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15년 설립]][[분류:2016년 출시]][[분류:미국의 기업]][[분류:미국의 온라인 쇼핑몰]] ||<-2> '''{{{+2 스탁엑스}}}[br]{{{-1 StockX}}}'''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스탁엑스로고.jpg|width=100%]]}}}|| ||<|2> '''설립''' ||[[2015년]] [[3월]] ([age(2015-12-31)]년차)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펜실베이니아]] [[필라델피아]] || || '''전신''' ||Campless || || '''창업자''' ||[[댄 길버트]][br]조쉬 루버 (Josh Luber)[br]그렉 슈와츠 (Greg Schwartz)[br]크리스 카우프먼 (Chris Kaufman) || || '''경영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03618; font-size: 0.75em" {{{#fff '''CEO'''}}}}}} 스캇 커틀러 (Scott Cutler)[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03618; font-size: 0.75em" {{{#fff '''COO'''}}}}}} 그렉 슈와츠[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03618; font-size: 0.75em" {{{#fff '''CFO'''}}}}}} 애덤 완디 (Adam Wandy) || || '''산업''' ||[[온라인 쇼핑|전자상거래]] || || '''상장 거래소''' ||[[비상장 기업]] || || '''기업가치''' ||38억 달러 {{{-2 (2021년 / 시리즈 E-1)}}} || || '''매출''' ||4억 달러 이상 {{{-2 (2020년)}}} || || '''누적 거래량''' ||5,000만회 이상 {{{-2 (2023년)}}} || || '''검수 센터''' ||14곳[* [[디트로이트]], [[애리조나|템피]], [[뉴저지|무나시]], [[런던]], [[에인트호번]], [[멜버른]], [[베를린]], [[도쿄도|도쿄]], [[멕시코 시티]] 등. 한국에서도 2021년 진출하면서 검수센터를 오픈했다.] {{{-2 (2023년 1월)}}} || || '''검수 인원''' ||300명 이상 {{{-2 (2022년)}}} || || '''본사''' ||[[미시간]] [[디트로이트]] || || '''외부 링크''' ||[[https://stockx.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youtube.com/user/Stockx|[[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https://www.instagram.com/stockx/|[[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tockx)] || [목차] [clearfix] == 개요 == 스탁엑스는 [[미국]]의 [[온라인 쇼핑]] 플랫폼이다. [[스니커즈]]를 주로 취급하는 미국 1위의 [[되팔기|리셀]] 플랫폼이다. 검수 서비스를 통해 구매자 입장에서는 [[eBay|이베이]]의 가품 이슈[* 상대적인 비교로, 가품 비율이 크게 줄어들었을 뿐 인간이 일일이 검수를 하기 때문에 가품 이슈는 여전히 존재하긴 한다.]를, 판매자 입장에서는 사진 및 세부적인 정보 기입을 생략한 간편한 처리 과정을 제공하며 리셀 시장의 비대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사실상 1세대 전업 리셀업자들 대다수는 2010년대 스탁엑스의 성공 시기와 궤를 같이 한다. == 역사 == [[IBM]]의 컨설턴트로 근무하고 있던 조쉬 루버가 사이드 프로젝트 목적으로 2012년 [[필라델피아]]에서 설립한 스니커즈 트래킹 플랫폼 Campless를 전신으로 한다. 당시 스니커즈 거래 1위 플랫폼이었던 [[eBay|이베이]]의 가격 불안정성 등 부실한 서비스로 인해, 이베이의 데이터로 가격 비교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창업에 나섰다. 루버는 유년 시절부터 [[NBA]], 특히 [[마이클 조던]]에 열광했던 스니커즈 애호가였으며, 초창기 직원 상당수도 스니커즈 매니아였던 탓에 자발적인 무보수로 이들을 고용했었다고 한다. 한편 스니커즈를 좋아하는 억만장자 [[댄 길버트]]도 비슷한 아이디어를 내고 있었는데, Campless를 접한 뒤 2015년 6월 투자를 단행했다. 조쉬 루버도 길버트의 투자를 받으면서 IBM을 퇴사하고 전업으로 근무를 시작했다. 길버트는 이후 회사를 인수한 뒤 스탁엑스로 사명을 변경하고 본인이 운영하는 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디트로이트]]의 '원 캠퍼스 마티우스'로 본사를 옮겼다. 검수 시설도 본사 인근에 설립했다. 검수 시설 외에도 진품과 가품을 직접 매입한 뒤 매뉴얼을 체계화시키며 전문 검수원을 육성하는 과정에도 상당한 공을 들였다고 한다.[* 통상적으로 신입 직원들은 90일 내외의 훈련 기간을 거친다고 한다.] 2016년 2월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다. 본래 가격 비교 플랫폼이었기 때문에, 거래 기능은 정식 서비스 출시 이후 생겼다. 2017년에 색감이 일부 수정된 [[에어 조던 4]] X [[에미넴]] [[https://stockx.com/air-jordan-4-retro-eminem-encore-2017|Retro 모델]]이 23족만 제작되어 F&F[* Friend & Family. 디자이너 또는 제작자의 가족과 지인에게만 제공되는 특별판을 의미한다.]로 제공되었으며 단 한 족만이 스탁엑스를 통해 판매되었다.