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마이애미 말린스/로스터)] ---- ||
'''{{{#00a3e0 스킵 슈마커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MLB 감독)] ---- ||
'''{{{#00a3e0 스킵 슈마커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STL_2011_WSChampion.png|height=70]][br]'''MLB 월드 시리즈[br]우승반지''' || || '''[[2011년 월드 시리즈|{{{#FFEF00 2011}}}]]''' ||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23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올해의 감독 상}}}''' || || [[벅 쇼월터]][br]([[뉴욕 메츠]]) || → || '''스킵 슈마커[br]([[마이애미 말린스]])''' || → || 2024년 수상자 || ---- [include(틀:마이애미 말린스 감독)] ---- ||<-5> '''{{{#ffef00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ffef00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등번호 55번}}}''' || || [[댄 해런]][br](2004) || {{{+1 →}}} || '''스킵 슈마커[br](2005~2012)''' || {{{+1 →}}} || 저메인 커티스[br](2013) || ||<-5> '''{{{#FFFFFF [[로스앤젤레스 다저스|{{{#FFFFFF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3번}}}''' || || [[애덤 케네디]][br](2012) || {{{+1 →}}} || '''{{{#005A9C,#62BCFF 스킵 슈마커[br](2013)}}}''' || {{{+1 →}}} || [[칼 크로포드]][br](2014~2016) || ||<-5> '''{{{#FFFFFF [[로스앤젤레스 다저스|{{{#FFFFFF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55번}}}''' || || 라몬 에르난데스[br](2013) || {{{+1 →}}} || '''{{{#005A9C,#62BCFF 스킵 슈마커[br](2013)}}}''' || {{{+1 →}}} || [[로베르토 에르난데스(1980)|로베르토 에르난데스]][br](2014) || ||<-5> '''{{{#ffffff [[신시내티 레즈|{{{#ffffff 신시내티 레즈}}}]] 등번호 25번}}}''' || || [[디디 그레고리우스]][br](2012) || {{{+1 →}}} || '''스킵 슈마커[br](2014)''' || {{{+1 →}}} || 버크 바덴홉[br](2015) || ||<-5> '''{{{#ffffff [[신시내티 레즈|{{{#ffffff 신시내티 레즈}}}]] 등번호 55번}}}''' || || [[맷 레이토스]][br](2012~2014) || {{{+1 →}}} || '''스킵 슈마커[br](2015)''' || {{{+1 →}}} || [[로버트 스티븐슨]][br](2016~2020) || ||<-5> '''{{{#ffffff [[샌디에이고 파드리스|{{{#ffffff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등번호 5번}}}''' || || 알렉시 아마리스타[br](2012~2016) || {{{+1 →}}} || '''스킵 슈마커[br](2018)''' || {{{+1 →}}} || 그렉 가르시아[br](2019~2020) || ||<-5> '''{{{#FFFFFF [[샌디에이고 파드리스|{{{#FFFFFF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등번호 56번}}}''' || || [[카터 캡스]][br](2017) || {{{+1 →}}} || '''{{{#2f241d 스킵 슈마커[br](2019~2021)}}}''' || {{{+1 →}}} || [[레이 커]][br](2022~) || ||<-5> '''{{{#ffef00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ffef00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등번호 55번}}}''' || || [[앙헬 론돈]][br](2021) || {{{+1 →}}} || '''스킵 슈마커[br](2022)''' || {{{+1 →}}} || [[테일러 모터]][br](2023) || ||<-5> '''{{{#00a3e0 [[마이애미 말린스|{{{#00a3e0 마이애미 말린스}}}]] 등번호 55번}}}''' || || [[앤서니 벤더]][br](2022) || {{{+1 →}}} || '''스킵 슈마커[br](2023~)''' || {{{+1 →}}} || [[현역#s-2]]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말린스슈마커.jpg|width=100%]]}}} || ||<-2> '''마이애미 말린스 No.55''' || ||<-2> '''{{{+2 스킵 슈마커}}}[br]Skip Schumaker''' || || '''본명''' ||제러드 마이클 