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름 ||스탠리 휘베르트 아돌퓌스 판덴에인더[br](Stanley Hubert Adolphus Vanden Eynde) || || 생년월일 ||[[1909년]] [[10월 3일]] || || 사망년월일 ||[[1994년]] [[11월 18일]] (향년 85세) || || 국적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8]] [[벨기에]] || || 출신지 ||[[네덜란드]] [[로테르담]] || || 포지션 ||센터 포워드 || || 신체조건 ||불명 || || 등번호 ||-[* 이 시대에는 등번호가 존재하지 않았다.] || || 소속팀 ||K. 베이르스호트 V.A.C (1929-1939) || || 국가대표 ||26경기 / 9골 (1931~1938) || [목차] [clearfix] == 개요 == [[벨기에]]의 전 축구 선수 == 생애[* 출처: 위키피디아, 11v11] == === 출생 === 판덴에인더의 아버지 헨리(Henri)는 [[안트베르펀]], 어머니 에블린(Evelyn)은 [[런던]] 출신이다. 그의 동생 존도 K. 베이르스호트 V.A.C[* [[K 베이르스홋 VA]]와는 다른 클럽이다.]에서 축구 선수로 활동했다. === 선수 생활 === ==== 클럽 ==== 판덴에인더는 1929년에 K. 베이르스호트 V.A.C의 성인팀에 데뷔했다. 그는 곧 주전 포워드 자리를 꿰찼지만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열린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지역예선#s-2.7|1934년 월드컵 지역 예선]] [[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아일랜드]]전에서 입은 심각한 다리 골절로 커리어에 큰 위기가 찾아왔다. 3개월 동안 더블린에서 더 머물렀고 2년 넘게 피치를 비워야 했다. 1936년 11월 22일에 복귀전을 치른 판덴에인더는 [[레몽 브렌]]과 함께 [[벨기에 퍼스트 디비전 A|리그]] 2연패를 이끌고 1939년에 은퇴했다. 그는 리그에서 통산 134경기 출전, 48골의 기록을 남겼다. ====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 ==== 판덴에인더는 1931년 3월 3일,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네덜란드]]를 상대로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벨기에 대표팀]]에 데뷔했다. 그는 이 경기에서 후반 17분에 대표팀에서의 첫 골을 신고했고 벨기에는 네덜란드에 4대2로 승리했다. 그는 1938년까지 대표팀에서 26경기에 출전해 9골을 기록했다. 2년 9개월의 공백으로 인해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지역예선|지역]]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지역예선|예선]]에만 2차례 참가했을 뿐 [[FIFA 월드컵]] 본선과는 인연을 맺지 못했다. == 스탄 판덴에인더 교환 컵 == 스탄 판덴에인더 교환 컵(Wisselbeker Stanley Van den Eynde)은 벨기에 왕립 축구 협회에서 [[벨기에 퍼스트 디비전 A|1부 리그]] 출전 팀들을 대상으로 페어플레이 랭킹을 매겨 최우수팀에게 주던 상이었다. 최다 수상팀은 [[RSC 안데를레흐트]]로 3회(1972, 1985, 1987) 수상했다. == 뒷이야기 == * 판덴에인더는 다리 골절로 인한 [[공백기]] 중 1년반 동안 [[호주]]와 [[뉴질랜드]]를 여행하기도 했다. == 수상 == === 클럽[* 판덴에인더는 K. 베이르스호트 V.A.C [[원 클럽 플레이어]]이므로 팀 이름 기입은 생략한다.] === * [[벨기에 퍼스트 디비전 A|디비지옹 도뇌르]] 우승 2회: 1937–38, 1938–39 * 디비지옹 도뇌르 준우승 2회: 1928–29, 1936–37 [각주] [[분류:1909년 출생]][[분류:1929년 데뷔]][[분류:1939년 은퇴]][[분류:1994년 사망]][[분류:로테르담 출신 인물]][[분류:벨기에의 축구선수]][[분류:공격수]][[분류:원클럽맨/축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