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스타바운드)] [include(틀:스타바운드)] [목차] == 개요 == 스타바운드에는 여러 수준의 항성계가 있고 각 항성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러 환경을 가진 행성이 있다. 환경마다 각 차이가 존재하며 얻을 수 있는 자원도 다르게 분포되어 있다. == 항성 == 여러가지 행성은 항성 하나를 중심으로 공전하고 있으며 이러한 항성계가 전 우주에 다양하게 존재한다. 모든 항성계는 각 위험 수준에 따라 수식어가 붙으며 내비게이션 내에서는 색상으로도 구분된다. 각 항성계의 위험도는 주요 행성을 결정하여 위험도가 높을수록 더욱 강한 적이 나타나고 그만큼 확실히 강력한 장비나 더욱 수준 높고 다양한 자원을 찾을 수 있다. 행성계에 따른 주요 행성은 절대적이지 않지만 그러한 위험도에 걸맞는 행성을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있다.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entle_Star.png]] '''부드러운 항성 (Gently Star)''' 흰색 별로 나타난다. 이 항성계의 주요 행성 환경은 정원, 숲, 사막이다. 플레이어가 가장 처음 탐험하는 행성은 부드러운 항성의정원 행성이다.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Eccentric_Star.png]] '''온화한 항성 (Temperate Star)''' 주황색 별로 나타난다. 부드러운 항성계보다 위험한 항성계이나 그리 큰 위험이 되지 않고 특별히 필요한 조건도 없으므로 어느정도 발전한 플레이어는 곧장 온화한 행성으로 여행한다. 이 항성계의 주요 행성 환경은 사바나, 바다, 설원이다.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Radioactive_Star.png]] '''방사성 항성 (Radioactive Star)''' 노란색 별로 나타난다. 본격적으로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 항성계로 특히 독 웅덩이를 마주할 수 있는 항성계이며 이름처럼 대부분의 행성에 방사능이 가득하므로 방사능 보호 EPP를 만들어야 한다. 이 항성계의 주요 행성 환경은 변이, 유독성, 정글이다.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rozen_Star.png]] '''얼어붙은 항성 (Frozen Star)''' 파란색 별로 나타난다. 매우 차가운 바이옴의 행성이 대부분이므로 발열 EPP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처음엔 에너지가 감소하고 잠시 후 체력이 급격히 줄어들어 동사한다. 이 항성계의 주요 환경은 툰드라, 극저온, 암흑이다.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irey_Star.png]] '''타오르는 항성 (Fiery Star)''' 빨간색 별로 나타난다. 매우 뜨거운 바이옴의 행성이 대부분이므로 냉방 EPP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버닥에 닿아있는 동안 체력이 지속적으로 감소한다. 이 항성계의 주요 환경은 마그마, 화산, 부패이다. === 행성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Planet.png]] 항성계를 구성하는 행성들. 플레이어는 각 항성계를 넘나들며 여러 행성들을 탐험하게 된다. 내비게이션으로 행성을 관찰하면 그 행성의 위험도, 크기, 날씨, 분포 자원 등의 정보를 알 수 있다. * '''위험도''' : 난이도를 알려주는 수치. 낮은 단계부터 '''{{{#0D98BA 낮음}}}''', '''{{{#40C0D0 보통}}}''', '''{{{#00B000 위험}}}''', '''{{{#00D000 위험천만}}}''', '''{{{#FF9F00 극한}}}''', '''{{{#FF7F00 측정불가}}}''', 그리고 '''{{{#808080 알 수 없음}}}'''의 7단계가 있다. 위험도가 높을수록 몬스터들의 능력치가 증가하고 NPC들도 강해지며, 얻을 수 있는 아이템들의 등급이 높아진다. * '''크기''' : 행성의 크기를 나타낸 수치이며 섹터(Sector)로 표시한다. * 1000 섹터 : 총 넓이는 가로 1000 블록, 세로 2000 블록. NPC 구역은 하나만 생성된다. * 3000 섹터 : 총 넓이는 가로 3000 블록, 세로 2000 블록. 위와 마찬가지로 NPC 구역은 딱 하나만 생성되나 하위 바이옴이 하나 존재한다. * 4000 섹터: 총 넓이는 가로 4000 블록, 세로 3000 블록. NPC 구역은 1~2개 생성되며 하위 바이옴이 1~2개 존재한다. * 6000 섹터: 총 넓이는 가로 6000 블록, 세로 3000 블록. NPC 구역이 2~3개 생성되며 하위 바이옴는 4000섹터와 마찬가지로 1~2개 존재한다. == 바이옴 == 행성의 환경을 결정하는 요소로, 항성에 따라 나타나는 바이옴이 다르며 크게 행성의 특징을 결정하는 행성 바이옴과 그 안에 비교적 작은 규모로 나타나는 많은 미니 바이옴들로 이루어져 있다. === 모든 항성계 === ==== 달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800px-Moon_Biome_Screenshot.png]] ||<#CDCDCD><:>''' 위험도''' ||<#EDEDED><:> '''{{{#808080 알 수 없음}}}''' || ||<#CDCDCD><:>''' 하위 바이옴''' ||<#EDEDED><:> - || ||<#CDCDCD><:>''' 미니 바이옴 ''' ||<#EDEDED><:> - || ||<#CDCDCD><:>''' 날씨'''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lear.png|width=45]]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lowingrain.png|width=45]] [[파일:external/starbounder.org/Meteorstorm.png|width=45]] || ||<#CDCDCD><:>'''블록'''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Moondust_Icon.png]] 월진 [[파일:external/starbounder.org/Moonstone_Icon.png]] 월석 [[파일:external/starbounder.org/Moonrock_Icon.png]] 월암 || ||<#CDCDCD><:>'''자원'''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rystal_Erchius_Fuel_Icon.png]] 결정화 에르키우스 [[파일:external/starbounder.org/Liquid_Erchius_Fuel_Icon.png]] 액화 에르키우스 || ||<#CDCDCD><:>''' 작물''' ||<#EDEDED><:> - || ||||이 텅 빈 {{{#gray 달}}}엔 {{{#red 숨쉴 수 있는 공기가 없지만,}}} 지하 동굴엔 연료가 묻혀 있습니다. 말하자면, 쓸모는 있지만 별로 당기지는 않는 곳이죠, || ||||이 {{{#gray 달}}}엔 생명과 {{{#red 대기가 없습니다.}}} 하지만 연료가 풍부합니다. 스캔 결과, 표면에 풍부한 양이 매장되어 있습니다.|| '''{{{+1 Moon}}}''' 공기가 없어 숨을 쉴 수 없으므로 호흡 장치 EPP가 필수이며 중력도 약해 붕 떠오르며 낙하 피해도 없다. 척박 바이옴처럼 지형만 존재하고 자원이나 마을 등도 없는 곳이다. 이 행성을 찾는 진짜 의미는 바로 함선이 더욱 머나먼 곳을 여행하는데에 필요한 연료로 사용되는 에르키우스 때문이다. 지표면에도 어느정도의 에르키우스가 존재하고 더 깊이 들어갈수록 에르키우스가 더욱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다. 에르키우스는 보라색으로 빛이 나므로 쉽게 찾을 수 있어 한 번 돌아다니면 연료 해치를 꽉 채우고도 남을 것이다. 그러나 아무 생명체도 없는 이곳에는 에르키우스 유령이 나타나는데, 유령이라는 이름처럼 모든 블록을 통과하는데다 공격조차 입힐 수가 없고 플레이어를 어떻게서든 쫓아온다. 에르키우스 유령은 플레이어가 인벤토리 안에 있는 에르키우스 연료를 감지하여 쫓아오며 에르키우스 농도가 커질수록 (즉 에르키우스 연료를 많이 소지할수록) 다가오는 속도도 점차 빨라진다. 그리고 거리가 가까워짐에 비례하여 플레이어는 지속적인 피해를 입는다. 어느정도 모으면 플레이어의 기본 이동속도보다도 더 빠르게 쫓아오므로 에르키우스 연료를 어느정도 채취하였다면 무조건 우주선으로 후퇴해야 한다. 에르키우스 유령이 나타난다는 것과 지형이 월석으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면 척박 바이옴과 다르지 않으므로 식민지 증서를 이용해 달 기지도 만들 수 있다. 당연히 기지를 세우는 과정이나 완공 후에도 에르키우스 연료를 하나라도 가지고 있으면 안된다. 테라포머가 있다면 테라포밍도 가능하며 어느정도 테라포밍을 하여 아예 바이옴를 바꾸면 더 이상 달 바이옴이 아니게 되어 에르키우스 유령도 나타나지 않는다. 이미 나타난 에르키우스 유령은 플레이어에게 피해를 입히지 못 한다. [[https://youtu.be/oSH2BG-0jOE|달 바이옴 테라포밍하기]] ==== 고대의 게이트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ncient_Gate_Planet.png]] ||
<#CDCDCD><:>''' 위험도''' ||<#EDEDED><:> '''{{{#0D98BA 낮음}}}''' || ||<#CDCDCD><:>''' 하위 바이옴''' ||<#EDEDED><:> - || ||<#CDCDCD><:>''' 미니 바이옴 ''' ||<#EDEDED><:> - || ||<#CDCDCD><:>''' 날씨'''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lear.png|width=45]] || ||<#CDCDCD><:>'''블록'''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ncient_Block_Icon.png]] 고대의 블록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ncient_Brick_Icon.png]] 고대의 벽돌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ncient_Platform_Icon.png]] 고대의 플랫폼 [[파일:external/starbounder.org/Meteorite_Rock_Icon.png]] 운석암 || ||<#CDCDCD><:>'''자원''' ||<#EDEDED><:> - || ||<#CDCDCD><:>''' 작물''' ||<#EDEDED><:> - || ||||기원을 알 수 없는, 이상한 고대의 {{{#navy 게이트}}}가 있습니다. || '''{{{+1 Ancient Gateway}}}''' 엔딩 후 즐길 수 있는 콘텐츠이자 행성의 바이옴를 바꿀 수 있는 테라포머를 얻을 수 있는 납골당으로 향하는 게이트. 한 번 여는데 납골당 열쇠가 필요하며 한 번 열린 게이트는 30분동안 지속되고 원한다면 일찍 닫을 수 있다. 원래는 아웃포스트로 향하는 게이트였으며 1.2 패치 이후 고대 납골당이 생기면서 아웃포스트로 향하는 게이트가 아닌 고대 납골당으로 향하는 게이트가 되었다. 아웃포스트로 향하는 게이트가 정원 행성에 항상 존재하고 아웃포스트 안에서도 텔레포터를 북마크하여 우주선 안에서 얼마든지 왕복이 가능하니 쓸모 없는 행성이었다. 바뀐 관문과 관문을 통해 갈 수 있는 던전에 대한 내용은 [[스타바운드/NPC구역#s-6|항목 참조]]. ==== 척박 바이옴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800px-Barren_Biome_Screenshot.png]] ||
<#CDCDCD><:>''' 위험도''' ||<#EDEDED><:> '''{{{#0D98BA 낮음}}}''' || ||<#CDCDCD><:>''' 하위 바이옴''' ||<#EDEDED><:> - || ||<#CDCDCD><:>''' 미니 바이옴 ''' ||<#EDEDED><:> - || ||<#CDCDCD><:>''' 날씨'''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lear.png|width=45]] || ||<#CDCDCD><:>'''블록'''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ry_Sand_Icon.png]] 마른 모래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ry_Dirt_Icon.png]] 메마른 흙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ire_Stone_Icon.png]] 쇠약한 돌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bblestone_Icon.png]] 조약돌 || ||<#CDCDCD><:>'''자원''' ||<#EDEDED><:> - || ||<#CDCDCD><:>''' 작물''' ||<#EDEDED><:> - || ||||{{{#999966 척박하고 생명체가 살지 않습니다.}}} 대규모 건축에 좋습니다. || '''{{{+1 Barren}}}''' 건축가들을 위한 행성. 지형 블록에 색깔이 칠해져 있으며 식물, 적, 자원 그 외 다른 요소 그 무엇도 없고 그저 지형만이 있다. 지하 또한 마찬가지로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으며 행성 밑을 전부 파보아도 행성핵 파편이나 용암마저 보이지 않는다. 적도 없고 다른 NPC 등도 없으므로 처음부터 거대한 건축을 설계하는데에 매우 용이하기에 어느정도 발전을 하였다면 척박 바이옴 행성을 일종의 마을이나 거점으로 삼을 만 하다. 바이옴이 사실상 없는 곳이므로 후에 테라포밍을 하여 자신만의 행성을 갖는데에도 적합하다. 화면 끝의 바닥을 파고 떨어지면 바로 사망한다. ==== 소행성 지대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800px-Asteroid_Field_Biome.png]] ||
<#CDCDCD><:>''' 위험도''' ||<#EDEDED><:> '''{{{#0D98BA 낮음}}}''' || ||<#CDCDCD><:>''' 하위 바이옴''' ||<#EDEDED><:> - || ||<#CDCDCD><:>''' 미니 바이옴''' ||<#EDEDED><:> - || ||<#CDCDCD><:>''' 날씨'''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lear.png|width=45]] || ||<#CDCDCD><:>'''블록'''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Meteorite_Rock_Icon.png]] 운석암 [[파일:external/starbounder.org/Magmarock_Icon.png]] 마그마암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bblestone_Icon.png]] 조약돌 || ||<#CDCDCD><:>'''자원'''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pper_Ore_Icon.png]] 구리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ilver_Ore_Icon.png]] 은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old_Ore_Icon.png]] 금 || ||<#CDCDCD><:>''' 작물''' ||<#EDEDED><:> - || ||||일정하지 않은 {{{#D7711E 소행성 지대}}}입니다. {{{#red 숨쉴 수 있는 공기가 없습니다.}}} || '''{{{+1 Asteroid Field}}}''' 완전한 무중력 우주 공간으로 크고 작은 소행성 덩어리가 다수 있고 각 소행성에 드물게 구리, 은, 금이 대량으로 박혀 있다. 접근하려면 항성을 중심으로 도는 소행성 띠에 직접 접근하면 되며 우주 공간인 만큼 메크가 필요하고 산소 역시 없으므로 호흡 EPP가 필요하다. 소행성 간의 거리가 꽤나 멀고 모양도 불규칙하지만 구리, 은, 금 광석이 대량으로 박혀 있는 훌륭한 채굴 지대이다. 다만 메크의 드릴 효율이 업그레이드하지 않은 물질 조작기보다 다소 나은 수준에 불과하기에 물질 조작기를 어느정도 업그레이드하였다면 직접 안착한 뒤 내려서 채굴하는 것이 더 낫다. 메크에 내려서 작업할 때에는 스페이스 바를 눌러 완전히 정지한 상태에서 내려야 하며 이동 중에 내리면 메크와 함께 그대로 속력이 유지되고 부딫혀서 다른데로 날아갈 위험도 있다. 맨 몸으로 어떻게든 느리게나마 우주 유영이 가능하지만 가감속이 처참하므로 차분히 우주선으로 텔레포트 하면 된다. 유령 적인 스킴부스가 나타나지만 매우 약한 편이다. 광물 채취에서 팁이 있다면, 원하지 않는 광물이라고 그냥 지나치지 않는 것이다. 광물지대 벽면에도 어느정도의 확률로 같은 광물을 포함하여 다른 광물지대가 박혀있을 수 있어서 구리 광물 뒤에 금이나 은이 박혀 있는 경우도 흔하다. 광물은 오로지 소행성의 외곽에만 나타나고 깊숙히 박혀 있다면 그 역시 외곽까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벽면에 박힌 광물은 광물이 박히지 않은 블록과 함께 있지 않으므로 눈에 보이는 광물만 채굴하면 모두 채굴할 수 있다. 1.3.2 패치 이후 플레이어가 우주선을 세워둔 위치에 따라서 소행성대 진입 시 위치가 바뀌게 된다. === 부드러운 항성계 === ==== 정원 바이옴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800px-Garden_Screenshot.png]] ||
<#CDCDCD><:>''' 위험도''' ||<#EDEDED><:> '''{{{#0D98BA 낮음}}}''' || ||<#CDCDCD><:>''' 하위 바이옴''' ||<#EDEDED><:> 숲 || ||<#CDCDCD><:>''' 미니 바이옴''' ||<#EDEDED><:> - || ||<#CDCDCD><:>''' 날씨'''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lear.png|width=45]] [[파일:external/starbounder.org/Rain1.png|width=45]] [[파일:external/starbounder.org/Thunder.png|width=45]]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rizzle.png|width=45]]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lowingrain.png|width=45]] || ||<#CDCDCD><:>'''블록'''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irt_Icon.png]] 흙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bblestone_Icon.png]] 조약돌 [[파일:external/starbounder.org/Mud_Icon.png]] 진흙 || ||<#CDCDCD><:>'''자원'''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pper_Ore_Icon.png]] 구리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ilver_Ore_Icon.png]] 은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old_Ore_Icon.png]] 금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iamond_Icon.png]] 다이아몬드 [[파일:external/starbounder.org/Iron_Ore_Icon.png]] 철 || ||<#CDCDCD><:>''' 작물'''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rn_Icon.png]] 옥수수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tton_Fibre_Icon.png]] 목화 [[파일:external/starbounder.org/Wheat_Icon.png]] 밀 [[파일:external/starbounder.org/Pearlpeas_Icon.png]] 진주콩 [[파일:external/starbounder.org/Potato_Icon.png]] 감자 [[파일:external/starbounder.org/Rice_Icon.png]] 쌀 || ||||{{{#69D069 우거진 수풀}}} 행성이며, 생명체가 살고 있습니다. || '''{{{+1 lush}}}''' 처음 시작하면 가장 마주하게 될 행성 바이옴이다. 다양한 작물이 자라나고 나무와 식물 줄기가 곳곳에 널려 있으며 적도 가장 약한 편이다. 정원 행성에서는 던전, 마을을 찾을 수 없고 폐광과 아웃포스트로 통하는 고대 게이트만이 반드시 나타난다. 행성핵 파편을 모아 이 게이트를 열어 아웃포스트로 가고 우주선을 고친다는 것이 첫 번째 목표이다. 폐광에는 반드시 팝탑 서너 마리와 마더 팝탑이라는 성체 팝탑 한 마리가 머물고 있는 지하 공간이 있다. 마더 팝탑을 처치하면 행성핵 파편 20개를 얻을 수 있으며 이 20개의 행성팩 파편은 아웃포스트로 향하는 고대 게이트를 개방하는데에 필요한 개수이다. 패턴이 앞으로 크게 휘두르기만 하므로 단순하지만 방어구도 없고 무기도 부서진 장검 하나뿐이라 약한 적에게도 쉽게 죽을 초기 상황에서 마더 팝탑은 굉장히 강하므로 적어도 철 방어구를 갖추고 연고 다수를 갖추고 가는 것이 좋다. 가능하다면 투창을 다수 모아서 싸우면 쉽게 이길 수 있다. ==== 숲 바이옴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V1_0_biome_forest.png|width=90%]] ||
