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파라마운트 픽처스]][[분류:스크림 시리즈]][[분류:2023년 영화]] [include(틀:스크림 시리즈)] ||<-2>
{{{#ffffff {{{+2 ''' 스크림 {{{#BD2223 6}}} ''' }}} [br]Scream {{{#BD2223 VI}}}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cream_six_ver4_xlg.jpg|width=100%]]}}} || || {{{#ffffff '''장르''' }}} ||[[공포]], [[스릴러]]|| || {{{#ffffff '''감독''' }}} ||맷 베티넬리-올핀[br]타일러 질렛|| || {{{#ffffff '''제작''' }}} ||폴 나인스틴[br]윌리엄 셰너크[br]제임스 밴더빌트|| || {{{#ffffff '''각본''' }}} ||가이 부시[br]제임스 밴더빌트|| || {{{#ffffff '''출연''' }}} ||[[멜리사 바레라]], [[제나 오르테가]] 등|| || {{{#ffffff '''촬영''' }}} ||브렛 주키에비츠 || || {{{#ffffff '''편집''' }}} ||제이 프라이치드니 || || {{{#ffffff '''음악''' }}} ||[[브라이언 타일러]][br]스벤 폴코너|| || {{{#ffffff '''미술''' }}} ||마티유 지게르[br]필립 로드|| || {{{#ffffff '''의상''' }}} ||에이버리 플루에스|| || {{{#ffffff '''제작사''' }}} ||스파이글래스 엔터테인먼트[br]프로젝트 X 엔터테인먼트[br]라디오사일런스 프로덕션|| || {{{#ffffff '''배급사'''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파라마운트 픽처스|[[파일:파라마운트 픽처스 로고 가로형.png|height=17]]]]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롯데엔터테인먼트|[[파일:롯데엔터테인먼트 로고.png|height=25]]]] || || {{{#ffffff '''스트리밍''' }}} || || || {{{#ffffff '''개봉일'''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2023년]] [[3월 10일]]|| || {{{#ffffff '''촬영 기간''' }}} || || || {{{#ffffff '''화면비''' }}} || || || {{{#ffffff '''상영 타입''' }}} || || || {{{#ffffff '''상영 시간''' }}} ||122분 (2시간 2분 21초) || || {{{#ffffff '''제작비''' }}} ||'''3,300만~3,500만 달러''' || || {{{#ffffff '''월드 박스오피스''' }}} ||'''$168,917,000''' ^^([[2023년]] [[4월 30일]]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tt17663992|기준]])^^ || || {{{#ffffff '''북미 박스오피스''' }}} ||'''$108,117,000''' ^^([[2023년]] [[4월 30일]] 기준)^^ || || {{{#ffffff '''대한민국 총 관객 수''' }}} || || || {{{#fff '''상영 등급'''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청소년 관람불가|[[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 청소년 관람불가}}}]]''' || || {{{#ffffff '''번역'''}}} || || || {{{#ffffff '''링크'''}}} || || [목차] [clearfix] == 개요 == [[스크림(2022)|2022년작 스크림]]의 후속편. 전편에 이어서 베티넬리-질렛 콤비가 연출을 맡았다. 이전 시리즈들에 비해서 바로 전작인 스크림 5편과의 연결성이 크게 강화된 것이 특징. 스크림 시리즈는 지금까지 계속 초대 스크림의 등장 인물들이 영향력을 행사해온 시리즈였다고 볼 수 있으나, 5편과 6편에서는 새로이 사만다와 타라를 주인공으로 내세우면서 5편에서는 듀이를, 6편에서는 시드니와 게일을 하차시키며 착실하게 세대 교체를 꾀했다.