슈마커[br]Jared Michael Schumaker || ||<|2> '''출생''' ||[[1980년]] [[2월 3일]] ([age(1980-02-03)]세) || ||[[캘리포니아 주]] 토렌스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알리소 니구엘 고등학교 - [[캘리포니아 대학교/산타바바라 캠퍼스|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바바라 캠퍼스]] || || '''신체''' ||178cm / 83kg || || '''포지션''' ||[[외야수]], [[2루수]] || || '''투타''' ||[[우투좌타]] || || '''프로입단''' ||2001년 드래프트 5라운드 (전체 164번,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STL]]) || || '''소속팀'''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2005~2012)[br][[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13)[br][[신시내티 레즈]] (2014~2015) || || '''지도자'''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1루 주루코치 (2018~2019)[br][[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부감독 (2020~2021)[br][[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벤치코치 (2022)[br]'''[[마이애미 말린스]] 감독 (2023~)''' || || '''SNS''' ||[[https://www.instagram.com/standardmule55|[[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schumaker55, 크기=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마이애미 말린스]]의 감독. == 선수 경력 == 2001년 5라운드로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에 지명되었다. 2002년 루키리그에서 158개 안타를 기록해 2003년 마이너리그 싱글 A에서 두 시즌을 보냈다. 2004년 3할 1푼 6리의 타율을 기록했다. 2005년 6월 8일 [[부시 스타디움]]에서 보스턴 레드삭스전에 대타로 나와 삼진 아웃 당했다. 선수 시절에는 통산 WAR이 '''1'''에 근접하는 전형적인 대체 선수였다. 그나마 한국에 인지도가 있었던 이유는 2013년에 [[류현진]]과 다저스에서 한솥밥을 먹었기 때문. == 지도자 경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_GLkSuEZYjqRwR9o-msVJgA.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킵.jpg|width=100%]]}}} || 2023 시즌부터 [[마이애미 말린스]] 감독을 맡게 되었다. 지난 시즌보다 나아진 모습을 보이며 와일드카드 경쟁을 펼치고 있는데, 특히나 에이스인 [[샌디 알칸타라]]가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도 경쟁을 벌이고 있다는점이 특이점. 결국 2023년 9월 30일 가을야구 진출을 확정했다. 비록 와일드카드 시리즈에서 2전 전패로 광탈을 당했지만, 시즌 전 예상을 뛰어넘고 마이애미를 포스트시즌에 올린 공이 큰게 사실이다. 그 공을 인정받아 감독 부임 첫해부터 '''내셔널 리그 올해의 감독상'''을 받았다. 1위표는 8개로 애틀랜타의 [[브라이언 스니커]] 감독과 동률이었지만, 2위표와 3위표에서 크게 앞서며 수상에 성공했다. 신인 감독의 감독상 수상은 양대리그 통틀어 역대 8번째. == 수상 내역 == * [[월드 시리즈]] 우승 ([[2011년 월드 시리즈|2011]]) == 연도별 성적 == ||<-19>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스킵 슈마커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05 ||<|8>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STL]] || 27 || 26 || 6 || 1 || 0 || 0 || 9 || 1 || 1 || 2 || 2 || .250 || .308 || .292 || .599 || -0.3 || 0.0 || || 2006 || 28 || 60 || 10 || 1 || 0 || 1 || 3 || 2 || 2 || 5 || 6 || .185 || .254 || .259 || .513 || -0.3 || -0.4 || || 2007 || 88 || 188 || 59 || 12 || 2 || 2 || 19 || 19 || 1 || 8 || 20 || .333 || .358 || .458 || .816 || 0.2 || 0.7 || || 2008 || 153 || 594 || 163 || 22 || 5 || 8 || 87 || 46 || 8 || 47 || 60 || .302 || .359 || .406 || .765 || 1.8 || 1.8 || || 2009 || 153 || 586 || 161 || 34 || 1 || 4 || 85 || 35 || 2 || 52 || 69 || .303 || .364 || .393 || .757 || 1.5 || 1.6 || || 2010 || 137 || 529 || 126 || 18 || 1 || 5 || 66 || 42 || 5 || 43 || 64 || .265 || .328 || .338 || .667 || -0.6 || -0.5 || || 2011 || 117 || 400 || 104 || 19 || 0 || 2 || 34 || 38 || 0 || 27 || 50 || .283 || .333 || .351 || .685 || 0.3 || 0.8 || || 2012 || 107 || 304 || 75 || 14 || 4 || 1 || 37 || 28 || 1 || 27 || 50 || .276. || .339 || .368 || .707 || 0.8 || 0.9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13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LAD]] || 125 || 356 || 84 || 16 || 0 || 2 || 31 || 30 || 2 || 28 || 54 || .263 || .332 || .332 || .665 || -0.9 || -1.3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14 ||<|2> [[신시내티 레즈|CIN]] || 83 || 271 || 58 || 12 || 0 || 2 || 22 || 22 || 2 || 18 || 50 || .235 || .287 || .308 || .595 || -0.8 || -1.2 || || 2015 || 131 || 268 || 59 || 20 || 0 || 1 || 23 || 21 || 2 || 23 || 51 || .242 || .306 || .336 || .642 || -0.8 || -1.0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11시즌)''' || 1149 || 3582 || 905 || 169 || 13 || 28 || 416 || 284 || 26|| 280 || 476 || .278 || .337 || .364 || .701 || 0.9 || 1.4 || == 감독 성적 == ||<-8> {{{#000 '''역대 감독 전적'''}}}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승률 || 정규시즌 || 포스트시즌 || || 2023 || '''[[마이애미 말린스|MIA]]''' || 161 || 84 || 78 || 0.519 || '''지구 3위''' || '''WC 탈락''' || ||<-2> '''총계''' || '''162''' || '''84 ''' || '''78 ''' || '''0.519 ''' ||<-2> '''1WC''' || == 여담 == * 본명은 제러드 슈마커지만 프로에서는 스킵 슈마커라는 등록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닉네임이 스킵이 된 이유는 아버지와 제러드가 티볼을 할 때 제러드라는 이름이 흔하기도 하고 제러드가 스킵을 못해서 스킵이라는 별명을 붙여줬다고 한다. * 야구를 시작하기 전인 4살 때 [[오렐 허샤이저]]와 [[팬 서비스]] 관련으로 연을 맺은 적이 있었는데, 허샤이저가 퇴근을 하는 도중에 울고 있는 슈마커를 보며 왜 울고 있냐는 질문을 하기 위해 다가간 적이 있었다고 한다. 이 당시 어린 슈마커는 선수들 중 아무도 사인을 해 주지 않아서 속상한 마음에 울고 있었던 것. 그 이야기를 들은 허샤이저는 당시 슈마커가 갖고 있던 글러브에 사인을 해 줬고, '''"스킵, 미래의 메이저리거에게."'''라는 문구를 함께 넣어주고 사진도 함께 찍어줬다고 한다. 이후 슈마커는 메이저리그 데뷔에 성공했는데, 선수 시절 내내 주로 55번을 달았던 이유도 이 당시에 울고 있던 자신에게 팬 서비스를 해 줬던 [[오렐 허샤이저]] 때문이라고 밝혔으며, 결국 이 둘은 [[2013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에서 시구자와 시포자로 다시 한 번 연을 맺게 된다.[* 이 때만 해도 허샤이저는 슈마커가 55번을 달게 된 이유를 몰랐다고 하는데, 슈마커 본인이 직접 그 때 함께 사진을 찍고 사인을 받았던 사람이 본인이며, 그런 허샤이저를 동경해서 55번을 달았다고 알려줬다고 한다. 그리고 그 말을 들은 허샤이저는 슈마커에게 그 자리에서 시포자로 공을 받아달라고 제안을 했다고 한다.] * [[류현진]]의 메이저 진출 첫 해 다저스 로스터에서 백업 요원으로 있었기 때문에 국내 팬들에게도 비교적 익숙한 이름이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MLB)]]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미국의 야구감독]][[분류:1980년 출생]][[분류:2005년 데뷔]][[분류:2015년 은퇴]][[분류:UCSB 출신]][[분류:토런스(캘리포니아) 출신 인물]][[분류:외야수]][[분류:우투좌타]][[분류: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은퇴, 이적]][[분류: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은퇴, 이적]][[분류:신시내티 레즈/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