<#CDCDCD><:>''' 위험도''' ||<#EDEDED><:> '''{{{#40C0D0 보통}}}''' || ||<#CDCDCD><:>''' 하위 바이옴''' ||<#EDEDED><:> 정원, 정글 || ||<#CDCDCD><:>''' 미니 바이옴''' ||<#EDEDED><:> 봄 지대, 버섯 지대, 알파인, 거대 꽃 지대, 늪지대,눈깔지대|| ||<#CDCDCD><:>''' 날씨'''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lear.png|width=45]] [[파일:external/starbounder.org/Rain1.png|width=45]]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rizzle.png|width=45]] [[파일:external/starbounder.org/32px-Thunder.png|width=45]] [[파일:external/starbounder.org/32px-Snow1.png|width=45]] || ||<#CDCDCD><:>'''블록'''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irt_Icon.png]] 흙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bblestone_Icon.png]] 조약돌 || ||<#CDCDCD><:>'''자원'''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pper_Ore_Icon.png]] 구리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ilver_Ore_Icon.png]] 은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old_Ore_Icon.png]] 금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iamond_Icon.png]] 다이아몬드 [[파일:external/starbounder.org/Iron_Ore_Icon.png]] 철 [[파일:external/starbounder.org/Tungsten_Ore_Icon.png]] 텅스텐 || ||<#CDCDCD><:>''' 작물'''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arrot_Icon.png]] 당근 [[파일:external/starbounder.org/Tomato_Icon.png]] 토마토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coa_Pod_Icon.png]] 코코아 열매 || ||||빽빽한 {{{#15CE02 숲}}}의 식물들이 많은 산소를 뿜어냅니다. || '''{{{+1 Forest}}}''' 정원 바이옴보다 나무가 많고 몬스터가 약간 더 강한 것 외엔 별 차이점이 없다. 이곳의 나무는 보통 가지가 많아서 벌목하면 다른 나무보다 목재가 더 많이 나온다. 초반에 나무를 캘때 이곳을 찾아보자. ==== 사막 바이옴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800px-Desert_Biome_Screenshot.png]] ||
<#CDCDCD><:>''' 위험도''' ||<#EDEDED><:> '''{{{#40C0D0 보통}}}''' || ||<#CDCDCD><:>''' 하위 바이옴''' ||<#EDEDED><:> 척박, 사바나 || ||<#CDCDCD><:>''' 미니 바이옴''' ||<#EDEDED><:> 오아시스, 알록달록 지대, 뼈다귀 지대, 타르 지대|| ||<#CDCDCD><:>''' 날씨'''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lear.png|width=45]]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andstorm1.png|width=45]] || ||<#CDCDCD><:>'''블록'''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and_Icon.png]] 모래 [[파일:external/starbounder.org/Loose_Silt_Icon.png]] 헐거운 유사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andstone_Icon.png]] 사암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bblestone_Icon.png]] 조약돌 || ||<#CDCDCD><:>'''자원'''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pper_Ore_Icon.png]] 구리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ilver_Ore_Icon.png]] 은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old_Ore_Icon.png]] 금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iamond_Icon.png]] 다이아몬드 [[파일:external/starbounder.org/Iron_Ore_Icon.png]] 철 [[파일:external/starbounder.org/Tungsten_Ore_Icon.png]] 텅스텐 || ||<#CDCDCD><:>''' 작물'''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eakseed_Icon.png]] 부리씨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actus_Icon.png]] 선인장 || ||||행성 표면의 대부분은 {{{#E6C801 사막}}}이며, 약간의 식물이 자라고 있습니다. || '''{{{+1 Desert}}}''' 거의 항시 모래 바람이 불고 있다. 사막 거주민들이 곳곳에 살고 있으며 가끔 드물게 사암으로 만들어진 종족 조각상들을 발견할 수 있다. === 온화한 항성계 === ==== 설원 바이옴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V1_0_biome_snow.png|width=90%]] ||
<#CDCDCD><:>''' 위험도''' ||<#EDEDED><:> '''{{{#00B000 위험}}}''' || ||<#CDCDCD><:>''' 하위 바이옴''' ||<#EDEDED><:> 정원, 숲 || ||<#CDCDCD><:>''' 미니 바이옴''' ||<#EDEDED><:> 알파인, 생체 발광 지대|| ||<#CDCDCD><:>''' 날씨'''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lear.png|width=45]]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now1.png|width=45]] || ||<#CDCDCD><:>'''블록'''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now_Icon.png]] 눈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lush_Icon.png]] 슬러시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rozen_Dirt_Icon.png]] 얼어붙은 흙 [[파일:external/starbounder.org/Ice_Icon.png]] 얼음 || ||<#CDCDCD><:>'''자원'''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pper_Ore_Icon.png]] 구리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ilver_Ore_Icon.png]] 은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old_Ore_Icon.png]] 금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iamond_Icon.png]] 다이아몬드 [[파일:external/starbounder.org/Tungsten_Ore_Icon.png]] 텅스텐 [[파일:external/starbounder.org/Titanium_Ore_Icon.png]] 티타늄 || ||<#CDCDCD><:>''' 작물'''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utomato_Icon.png]] 오토마토 || ||||약간의 식물이 있는, 주로 {{{#69F1FD 눈}}}으로 뒤덮힌 행성입니다. || '''{{{+1 Snow}}}''' 눈으로 뒤덮인 행성. 얼어붙은 행성계의 툰드라 바이옴과 헛갈릴 수 있지만, 이쪽은 극저온이 아니라 따로 EPP가 필요하지 않다. ==== 사바나 바이옴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300px-V1_0_biome_savannah.png|width=95%]] ||
<#CDCDCD><:>''' 위험도''' ||<#EDEDED><:> '''{{{#00B000 위험}}}''' || ||<#CDCDCD><:>''' 하위 바이옴''' ||<#EDEDED><:> 정원, 숲 || ||<#CDCDCD><:>''' 미니 바이옴''' ||<#EDEDED><:> 알록달록 지대, 뼈다귀 지대, 타르 지대|| ||<#CDCDCD><:>''' 날씨'''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lear.png|width=45]] [[파일:external/starbounder.org/Rain1.png|width=45]] [[파일:external/starbounder.org/Windstorm.png|width=45]]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andstorm1.png|width=45]] || ||<#CDCDCD><:>'''블록'''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irt_Icon.png]] 흙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bblestone_Icon.png]] 조약돌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ry_Sand_Icon.png]] 마른 모래 || ||<#CDCDCD><:>'''자원'''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pper_Ore_Icon.png]] 구리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ilver_Ore_Icon.png]] 은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old_Ore_Icon.png]] 금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iamond_Icon.png]] 다이아몬드 [[파일:external/starbounder.org/Tungsten_Ore_Icon.png]] 텅스텐 [[파일:external/starbounder.org/Titanium_Ore_Icon.png]] 티타늄 || ||<#CDCDCD><:>''' 작물'''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urrentcorn_Icon.png]] 건전미 [[파일:external/starbounder.org/Thorn_Fruit_Icon.png]] 가시 열매 || ||||먼지 바람이 부는 {{{#E6C801 황무지}}}입니다. || '''{{{+1 Savannah }}}''' 메말라 보이는 황량한 바이옴. 페네록스 종족들이 살고있다. 가시 열매는 오직 이곳에서만 수확할 수 있으며 씨앗을 얻을 수 없는 작물이다. ==== 바다 바이옴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800px-Ocean_Biome_Screenshot.png]] ||
<#CDCDCD><:>''' 위험도''' ||<#EDEDED><:> '''{{{#00B000 위험}}}''' || ||<#CDCDCD><:>''' 하위 바이옴''' ||<#EDEDED><:> - || ||<#CDCDCD><:>''' 미니 바이옴''' ||<#EDEDED><:> - || ||<#CDCDCD><:>''' 날씨'''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lear.png|width=45]] [[파일:external/starbounder.org/32px-Rain1.png|width=45]] [[파일:external/starbounder.org/32px-Thunder.png|width=45]] || ||<#CDCDCD><:>'''블록'''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Water_Icon.png]] '''물'''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and_Icon.png]] 모래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andstone_Icon.png]] 사암 [[파일:external/starbounder.org/Mud_Icon.png]] 진흙 || ||<#CDCDCD><:>'''자원'''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pper_Ore_Icon.png]] 구리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ilver_Ore_Icon.png]] 은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old_Ore_Icon.png]] 금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iamond_Icon.png]] 다이아몬드 [[파일:external/starbounder.org/Tungsten_Ore_Icon.png]] 텅스텐 [[파일:external/starbounder.org/Titanium_Ore_Icon.png]] 티타늄 || ||<#CDCDCD><:>''' 작물'''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anana_Icon.png]] 바나나 [[파일:external/starbounder.org/Pineapple_Icon.png]] 파인애플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conut_Icon.png]] 코코넛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ralcreep_Icon.png]] 산호덩굴 [[파일:external/starbounder.org/Reefpod_Icon.png]] 암초깍지 [[파일:external/starbounder.org/Kelp_Icon.png]] 해초 || ||||행성 표면이 {{{#blue 바다}}}로 뒤덮여 있습니다. || '''{{{+1 Oceanic }}}''' 무한한 물로 이루어져 있고 간간히 빙하처럼 떠오른 섬이 있는 바다 행성. 해저 도시를 짓기에 가장 탁월한 곳. 날씨는 거의 항상 폭우가 내린다. 심해에는 발광성 식물과 해초가 자라나고 있고 산호 덩굴과 암초깍지 등 물에 잠겨야 자라나는 작물들도 있다. 해저 아래 지하는 다른 행성의 지하와 유사한 구조이다. 서바이벌 모드에서 빔 업 텔레포트를 할 수 없는 지하 아래로 깊이 들어가면 점차 어두워지기 때문에 무서울 수 있으나 바다 행성이 온화한 항성계에서 나타나는 행성인 만큼 그렇게 강력한 적은 나타나지 않는다. 섬에 간혹 하일로틀 거주자를 만날 수 있고 심해에는 하일로틀 해저 도시와 버려진 하이로틀 폐허 등을 발견할 수가 있다. 지상 위로 일정한 높이까지는 물이 무한히 생기므로 바다 행성의 물은 절대 마르지 않는다. 이는 다른 바다 유형 행성도 동일하다. 아웃포스트에서 파는 호버바이크가 수중에서도 작동이 잘 되는데, 지표면에서는 걷거나 달릴 수 있어 굳이 번거로움을 감수해가며 이용할 필요가 없지만 수영하거나 걷거나 해야 하는 수중에서는 탁월한 이동수단이 되어준다. 또 테크 중에 물 위에 뜨는 공 테크를 착용하면 해저에서 수면까지 엄청난 속도로 튕겨 올라올 수 있다. === 방사능 항성계 === ==== 변이 바이옴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800px-Mutated_Biome_Screenshot.png]] ||
<#CDCDCD><:>''' 위험도''' ||<#EDEDED><:> '''{{{#00D000 위험천만}}}''' || ||<#CDCDCD><:>''' 하위 바이옴''' ||<#EDEDED><:> 숲, 사바나, 정글 || ||<#CDCDCD><:>''' 미니 바이옴''' ||<#EDEDED><:> 눈깔 지대, 살덩이 지대, 얼음 동굴|| ||<#CDCDCD><:>''' 날씨'''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lear.png|width=45]]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lowingrain.png|width=45]]|| ||<#CDCDCD><:>''' 블록'''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lien_Rock_Icon.png]] 외계암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irt_Icon.png]] 흙 || ||<#CDCDCD><:>'''자원'''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pper_Ore_Icon.png]] 구리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ilver_Ore_Icon.png]] 은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old_Ore_Icon.png]] 금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iamond_Icon.png]] 다이아몬드 [[파일:external/starbounder.org/Titanium_Ore_Icon.png]] 티타늄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urasteel_Ore_Icon.png]] 듀라스틸 || ||<#CDCDCD><:>''' 작물'''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irturchin_Icon.png]] 땅성게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lien_Fruit_Icon.png]] 외계 과일 || ||||행성의 생명체들이 심하게 {{{#purple 변이}}}되어 있습니다. || '''{{{+1 Mutated }}}''' 모든 지형, 생물들이 변이된 행성. 미니 바이옴조차 눈알 지대, 살덩이 지대 등 괴이하기 짝이 없는 곳들이 등장한다. 곳곳에 독극물이 고여있으며 이곳을 연구하기위해 자리를 잡은 NPC들이 있다. 외계 줄무늬 나무를 벌목해 외계 과일을 얻을 수 있다. ==== 유독성 바이옴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800px-Toxic_Planet_Screenshot.png]] ||