[* 다만 시드니를 이후에 등장시키겠다는 제작진의 말과, 6편 엔딩에서 사만다의 남자친구인 대니에게 게일이 병원에서 쉬고 있다라는 말을 고려하면 시드니와 게일은 속편에 등장할 가능성이 있다.] 5편의 주인공들과 그 동료들이 거의 그대로 살아남아 6편에서도 활약하면서 앞으로의 스크림 시리즈를 이끌어갈 토대를 쌓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초대 살인마였던 빌리 루미스의 친딸'''이자, 알게 모르게 살인에 쾌감을 느끼고 아버지 빌리의 '''환청을 듣고 살인 충동을 느끼면서 고뇌하는 주인공'''이라는, 보다 입체적이고 매력적인 캐릭터인 사만다가 이후의 시리즈에서 어떻게 활약할 것인지 기대하게 만드는 작품. [* 사실상 지금까지의 시리즈에서도 시드니 역시 고스트페이스들에게 쫓기고 두려워하고 절망하다가 매번 후반에는 갑자기 인격이 돌변하여 고스트페이스를 몰아붙이는 모습을 보여줬는데, 사만다는 본능과 혈통에 힘입어 범인에게 반격하고 복수할 때 한술 더 뜰 가능성이 높다. ] == 개봉 전 정보 == == 시놉시스 == == 등장인물 == * [[멜리사 바레라]] - 사만다 카펜터 역 * [[제나 오르테가]] - 테라 카펜터 역 * 메이슨 구딩 - 채드 믹스 마틴 역 * 자스민 사보이 브라운 - 민디 믹스 마틴 역 * 로저 L. 잭슨 - 고스트 페이스 역 (목소리) * [[코트니 콕스]] - 게일 웨더스 역 * [[더멋 멀로니]] - 웨인 베일리 역 * [[헤이든 파네티어]] - 커비 리드[* 4편에 나온 등장인물. [[고스트페이스]]인 찰리 워커한테 속아 칼에 찔렸다. 그러나 5편에서 생존이 확인되었다.] 역 * 라이아나 리버라토 - 퀸 베일리 역 * [[잭 챔피언]] - 이선 랜드리 역 * 데빈 니코다 - 애니카 카요코 역 * 조쉬 세가라 - 대니 브래킷 역 * 스키트 울리치 - 빌리 루미스 역 * [[사마라 위빙]] - 로라 크레인 교수 역 * [[토니 레볼로리]] - 제이슨 카비 역 * 헨리 처니 - 크리스토퍼 스톤 의사 역 == 포스터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QLb4yBwxvg)]}}}|| || '''공식 티저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74AXqw4Opc)]}}}|| || '''공식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1Ie2qmAOc6Q)]}}}|| || '''최종 예고편''' || == 줄거리 == == 사운드트랙 ==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scream-vi, critic=61, user=7.0)]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scream_vi, tomato=77, popcorn=91)] [include(틀:평가/IMDb, code=tt17663992, user=6.9)]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scream-vi, user=3.7)] 첫 시작부터 호평이 많다. 더군다나 [[할로윈 엔즈]], [[텍사스 전기톱 학살 2022]] 등의 슬래셔 영화 속편들이 혹평을 받고 망한걸 생각하면 진짜 기적인 셈이다. 그래서인지 [[이블 데드 라이즈]]와 함께 슬래셔 영화 부활의 신호탄이 되길 기대하는 팬들도 많다. == 흥행 == [include(틀:2023년 세계 영화 흥행 순위)] 개봉 12일차에 '''1억 달러의 흥행을 돌파했다.''' === [[북미]] === ||<-5>
{{{#ffffff '''북미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23년 9주차 ||<|2> → || '''2023년 10주차''' ||<|2> → || 2023년 11주차 || || [[크리드 3]] || {{{#ffffff '''스크림 6''' }}} || [[샤잠! 신들의 분노]] || ||<-5> [[http://www.boxofficemojo.com/weekend/|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개봉 28일차에 1억 달러의 흥행을 돌파했다. === [[브라질]] === ||<-5>
