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스타더스트(유희왕), top2=워리어(유희왕), top3=싱크론)] [목차] == 설명 == [[파일:スターダスト・トレイル(DAMA).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스타더스트 트레일, 일어판 명칭=スターダスト・トレイル, 영어판 명칭=Stardust Trail, 레벨=4, 속성=빛, 종족=드래곤족, 공격력=500, 수비력=20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패 / 묘지에 존재하고\, 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릴리스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는\,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제외된다., 효과2=②: 이 카드를 싱크로 소재로서 "워리어"\, "싱크론"\, "스타더스트" 싱크로 몬스터의 싱크로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에 "스타더스트 토큰"(드래곤족 / 빛 / 레벨 1 / 공 0 / 수 0) 1장을 특수 소환한다.)] ①의 효과는 몬스터가 릴리스되었을 경우 특수 소환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 가장 쉽게 연계를 떠올릴 수 있는 몬스터는 [[스타더스트 싱크론]]으로, 스타더스트 싱크론의 효과 발동 후 트레일을 특수 소환하면 레벨 8 싱크로까지 연결할 수 있다. 이외에는 [[버스터 모드]]와 같이 쓰게 된다면 버스터 스나이퍼의 릴리스 효과에 맞춰서 나와서 사이킥 리플렉터에 체인 1, 이 카드가 체인 2를 만들어주면서 레벨 4 비튜너와 레벨 1 비튜너 토큰까지 만들어주는 초동의 역할로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자주 쓰이는 용도는 아니지만 [[스타더스트 드래곤]]의 릴리스 효과 발동 후 필드를 비지 않게 채워주는 역할 정도까지도 생각해볼 수 있다. ②의 효과는 세 종류의 카드군 싱크로 몬스터의 소재가 되었을 경우 토큰을 생성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 [[도플 워리어]]의 다운그레이드 비슷한 효과라서 추가 싱크로 소환으로 연결할 수 있다. 특히 스타더스트 드래곤이 있다면 [[세이비어 스타 드래곤]]이나 [[슈팅 스타 드래곤]]으로 연결할 수 있어 유용한 효과. 이 경우 [[스타더스트 샤오롱]]을 완벽히 대체할 수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타더스트 트레일 설정화.jpg|width=100%]]}}} || || 설정화 || 일러스트는 [[하나된 소망]]에서 나온 [[스타더스트 드래곤]]을 상징하던 여성을 몬스터화한 것이다. 하나된 소망에서 나온 오색의 유성들도 나와 있다. 모습이 [[이자요이 아키]]를 닮아 [[pixiv]]에 나오는 팬아트에는 으레 이자요이 아키 태그가 붙고는 한다. 한편 본래의 스타더스트 드래곤의 눈동자는 [[금안]] 혹은 황안인데 반해, 이쪽은 [[자안]]의 눈동자를 가지고 있다.[[https://mobile.twitter.com/YuGiOh_TCG/status/1425487316810977282|#]] 공개 이후 팬들 사이에서는 이 카드와 이 카드의 여성을 스타더스트 드래곤 본인으로 취급하고 있다. 다만 공식적으로 스타더스트의 인간화라는 언급은 없다.[* 뒷날 [[유희왕 크로스 듀얼]] 아이콘으로 스타더스트 인간화가 등장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기타사항''' || || [[던 오브 마제스티|DAWN OF MAJESTY]] || DAMA-JP003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던 오브 마제스티]] || DAMA-KR003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던 오브 마제스티|Dawn of Majesty]] || DAMA-EN003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관련 카드 == === [[하나된 소망]] === [[분류:유희왕/OCG/드래곤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