<#CDCDCD><:>''' 위험도''' ||<#EDEDED><:> '''{{{#00D000 위험천만}}}''' || ||<#CDCDCD><:>''' 하위 바이옴''' ||<#EDEDED><:> - || ||<#CDCDCD><:>''' 미니 바이옴''' ||<#EDEDED><:> - || ||<#CDCDCD><:>''' 날씨'''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lear.png|width=45]]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cidrain.png|width=45]]|| ||<#CDCDCD><:>''' 블록'''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Poison_Icon.png]] '''독극물''' [[파일:external/starbounder.org/Mud_Icon.png]] 진흙 [[파일:external/starbounder.org/Raw_Sewage_Icon.png]] 오물 [[파일:external/starbounder.org/Waste_Icon.png]] 폐기물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irt_Icon.png]] 흙 [[파일:external/starbounder.org/Rusty_Block_Icon.png]] 녹슨 블록 || ||<#CDCDCD><:>'''자원'''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pper_Ore_Icon.png]] 구리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ilver_Ore_Icon.png]] 은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old_Ore_Icon.png]] 금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iamond_Icon.png]] 다이아몬드 [[파일:external/starbounder.org/Titanium_Ore_Icon.png]] 티타늄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urasteel_Ore_Icon.png]] 듀라스틸 || ||<#CDCDCD><:>''' 작물'''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Toxictop_Icon.png]] 독무 [[파일:external/starbounder.org/Kelp_Icon.png]] 해초 || ||||행성 표면이 {{{#76FE68 독성 바다}}}로 뒤덮여 있습니다. || ||||{{{#red 숨쉴 수 있는 공기가 없습니다.}}} {{{#red 방사능 농도가 매우 높습니다.}}} || '''{{{+1 Toxic }}}''' 독극물로 가득 차 있는 바다 행성. 일반 바다 행성이 (하이로틀 건축물을 제외하고) 특별한 구조물이 없는 평범한 바다인 것에 반해 섬에 파이프나 유독성 배럴 등이배치되어 있고 배경에 인공적인 구조물도 비추어지는 것으로 보아 과거에 공업지대였으나 환경 오염이 극도로 심각해지고 이로 인해 버려진 곳으로 추정된다. 섬을 건너려면 독극물을 헤엄쳐야 하고 또한 독성 비까지 내리므로 해독제를 다수 가지고 있어야 한다. ==== 정글 바이옴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800px-Jungle_Biome_Screenshot.png]] ||
<#CDCDCD><:>''' 위험도''' ||<#EDEDED><:> '''{{{#00D000 위험천만}}}''' || ||<#CDCDCD><:>''' 하위 바이옴''' ||<#EDEDED><:> 정원, 숲, 사바나, 변이 || ||<#CDCDCD><:>''' 미니 바이옴''' ||<#EDEDED><:> 버섯 지대, 거대 꽃 지대, 눈깔 지대, 늪지대 || ||<#CDCDCD><:>''' 날씨'''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lear.png|width=45]] [[파일:external/starbounder.org/Rain1.png|width=45]] [[파일:external/starbounder.org/Thunder.png|width=45]]|| ||<#CDCDCD><:>''' 블록'''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irt_Icon.png]] 흙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lay_Icon.png]] 찰흙 [[파일:external/starbounder.org/Mud_Icon.png]] 진흙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rassy_Rock_Icon.png]] 수풀 바위 [[파일:external/starbounder.org/Plant_Matter_Icon.png]] 식물질 || ||<#CDCDCD><:>'''자원'''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pper_Ore_Icon.png]] 구리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ilver_Ore_Icon.png]] 은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old_Ore_Icon.png]] 금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iamond_Icon.png]] 다이아몬드 [[파일:external/starbounder.org/Titanium_Ore_Icon.png]] 티타늄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urasteel_Ore_Icon.png]] 듀라스틸 || ||<#CDCDCD><:>''' 작물'''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anana_Icon.png]] 바나나 [[파일:external/starbounder.org/Pineapple_Icon.png]] 파인애플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vesmingo_Icon.png]] 아베스밍고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coa_Pod_Icon.png]] 코코아 열매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ffee_Beans_Icon.png]] 커피 콩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ugar_Icon.png]] 설탕 || ||||따뜻하고 습하며, 열대 식물이 자라고 있습니다. || ||||{{{#red 방사능 농도가 매우 높습니다.}}} || '''{{{+1 Jungle }}}''' 열대 식물이 가득한 행성. 나무도 가득하며, 베면 식물 섬유를 드랍하는 열대 식물이 지천에 널려 있다. 공격 속도가 빠른 단검을 휘두르며 행성 한 바퀴를 돌면 다량의 식물 섬유를 금방 모을 수 있다. === 얼어붙은 항성계 === ==== 툰드라 바이옴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800px-Tundra_3.png]] ||
<#CDCDCD><:>''' 위험도''' ||<#EDEDED><:> '''{{{#FF9F00 극한}}}''' || ||<#CDCDCD><:>''' 하위 바이옴''' ||<#EDEDED><:> 정원, 숲, 설원, 암흑, 부패 || ||<#CDCDCD><:>''' 미니 바이옴''' ||<#EDEDED><:> 알파인, 생체 발광 지대, 얼음 동굴, 증기 샘터, 프리즘 지대 || ||<#CDCDCD><:>''' 날씨'''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lear.png|width=45]]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now1.png|width=45]]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izzard.png|width=45]]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roundmist.png|width=45]]|| ||<#CDCDCD><:>''' 블록'''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now_Icon.png]] 눈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lush_Icon.png]] 슬러시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mooth_Ice_Icon.png]] 매끈한 얼음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rozen_Dirt_Icon.png]] 얼어붙은 흙 [[파일:external/starbounder.org/Ice_Icon.png]] 얼음 || ||<#CDCDCD><:>'''자원'''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pper_Ore_Icon.png]] 구리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ilver_Ore_Icon.png]] 은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old_Ore_Icon.png]] 금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iamond_Icon.png]] 다이아몬드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urasteel_Ore_Icon.png]] 듀라스틸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egisalt_Ore_Icon.png]] 에지솔트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erozium_Ore_Icon.png]] 페로지움 [[파일:external/starbounder.org/Violium_Ore_Icon.png]] 바이올륨|| ||<#CDCDCD><:>''' 작물'''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Eggshoot_Icon.png]] 에그슛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iodia_Icon.png]] 다이오디아 || ||||{{{#69F1FD 얼음}}}과 눈이 넓게 퍼진 행성입니다. || ||||{{{#red 기온이 매우 낮아 위험합니다.}}} || '''{{{+1 Tundra }}}''' 눈과 얼음으로 뒤덮인 행성. 땅을 이루는 얼음이 반투명해서 상자 찾기가 쉽다. 아웃포스트 과학자들과 설원 보병 NPC들이 있다. ==== 극저온 바이옴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800px-Arctic_Night.png]] ||
<#CDCDCD><:>''' 위험도''' ||<#EDEDED><:> '''{{{#FF9F00 극한}}}''' || ||<#CDCDCD><:>''' 하위 바이옴''' ||<#EDEDED><:> - || ||<#CDCDCD><:>''' 미니 바이옴''' ||<#EDEDED><:> - || ||<#CDCDCD><:>''' 날씨'''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lear.png|width=45]]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now1.png|width=45]]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izzard.png|width=45]]|| ||<#CDCDCD><:>''' 블록'''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Water_Icon.png]] '''물''' [[파일:external/starbounder.org/Ice_Icon.png]] 얼음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lush_Icon.png]] 슬러시 || ||<#CDCDCD><:>'''자원'''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pper_Ore_Icon.png]] 구리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ilver_Ore_Icon.png]] 은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old_Ore_Icon.png]] 금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iamond_Icon.png]] 다이아몬드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urasteel_Ore_Icon.png]] 듀라스틸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egisalt_Ore_Icon.png]] 에지솔트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erozium_Ore_Icon.png]] 페로지움 [[파일:external/starbounder.org/Violium_Ore_Icon.png]] 바이올륨|| ||<#CDCDCD><:>''' 작물''' ||<#EDEDED><:> - || ||||행성 표면이 {{{#69F1FD 얼음 바다}}}로 뒤덮여 있습니다.|| ||||{{{#red 기온이 매우 낮아 위험합니다.}}}|| '''{{{+1 Arctic }}}''' 물고기를 낚을 수 있는 바다 행성. 바다 바이옴과 비슷하지만, 지형이 눈과 얼음으로 되어 있다는 것이 차이점. 해저에는 발광성 식물만이 있다. 설명에는 '얼음 바다'라고 되어 있지만, 위의 바다와 딱히 차이점이 없다. 밤에 나타나는 오로라는 그야말로 절경. 지하로 파고들어가면 NPC들이나 상인들도 보인다. 예를 들면 플로란과 하이로틀 NPC들이 함께하는 곳도 있을 수 있다. 지하에서는 버섯 미니 바이옴, 뼈다귀 미니 바이옴 등 여러가지 미니 바이옴도 발견할 수 있다. ==== 암흑 바이옴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800px-Midnight_Planet_Screenshot.png]] ||
<#CDCDCD><:>''' 위험도''' ||<#EDEDED><:> '''{{{#FF9F00 극한}}}''' || ||<#CDCDCD><:>''' 하위 바이옴''' ||<#EDEDED><:> 척박, 숲, 사막, 설원, 툰드라 || ||<#CDCDCD><:>''' 미니 바이옴''' ||<#EDEDED><:> 생체 발광 지대, 벌레집 || ||<#CDCDCD><:>''' 날씨'''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uststorm.png|width=45]]|| ||<#CDCDCD><:>''' 블록'''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hadow_Block_Icon.png]] 그림자 블록 [[파일:external/starbounder.org/Obsidian_Icon.png]] 흑요석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sh_Pile_Icon.png]] 잿더미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bblestone_Icon.png]] 조약돌 || ||<#CDCDCD><:>'''자원'''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pper_Ore_Icon.png]] 구리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ilver_Ore_Icon.png]] 은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old_Ore_Icon.png]] 금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iamond_Icon.png]] 다이아몬드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urasteel_Ore_Icon.png]] 듀라스틸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egisalt_Ore_Icon.png]] 에지솔트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erozium_Ore_Icon.png]] 페로지움 [[파일:external/starbounder.org/Violium_Ore_Icon.png]] 바이올륨|| ||<#CDCDCD><:>''' 작물'''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oltbulb_Icon.png]] 볼트구근 || ||||1년 내내 {{{#red 해가 뜨지 않는}}} 행성입니다.|| ||||빛이라고는 한 줄기도 찾아볼 수 없습니다.|| ||||{{{#red 기온이 매우 낮아 위험합니다.}}}|| '''{{{+1 Midnight }}}''' 이름답게 사방이 어두컴컴한 행성. 설명마냥 아예 해가 안뜨는건 아니지만 밤일때는 그야말로 암흑천지다. 땅은 흑요석으로 덮여져 있으며 나무도 마치 돌기둥같이 생겼다(어째선지 나무를 캐면 식물섬유가 나온다). 곳곳에 그림자 인간의 건축물이 있지만, 하나같이 기괴하게 생겼다. 물론 이런 곳에도 npc구역은 생성된다. === 타오르는 항성계 === ==== 화산 바이옴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800px-Volcanic_Biome_1.png]] ||
<#CDCDCD><:>''' 위험도''' ||||<#EDEDED><:> '''{{{#FF7F00 측정불가}}}''' || ||<#CDCDCD><:>''' 하위 바이옴''' ||||<#EDEDED><:> 숲, 사막, 암흑, 부패 || ||<#CDCDCD><:>''' 미니 바이옴''' ||||<#EDEDED><:> 뼈다귀 지대, 주조 공장 지대, 정동석 지대 || ||<#CDCDCD><:>''' 날씨'''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lear.png|width=45]] [[파일:external/starbounder.org/Ember.png|width=45]]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mallmeteorstorm.png|width=45]] [[파일:external/starbounder.org/Meteorstorm.png|width=45]]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lear.png|width=45]] [[파일:external/starbounder.org/Ember.png|width=45]]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sh.png|width=45]] || ||<#CDCDCD><:>''' 블록'''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Magmarock_Icon.png]] 마그마암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sh_Pile_Icon.png]] 잿더미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bblestone_Icon.png]] 조약돌 [[파일:external/starbounder.org/Lava_Icon.png]] 용암 || ||<#CDCDCD><:>'''자원'''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pper_Ore_Icon.png]] 구리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ilver_Ore_Icon.png]] 은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old_Ore_Icon.png]] 금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iamond_Icon.png]] 다이아몬드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egisalt_Ore_Icon.png]] 에지솔트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erozium_Ore_Icon.png]] 페로지움 [[파일:external/starbounder.org/Violium_Ore_Icon.png]] 바이올륨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olarium_Ore_Icon.png]] 솔라리움|| ||<#CDCDCD><:>''' 작물'''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hilli_Icon.png]] 고추 || ||||||무자비한 {{{#red 화산}}} 지형이 있습니다. || ||||||{{{#red 숨쉴 수 있는 공기가 없습니다.}}} || ||||||{{{#red 기온이 매우 높아 위험합니다.}}} || '''{{{+1 Volcanic }}}''' 표면부터 마그마 바위 등이 깔려있어 굉장히 단단하다. 높은 단계의 도구가 없다면 지하 탐험도 쉽지 않은 행성. 드물게 화산 폭발을 볼 수 있는데, 지형이 터지면서 마그마 바위가 사방에 튀는 것 뿐이기에 딱히 피해를 입거나 하진 않지만, 아무런 징후 없이 난데없이 터지기 때문에 깜짝 놀라기에 딱 좋다. 종종 하늘에서 불씨가 날아드는 광경을 볼 수 있는데, 이 불씨는 천천히 떨어져 오랫동안 땅 위에 남아 있는다. 밟아도 피해를 입거나 하진 않지만 '''강도가 약한 블럭들을 서서히 파괴한다.''' 대략 불에 탈 잘거같은 나무 재질같은게 강도가 약한지라 설정에 걸맞게(?) 잘 탄다. 화산 행성에서 NPC 마을을 발견했을 경우, 가만히 방치해 보자. 노바키드 마을 같이 건물이 주로 목재로 이루어져 있는 마을은 하늘에서 떨어지는 불씨 때문에 마을이 서서히 파괴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가구도 떨궈지는 건 덤이요 불씨때문에 떨어져 있던 가구를 주우면 도둑질을 한 것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경비들과 싸우기 싫으면 빨리 자리를 뜨자. 식민지 건설에 좋지 않은 환경임은 당연지사.[* 지붕에 물을 얕게 깔아주면 불씨 데미지를 막을 수 있다.] 사실 이런 불씨는 그냥 강도높은 블럭으로 식민지를 건설하거나 하면 해결되지만 진짜 문제는 유성우. '''가리는거 없이 다 쳐부순다'''. 이 때문에 화산을 비롯한 타오르는 항성계에 식민지를 건설하는게 심히 곤란해진다. 정 이 항성계에 식민지를 만들어야 한다면 깊은 지하속에 만드는게 낫다. 심지어 플레이어도 어떤 장비를 입고 있던간에 유성우 맞으면 한방에 즉사와 함께 아이템 떨구고 우주선으로 사출되니 유성우가 떨어지기 시작하면 재빨리 하늘을 막아줄 건물이나 지하로 숨어들어야 한다. 위급할땐 방패를 이용해서 막을 수 있으니 참고 [* 이는 유성우가 내리는 다른 바이옴들도 마찬가지다.] 지상 곳곳에 용암이 있는지라 행상인이 몹이나 적대 NPC에게 도망치다가 용암에 빠져버리는 일이 있지만 [[난죽택|자기 스스로]] [[자살|용암에 들어가는]] 일도 있다. ==== 마그마 바이옴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800px-Magma_Biome2.png]] ||
