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의 행정구역)] [include(틀:우크라이나의 행정구역)] ||<-3> {{{#00a651 '''[[루한스크주|{{{#00a651 루한스크주}}}]]의 도시'''}}}[br]{{{#00a651 {{{+1 '''스타로빌스크'''}}}[br]{{{#00a651 '''Старобільськ {{{-2 ([[우크라이나어|{{{#00a651 우}}}]])}}} | Старобельск {{{-2 ([[러시아어|{{{#00a651 러}}}]])}}}'''}}}}}} || ||<-3> [[파일:스타로벨스크 시장.gif|width=55%]] || ||<-3> '''시장 {{{-2 (러시아)}}}''' || ||<-2> [[파일:스타로벨스크 시기(우크라이나).png|width=55%]] || [[파일:스타로벨스크 시장(우크라이나).png|width=55%]] || ||<-2> '''시기 {{{-2 (우크라이나)}}}''' || '''시장 {{{-2 (우크라이나)}}}'''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Старобельск, 너비=100%, 높이=100%)]}}} || ||<-3> '''{{{#fff 행정}}}'''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실효지배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시 전체를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산하로 지배하고 있다.][br][include(틀:국기, 국명=우크라이나)] || || '''행정구역'''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스타로벨스크[br][include(틀:국기, 국명=우크라이나)] [[루한스크주]] 스타로빌스크 || || '''시간대''' ||UTC+3 ||}}}}}}}}} || ||<-3> '''{{{#fff 인문 환경}}}'''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인구''' ||<-2>16,753명^^[[2019년|(2019년)]]^^ || || '''인구 밀도''' ||<-2>1,259.6명/km² || || '''면적''' ||<-2>13.3km² || || '''공용어''' ||<-2>[[러시아어]] ||}}}}}}}}} || ||<-3> '''{{{#fff 정치}}}'''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시장''' ||<-2>발레리 파흐니츠[* Валерий Пахниц] [include(틀:무소속)] || }}}}}}}}} || || '''설립''' ||<-2> 1686년 || || '''홈페이지''' ||<-2> [[https://asr-lnr.ru/|[[파일:스타로벨스크 시장.gif|width=25]]]][br][[http://stb.loga.gov.ua/|[[파일:스타로벨스크 시장(우크라이나).png|width=25]]]] || || '''SNS''' ||<-2> [[https://vk.com/public213550438|[[파일:브콘탁테 아이콘.svg|width=25]]]] [[https://t.me/+5WHGrPR49ko2YzMy|[[파일:텔레그램 아이콘.svg|width=25]]]] [[https://www.youtube.com/channel/UCRhySPyp5vPMYbTC_cFNOn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https://ok.ru/group/70000000249105|[[파일:오드노클라스니키 아이콘.svg|width=25]]]] {{{-2 (러시아)}}}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스타로빌스크 전경.jpg]] '''스타로빌스크'''는 [[러시아]]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의 도시로, 2019년 기준 인구는 약 1만명이다. 현재 [[러시아]]가 지배중이다. 스타로빌스크군의 중심지이다. == 역사 == 1686년 [[코사크]] 군인들에 의해서 빌스키라는 이름으로 거주지가 처음 형성되었다. 이후 [[루스 차르국|러시아]]에서 도망친 농노들이 이 곳에서 거주를 하게 되면서 마을이 커졌다. 그러자 러시아에서 이곳으로 지주에게서 도망친 자들을 수색하기 위해 1701년부터 인구 조사를 실시했으나 조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지주들이 이에 대하여 불만을 제기하자 [[표트르 대제]]가 러시아에서 새로 이주한 모든 이들을 찾으라는 칙령을 내렸다. 이는 불라빈의 난으로 이어졌고 결국 군인들이 이 마을을 불태워 없애버렸다. 1732년 오스트로고시스크에서 온 소작농에 의해서 다시 마을이 재건되기 시작했다. 이때 이름이 스타라빌라로 바뀌었다. 이후 1797년 5월 1일, 칙령에 의해 마을 이름이 스타로빌스크로 바뀌었다. 1851년 10월 12일, 스타로빌스크 수녀원이 설립되어 이 지역의 영지가 되었다. [[볼셰비키 혁명]] 이후 수녀원은 금지되어 1924년 4월 문을 닫았다. 1992년까지 비어져있다가, [[동방정교회]]에 돌려주었고, 이후 1995년 축성되어 문을 열었다.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우크라이나]]로 들어오는 [[동맹국]]에 의해 [[오스트리아-헝가리]] 군인들이 주둔해 있었다. 그러나 곧바로 우크라이나 아나키스트들에 의해 격렬한 저항의 거점이 되었다. 소련은 [[제2차 세계대전]]의 시발점인 [[폴란드 침공]]에서 붙잡은 폴란드 포로 4천명을 스타로빌스크의 수녀원에 수감했다. 이들은 이듬해 [[하르키우]] 인근 퍄티하트키(П'ятихатки)으로 이송되어 몰살되었다.[* 흔히 [[카틴 학살]]로 알려진 소련의 폴란드 포로 학살은 소련 서부의 수용소 전역에서 일어났다. 실제 카틴에서 죽은 폴란드 포로는 4,400명으로 전체 희생자의 20% 정도이며, 절대 수는 현 러시아 북서부 오스타시코프에 수감되었다가 칼리닌(현 [[트베리]])으로 이송되어 살해된 사람이 6,300명으로 제일 많았다.] 시기 [[독소전쟁]]이 발발한 후에는 [[나치 독일군]]이 들어와 있었으나, 9개월 후 탈환하게 된다. 이 때 마을의 많은 부분이 파괴되어 전후 파괴되지 않은 우유 공장을 중심으로 다시 재건되었다. [[돈바스 전쟁]] 당시 [[루한스크주]]의 대부분이 친러 세력에 점령되었으나, 이 지역은 우크라이나 정부가 통제하는 지역이었다. 이후 [[2022년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때 [[러시아군]]이 이곳을 점령하기 위해 [[스타로빌스크 전투|공격을 감행]]했지만 러시아군이 결국 격퇴되면서 1차 전투에선 [[우크라이나군]]이 승리했다. 그러나 2차 전투에서는 러시아가 승리하였다. 2022년 3월 6일 [[루한스크주]] 주지사인 [[세르히 하이다이]]가 러시아군이 스타로빌스크를 점령했다고 말했다.[[https://www.ukrinform.ru/rubric-regions/3423004-v-starobelske-ziteli-sorvali-s-flagstoka-flag-agressora-i-speli-gimn-ukrainy.html|#]] 스타로빌스크에 세베로도네츠크에서 온 피난민들을 위한 임시 거처가 세워졌다. [[https://ria.ru/20220530/severodonetsk-1791789474.html|#]] 2023년 1월 23일 나치로부터의 해방 80주년을 기념하는 거리 행진이 열렸다. [[https://pobedarf.ru/2023/01/23/yubilej-osvobozhdeniya-otprazdnoval-starobelsk/|#]] [[분류: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의 도시]][[분류:우크라이나의 도시]][[분류:루한스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