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스타크래프트 2/협동전 임무]]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협동전 임무/돌연변이)]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협동전 임무/돌연변이원)] [목차] == 공식 설명 == ||<-10>|| ||<:>[[파일:SC2_Coop_Mutators_darkness.png]]||<:>암흑[br](Darkness)||<:>플레이어가 탐험한 지역이더라도 플레이어의 시야 밖이라면 미니맵상에서 여전히 검게 표시됩니다.[br](Previously explored areas remain blacked out on the minimap while outside of player vision.)|| ||<-10>|| == 상세 == || 돌연변이 포인트 || || 2 || 전장의 안개를 모두 없애버리는 돌연변이원으로, 양쪽 사령관이 제공하는 시야만큼만 보인다. 시야 밖에서는 주 목표가 생성된 위치나 오는 방향, '''적 공세 동선''' 등을 '''대부분 볼 수가 없다.''' 그래도 맵 상에서 중요한 요소는 작게나마 표시를 해준다는 점이 위안으로, 보통 호위해야 할 주 목표나 목표의 도주 경로, 공허 균열의 위치 등이 해당된다. 맵에 따라 난이도가 천차만별이다. 주 목표의 위치도 고정되어 있고 공세 패턴도 거의 정해져 있는 [[코랄의 균열]], [[망각행 고속열차]] 등은 체감하기 힘든 편이지만, 제논 수정이 거의 무작위에서 생성되는 [[버밀리언의 특종]]은 수정을 일일이 찾아다녀야 하고, 소규모 공세 위치가 랜덤인 [[안갯속 표류기]]는 거점 점령형 사령관이 없다면 채취 로봇과 붙어다닐 것을 강제한다. 마찬가지로 [[잘못된 전쟁]]에서도 공세가 어디에서 올지를 예상할 수 없기 때문에 방어적으로 플레이하는 것이 강제된다. [[승천의 사슬]]은 적이 어둠 속에서 지나라를 밀고 있는 경우도 있어서 조심해야 한다. [[죽음의 밤]]의 건물이나 [[핵심 부품]]의 부품 위치도 표시가 안 되기에 후반으로 갈수록 맵 전체를 뒤지고 있어야 한다. 부품 수가 많아 몇개쯤 놓쳐도 되는핵심 부품은 좀 낫지만 죽밤은 건물 단 한 개가 남아있어도 클리어가 안 되는 임무 특성상 실수로 건물 한두개쯤을 놓쳤다면 처음부터 다시 맵 전체를 뒤져야 한다(...) 지옥이 될 줄 알았던 [[광부 대피]]에서는 대피선 위치가 미니맵에 희미하게나마 표시되며 [[공허의 출격]]은 왕복선이 지나가는 위치가 화살표로 표시된다. 물론 향후 패치로 수정될 가능성이 있다. 근본적인 대처법은 유닛이나 건물을 최대한 넓게 뿌려서 맵의 시야를 최대한 확보하는거다. [[감지탑]]과 같은 사양의 레이더들도 완전히 먹통이 되기 때문에 [[죽음의 밤]]과 [[잘못된 전쟁]]에서의 레이더가 무용지물이 된다. 따라서 맵 곳곳을 일일이 탐색할 것을 강요한다. 돌연변이원 중에서는 맵 어딘가에서 뭔가 생성되는 돌연변이원[* 감속장, 번식자 등]과 특히 시너지가 좋은 편이다. 그 외에 근시안과 합쳐지면 한치 앞도 보이지 않아서 맵 리딩을 하기 어려워진다. 뿐만 아니라 시야가 매우 좁아서 가스 지을 때부터 시야를 제대로 확보하지 않으면 짓기도 어렵다. 사실상의 상위호환 돌연변이원으로 [[어둠의 공포]]가 있다. == 사용된 주간 돌연변이 == ##불운의 수레바퀴에서 무작위로 등장하는 경우는 서술하지 마십시오. * 1주차, 70주차, 199차(4일간), 213주차, 233주차: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협동전 임무/돌연변이/망자의 열차|망자의 열차]] * 15주차, 84주차, 247주차: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협동전 임무/돌연변이/고장|고장]] * 57주차, 289주차: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협동전 임무/돌연변이/납골당|납골당]] * 167주차, 351주차: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협동전 임무/돌연변이/전면 통제|전면 통제]] * 215주차: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협동전 임무/돌연변이/어둠 속에서|어둠 속에서]] * 226주차: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협동전 임무/돌연변이/안녕 오랜 친구여|안녕 오랜 친구여]] == 대처 방법 == ~~맵을 통째로 외워버리자~~ 소규모의 병력을 여러곳에 배치하는 것이 도움이 될수 있다. === [[짐 레이너/협동전 임무|레이너]] === 다수의 궤도 사령부를 확보해두면 스캔으로 어두운 지역을 꼼꼼히 정찰할 수 있다. 맵의 패턴들을 파악하고 가능하면 정확하게 스캔하는 것이 핵심이니, 미리 맵 구성을 확실하게 파악하는 것이 좋다. === [[사라 케리건/협동전 임무|케리건]] === 값싼 저글링으로 잠복해서 시야를 확보할 수도 있겠으나 케리건에겐 '''오메가벌레'''라는 훌륭한 교통수단이자 시야/점막 확보 수단이 존재한다. 