<#CDCDCD><:>''' 위험도''' ||||<#EDEDED><:> '''{{{#FF7F00 측정불가}}}''' || ||<#CDCDCD><:>''' 하위 바이옴''' ||||<#EDEDED><:> - || ||<#CDCDCD><:>''' 미니 바이옴''' ||||<#EDEDED><:> - || ||<#CDCDCD><:>''' 날씨'''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lear.png|width=45]]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lowingrain.png|width=45]]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mallmeteorstorm.png|width=45]] [[파일:external/starbounder.org/Meteorstorm.png|width=45]]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lear.png|width=45]]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lowingrain.png|width=45]] || ||<#CDCDCD><:>''' 블록'''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Lava_Icon.png]] '''용암''' [[파일:external/starbounder.org/Obsidian_Icon.png]] 흑요석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sh_Pile_Icon.png]] 잿더미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bblestone_Icon.png]] 조약돌 || ||<#CDCDCD><:>'''자원'''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pper_Ore_Icon.png]] 구리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ilver_Ore_Icon.png]] 은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old_Ore_Icon.png]] 금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iamond_Icon.png]] 다이아몬드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egisalt_Ore_Icon.png]] 에지솔트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erozium_Ore_Icon.png]] 페로지움 [[파일:external/starbounder.org/Violium_Ore_Icon.png]] 바이올륨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olarium_Ore_Icon.png]] 솔라리움|| ||<#CDCDCD><:>''' 작물'''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hilli_Icon.png]] 고추 || ||||||행성 표면이 {{{#red 마그마}}}로 뒤덮여 있습니다. || ||||||{{{#red 숨쉴 수 있는 공기가 없습니다.}}} {{{#red 기온이 매우 높아 위험합니다.}}} || '''{{{+1 Magma }}}''' 물고기를 낚을 수 있는 바다 행성. 표면이 용암으로 가득하며[* 참고로 코알라 버전 시절에는 그냥 용암 웅덩이가 곳곳에 비치되어있는 수준이였다. 지금의 화산 바이옴 같은 느낌.], 간간히 섬이 떠 있는 바이옴. 접촉시 굉장한 피해를 입는 용암 특성상 행성 표면을 탐험하기 쉽지 않다. 굳이 행성 표면을 탐험하려면 블럭을 쌓거나 보트를 이용해야 한다. 탐험이 불편하며, 딱히 얻을 아이템도 없고, 마그마 바다 때문에 지하 자원을 캐는 것도 힘들기 때문에 용암 채취나 낚시 외에는 방문할 이유가 별로 없는 행성이다. 특별히 장점을 찾아보자면 용암바다로 인해서 어떠한 건축물도 생성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게 어째서 장점이냐면, 6티어 행성에 식민지를 지었을때 식민지 세입자들이 귀찮게 멀리까지 이동하는 퀘스트를 주지 않게 되어서이다. 세금은 걷고싶지만 위험하거나 번거롭게 이동하는 일은 하기 싫다면 운석이 안떨어지는 마그마 행성을 잘 찾아서 식민지를 지어보자. 여담으로, 마그마 바다가 은은히 빛나기 때문에 야경이 꽤 멋지다. ==== 그을린 바이옴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V1_0_biome_scorched.png|width=90%]] ||
<#CDCDCD><:>''' 위험도''' ||||<#EDEDED><:> '''{{{#FF7F00 측정불가}}}''' || ||<#CDCDCD><:>''' 하위 바이옴''' ||||<#EDEDED><:> 암흑, 화산 || ||<#CDCDCD><:>''' 미니 바이옴''' ||||<#EDEDED><:> - || ||<#CDCDCD><:>''' 날씨'''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andstorm1.png|width=45]]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mallmeteorstorm.png|width=45]] [[파일:external/starbounder.org/Meteorstorm.png|width=45]] || ||<#CDCDCD><:>''' 블록'''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ry_Dirt_Icon.png]] 메마른 흙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bblestone_Icon.png]] 조약돌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tone_Rubble_Icon.png]] 돌무더기 [[파일:external/starbounder.org/Junk_Pile_Icon.png]] 쓰레기 더미 || ||<#CDCDCD><:>'''자원'''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pper_Ore_Icon.png]] 구리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ilver_Ore_Icon.png]] 은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old_Ore_Icon.png]] 금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iamond_Icon.png]] 다이아몬드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egisalt_Ore_Icon.png]] 에지솔트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erozium_Ore_Icon.png]] 페로지움 [[파일:external/starbounder.org/Violium_Ore_Icon.png]] 바이올륨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olarium_Ore_Icon.png]] 솔라리움|| ||<#CDCDCD><:>''' 작물'''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Wartweed_Icon.png]] 마귀잡풀 || ||||||행성 표면이 {{{#red 그을려}}} 있습니다. || ||||||{{{#red 숨쉴 수 있는 공기가 없습니다.}}} {{{#red 기온이 매우 높아 위험합니다.}}} || |||||| || '''{{{+1 scorched }}}''' 갖은 폭풍이 휘몰아치는 행성으로, 맑은 때가 없다. 쓰레기가 날아다니거나, 모래폭풍이 불거나. 운석이 떨어지는 행성의 경우 가끔 맑아지기도 하는데, 이는 운석이 떨어진다는 징조다. 죽은 행성이지만 몬스터는 여전히 잘 나온다. 이 행성을 지옥같이 만드는 것은 다름아닌 운석인데, 운석이 떨어지는 다른 행성에 비해 꽤 잦은 빈도로 볼 수 있다. 유성우와 운석우를 볼 수 있는데 맞으면 무조건 끔살이며 더 스릴감 있게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운석은 지형을 파괴하므로, 이 행성에 집을 짓는 것은 좋은 생각이 아니다. 가끔 운석없이 모래바람만 부는 행성도 찾을수 있다. 이런 경우 행성에 들어가기 전 바이옴를 잘 보면 운석 표시가 없다. 모래만 빠지게 해놓으면 건축이 가능하다. 죽은 행성이지만 맑은 날이라도 쓸쓸한 노을에 곳곳이 쓰레기더미고 배경에는 건축도중에 방치된듯한 골조가 보이는등, [[포스트 아포칼립스]] 분위기가 풍긴다. 방치되어 녹슨 가구들이 등장하고 낙오자라는 이름의 폴아웃의 레이더 같은 집단들도 나타나는 걸로 보아 확정적이다. 이 낙오자 NPC들은 푸른 피부를 가진 인간 종족 NPC이며 플레이어쪽에서 선공이 가능하다. 대부분은 아무 공격도 하지 않는 NPC지만 개중에는 작은 탑을 점거한 깡패 집단도 존재한다. 낙오자들이 살법한 폐허가 된 집에 세명씩 있는 경우에는 상자에서 '스타일 있는' 계통의 가구[* 해당 행성에서 흔히 보이는 낡고 망가진 가구들의 깨끗한 버전이다]들의 청사진을 얻을 수 있다. === 기타 === ==== 촉수 바이옴[*스포일러 최종 보스 전인 파멸(Ruin)의 보스전을 치르기 위해 오는 행성이다. 지구일 가능성이 제기되었지만, 방주에 아주 오래 전에 봉인되었다는 것을 보면 지구일 가능성은 꽤 적다. ]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V1_0_biome_theruin.png|width=90%]] ||
<#CDCDCD><:>''' 위험도''' ||<#EDEDED><:> '''{{{#808080 알 수 없음}}}''' || ||<#CDCDCD><:>''' 하위 바이옴''' ||<#EDEDED><:> - || ||<#CDCDCD><:>''' 미니 바이옴''' ||<#EDEDED><:> - || ||<#CDCDCD><:>''' 날씨'''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lear.png|width=45]] || ||<#CDCDCD><:>''' 블록''' ||<#EDEDED><:> [[파일:external/starbounder.org/Tentacle_Cluster_Icon.png]] 촉수 무리 [[파일:external/starbounder.org/Obsidian_Icon.png]] 흑요석 [[파일:external/starbounder.org/Jelly_Blob_Icon.png]] 젤리 방울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rains.png|width=36]] 뇌 블럭 || ||<#CDCDCD><:>'''자원''' ||<#EDEDED><:> - || ||<#CDCDCD><:>''' 작물''' ||<#EDEDED><:> - || 온통 촉수뿐인 바이옴. 땅을 이루고 있는 블록은 촉수 무리, 젤리 방울, 그리고 흑요석이 전부이며 액체는 독극물이 전부이다. 파멸의 심장으로 가는 길에 미니 바이옴로 뇌 지대가 있는데, 여기서 나오는 뇌 블럭은 최고레벨 물질 조작기로 2분 -50초- (30초로 패치되었다)동안 조지면 겨우 떼어진다. 특이한 인테리어를 원한다면 쓸모있겠지만 그 외에 딱히 쓸데는 없다. 참고로 방문할때마다 초기화돼서 의미는 없지만 식민지를 건설해 NPC를 불러와서 보면 6단계에 해당하는 수준의 주민이 온다. == 미니 바이옴 == === 지상 미니 바이옴 === ==== 소행성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steroid_Space_View.png]] {{{+1 Asteroids }}} 어느 행성이든 윗쪽으로 쭉 가다보면 나타나는 공간으로 소행성 지대와 비슷한 소형 바이옴다. 하지만 아무 자원도 보이지 않으며 중력이 약해지지도 않는다. ==== 봄 지대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pring_Mini_Biome.png]] ||
<#BDBDBD><-5><:> '''출현 바이옴''' || ||<#EDEDED><-5><:> '''숲''' || ||<:> '''작물''' ||<:> '''주요 블록''' ||<:> '''청사진''' ||<:> '''장비''' ||<:> '''기타 아이템''' ||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ugar_Icon.png]] 설탕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irt_Icon.png]] 흙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lower_Block_Icon.png]] 꽃 블록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lower_Lamp_Blueprint_Icon.png]] 꽃 램프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기묘한 화단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loral_Fountain_Blueprint_Icon.png]] 꽃 분수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Moving_Sunflower_Blueprint_Icon.png]] 움직이는 해바라기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pring_Chest_Blueprint_Icon.png]] 봄 상자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lowery_Mask_Icon.png]] 꽃 마스크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lowery_Shirt_Icon.png]] 꽃 셔츠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lowery_Pants_Icon.png]] 꽃 바지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lowery_Vines_Icon.png]] 꽃 덩굴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Red_Petal_Icon.png]] 빨간 꽃잎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_Petal_Icon.png]] 파란 꽃잎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Yellow_Petal_Icon.png]] 노란 꽃잎 || {{{+1 Spring }}} 맹렬한 코알라 업데이트 이후로 삭제된 꽃밭 미니 바이옴를 대신해 나온 듯 한 바이옴. 풀 판정을 받는 꽃덤불들이 널려있으며, 여기저기에서 꽃잎을 얻을 수 있다. ==== 버섯 지대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iant_Mushroom_Biome_Banner.png]] ||
<#BDBDBD><-5><:> '''출현 바이옴''' || ||<#EDEDED><-5><:> '''숲, 정글''' || ||<:> '''작물''' ||<:> '''주요 블록''' ||<:> '''청사진''' ||<:> '''장비''' ||<:> '''기타 아이템'''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Mushroom_Icon.png]] 버섯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irt_Icon.png]] 흙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bblestone_Icon.png]] 조약돌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hroom_Door_Blueprint_Icon.png]] 버섯 문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hroom_Lamp_Blueprint_Icon.png]] 버섯 램프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hroom_Bed_Blueprint_Icon.png]] 버섯 침대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hroom_Table_Blueprint_Icon.png]] 버섯 탁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hroom_Chair_Blueprint_Icon.png]] 버섯 의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hroom_Chest_Blueprint_Icon.png]] 버섯 상자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Wild_Fungus_Cap_Icon.png]] 생버섯 모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Wild_Fungus_Rags_Icon.png]] 생버섯 넝마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Wild_Fungus_Skirt_Icon.png]] 생버섯 스커트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Mushroom_Block_Icon.png]] 버섯 블록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Mushroom_Shield_Icon.png]] 버섯 방패 || {{{+1 Mushroom Patch }}} 거대한 버섯들이 나무를 대신해 자라나는 미니 바이옴. 여기서 거대 버섯을 캐면 묘목을 통해 식재료인 버섯을 지속적으로 얻을 수 있다. NPC인 아가란 족의 버섯집 군락이 발견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대화는 전혀 통하지 않는다. 정확히는 말을 하긴 하는데 "훔 아가란 쑤신다" "폼폼 더 많은 픽셀 갖고와라" 등등 포자를 내뿜으며 플로란 이상의 단순한 어투를 보여준다. 상인도 버섯 요리만 파는 등, 상당히 빈약하다. ==== 거대 꽃 지대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800px-Flower.png]] ||
<#BDBDBD><-5><:> '''출현 바이옴''' || ||<#EDEDED><-5><:> '''숲, 정글''' || ||<:> '''작물''' ||<:> '''주요 블록''' ||<:> '''청사진''' ||<:> '''장비''' ||<:> '''기타 아이템''' ||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coa_Pod_Icon.png]] 코코아 열매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irt_Icon.png]] 흙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lay_Icon.png]] 찰흙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Mud_Icon.png]] 진흙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rassy_Rock_Icon.png]] 수풀 바위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iant_Flower_Door_Blueprint_Icon.png]] 거대 꽃 문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iant_Flower_Lamp_Blueprint_Icon.png]] 거대 꽃 램프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iant_Flower_Bed_Blueprint_Icon.png]] 거대 꽃 침대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iant_Flower_Table_Blueprint_Icon.png]] 거대 꽃 탁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iant_Flower_Chair_Blueprint_Icon.png]] 거대 꽃 의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iant_Flower_Chest_Blueprint_Icon.png]] 거대 꽃 상자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trawberry_Mask_Icon.png]] 딸기 마스크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erry_Hat_Icon.png]] 베리 모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anana_Mask_Icon.png]] 바나나 마스크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utterfly_Wings_Icon.png]] 나비 날개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uzzy_Hat_Icon.png]] 벌 모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uzzy_Shirt_Icon.png]] 벌 셔츠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uzzy_Trousers_Icon.png]] 벌 바지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uzzy_Wings_Icon.png]] 벌 날개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iant_Flower_Petal_Icon.png]] 거대 꽃잎 || {{{+1 Giant Flower }}} 주로 정글에서 보이는 미니 바이옴. 나무들은 모두 거대한 꽃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벌목하면 거대 꽃잎을 드랍한다. ==== 늪지대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800px-Swamp.png]] ||