{{{#fedf00 '''브라질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23년 9주차 ||<|2> → || '''2023년 10주차''' ||<|2> → || 2023년 11주차 || || [[크리드 3]] || {{{#fedf00 '''스크림 6''' }}} || [[샤잠! 신들의 분노]] || ||<-5> [[https://www.boxofficemojo.com/intl/brazil/|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브라질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 [[아르헨티나]] === ||<-5>
{{{#fcbf49 '''아르헨티나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23년 9주차 ||<|2> → || '''2023년 10주차''' ||<|2> → || 2023년 11주차 || || [[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 || {{{#fcbf49 '''스크림 6''' }}} || [[더 웨일]] || ||<-5> [[https://www.boxofficemojo.com/intl/argentina/|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아르헨티나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 [[오스트레일리아]] === ||<-5>
{{{#ffffff '''오스트레일리아 흥행 1위 영화''' }}} || || 2023년 9주차 ||<|2> → || '''2023년 10주차''' ||<|2> → || 2023년 11주차 || || [[크리드 3]] || {{{#ffffff '''스크림 6''' }}} || [[샤잠! 신들의 분노]] || ||<-5> [[http://www.boxofficemojo.com/intl/australia/|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오스트레일리아 주말 흥행 집계 기준]] || === [[이탈리아]] === ||<-5>
{{{#ffffff '''이탈리아 흥행 1위 영화''' }}} || || 2023년 10주차 ||<|2> → || '''2023년 11주차''' ||<|2> → || 2023년 12주차 || || [[크리드 3]] || {{{#ffffff '''스크림 6''' }}} || ''미정'' || ||<-5> [[http://www.boxofficemojo.com/intl/italy/|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이탈리아 주말 흥행 집계 기준]] || == 기타 == * [[니브 캠벨]]이 출연료 문제로 시드니 프레스콧 역에서 하차했다.[* 몇몇 배우들의 지지 선언도 있었는데, [[세라 미셸 겔러]], [[엠마 로버츠]], 랜디 역의 제이미 케네디, 스튜어트 역의 매튜 릴라드, 듀이 역의 데이빗 아퀘트 등이 지지하며 옳은 선택을 한것이라며 지지 하였다.] 이후 제작진들 또한 시드니 프레스콧을 지키겠다고 약속하였으며 후의 프랜차이즈에 돌아올수 있게 하겠다고 밝혔다. * 기존 스크림 영화들과 달리 생존자들의 이야기에 더 집중했다고 밝혔다. * 한국에선 아직 개봉일이 미정이지만 전작처럼 미국보다 1달 정도 늦게 개봉할 것으로 추정. 그러나 아무 소식이 없는걸 보면 국내 개봉은 이미 요원해진 상태. 일본에서는 극장 개봉없이 곧바로 블루-레이와 DVD로 2023년 7월에 발매할 예정으로 밝혀졌다. * 전작들에 비해 잔인성[* 살인묘사가 더욱 잔인해졌고, 신체 절단이나 추락사로 얼굴이 뭉개지는 등 전작들에 비해 잔혹한 장면이 대거 추가되었다.]이 대폭 높아졌다. * 유명한 공포 영화 프랜차이즈가 3D 영화를 만들면 하나같이 다 평가가 밑바닥을 찍는다는 징크스를 벗어난 유일한 케이스이다.[* 유명한 예시로는 [[죠스 3-D]], [[쏘우 3D]], 마이 블러디 발렌타인, [[최후의 나이트메어]], [[파이널 데스티네이션]] 4, [[텍사스 전기톱 학살]] 3D, 피라냐 3D, 3DD가 있다. 이 영화들 거의 대부분 다 평가가 작살이 나버렸거나 시리즈 최악의 평가를 받는다. 그나마 양호한 편이라면 13일의 금요일 3편은 평가는 그냥저냥이지만 그래도 후에 나오는 4, 6편의 평가가 최고로 꼽히고 5, 7-10편이 시리즈 최악의 평가를 받는 바람에 최악을 벗어났다. 또한 3편은 [[제이슨 부히스]]가 하키마스크를 얻는 기념비적인 작품으로 꼽힌다. 피라냐 3D는 호불호도 갈리고 후속작인 3DD가 망해서 그렇지 평타는 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