그렇다 하더라도 점막 종양을 많이 까는 것이 유리하니 틈틈히 점막을 넓혀주자. === [[아르타니스/협동전 임무|아르타니스]] === 관측선을 즉각 충원할 수 있기에 관측선을 펴바르는 것이 어렵지 않다. === [[로리 스완/협동전 임무|스완]] === 이렇다할 시야 확보 수단이 없다 보니 다소 까다롭다. 포탑을 다수 설치하여 주력이 공세를 막으러 올 시간을 벌자. 아니면 프로토스 전진 수정탑처럼 보급고나 불꽃 베티를 맵 곳곳에 박아놓자. 군수공장을 곳곳에 지어서 전진 생산 기지로 활용하는 방법도 있다. === [[자가라/협동전 임무|자가라]] === 요충지에 대군주, 여왕, 일벌레를 보내 점막 종양과 가시 촉수+포자 촉수+부패 주둥이 방어선을 구축하고 수시로 점막 종양을 펴바르자. === [[보라준/협동전 임무|보라준]] === 프로토스답지 않게 시야 확보 능력이 떨어지는 편이라 좀 고생할 수도 있다. 정지장 수호물이나 열심히 펴바르자. 적이 프로토스면 암흑 집정관의 정신 제어로 관측선을 빼앗아올 수 있어 조금 숨통이 트인다. === [[카락스/협동전 임무|카락스]] === 관측선을 충분히 운용하자. 관측선으로 시야를 충분히 확보해 주면서 포탑을 깔아주면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 기습에 대비하여 미리 요충지에 포탑을 설치하고 전진 수정탑도 깔아두자. === [[아바투르/협동전 임무|아바투르]] === 독성 둥지의 시야확보 능력이 빛을 보는 돌연변이다. 다만 첫 공세를 방향만 보고 사신이나 바이킹인지 확인해서 대비하지 못한다는 것이 흠. === [[알라라크/협동전 임무|알라라크]] === 알라라크는 패널 스킬과 유닛 운용의 특성 상 수정탑을 있는대로 많이, 넓게, 그리고 더 많이 질러야하기 때문에 이런 플레이가 손가락에 배었다면 없는 돌연변이라고 쳐도 된다. 하지만 유닛들이 하나같이 굼뱅이이기 때문에 공세가 어디에서 나올지 예측은 해두고 있어야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 [[노바 테라/협동전 임무|노바]] === 노바는 병력들이 따로 놀기 힘들기 때문에 최악의 시야를 자랑한다. 정 시야가 필요하면 남는 미네랄로 포탑이나 공학연구소라도 지어야한다. === [[알렉세이 스투코프/협동전 임무|스투코프]] === 본진에서 계속해서 점막이 펼쳐지기 때문에 별로 걱정될 것은 없다. 어차피 안보이는데는 방출기 찍어서 보내보면 되니까. 다만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협동전 임무/돌연변이원/변성|물량]] [[번식자|카운터성]] 돌변이 있다면 조심. 특히 번식자가 있는 게임이라면 암흑 속에서 번식자가 개떼처럼 몰려온다. === [[피닉스(스타크래프트 시리즈)/협동전 임무|피닉스]] === 관측선은 뽑을 수 있지만 자원이 많이 남는 사령관도 아니다 보니 애매하다. 시야는 아군에게 맞기는게 좋다. === [[데하카/협동전 임무|데하카]] === 다른 저그 사령관들과는 달리 유닛을 잠복시켜도 시야 감소가 없기 때문에 작정하고 잠복 원시 바퀴를 펴바르면 된다. 그 외에는 데하카를 잘 키워서 원시 뮤탈리스크의 엄호와 함께 밀어붙이면 된다. === [[한과 호너]] === 테이아 밤까마귀는 레이더가 큼지막해서 레이더 내의 실루엣은 보여주지만 정작 자체 시야는 좁고, 타격 전투기가 지나가면서 시야를 잠깐 밝혀주긴 하나 영 못 미덥다. 자기 지뢰나 열심히 펴바르자. === [[타이커스 핀들레이/협동전 임무|타이커스]] === 요충지일것 같은 곳에 공학 연구소를 지어 시야를 밝혀두고 의료선을 잘 활용하자. 다만 시야 확보 능력은 최악이므로 가급적이면 시야는 동맹에게 부탁하자. 관측선을 우후죽순 뽑아대는 카락스와 함께하면 아주 좋다. === [[제라툴/협동전 임무|제라툴]] === 암흑이 예언의 시야를 전부 차단해 버리기 때문에 정상적인 방법으로 유물을 줍는데 애로사항이 생긴다. 하지만 집결 지점 표시는 검은 안개를 무시하므로 이를 잘 활용하자. 세번째 유물을 먹은 관측선을 퍼바르면 맵핵쓰듯이 게임을 즐길수 있어 큰 문제가 생기지 않고 포탑툴을 가서 방어 및 공격을 모두 해낼 수 있다. === [[이곤 스텟먼/협동전 임무|스텟먼]] === 이곤위성은 영구적으로 시야를 제공해 주기 때문에 이곤위성만 꾸준히 깔아 주면 그냥 없는 수준이 된다. 슈퍼 개리의 텔레포트와 빨리빨리 구성 덕분에 기동성이 좋아 임기응변에도 능한 건 덤. === [[멩스크/협동전 임무|멩스크]] === 멩스크는 시야를 넓힐 수단이 없기 때문에 생각보다 까다롭다. 다만 대지포는 시야가 없어도 그위치에 포격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대지포 빌드를 활용하는 것도 나쁘진 않다. 정 시야가 급하다면 궤도낙하를 활용할 수도 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협동전 임무/돌연변이,version=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