<#BDBDBD><-5><:> '''출현 바이옴''' || ||<#EDEDED><-5><:> '''숲, 정글''' || ||<:> '''작물''' ||<:> '''주요 블록''' ||<:> '''청사진''' ||<:> '''장비''' ||<:> '''기타 아이템''' ||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coa_Pod_Icon.png]] 코코아 열매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Mud_Icon.png]] 진흙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Wet_Dirt_Icon.png]] 축축한 흙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irt_Icon.png]] 흙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lay_Icon.png]] 찰흙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Plant_Matter_Icon.png]] 식물질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wamp_Water_Icon.png]] 늪지대 물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wamp_Bed_Blueprint_Icon.png]] 늪지대 침대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wamp_Cot_Blueprint_Icon.png]] 늪지대 아기 침대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늪지대 탁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wamp_Chair_Blueprint_Icon.png]] 늪지대 의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wamp_Chest_Blueprint_Icon.png]] 늪지대 상자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wamp_Hat_Icon.png]] 늪지대 모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Lagoon_Mask_Icon.png]] 라군 마스크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Lagoon_Chestpiece_Icon.png]] 라군 상의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Lagoon_Pants_Icon.png]] 라군 각갑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Hazmat_Mask_Icon.png]] 방호 마스크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Hazmat_Shirt_Icon.png]] 방호 셔츠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Hazmat_Pants_Icon.png]] 방호 바지 ||<:> - || {{{+1 Swamp }}} 누런 물과 거대한 나무로 이루어진 늪지대. 프로그 종족들이 거주하고 있으며, 페즈를 쓴 프로그 상인이 존재한다. 상인 컨셉 종족이어서인지 거주지에는 프로그 종족들의 고유 가구가 아닌 다른 주 종족들의 가구들이 어지럽게 배치되어있다. 처음 시작하는 정원 행성의 하위 바이옴로 숲이 있기 때문에 정원 행성에서도 가끔 볼 수 있다. ==== 오아시스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Oasis_Biome_Banner.png]] ||
<#BDBDBD><-5><:> '''출현 바이옴''' || ||<#EDEDED><-5><:> '''사막''' || ||<:> '''작물''' ||<:> '''주요 블록''' ||<:> '''청사진''' ||<:> '''장비''' ||<:> '''기타 아이템''' ||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eathercrown_Icon.png]] 깃털관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Kiwi_Icon.png]] 키위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and_Icon.png]] 모래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andstone_Icon.png]] 사암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bblestone_Icon.png]] 조약돌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Healing_Water_Icon.png]] 치유수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Reed_Door_Blueprint_Icon.png]] 갈대 문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Reed_Lamp_Blueprint_Icon.png]] 갈대 램프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Reed_Bed_Blueprint_Icon.png]] 갈대 침대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Reed_Desk_Blueprint_Icon.png]] 갈대 책상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Reed_Chair_Blueprint_Icon.png]] 갈대 의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Reed_Wall_Clock_Blueprint_Icon.png]] 갈대 벽시계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갈대 책장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Reed_Chest_Blueprint_Icon.png]] 갈대 상자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Reed_Hat_Icon.png]] 갈대 모자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Reed_Icon.png]] 갈대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eck_Lounge_Chair_Icon.png]] Deck Lounge Chair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Reed_Block_Icon.png]] 갈대 블록 || {{{+1 Oasis }}} 치유수 웅덩이와 야자수들을 발견할 수 있는 소형 바이옴. 갈대가 자라난다. ==== 알록달록 지대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lorful_Biome_Banner.png]] ||
<#BDBDBD><-5><:> '''출현 바이옴''' || ||<#EDEDED><-5><:> '''사막, 사바나''' || ||<:> '''작물''' ||<:> '''주요 블록''' ||<:> '''청사진''' ||<:> '''장비''' ||<:> '''기타 아이템''' ||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rapes_Icon.png]] 포도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and_Icon.png]] 모래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Loose_Silt_Icon.png]] 헐거운 유사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andstone_Icon.png]] 사암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Rainbow_Door_Blueprint_Icon.png]] 무지개 문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Rainbow_Bed_Blueprint_Icon.png]] 무지개 침대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Rainbow_Table_Blueprint_Icon.png]] 무지개 탁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Rainbow_Chair_Blueprint_Icon.png]] 무지개 의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Rainbow_Chest_Blueprint_Icon.png]] 무지개 상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Red_Paintgun_Blueprint_Icon.png]] 빨강 페인트 총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Orange_Paintgun_Blueprint_Icon.png]] 주황 페인트 총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노랑 페인트 총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reen_Paintgun_Blueprint_Icon.png]] 초록 페인트 총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파랑 페인트 총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Purple_Paintgun_Blueprint_Icon.png]] 보라 페인트 총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Red_Crayon_Blueprint_Icon.png]] 빨강 크래용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Orange_Crayon_Blueprint_Icon.png]] 주황 크래용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Yellow_Crayon_Blueprint_Icon.png]] 노랑 크래용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reen_Crayon_Blueprint_Icon.png]] 초록 크래용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_Crayon_Blueprint_Icon.png]] 파랑 크래용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Purple_Crayon_Blueprint_Icon.png]] 보라 크래용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Unicorn_Head_Icon.png]] 유니콘 머리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Rainbow_Hood_Icon.png]] 무지개 후드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hawl_of_Elation_Icon.png]] 의기의 숄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Rainbow_Wood_Head_Icon.png]] 무지개 나무 머리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Rainbow_Wood_Shirt_Icon.png]] 무지개 나무 셔츠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Rainbow_Wood_Pants_Icon.png]] 무지개 나무 바지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Rainbow_Wood_Icon.png]] 무지개 나무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rape_Juice_Icon.png]] 포도 주스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ubble_Blaster_Icon.png]] 비눗방울 블래스터[* 얻을 수 있는 아이템인지 불명.]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Rainbow_Unicorn_Statue_Icon.png]] 무지개 유니콘 상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Rainbow_Painting_Icon.png]] 무지개 그림 || {{{+1 Colorful }}} 컬러풀한 명칭답게 여기서 구하는 대부분의 아이템이 무지개색으로 알록달록하며 획득 가능한 청사진이 가장 많은 미니 바이옴다. ==== 뼈다귀 지대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280px-Arid_Bones_Biome_Banner.png|width=90%]] [* 위 사진은 개발 당시의 모습이며 지상에 널브러져있는 뼈다귀 오브젝트들은 존재하지 않고 지금과는 좀 다르다.] ||
<#BDBDBD><-5><:> '''출현 바이옴''' || ||<#EDEDED><-5><:> '''사막, 사바나, 화산''' || ||<:> '''작물''' ||<:> '''주요 블록''' ||<:> '''청사진''' ||<:> '''장비''' ||<:> '''기타 아이템''' ||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oneboo_Icon.png]] 골순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bblestone_Icon.png]] 조약돌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one_Block_Icon.png]] 뼈다귀 블록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one_Door_Blueprint_Icon.png]] 뼈다귀 문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뼈다귀 관 침대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one_Table_Blueprint_Icon.png]] 뼈다귀 탁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one_Chair_Blueprint_Icon.png]] 뼈다귀 의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one_Chest_Blueprint_Icon.png]] 뼈다귀 상자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pex_Skull_Icon.png]] 에이펙스 해골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vian_Skull_Mask_Icon.png]] 아비안 해골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loran_Skull_Mask_Icon.png]] 플로란 해골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litch_Skull_Mask_Icon.png]] 글리치 해골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Human_Skull_Mask_Icon.png]] 인간 해골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Hylotl_Skull_Mask_Icon.png]] 하이로틀 해골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Jeff_Icon.png]] 제프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one_Icon.png]] 뼈다귀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Throwing_Bones_Icon.png]] 투척용 뼈다귀 || {{{+1 Bone }}} 말그대로 '''뼈다귀 블록들이 주를 이루는 정체불명의 소형 바이옴'''. 다양한 종류의 뼈들을 볼 수 있다. 이곳엔 뼈들을 수집하는 수렵인들[* 모두 해골을 쓰고 있는데에다 창만 쓰고, 선공한다.. ][* 수렵인들을 이루는 종족은 다양한 듯 하다. 플로란 특유의 "플로란 ~~한다"는 말도 하며 플로란과 같은 피부를 지닌 수렵인도 있는 한편, 평범하게 말하며 인간과 같은 피부를 가진 수렵인도 있는 것을 보면 적어도 하나의 종족으로 이루어진 것 같지는 않다]이 존재한다. ==== 타르 지대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786px-Tar_Biome_Screenshot.png]] ||
<#BDBDBD><-5><:> '''출현 바이옴''' || ||<#EDEDED><-5><:> '''사막, 사바나''' || ||<:> '''작물''' ||<:> '''주요 블록''' ||<:> '''청사진''' ||<:> '''장비''' ||<:> '''기타 아이템''' || ||<:> -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Tar_Icon.png]] 타르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Wet_Dirt_Icon.png]] 축축한 흙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Oil_Icon.png]] 기름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sphalt_Blueprint_Icon.png]] 아스팔트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Tar_Door_Blueprint_Icon.png]] 타르 문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Tar_Bed_Blueprint_Icon.png]] 타르 침대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Tar_Lantern_Blueprint_Icon.png]] 타르 랜턴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Tarman_Blueprint_Icon.png]] 타르사람[* [[https://www.google.co.kr/search?q=Tarman&es_sm=93&source=lnms&tbm=isch&sa=X&ved=0CAcQ_AUoAWoVChMI6Na2jtzByAIVZ9ymCh0bmQ0Z&biw=1680&bih=925|같은 이름을 가진 캐릭터의 패러디로 추정.]] ]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타르갱 상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Tar_Console_Blueprint_Icon.png]] 타르 제어기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abertooth_Helm_Icon.png]] 검치호 투구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Prehistoric_Woolly_Coat_Icon.png]] 선사시대 털 코트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Prehistoric_Woolly_Pants_Icon.png]] 선사시대 털 바지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Prehistoric_Fur_Tail_Icon.png]] 선사시대 털 꼬리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one_Icon.png]] 뼈다귀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Tarball_Icon.png]] 타르 뭉치 || {{{+1 Tar }}} 지반의 주요 블록이 [[타르]]라는 석유의 찌꺼기 같은것이 굳은 형태로 거무 튀튀한 블록이며 물 대신 시꺼먼 기름 웅덩이가 발견된다. ==== 눈깔 지대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Eyeball_Biome_Banner.png]] ||
