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skif.jpg]] [목차] [clearfix] == 개요 == 2011년 우크라이나에서 개발된 중거리 2세대 [[대전차미사일]]. 수출명인 스키프는 [[스키타이]]를 뜻하고, 우크라이나 내 제식명인 스투흐나-P의 스투흐나는 [[키이우 주]]에 위치한 [[드니프로 강]]의 지류이다. == 제원 == ||<-2>
<#005bbb>
{{{#White '''{{{+1 «Скіф» / «Стугна-П»}}}'''[br]''Skif / Stugna-P''}}} || ||<-2><#005bbb> {{{#White '''제원'''}}} || || 개발 ||키이우 주 설계국《루치》 || || 미사일 전장(컨테이너) ||1.36m, 1.435m || || 구성 요소 ||미사일 컨테이너, 발사대(삼각대), 조종 패널, 유도 장치, (열상)카메라 || || 구경 ||130mm(소형), 152mm(대형) || || 전투 중량 ||97kg, 104kg || || 미사일 중량 ||30kg, 37kg || || 최대사정거리 ||5~5.5km(주간), 3km(야간) || || 관통력 ||[[반응장갑|ERA]] 증설장갑 800~1100mm 이상(대전차고폭탄), 60~120mm 이상(고폭파편탄) || || 유도방식 ||SACLOS/TV나 열상장비의 수동&자동 모드에서 목표를 추적하는 레이저 빔 라이딩 || || 운용온도 ||섭씨 -40~60도 || 출처 [[http://www.luch.kiev.ua/en/production/antitank-weapons-systems-and-simulators/skif-man-portable-antitank-missile-system|#]] 본래 삼각대로 배치되며, 조종 패널과 미사일 발사대를 떨어뜨려 실내에서의 발사가 편하고 사수의 생존성을 높였다. 열화상카메라와 레이저 빔 라이딩 방식의 유도장치가 있으며, 기본 운용 방식은 수동 조준이나 목표를 포착 후 자동 추적할 수 있는 기능 또한 있다. 반응장갑을 무력화하는 탠덤 탄두를 장착한 대전차고폭탄 미사일과 대보병용 고폭파편 탄두를 가진 미사일의 두 가지 탄종이 있다. 중량이 무거운 편으로 운용인원은 3~4명 정도이다. === 파생형 === 130mm의 소형 버전과 152mm의 대형 버전이 있으며 서로 운용 중량, 관통력, 사정거리 등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각 구경마다 대전차탄과 고폭탄이 있기에 이 체계에 사용하는 탄종은 총 2×2=4가지가 된다. 벨라루스는 스키프의 미사일을 바탕으로 전자장비 등을 교체한 [[https://en.wikipedia.org/wiki/shershen|쉐르쉔]](Shershen)을 개발해 배치했다. 또 관통력과 사정거리 등을 희생해 전투 중량을 49kg까지 경량화한 쉐르쉔-L도 존재한다. 우크라이나도 소수의 쉐르쉔을 보유한 것으로 추정된다. [[BTR-3]], [[BTR-4]] 등 차량에도 원격 조종장비와 연계해 설치가 가능하다. 차량 탑재형 미사일은 Baryer([[배리어|바르여]])로 칭하며 동일한 미사일을 장착하나 [[험비]] 등 차량에 거치하는 플랫폼인 아뮬렛이 있다. == 실전 운용 == [youtube(8FrYM7CxYsU)] (러시아군 행렬에서 [[TOS-1 부라티노]]를 식별하고 격파하는 영상.) 2014년 [[돈바스 전쟁]]에서부터 실전에 투입되었으며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는 러시아군의 전차와 장갑차, 진지, 헬리콥터[* 레이저 경보 장치를 무력화하기 위해 헬기 근처의 하늘을 조준했다가 마지막 순간에 미사일을 선회시키는 운용 방식이 목격되고 있다.]까지 가리지 않고 타격하고 있다. 조종 패널의 TV를 촬영해 전과를 영상으로 담기 쉬운 점도 의외의 장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다만 최대 사거리 근처에서는 추진체에 고장이 일어나 명중에 실패하는 등 신뢰성이 조금 아쉽다는 평이 있다. 2023년 1월에는 부상병을 메고 가는 러시아군이 스투흐나-P를 정통으로 맞고 모조리 폭사하는 영상이 올라왔다. 개별 병사들에게도 쓰이는 모양이다.[[https://www.youtube.com/watch?v=XtDoPvaCbFQ|연기만 보여서 잔인한 장면은 없지만 시청주의]] 또한 우크라이나군이 스투흐나-P로 헬리콥터인 [[Ka-52]]를 격추시키는 독특한 전과를 올리기도 하였다. == 운용국 ==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3]] 우크라이나: 자체 개발 * 수출한 국가들[* 돈바스 전쟁에서의 실전 스펙을 본 아프리카와 중동 국가들이 관심을 보여 수출을 했었는데 2022년 러시아가 침공하자 우크라이나가 수출할 예정이었던 물량을 급히 끌어다 썼다. 우크라이나군의 운용 영상에서 가끔 조종 콘설에 아랍어 등이 보이는 것은 이 때문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우크라이나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벨라루스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대전차미사일]][[분류:2011년 출시]][[분류:우크라이나군/미사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