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바덴 대공비]][[분류:보아르네 가문]][[분류:1789년 출생]][[분류:1860년 사망]][[분류:베르사유 출신 인물]] ||<-3> '''바덴 대공국 카를의 대공비[br]{{{+1 스테파니 드 보아르네}}}[br]Stéphanie de Beauharnais'''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Großherzogin_Stephanie_von_Baden.jpg|width=100%]]}}} || ||<|2> '''이름''' || 프랑스어 ||스테파니 루이즈 아드리엔 드 보아르네[br](Stéphanie Louise Adrienne de Beauharnais)|| || 독일어 ||슈테파니 루이제 아드리네[br](Stephanie Louise Adrienne)|| || '''출생''' ||<-2>[[1789년]] [[8월 28일]][br][[프랑스 왕국]] [[베르사유]]|| || '''사망''' ||<-2>[[1860년]] [[1월 29일]] (향년 70세)[br][[사르데냐 왕국|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 [[니스|니차]]|| || '''배우자''' ||<-2>[[카를(바덴)|바덴 대공 카를]] ,,(1806년 결혼 / 1818년 사망),,|| || '''자녀''' ||<-2>루이제, 요제피네, 알렉산더, 마리 아멜리|| || '''아버지''' ||<-2>클로드 드보아르네|| || '''어머니''' ||<-2>아드리엔 드레자마르네지아|| || '''형제''' ||<-2>알베릭 쥘 알베르|| || '''종교''' ||<-2>[[가톨릭]]|| [목차] [clearfix] == 개요 == [[프랑스 제1제국]]의 초대 황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나폴레옹 1세]]와 그의 첫번째 황후 [[조제핀 드 보아르네]]의 수양딸이자[* 그와 동시에 조제핀에겐 시당조카(첫번째 남편 알렉상드르 드 보아르네의 사촌의 딸)이기도 하다.] [[카를(바덴)|바덴 대공 카를]]의 대공비다. [[벨기에 왕조|현 벨기에 왕가]], [[호엔촐레른 가문#s-3.2|전 루마니아 왕가]], [[사보이아 가문|전 이탈리아 왕가]], [[나사우 가문#s-3.2|현 룩셈부르크 대공가]], [[그리말디 가문|현 모나코 공가]]의 조상이다. == 생애 == [[1789년]] 2대 로슈-바리토 백작[* [[조제핀 드 보아르네]]의 첫 남편의 사촌]의 딸로 태어나 2년 뒤 어머니를 여의었다. 아버지는 이민을 가면서 스테파니를 [[대모]]인 레이디 바스에게 맡겼고, 스테파니는 [[수녀원]]으로 보내졌다가 수녀원이 문을 닫은 후에는 청소년기까지 [[프랑스]] 남부에서 수녀들에 의해 양육되었다. [[1802]]년 스테파니의 존재를 알게 된 [[나폴레옹]]은 스테파니를 거두기로 결심하고 [[1803년]] 1월 [[프랑스 파리]]에 도착한 스테파니는 [[조제핀 드 보아르네|조제핀]]과 [[오르탕스 드 보아르네|오르탕스]]의 보호 아래 튈르리 궁전에서 거주한다. 이즈음 프랑스로 돌아온 아버지가 재혼하고 이복동생이 태어난다. 스테파니는 교육을 마치기 위해 캄팡 부인의 생제르맹 [[기숙학교]]로 보내졌다. [[1806년]] 결혼동맹을 추진하던 나폴레옹에 의해 [[바덴 대공국]]의 후계자인 [[카를(바덴)|카를 공자]][* 원래 [[막시밀리안 1세 요제프]]의 딸 [[바이에른의 아우구스테]] 공주와 약혼했으나, 나폴레옹이 양아들 [[외젠 드 보아르네|외젠]]과 아우구스테를 결혼시키고 카를의 신붓감으로 스테파니를 추천했다. 이후 아우구스테 공주는 나폴레옹의 양아들 [[외젠 드 보아르네]]와 결혼한다.]와 약혼이 이루어진다. 생제르맹에서 [[파리(프랑스)|파리]] 튈르리 궁전으로 돌아온 스테파니를 나폴레옹은 친딸과 같이 환대했다. 궁정에서 스테파니는 나폴레옹의 누이들의 질투어린 시선을 받았는데, 특히 카롤린 보나파르트의[* [[조아킴 뮈라]]의 아내.] 