<#BDBDBD><-5><:> '''출현 바이옴''' || ||<#EDEDED><-5><:> '''숲,변이, 정글''' || ||<:> '''작물''' ||<:> '''주요 블록''' ||<:> '''청사진''' ||<:> '''장비''' ||<:> '''기타 아이템''' ||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Oculemon_Icon.png]] 눈깔레몬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irt_Icon.png]] 흙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bblestone_Icon.png]] 조약돌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Pile_of_Eyes_Icon.png]] 눈알 무더기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Eye_Door_Blueprint_Icon.png]] 눈알 문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Eye_Bed_Blueprint_Icon.png]] 눈알 침대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Eye_Table_Blueprint_Icon.png]] 눈알 탁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Eye_Chair_Blueprint_Icon.png]] 눈알 의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Eye_Chest_Blueprint_Icon.png]] 눈알 상자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Terrifying_Eye_Hat_Icon.png]] 무서운 눈알 모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ll-Seeing_Helmet_Icon.png]] 천리안 투구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ll-Seeing_Cape_Icon.png]] 천리안 망토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Eyeball_Mask_Icon.png]] 눈알 가면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Optic_Nerve_Shirt_Icon.png]] 눈신경 셔츠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Eyeball_Pants_Icon.png]] 눈깔 바지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Optic_Nerve_Icon.png]] 눈신경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Eye_Shield_Icon.png]] 눈알 방패 || {{{+1 Eyepatch }}} 나무에 커다란 눈깔이 자라나 있고 잔디에도 눈깔이 나오고 작물마저도 눈깔인데다 생물들마저 눈깔에 바닥 이곳저곳이 무너지는 눈알 무더기다. 이곳에서 희박하게 작은 탑을 발견할 수 있다. 건물 내부에는 책장 2개와 맨 위층에는 작은 상자가 있으며 2~3권의 책+@를 얻을 수 있다. 안에는 눈깔 장비를 차려입은 선공 NPC가 두명 존재한다. ==== 살덩이 지대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lesh_Biome.png]] ||
<#BDBDBD><-5><:> '''출현 바이옴''' || ||<#EDEDED><-5><:> '''변이''' || ||<:> '''작물''' ||<:> '''주요 블록''' ||<:> '''청사진''' ||<:> '''장비''' ||<:> '''기타 아이템''' || ||<:> -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lesh_Block_Icon.png]] 살덩이 블록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Mud_Icon.png]] 진흙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Obsidian_Icon.png]] 흑요석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Magmarock_Icon.png]] 마그마암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lesh_Door_Blueprint_Icon.png]] 살덩이 문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lesh_Table_Blueprint_Icon.png]] 살덩이 탁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lesh_Chair_Blueprint_Icon.png]] 살덩이 의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lesh_Chest_Blueprint_Icon.png]] 살덩이 상자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pex_Anatomy_Mask_Icon.png]] 에이펙스 해부도 가면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vian_Anatomy_Mask_Icon.png]] 아비안 해부도 가면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Human_Anatomy_Mask_Icon.png]] 인간 해부도 가면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Hylotl_Anatomy_Mask_Icon.png]] 하이로틀 해부도 가면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natomy_Shirt_Icon.png]] 해부도 셔츠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Human_Anatomy_Trousers_Icon.png]] 인간 해부도 바지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vian_Anatomy_Pants_Icon.png]] 아비안 해부도 바지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lesh_Strand_Icon.png]] 살점 가닥 || {{{+1 Flesh }}} 변이 바이옴에서 발견되는 미니 바이옴. 오브젝트들을 부숴 살점 가닥을 얻을 수 있다. 곳곳에 독 웅덩이가 깔려있고 식도처럼 꾸며진 작은 동굴이 있는 등 그야말로 그로테스크를 극한적으로 끌어올린 미니 바이옴. 특히 이곳의 유니크 몬스터 히모글로빈을 처음 본 사람들은 대부분 경악을 금치 못한다. ==== 알파인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800px-Alpine_2.png]] ||
<#BDBDBD><-5><:> '''출현 바이옴''' || ||<#EDEDED><-5><:> '''숲, 설원, 툰드라''' || ||<:> '''작물''' ||<:> '''주요 블록''' ||<:> '''청사진''' ||<:> '''장비''' ||<:> '''기타 아이템''' || ||<:> -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rassy_Rock_Icon.png]] 수풀 바위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lush_Icon.png]] 슬러시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Ice_Icon.png]] 얼음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now_Icon.png]] 눈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돌 문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tone_Bed_Blueprint_Icon.png]] 돌침대 [br][[파일:external/starbounder.org/Stone_Table_Blueprint_Icon.png]] 돌 탁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tone_Chair_Blueprint_Icon.png]] 돌 의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tone_Chest_Blueprint_Icon.png]] 돌 상자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lien_Alpaca_Mask_Icon.png]] 외계인 알파카 마스크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lien_Alpaca_Sweater_Icon.png]] 외계인 알파카 스웨터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lien_Alpaca_Legs_Icon.png]] 외계인 알파카 다리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Throwing_Boulder_Icon.png]] 짱돌 || {{{+1 Alpine }}} 모티프는 [[알프스 산맥]]. 알파인이란 이름도 원래는 알프스 산을 뜻하는 단어이나 여기선 말장난을 노린건지 알파카 종족들이 거주하고 있다.[* 사실 본래 [[알파카]]들의 주요 서식지도 고산지대이다.] 지형은 말그대로 높은 산맥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알파카 종족들의 거주지가 드문드문 세워져있다. 그 외에 알파카 종족 거주지에 있는 룬 문자 장식품들을 수집하는 도전 과제가 존재한다. ==== 생체 발광 지대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800px-Bioluminescence_Biome.png]] ||
<#BDBDBD><-5><:> '''출현 바이옴''' || ||<#EDEDED><-5><:> '''설원, 툰드라, 암흑''' || ||<:> '''작물''' ||<:> '''주요 블록''' ||<:> '''청사진''' ||<:> '''장비''' ||<:> '''기타 아이템''' || ||<:> -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rozen_Dirt_Icon.png]] 얼어붙은 흙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_Glow_Rock_Icon.png]] 푸른 발광 블록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Yellow_Glow_Rock_Icon.png]] 노란 발광 블록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now_Icon.png]] 눈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lush_Icon.png]] 슬러시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low_Bush_Lamp_Blueprint_Icon.png]] 발광 관목 램프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low_Flower_Lamp_Blueprint_Icon.png]] 발광 꽃 램프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low_Vine_Lamp_Blueprint_Icon.png]] 발광 덩굴 램프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low_Bed_Blueprint_Icon.png]] 발광 침대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low_Chair_Blueprint_Icon.png]] 발광 의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low_Chest_Blueprint_Icon.png]] 발광 상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reen_Glowstick_Blueprint_Icon.png]] 녹색 형광봉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low_Mask_Icon.png]] 발광 마스크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low_Suit_Icon.png]] 발광 슈트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low_Pants_Icon.png]] 발광 바지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luorescent_Helmet_Icon.png]] 형광 헬멧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low_Fibre_Icon.png]] 발광 섬유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Light_Bow_Icon.png]] 빛의 활 || {{{+1 Bioluminescence }}} 생체 발광 물질들로 이루어진 미니 바이옴. 오브젝트들을 부숴 생체 발광 섬유를 얻을 수 있다. 곳곳에 발광 식물들이 자라고있으며 은은히 빛나는 블록들과 크리터들이 즐비해있다. 노란색과 푸른색으로 이루어진 발광 조합 덕분에 야경이 꽤나 아름답지만 유니크 몬스터 앵글루어의 크리터 뱉어내기 공격이 좀 깨는편. ==== 증기 샘터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700px-Pipe.png]] ||
<#BDBDBD><-5><:> '''출현 바이옴''' || ||<#EDEDED><-5><:> '''툰드라''' || ||<:> '''작물''' ||<:> '''주요 블록''' ||<:> '''청사진''' ||<:> '''장비''' ||<:> '''기타 아이템''' || ||<:> -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mooth_Ice_Icon.png]] 매끈한 얼음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now_Icon.png]] 눈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lush_Icon.png]] 슬러시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teamspring_Door_Blueprint_Icon.png]] 증기 샘터 문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teamspring_Lamp_Blueprint_Icon.png]] 증기 샘터 램프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teamspring_Bed_Blueprint_Icon.png]] 증기 샘터 침대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teamspring_Table_Blueprint_Icon.png]] 증기 샘터 탁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teamspring_Chair_Blueprint_Icon.png]] 증기 샘터 의자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Pipe_Hat_Icon.png]] 파이프 모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Neck_Ruffle_Jacket_Icon.png]] 러플 재킷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Warm_Grey_Trousers_Icon.png]] 웜그레이 바지 정장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oiler_Icon.png]] 보일러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teampunk_Helmet_Icon.png]] 스팀펑크 투구 ||<:> - || {{{+1 Steamspring }}} 스팀펑크 풍의 미니 바이옴. 일반 나무 대신 증기기관들이 세워져 있고 곳곳에 연못과 여러 보일러 기관이 자리잡고 있다. 출현 몬스터들은 모두 기계형들 뿐이며 소환되는 크리터들도 죄다 기계식이다. 참새가 프로펠러를 달고 날아다닌다거나, 거미가 전등을 달고 있다던가... ==== 프리즘 지대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800px-2016-01-08_00002.jpg]] ||
<#BDBDBD><-5><:> '''출현 바이옴''' || ||<#EDEDED><-5><:> '''툰드라''' || ||<:> '''작물''' ||<:> '''주요 블록''' ||<:> '''청사진''' ||<:> '''장비''' ||<:> '''기타 아이템''' || ||<:> -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mooth_Ice_Icon.png]] 매끈한 얼음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now_Icon.png]] 눈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lush_Icon.png]] 슬러시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프리즘 문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프리즘 침대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프리즘 시안 램프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프리즘 에메랄드 램프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프리즘 마젠타 램프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프리즘 탁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프리즘 의자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Prism_Helmet_Icon.png]] 프리즘 헬멧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Prism_Shirt_Icon.png]] 프리즘 셔츠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Prism_Trousers_Icon.png]] 프리즘 바지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Prism_Shard_Icon.png]] 프리즘 조각 || {{{+1 Prism }}} 툰드라 바이옴에서 출현하는 미니 바이옴. 오직 이곳 밑에서만 프리즘 조각을 캘 수 있다. 주위엔 프리즘 덩어리 오브젝트들이 있으며 빛을 받으면 프리즘에 의해 빛이 사방으로 반사되어 무지개를 만들어 낸다. 더불어 이곳에는 자체적으로 발광하는 크리터들이 있기 때문에 밤중에 보면 야경이 정말 아름답다. 가끔 프리즘 덩어리들 중에는 안에 사람이 들어있는것으로 보이는 것들도 있는데, 상호작용은 불가능하며 공격해서 부숴봐도 아무것도 나오지 않는다. 또한 드물게 누군가가 지어놓은듯한 인공적인 구조물들도 발견할 수 있다. ==== 벌레집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800px-HiveMiniBiome.jpg]] ||
