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스탠퍼드 대학교)] [include(틀:NCAA)] [목차] == 개요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tanfordCardinal_%281%29.png|width=200]] || ||<:><#C41E3A> '''{{{#ffffff 스탠퍼드 카디널 }}}''' || ||<:><#ffffff> '''{{{#C41E3A Stanford Cardinal }}}''' || [[스탠퍼드 대학교]]의 스포츠팀. 이전의 팀명은 인디언스였으나, 1972년에 원주민 차별 문제로 인해 붉은색을 의미하는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노스다코타대도 이 문제로 팀 이름이 바뀌었다.] 미국 서부의 명문 사립대학교인 스탠퍼드 대학교의 스포츠팀을 통칭한다. == 특징 == '''[[USC]]와 함께 미국 내 최대 올림픽 선수 양성소이다.''' [[2008 베이징 올림픽]]에서 스탠퍼드 대학교 출신 선수를 하나의 나라로 간주했다면 메달 랭킹에서 '''일본과 같은''' 11위에 랭크된다고 한다. 학부 만 명이 안되는 학교로 1억이 넘는 나라와 동급으로 올림픽 메달리스트를 배출하는 종합스포츠의 명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95년부터 현재까지 21년 연속으로 디비전 I의 디렉터컵[* 최고의 디비전 I 스포츠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학교에 수여] 싹쓸이. 이래서 스포츠 프로그램에 대한 동문들의 기부가 활발하기 때문에 시설 또한 뛰어나다.[* http://www.stanford.edu/dept/uga/student/athletics/index.html] 미국의 다른 많은 명문 대학들과 마찬가지로 운동 선수가 학교 대표팀에 있다 해도 공부에 예외를 주지 않는다[* 공부를 없는 시간 쪼개서 열심히 하지만 학점에서 탑이라고는 결코 할 수 없다.][* 그래서 [[삼성 라이온즈]] 팬들이 [[라이언 가코]]가 부진할 때 대구에서 영어학원 차리라는 드립을 쳤다.]. 그래서 학교 대표팀 소속의 운동 선수들이 졸업 후 굳이 스포츠를 계속 하지 않아도 --덤으로 금메달도 땄고-- 취업이 잘 된다고[* 체력 좋고 공부도 열심히 했고 리더쉽에 사교성도 좋은 굇수라서] 카더라. [vimeo(105582546)] == 역대 체육부장 == * 앨 마스터스 (1925~1963) * 척 테일러 (1963~1971) * 존 뤼츠 (1972~1978) * 앤디 가이거 (1979~1990) * 테드 릴랜드 (1991~2005) * 밥 볼스비 (2006~2012) * 버나드 뮤어 (2013~) == 스탠퍼드 카디널 == === 전설의 감독 === ==== 미식축구 ==== 홈 구장인 [[스탠퍼드 스타디움]](Stanford Stadium)의 수용인원은 50,424석이다. 과거 [[1994 FIFA 월드컵 미국|FIFA 미국 월드컵]]의 개최구장 중 한 곳이었다. 현재는 스탠퍼드 대학교 풋볼팀과 [[MLS]] 서부지구 [[산호세 어스퀘이크스]](일부경기)의 홈구장으로 쓰인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40px-PopandPeck1918Owl.jpg]] * 14대 감독 팝 워너 (1924~1932 재임. 1954년 작고.) - 내셔널 챔피언 (1926), 로즈 볼 우승 (1927) [[파일:external/image.cdnllnwnl.xosnetwork.com/GKIICPRYEGGVZCN.20131227141346.jpg]] * 20대 감독 존 랄스턴 (1963~1971 재임. 2019년 작고.) - 로즈 볼 우승 (1970, 71) [[파일:external/news.stanford.edu/Walsh_1978vsOSU.jpg]] * 웨스트 코스트 오펜스 창시자로 알려진 빌 월시 (1977~1978/1992~1994 재임. 2007년 작고.) - 선 볼 우승 (1977), 블루본넷 볼 우승 (1978), 블록버스터 볼(현 러셀 애슬레틱 볼) 우승 (1993) [[파일:external/a.espncdn.com/ncf_g_willlingham_600x600.jpg]] * 27대 감독 타이론 윌링엄 (1995~2001 재임. 현재 생존.) - 로즈 볼 진출 (1999) [[파일:external/heismanpundit.com/david-shaw-e1321990103745.jpg]] * 31대 감독 데이빗 쇼[* NFL에서 오랫동안 수비 전문 코치로 일했던 윌리 쇼의 아들.] (2011~2022 재임.) - 로즈 볼 2회 우승 (2012, 15), 피에스타 볼 1회 진출 (2011) [[http://www.profootballhof.com/userfiles//Elway_John_First_to_HOF_600.jpg]]스탠포드 풋볼 명쿼터백 계보의 시조가 되시는 [[존 엘웨이]] [[파일:external/sportsofboston.com/010611_Luck.jpg]] 스탠포드가 자랑하는 최고의 쿼터백 중 한명인 [[앤드류 럭]] 스탠포드 졸업의 [[리차드 셔먼]] ==== 농구 ==== [[파일:Maples_12-29-2012_HGM_101.jpg]] 메이플스 파빌리온(Maples Pavilion)은 스탠퍼드 농구팀이 홈구장으로 사용 중인 다목적 실내체육관이며, 7,233명을 수용할 수 있다. [[파일:external/graphics.fansonly.com/dean.gif]] 10대 감독 에버렛 딘 (1938~1951[* 1943~1945년까지는 2차 대전 발발로 농구 프로그램 중단.], 1992년 작고.) - NCAA 토너먼트 우승 (1942) [[파일:external/www.mensbasketballhoopscoop.com/mike-montgomery.jpg]] 15대 감독 마이크 몽고메리 (1986~2004 재임. 현재 생존.) - NCAA 토너먼트 4강 진출 (1998), NIT 우승 (1991) [[파일:external/news.stanford.edu/dawkins_pressconf.jpg]] 17대 감독 조니 도킨스 (2008~2016 재임. 현재 센트럴 플로리다 대학교 감독으로 재직중.) - NCAA 토너먼트 16강 진출 (2014), NIT 2회 우승 (2012, 15) ==== 야구 ==== [[파일:Klein Field at Sunken Diamond.jpg]] 홈경기장인 클라인 필드 앳 성큰 다이아몬드(Klein Field at Sunken Diamond). 4,000석 규모. [[파일:external/dc3d6afd4e20a50d82cb06ff5688708226ff8ee51aa31068939dfa826e45b13f.jpg]] 21대 감독 마크 마퀴스 (1977~2017 재임. 현재 생존.) - 칼리지 월드시리즈 2회 우승 (1987, 88) [[USC]],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풀러턴 캠퍼스|캘 스테이트 풀러튼]] 등과 함께 캘리포니아를 대표하는 야구 명문. 대표적인 동문으로 명예의 전당 투수 [[마이크 무시나]]가 있으며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감독 [[A.J. 힌치]], 전 [[필라델피아 필리스]] 단장 ~~돌마로~~ [[루벤 아마로 주니어]]도 스탠포드 출신. 2019년 현재 현역으로는 [[제드 라우리]], [[스티븐 피스코티]], [[토미 에드먼]] 등이 있다. [[KBO 리그]]에서 뛴 선수 중에서는 [[라이언 가코]], [[존 갈]]이 여기 출신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스탠퍼드 대학교,version=390)] [[분류:대학 미식축구]][[분류:스탠퍼드 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