스타일 == [[AS 로마]]로 임대이적한 [[세르지우 올리베이라]]의 대체자로 영입된 만큼 볼 전개에 두각을 드러낸다. 양질의 킥과 패스는 물론, 이를 정확하게 보내주게 만드는 넓은 시야와 빠른 판단을 갖추고 있어 중원에서의 플레이메이킹은 물론, 한 번의 전진패스를 통한 찬스메이킹에도 두각을 드러낸다. 단, 수비 가담과 수비 기술이 부족했던 올리베이라와는 다르게 활동량을 많이 가져가면서 적극적인 압박과 수비 커버를 시도한다. 수비하는 모습만 보면, [[마테우스 우리베]]가 생각날 정도로 적극적인 1대1 수비와 지역수비를 통해 공을 탈취한다. 다만, 피지컬이 타 선수들에 비해 왜소해 경합 상황에서는 무기력하고 수비 인식은 좋지만, 스킬은 다소 거칠고 투박해 경고 누적 수가 많은 편. == 여담 == == 같이 보기 == [include(틀:FC 포르투)] [include(틀: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 [include(틀: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 명단(2022 카타르 월드컵))] [[분류:1996년 출생]][[분류:온타리오주 출신 인물]][[분류:포르투갈계 캐나다인]][[분류: 캐나다의 축구선수]][[분류:복수국적자]][[분류:레이숑이스 SC/은퇴, 이적]][[분류:GD 샤베스/은퇴, 이적]][[분류:크루스 아술/은퇴, 이적]][[분류:FC 파수스 드 페헤이라/은퇴, 이적]][[분류:FC 포르투/현역]][[분류:캐나다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참가 선수]][[분류:캐나다의 CONCACAF 골드컵 참가 선수]][[분류:2021 CONCACAF 골드컵 참가 선수]][[분류:2023 CONCACAF 골드컵 참가 선수]][[분류:미드필더]][[분류:수비형 미드필더]][[분류:중앙 미드필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