<#BDBDBD><-5><:> '''출현 바이옴''' || ||<#EDEDED><-5><:> '''암흑''' || ||<:> '''작물''' ||<:> '''주요 블록''' ||<:> '''청사진''' ||<:> '''장비''' ||<:> '''기타 아이템''' || ||<:> -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Hive_Block_Icon.png]] 벌레집 블록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bblestone_Icon.png]] 조약돌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벌레집 문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벌레집 램프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Hive_Bed_Blueprint_Icon.png]] 벌레집 침대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벌레집 탁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벌레집 의자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Larva_Mask_Icon.png]] 애벌레 마스크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Larva_Chest_Icon.png]] 애벌레 가슴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Larva_Legs_Icon.png]] 애벌레 다리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aby_Larva_Icon.png]] 새끼 애벌레 || {{{+1 Hive }}} 별 것 아닌 것 같지만 이래봬도 스타바운드에서 그림자 행성, 촉수 행성과 함께 호러스팟의 역할을 맡고 있다.[* 살덩이 환경은 기괴하긴 하지만 의외로 호러요소는 없다.] 기본적으로 어두컴컴하며 벌집 모양을 한 블럭들로 이루어진 동굴인데, 곳곳에 볼 테크와 비슷한 크기의 알들이 널부러져있다. 이 알들 중 소수는 접근시 몬스터로 변화하여 다가오는데, 공격 범위에 들어오는 순간 팔을 칼 휘두르듯이 내지르며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돌진해온다! 이때의 이동속도가 무지막지해서 어어 하다가 몬스터가 팔을 들면 이미 늦는 경우가 많다. 플레이어에게 돌진하는것이 팔을 휘두르는 것과 세트공격 취급을 받아 계속 그렇게 돌진해오진 않는다. 다만 후속 공격이 있으므로 처음부터 최대한 거리를 벌려놓고 어기적어기적 다가올 때 처리해버리는것이 좋다. 그림자 행성 바이옴과 겹치는 경우가 많아 매우 어두우므로 조명을 잔뜩 챙겨가자. ==== 주조 공장 지대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800px-Foundry.png]] ||
<#BDBDBD><-5><:> '''출현 바이옴''' || ||<#EDEDED><-5><:> '''화산''' || ||<:> '''작물''' ||<:> '''주요 블록''' ||<:> '''청사진''' ||<:> '''장비''' ||<:> '''기타 아이템''' || ||<:> -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Magmarock_Icon.png]] 마그마암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sh_Pile_Icon.png]] 잿덩이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Obsidian_Icon.png]] 흑요석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tone_Rubble_Icon.png]] 돌무더기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두꺼운 문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주조소 등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마그마 램프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주조소 침대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두꺼운 의자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Welder%27s_Helmet_Icon.png]] 용접 마스크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oundry_Hard_Hat_Icon.png]] 주조소 안전모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oundry_Goggles_Icon.png]] 주조소 고글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oundry_Chestpiece_Icon.png]] 주조소 상의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oundry_Guard_Gloves_Icon.png]] 주조소 수위 장갑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oundry_Legs_Icon.png]] 주조소 바지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oundry_Gear_Pack_Icon.png]] 주조소 장비 팩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oundry_Foreman_Pack_Icon.png]] 주조소 감독 팩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Metal_Coated_Wood_Icon.png]] 금속 코팅 나무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Lava_Balloon_Icon.png]] 용암풍선 || {{{+1 Foundry }}} 이름 그대로 주조소. 이곳의 npc들 대부분은 안전복을 입고 있지만 일부 몇몇 npc들은 너무 더워서 그런지 윗옷을 벗고 있는 경우도 있다. 게다가 깨알같이 땀을 흘리기도. ==== 정동석 지대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800px-Geode_biome_1.png]] ||
<#BDBDBD><-5><:> '''출현 바이옴''' || ||<#EDEDED><-5><:> '''화산''' || ||<:> '''작물''' ||<:> '''주요 블록''' ||<:> '''청사진''' ||<:> '''장비''' ||<:> '''기타 아이템''' ||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Neonmelon_Icon.png]] 네온멜론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eode_Stone_Icon.png]] 정동석 돌멩이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sh_Pile_Icon.png]] 잿더미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eode_Block_Icon.png]] 정동석 수정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Obsidian_Icon.png]] 흑요석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정동석 문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정동석 등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정동석 침대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정동석 의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정동석 화분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낮은 도 정동석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레 정동석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미 정동석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파 정동석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솔 정동석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라 정동석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시 정동석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높은 도 정동석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eode_Mask_Icon.png]] 정동석 마스크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eode_Shirt_Icon.png]] 정동석 셔츠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eode_Pants_Icon.png]] 정동석 바지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eode_Icon.png]] 정동석 || {{{+1 Geode }}} 화산 지대에서 희귀하게 나오는 미니 바이옴. 오브젝트들을 부숴 정동석을 얻을 수 있다. 주변마다 정동석 바위가 존재하는데 플레이어가 지나갈때마다 소리가 울리며 빛이 난다. 청사진으로 만들 수 있는 소리나는 정동석 가구들이 바로 이것. 정동석 나무들을 벌목해 묘목을 얻어가며 꾸준히 정동석을 루팅하는것도 가능하다. === 지하 미니 바이옴 === 오직 지하에서만 볼 수 있는 미니 바이옴들. 행성의 지하 부분부터 생성되며 지상의 미니 바이옴들과는 다르게 행성 바이옴의 구애를 받지 않는 독립 바이옴이다. 다만 달, 척박, 정원 행성은 그 특징상 지하 미니 바이옴이 나타나지 않는다. ==== 바위 동굴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800px-Stone_caves_2.png]] ||
<:> '''작물''' ||<:> '''주요 블록''' ||<:> '''청사진''' ||<:> '''장비''' ||<:> '''기타 아이템''' || ||<:> -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Limestone_Icon.png]] 석회암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bblestone_Icon.png]] 조약돌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talactite_Lamp_Blueprint_Icon.png]] 종유석 램프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Rock_Bed_Blueprint_Icon.png]] 바위 침대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바위 의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바위 상자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Rock_Hat_Icon.png]] 바위 모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Rock_Head_Icon.png]] 바위 머리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Rock_Chest_Icon.png]] 바위 상의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Rock_Trousers_Icon.png]] 바위 바지 ||<:> - || {{{+1 Stone Caves }}} ==== 버섯 동굴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Mushroom_Cavern_Biome_Banner.png]] ||
<:> '''작물''' ||<:> '''주요 블록''' ||<:> '''청사진''' ||<:> '''장비''' ||<:> '''기타 아이템''' ||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Mushroom_Icon.png]] 버섯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irt_Icon.png]] 흙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bblestone_Icon.png]] 조약돌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Mud_Icon.png]] 진흙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Mushroom_Block_Icon.png]] 버섯 블록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hroom_Door_Blueprint_Icon.png]] 버섯 문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hroom_Lamp_Blueprint_Icon.png]] 버섯 램프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hroom_Bed_Blueprint_Icon.png]] 버섯 침대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hroom_Table_Blueprint_Icon.png]] 버섯 탁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hroom_Chair_Blueprint_Icon.png]] 버섯 의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hroom_Chest_Blueprint_Icon.png]] 버섯 상자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Evil_Mushroom_Hat_Icon.png]] 괴물 버섯 모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Mushroom_Hat_Icon.png]] 버섯 모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Ragged_Cape_Icon.png]] 누더기 망토 ||<:> - || {{{+1 Mushrooms }}} 버섯 블록으로 이루어진 미니 바이옴. 곳곳에서 작은 버섯이 자라며 버섯 가구 청사진을 얻을 수 있다. 거대 버섯도 자라나지만 지상 버섯 지대와는 달리 흔하게 보이지 않는다. ==== 점액 동굴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lime_Biome_Banner.png]] ||
<:> '''작물''' ||<:> '''주요 블록''' ||<:> '''청사진''' ||<:> '''장비''' ||<:> '''기타 아이템''' || ||<:> -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lime_Glob_Icon.png]] 점액 덩어리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irt_Icon.png]] 흙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bblestone_Icon.png]] 조약돌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점액 침대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점액 의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점액 상자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lime_Mask_Icon.png]] 점액 마스크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lime_Shirt_Icon.png]] 점액 셔츠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lime_Pants_Icon.png]] 점액 바지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lime_Blob_Icon.png]] 점액 방울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lime_Torch_Icon.png]] 점액 횃불 || {{{+1 Slime Caves }}} 녹색 점액으로 이루어진 지대이다. 오브젝트를 부숴 점액 방울과 세포 물질을 얻을 수 있으며, 곳곳에 점액이 흘러나오면서 액체 점액들이 생겨난다. 지반을 이루는 점액 덩어리들이 고정되지 않는 블록들이라 지형을 조금만 부수려고하면 덩어리들이 순식간에 무너져 내려간다. 어느정도 부수다 보면 지형이고 뭐고 다 무너져서 평지화된다. ==== 살덩이 동굴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lesh_Cavern_Biome_Banner.png]] ||
<:> '''작물''' ||<:> '''주요 블록''' ||<:> '''청사진''' ||<:> '''장비''' ||<:> '''기타 아이템''' ||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Pussplum_Icon.png]] 고름자두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lesh_Block_Icon.png]] 살덩이 블록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rrupt_Dirt_Icon.png]] 오염된 흙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one_Block_Icon.png]] 뼈다귀 블록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lesh_Door_Blueprint_Icon.png]] 살덩이 문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lesh_Table_Blueprint_Icon.png]] 살덩이 탁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lesh_Chair_Blueprint_Icon.png]] 살덩이 의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lesh_Chest_Blueprint_Icon.png]] 살덩이 상자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pex_Anatomy_Mask_Icon.png]] 에이펙스 해부도 가면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vian_Anatomy_Mask_Icon.png]] 아비안 해부도 가면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Human_Anatomy_Mask_Icon.png]] 인간 해부도 가면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Hylotl_Anatomy_Mask_Icon.png]] 하이로틀 해부도 가면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natomy_Shirt_Icon.png]] 해부도 셔츠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Human_Anatomy_Trousers_Icon.png]] 인간 해부도 바지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vian_Anatomy_Pants_Icon.png]] 아비안 해부도 바지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lesh_Strand_Icon.png]] 살점 가닥 || {{{+1 Flesh Caves }}} 그야말로 살덩이로 이루어진 동굴. 농작물인 고름자두를 얻을 수 있다는 것 외엔 지상의 살덩이 지대와 별 차이점이 없다. ==== 세포 동굴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800px-Cell_caves_2.png]] ||