[[https://www.youtube.com/watch?v=_KCuyekIrc4|#]] 판매 수익금은 에미넴이 운영하는 [[https://www.eminem.com/news/marshall-mathers-foundation|MARSHALL MATHERS FOUNDATION]][* 에미넴이 설립한 재단으로 에미넴의 고향인 [[디트로이트]]의 소외계층 및 청소년들을 위해 기금을 운영하고 있다.]에 전액 기부되었다. 에미넴은 스탁엑스의 주주이기도 하다. 2017년 10월 첫 번째 '스탁엑스 데이'가 본사가 위치한 디트로이트에서 시작되었다. 리셀러, [[인플루언서]] 등이 초청되었다. 2018년 10월 [[런던]]에 첫 번째 해외 지사를 오픈했다. 또한 [[애리조나]] 템피에 두 번째 검수센터를 오픈했다. 2019년 6월 조쉬 루버가 퇴임한 뒤 스캇 커틀러가 새로운 대표이사로 임명되었다. 또한 시리즈 C 펀딩에서 10억 달러 가치를 평가받으며 1억 1,000만 달러를 조달하며 [[유니콘 기업]]에 등극했다. [[유리 밀너]] 등의 벤처투자자들이 투자자로 참여했다. 2020년부터 [[콘솔]],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 영역에도 진출했다. [[NVIDIA]]의 [[그래픽카드]], [[소니]]의 [[PlayStation]], [[Apple]]의 제품이 주로 취급된다. 2020년 12월 시리즈 E 펀딩에서 28억 달러 가치를 평가받으며, 2억 7,500만 달러를 조달했다.[[https://stockx.com/about/stockx-raises-275-million-in-series-e-funding-round/|#]] 2021년 1월 13일, 첫 번째 연례 인덱스를 발간했다.[[https://stockx.com/news/current-culture-index-2021/|#]] 2020년에 총판매액 18억 달러, 거래량 750만회를 돌파했다. 주로 취급하는 스니커즈의 경우 거래량 기준으로 [[에어 조던]], [[나이키]], [[아디다스]], [[컨버스]], [[뉴발란스]], [[Adidas Yeezy]], [[반스]] 순서였다. 특히 이지가 평균 203%의 프리미엄을 기록하며 압도적으로 높았다. 개별 모델의 경우 뉴트로 붐을 타고 [[에어 조던 1]]이 선두를 기록했다. 이지 350, [[에어 포스 원]], [[에어 조던 4]], [[에어 조던 11]]이 뒤를 이었다. 2021년 4월 8일 E-1 라운드에서 38억 달러 기업가치를 인정받으며 2억 5,500만 달러를 조달했다고 밝혔다. 2021년 9월 27일 [[대한민국]]에 공식 진출했다. 한국어 서비스[* 고객서비스도 한국어 지원이 가능해졌다.], 원화결제 등이 가능해졌다.[* 다만 [[KREAM]]에 밀려 국내에서 큰 인기를 끌진 못하고 있다.] 2022년 1월 두 번째 연례 인덱스를 발간했다.[[https://stockx.com/about/sx-market-insights/current-culture-index-22/|#]] 스니커즈 거래량의 경우 기존 4위, 5위였던 컨버스와 뉴발란스의 순위가 역전되었다. 개별 모델의 경우 이지 350이 4위로 하락했으며, [[나이키 덩크]]는 네 계단이나 상승한 2위에 위치했다. 2023년 1월, 2022년 연례 인덱스를 발간했다.[[https://stockx.com/about/sx-market-insights/big-facts-current-culture-index-2023/|#]] 전년도와 스니커즈 거래량 상위 다섯 업체의 순위는 변동이 없었으나, 고프코어 유행으로 인해 살로몬과 [[호카 오네오네]]가 스니커즈 기준 가장 거래량이 늘어난 브랜드로 선정되었다. 또한 의류 부문에서는 처음으로 [[Supreme]]이 2위로 밀려났다. 대신 [[피어 오브 갓]] 에센셜이 선두 자리를 꿰찼다. 2023년 6월 8일에는 인증 리포트를 발간했다.[[https://stockx.com/about/sx-market-insights/big-facts-the-verification-report/|#]] 2022년 기준 나이키 덩크, 이지 슬라이드, [[Travis Scott/패션|스캇 X 조던]], 에센셜 등의 제품에서 짝퉁이 주로 성행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2023년 상반기 기준 [[온(기업)|온러닝]]이 무려 전년도 대비 15,357%나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거래량 상승률 기준 압도적인 1위 스니커즈 브랜드로 뽑혔다.[[https://stockx.com/about/sx-market-insights/big-facts-brands-making-moves-2/|#]] 미스치프, 살로몬, [[아식스]]가 뒤를 이었다. 비스니커즈 분야에서는 [[UGG]]와 [[버켄스탁]]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2024년 1월 17일, 2023년 연례 인덱스를 발표했다.[[https://stockx.com/about/sx-market-insights/big-facts-current-culture-index-2024/|#]] 아식스가 컨버스를 제치고 다섯 계단이나 올라서며 거래량 기준 스니커즈 브랜드 5위로 올라왔다. 상승률 기준으로는 미하라 야스히로, 온러닝[* 상반기 대비 하반기에 꽤나 부진했다.]이 가장 높았다. 거래량 기준 비스니커즈 브랜드는 UGG, [[크록스]], 버켄스탁, [[팀버랜드]], [[구찌]] 순서였다. 구찌는 슬라이드, 샌들 분야가 잘 나갔다. == 논란 및 비판 == * 2022년 5월 11일 [[나이키]]가 가품 판매 혐의로 스탁엑스를 고소했다. 지난 2개월간 네 켤레의 자사 가품 제품을 구매했다고 주장했다. [[에어 조던 1]] 하이 OG 페이펀트 브래드 모델명이 직접 언급되었다. * 2022년 11월 정품 인증 표기를 Stock X 인증으로 몰래 바꾸었으며 이게 큰 논란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