견제가 심했다. [[1806년]] 3월 정식으로 [[나폴레옹]]과 [[조제핀 드 보아르네|조제핀]]에게 입양되고, 프랑스의 공주 칭호를 받은 스테파니는 공주들 중에서 으뜸가는 서열이 된다. 1달 후 16세의 스테파니는 파리에서 3세 연상의 [[카를(바덴)|카를]]과 결혼식을 올렸다. 스테파니는 며칠 동안 남편을 거부했고 궁정 내 가십이 되었다. 카를루스에에 도착한 스테파니는 궁정에서, 특히 시어머니인 헤센-다름슈타트의 아말리에[* 나폴레옹을 싫어한데다 스테파니의 낮은 신분도 못마땅했기 때문이다.]의 적대감을 맞닥뜨리고 신혼부부는 따로 떨어져 지낸다. 다행히 부부는 점차 가까워져 1811년 첫딸 루이즈가 태어나고 그해에 카를이 대공위를 승계하면서 대공비가 된다. [[파일:Großherzogin_Stéphanie_de_Beauharnais.jpg|width=400]] [[파일:Stéphanie_de_Beauharnais_-_Grand_Duchess_of_Baden.jpg|width=400]] 1820년대의 스테파니 카를은 나폴레옹의 몰락 후 가족의 압력에도 스테파니와 헤어지기를 거부한다. 두 사람은 슬하에 2남 3녀를 두었고 3명의 딸이 성인으로 성장한다. 29세에 미망인이 된 스테파니는 세 딸들을 데리고 뮌헨의 궁전으로 은퇴한다. 카를이 사망한지 10년 후 [[카스파 하우저]] 사건이 터진다. 카스파 하우저가 암살되고 스테파니는 아들을 2번 잃었다는 상실감 속에 산다. 세 딸들에게 헌신적인 어머니였고 교육과 결혼에 무척 신경을 썼다. 처음에는 적대적이었던 시어머니 아말리에도 흠 잡을 데없는 과부인 스테파니를 좋아하게 된다. 프랑스 제국의 재건을 보고 루이 나폴레옹의 세례식에도 참석한 후 스테파니는 1860년 프랑스 니스에서 70세로 사망한다. 비록 두 아들은 모두 사망했지만 딸들을 통해 현재 [[호엔촐레른 가문#s-3.2|루마니아 왕가]], [[벨기에 왕조|벨기에 왕가]], [[사보이아 가문|이탈리아 왕가]], [[나사우 가문#s-3.2|룩셈부르크 대공가]][* 루마니아, 벨기에, 이탈리아, 룩셈부르크 모두 차녀 요제피네의 후손이다.], [[그리말디 가문|모나코 공가]][* 막내딸 마리 아멜리의 후손이다.]가 모두 스테파니의 후손이다. == 가족관계 == === 자녀 === ||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 / 자녀''' || || '''1녀''' || 바사 공비 루이제[br]{{{-2 (Louise, Princess of Vasa)}}} || [[1811년]] [[6월 5일]] || [[1854년]] [[7월 19일]] || --바사 공 구스타프--[* [[1830년]] 결혼 / [[1843년]] 이혼. [[스웨덴 국왕]] [[구스타브 4세 아돌프]]와 [[바덴의 프리데리케]]의 장남.][br]슬하 1남 1녀[* [[작센]]의 왕비 카롤라 등] || || '''2녀''' || 호엔촐레른 공비 요제피네[br]{{{-2 (Josephine, Princess of Hohenzollern)}}} || [[1813년]] [[10월 21일]] || [[1900년]] [[6월 19일]] || 호엔촐레른 공 카를 안톤[* 어머니 마리 앙투아네트 뮈라가 [[조아킴 뮈라]]의 조카다.][br]슬하 4남 2녀[* [[포르투갈 왕국|포르투갈]]의 왕비 이스테파니아, [[카롤 1세]] 등] || || '''1남''' || 알렉산더 공자[br]{{{-2 (Prince Alexander)}}} || [[1816년]] [[5월 1일]] || [[1816년]] [[5월 8일]] || || || '''3녀''' || 해밀턴 공작부인 마리 아멜리[br]{{{-2 (Marie Amelie, Duchess of Hamilton and Brandon)}}} || [[1818년]] [[10월 11일]] || [[1888년]] [[10월 17일]] || 제11대 해밀턴 공작 윌리엄 해밀턴[* 제8대 브랜든 공작이기도 했다.][br]슬하 2남 1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