<:> '''작물''' ||<:> '''주요 블록''' ||<:> '''청사진''' ||<:> '''장비''' ||<:> '''기타 아이템''' || ||<:> -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lesh_Block_Icon.png]] 살덩이 블록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Mud_Icon.png]] 진흙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Poison_Icon.png]] 독극물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ell_Door_Blueprint_Icon.png]] 세포 문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ell_Lamp_Blueprint_Icon.png]] 세포 램프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ell_Table_Blueprint_Icon.png]] 세포 탁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ell_Chair_Blueprint_Icon.png]] 세포 의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ell_Chest_Blueprint_Icon.png]] 세포 상자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enevolent_Face_Leech_Icon.png]] 자애로운 거머리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ell_Matter_Icon.png]] 세포 물질 || {{{+1 Cell Caves }}} 살덩이 동굴과 비슷해보이지만 엄연히 다른 미니 바이옴다. 곳곳에 약한 발광을 내는 세포 조직으로 보이는게 있으며, 부수면 세포 물질을 얻을 수 있다. 주변에 독극물 웅덩이가 있으므로 주의. ==== 뼈다귀 동굴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one_Cavern_Banner.png]] ||
<:> '''작물''' ||<:> '''주요 블록''' ||<:> '''청사진''' ||<:> '''장비''' ||<:> '''기타 아이템''' ||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oneboo_Icon.png]] 골순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one_Block_Icon.png]] 뼈다귀 블록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Mud_Icon.png]] 진흙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bblestone_Icon.png]] 조약돌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one_Door_Blueprint_Icon.png]] 뼈다귀 문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뼈다귀 관 침대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one_Table_Blueprint_Icon.png]] 뼈다귀 탁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one_Chair_Blueprint_Icon.png]] 뼈다귀 의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one_Chest_Blueprint_Icon.png]] 뼈다귀 상자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oat_Skull_Mask_Icon.png]] 염소 해골 가면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lien_Skull_Icon.png]] 외계인 해골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keletal_Wings_Icon.png]] 해골 날개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one_Icon.png]] 뼈다귀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Throwing_Bones_Icon.png]] 투척용 뼈다귀 || {{{+1 Bone Caves }}} 뼈다귀로 이루어진 지하 동굴. 지상 뼈다귀 지대의 수렵인들은 나타나지 않으며 기반이 뼈다귀 블록으로 이루어져있다. ==== 노움 마을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nomevillage_underground.png]] ||
<:> '''작물''' ||<:> '''주요 블록''' ||<:> '''청사진''' ||<:> '''장비''' ||<:> '''기타 아이템''' || ||<:> -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irt_Icon.png]] 흙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bblestone_Icon.png]] 조약돌 ||<:> -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nome_Hat_Icon.png]] 머리위의 노움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nome_Cap_Icon.png]] 노움 모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House_Hat_Icon.png]] 집 모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uilding_Hat_Icon.png]] 빌딩 모자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all_of_Gnomes_Icon.png]] 노움 뭉치 || {{{+1 Mini Village }}} 노움 종족의 마을. 지하 동굴에 노움들의 작은 집들로 마을이 이루어져 있다. 다른 기타 종족들이 사는 곳은 거대한 미니 바이옴 안에 소속되있는 작은 거주지라 표현이라도 할 수 있지만 이쪽은 아예 마을 자체가 미니 바이옴 취급이다. 다른 미니 바이옴과 다르게 상자가 없어 오직 '''집 오브젝트들을 부숴야만''' 아이템을 얻을 수 있다. 부수면 픽셀이나 장비 아이템[* 장비아이템이 나올 확률이 매우 낮아서 노움 마을 미니 바이옴를 두세곳 돌아야만 겨우 하나나올정도로 낮다.], 그리고 '''노움 주민들'''을 얻을 수 있다. 별로 의미는 없지만 이곳의 전등들은 와이어 기능으로 끄고 켰다 할 수 있다. 어째선지 전혀 연관 없어보이는 유니크 몬스터 보봇이 이곳에서 스폰된다. 설명으로는 정체를 알 수 없는 몬스터라 하지만 아마... 노움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스타바운드/기타 종족]] 문서 참고. ==== 얼음 동굴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Ice_Caves_Banner.png]] ||
<:> '''작물''' ||<:> '''주요 블록''' ||<:> '''청사진''' ||<:> '''장비''' ||<:> '''기타 아이템''' || ||<:> -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Ice_Icon.png]] 얼음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now_Icon.png]] 눈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lush_Icon.png]] 슬러시 ||<:> -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Ice_Cube_Mask_Icon.png]] 얼음 큐브 마스크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Ice_Armor_Mask_Icon.png]] 얼음 갑옷 마스크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Ice_Armor_Shirt_Icon.png]] 얼음 갑옷 셔츠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Ice_Armor_Pants_Icon.png]] 얼음 갑옷 바지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nowflake_Icon.png]] 눈송이 || {{{+1 Ice Caves }}} 얼음으로 이루어진 동굴. 지상의 설원, 툰드라 바이옴과 비슷한 곳이다. 가끔 버려진 아웃포스트 건물이 발견되기도 한다. ==== 야광 동굴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io_light_underground.png]] ||
<:> '''작물''' ||<:> '''주요 블록''' ||<:> '''청사진''' ||<:> '''장비''' ||<:> '''기타 아이템''' || ||<:> -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bblestone_Icon.png]] 조약돌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lime_Glob_Icon.png]] 점액 덩어리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Mud_Icon.png]] 진흙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Poison_Icon.png]] 독극물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io_Shroom_Table_Blueprint_Icon.png]] 생물학 버섯 탁자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luorescent_Helmet_Icon.png]] 형광 헬멧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low_Fibre_Icon.png]] 발광 섬유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reen_Glowstick_Icon.png]] 녹색 형광봉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_Glowstick_Icon.png]] 파란색 형광봉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Yellow_Glowstick_Icon.png]] 노란색 형광봉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Orange_Glowstick_Icon.png]] 주황색 형광봉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Light_Bow_Icon.png]] 빛의 활 || {{{+1 Luminous Caves }}} 녹색 발광 버섯들로 이루어져 있는 동굴. 점액 덩어리들 때문에 점액 동굴과 헷갈릴 수도 있으나 빛나는 버섯들이 있다는게 차이점. 버섯들을 부숴 발광 섬유를 얻을 수 있다. ==== 삼림 동굴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800px-Wilderness_2.png]] ||
<:> '''작물''' ||<:> '''주요 블록''' ||<:> '''청사진''' ||<:> '''장비''' ||<:> '''기타 아이템''' || ||<:> -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Plant_Matter_Icon.png]] 식물질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Wet_Dirt_Icon.png]] 축축한 흙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Hive_Block_Icon.png]] 벌레집 블록 ||<:> -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pper_Helmet_Icon.png]] 구리 헬멧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pper_Chestpiece_Icon.png]] 구리 흉갑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opper_Greaves_Icon.png]] 구리 하의 갑옷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eanstalk_Icon.png]] 콩나무 줄기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olden_Egg_Icon.png]] 황금알 || {{{+1 Wilderness }}} 식물질 블럭으로 이루어진 동굴이다. 깊은 곳 이라도 줄기가 자라있는게 특징이며 줄기가 매우 많아 식물섬유를 많이 얻을 수 있는 곳이다. 작정하고 많이 캐면 5000개 정도는 얻을 수 있다. ==== 타르갱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Underground_tarpit_Biome_Banner.png]][* 베타 시절 이후로 더 이상 골순이 자라지 않는다.] ||
<:> '''작물''' ||<:> '''주요 블록''' ||<:> '''청사진''' ||<:> '''장비''' ||<:> '''기타 아이템''' || ||<:> -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Tar_Icon.png]] 타르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Wet_Dirt_Icon.png]] 축축한 흙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Oil_Icon.png]] 기름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sphalt_Blueprint_Icon.png]] 아스팔트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Tar_Door_Blueprint_Icon.png]] 타르 문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Tar_Bed_Blueprint_Icon.png]] 타르 침대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Tar_Lantern_Blueprint_Icon.png]] 타르 랜턴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Tarman_Blueprint_Icon.png]] 타르사람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ueprint.png]] 타르갱 상자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Tar_Console_Blueprint_Icon.png]] 타르 제어기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Thick_Tar_Mask_Icon.png]] 탁한 타르 마스크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Tar_Mask_Icon.png]] 타르 마스크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Tar_Shirt_Icon.png]] 타르 셔츠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Tar_Pants_Icon.png]] 타르 바지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ack_Spear_Icon.png]] 등장식 창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one_Icon.png]] 뼈다귀 [br] [[파일:external/starbounder.org/Tarball_Icon.png]] 타르 뭉치 || {{{+1 Tarpit }}} 곳곳에 뼈가 있고, 기름이 고여있다. == 날씨 == 바이옴과 행성마다 등장하는 날씨가 다르며, 네비게이션의 행성정보에서도 확인할수 있다. 경우에 따라 플레이어에게 피해를 주는 날씨도 존재한다. === 맑음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Clear.png]] 말 그대로 맑은 날씨, Midnight 을 제외 한 모든 행성에서 존재하는 날씨이다. === 비 ===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Rain1.png]]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Drizzle.png]]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Heavyrain.png]]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Thunder.png]]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Hail.png]]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cidrain.png]]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Heavyacidrain.png]]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cidthunder.png]]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lowingrain.png]] || || 비 || 이슬비 || 폭우 || 폭풍우 || 우박 || 산성비 || 산성 폭우 || 산성 폭풍우 || 발광우 || 비가 내리면 몸이 젖는 상태가 되며 따로 밭에 물을 줄 필요가 없어진다. 비가 거세게 내리면 바닥에 물이 고이며 이걸 이용해 호수나 우물을 만들 수도 있다. 물론 집을 짓는데 천장이 없거나 물이 흘러 들어오는 구조면 집안이 물바다가 된다. 가장 주의해야 할 우천 상황은 산성비. 독성 저항이 없다면 이 비만 맞아도 독극물에 빠진 것과 똑같이 중독 디버프에 걸리며 해결책은 비를 최대한 피하거나 중독 예방 아이템을 가지고 다니는것이다. === 눈 ===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now1.png]]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Blizzard.png]]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Icestorm.png]] || || 눈 || 눈폭풍 || 착빙성 폭풍우 || 바닥에 눈이 쌓이며 눈덩이를 얻을 수 있다. 그 외엔 특별할 것 없는 날씨. === 안개 ===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Fog.png]]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Groundmist.png]] || || 안개 || 낮은 안개 || 안개지만 시야방해를 그렇게 심하게 하지 않는다. 시야방해라면 아래의 모래폭풍이 더 심하다. === 폭풍 ===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Windstorm.png]]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andstorm1.png]] || || 폭풍 || 모래 폭풍 || 모래폭풍이 불어오면 플레이어의 이동속도와 점프 거리가 줄어든다. 주변에 모래 블럭이 랜덤하게 생성되기 때문에 건축을 이 환경에서 하는것은 비추천. 폭풍이 불 때의 방향에 따라 많이 쌓이는 곳과 덜 쌓이는 곳이 나뉘어진다. 예를들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폭풍이 불면 벽 오른쪽 근처는 모래블럭이 생성되지 않는다. 일단 불기 시작하면 벽이고 출입구고 지붕이고 마구 쌓이기 시작하며 일일이 치워줘야 한다. 출입구를 열어놨는데 반대방향으로 폭풍이 불면 실내에도 모래블럭이 쌓인다. === 먼지 ===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Ash.png]]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Ember.png]]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pacedust.png]] || || 화산재 || 잿불 || 우주먼지 || 화산재 바이옴는 눈의 화산버전이라고 보면 된다. 서서히 낙하성 블록인 화산재가 곳곳에 쌓여간다. 잿불의 경우 목재 블록과 잔디에 해당하는것을 태우면서 서서히 번져나간다. 보통 NPC마을을 다 태워먹는 주범이다.[* 마을 구조물이 타서 장식품이 저절로 파괴되도 플레이어가 부순것이라 인식하기 때문에 가만히 있다 봉변을 당하는 경우가 잦다. --사실 본인 소유 물건 설치하고 본인이 부쉈는데 그거 먹었다고 [[지랄|x랄]]하는 거 보면.. 기후로 부서진 거 먹었다고 난리치는 건 양반일지도.--] 우주먼지는 현재 나타나는 지역이 없다. === 유성 ===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mallmeteorstorm.png]]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Meteorstorm.png]] || [[파일:external/starbounder.org/Spacejunk.png]] || || 유성우 || 운석우 || 우주 쓰레기 || 유성우와 운석우는 둘 다 운석이 떨어지면서 엔티티나 블럭에 닿으면 폭발하는것인데, 유성우는 작은 크기의 운석이고 심각하게 아픈데다 여러개가 날아오고 운석우는 몇개 안되는 큰 운석이 떨어지면서 원킬 데미지(1000데미지를 먹고 죽는다)를 먹인다고 보면 된다. 우주 쓰레기 바이옴도 있지만 더미데이터로 남아있다. [[분류:스타바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