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파라마운트 픽처스]][[분류:스크림 시리즈]][[분류:2023년 영화]][[분류:고어]] [include(틀:스크림 시리즈)] ||<-2>
{{{+2 ''' 스크림 {{{#BD2223 6}}} ''' }}} [br]Scream {{{#BD2223 VI}}}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cream_six_ver4_xlg.jpg|width=100%]]}}} || || '''장르''' ||[[공포]], [[스릴러]]|| || '''감독''' ||맷 베티넬리-올핀[br]타일러 질렛|| || '''제작''' ||폴 나인스틴[br]윌리엄 셰너크[br]제임스 밴더빌트|| || '''각본''' ||가이 부시[br]제임스 밴더빌트|| || '''출연''' ||[[멜리사 바레라]][br][[자스민 사보이 브라운]][br][[잭 챔피언]][br][[헨리 처니]][br]메이슨 구딩[br]로저 L. 잭슨 ,,외,,|| || '''촬영''' ||브렛 주키에비츠 || || '''편집''' ||제이 프라이치드니 || || '''음악''' ||[[브라이언 타일러]][br]스벤 폴코너|| || '''미술''' ||마티유 지게르[br]필립 로드|| || '''의상''' ||에이버리 플루에스|| || '''번역''' || || || '''제작사''' ||스파이글래스 엔터테인먼트[br]프로젝트 X 엔터테인먼트[br]라디오사일런스 프로덕션|| ||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파라마운트 픽처스]]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롯데엔터테인먼트]] || || '''스트리밍 / VOD''' ||[[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파라마운트+|[[파일:파라마운트+ 워드마크.svg|height=20&theme=light]][[파일:파라마운트+ 워드마크 화이트.svg|height=20&theme=dark]]]]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TVING|[[파일:TVING 로고.svg|width=60&theme=light]][[파일:TVING 로고 화이트.svg|width=60&theme=dark]]]] [[https://www.tving.com/contents/M000373740|▶]][*개별구매] | [[https://serieson.naver.com/v2/movie/567430|[[파일:네이버 시리즈온 로고.svg|width=80&theme=light]][[파일:네이버 시리즈온 로고 화이트.svg|width=80&theme=dark]]]] || ||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2023년]] [[3월 10일]] [b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3년]] [[5월 24일]]|| || '''촬영 기간''' || || || '''화면비''' || || || '''상영 타입''' || || || '''상영 시간''' ||122분 (2시간 2분 21초) || || '''제작비''' ||'''3,300만 ~ 3,500만 달러''' || || '''월드 박스오피스''' ||'''$168,961,389''' ^^([[2023년]] [[4월 30일]]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tt17663992|기준]])^^ || || '''북미 박스오피스''' ||'''$108,161,389''' ^^([[2023년]] [[4월 30일]] 기준)^^ || || '''대한민국 총 관객수''' ||370명 || ||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청소년 관람불가|[[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 청소년 관람불가}}}]]'''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파일:R등급 로고.svg|width=30]] || || '''링크''' ||[[https://apps.paramountpictures.com/movie/ghostface/us|[[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ScreamMovie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creamMovies, 크기=20)] | [[https://instagram.com/ScreamMovie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tiktok.com/@ScreamMovies|[[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스크림(2022)|2022년 영화 스크림]](스크림 5)의 후속편으로 전편에 이어 베티넬리-질렛 콤비가 연출을 맡았다. == 개봉 전 정보 == == 시놉시스 == == 포스터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L38I2bze5LM)]}}}|| || '''티저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h74AXqw4Opc)]}}}|| || '''메인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1Ie2qmAOc6Q)]}}}|| || '''파이널 예고편''' || == 출연 == * [[멜리사 바레라]] - 사만다 카펜터 역 * [[자스민 사보이 브라운]] - 민디 믹스 마틴 역 * [[잭 챔피언]] - 이선 랜드리 역 * [[헨리 처니]] - 크리스토퍼 스톤 역 * 메이슨 구딩 - 채드 믹스 마틴 역 * 로저 L. 잭슨 - 고스트페이스 역 (목소리) * 라이아나 리버라토 - 퀸 베일리 역 * [[더멋 멀로니]] - 웨인 베일리 역 * [[데빈 네코다]] - 애니카 카요코 역 * [[제나 오르테가]] - 테라 카펜터 역 * [[토니 레볼로리]] - 제이슨 카비 역 * 조쉬 세가라 - 대니 브래킷 역 * [[스키트 울리치]] - 빌리 루미스 역 * [[사마라 위빙]] - 로라 크레인 역 * [[헤이든 파네티어]] - 커비 리드[* 4편 등장인물. [[고스트페이스]] 찰리 워커에게 속아 칼에 찔렸다. 그러나 5편에서 생존이 확인되었다.] 역 * [[코트니 콕스]] - 게일 웨더스 역 == 줄거리 == == 사운드트랙 ==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scream-vi, critic=61, user=6.8)]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scream_vi, tomato=76, popcorn=91)] [include(틀:평가/IMDb, code=tt17663992, user=6.7)]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scream-vi, user=3.7)]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4864943, user=6.3)]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300624, presse=2.4, spectateurs=3.2)] [include(틀:평가/mymovies.it, code=2023/scream-vi, MYMOVIES=2.50, CRITICA=2.58, PUBBLICO=4.00)]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89087, user=X.X)]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107377, user=3.7)]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35763091, user=5.9)] [include(틀:평가/야후! 키모, code=14557, user=3.9)] [include(틀:평가/왓챠, code=mW9pMoG, user=2.8)]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117543, light=42.86)]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스크림 6, expert=X.XX, audience=X.XX, user=X.XX)]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66371, user=4.8)] [include(틀:평가/CGV, code=영화코드, egg=XX)] [include(틀:평가/롯데시네마,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메가박스,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MRQE, code=scream-vi-m100143306, user=66)] [include(틀:평가/시네마스코어, score=B+)] [include(틀:평가/TMDB, code=934433-scream-vi, user=73)] [include(틀:평가/무비파일럿, code=scream-6, user=6.2)] [include(틀:평가/씨네21,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맥스무비,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RogerEbert.com, code=scream-vi-movie-review-2023, user=2.5)] [include(틀:평가/Google Play 무비, code=4E05D222981DFE4FMV, user=X.X)] [include(틀:평가/네이버 시리즈온, code=영화코드, user=X.XX)] [include(틀:평가/Just Watch, code=scream-6, user=81)] 전편을 능가하는 후속편이라는 호평이 많다. 더군다나 [[할로윈 엔즈]], [[텍사스 전기톱 학살 2022]] 등의 슬래셔 영화 속편들이 대부분 팬들로부터 혹평을 받은 것을 생각하면 이 작품은 굉장히 선방한 것. [[테리파이어 2]], [[메간(영화)|메간]], [[이블 데드 라이즈]]와 함께 슬래셔, 스플래터, 고어 장르 영화를 부활시켜 줄 계기가 되길 기대하는 팬들도 많다. 이전 시리즈들에 비해 전작 스크림 5편과의 연결성이 크게 강화된 것이 특징. 스크림 시리즈는 지금까지 초대 스크림의 등장인물들이 계속해서 비중을 가지고 활약해 온 시리즈라고 볼 수 있으나, 5편과 6편에서는 새로이 사만다와 타라를 주인공으로 내세우면서 5편에서는 듀이를, 6편에서는 시드니와 게일을 하차시키며 착실하게 세대 교체를 꾀했다.[* 다만 시드니를 이후에 등장시키겠다는 제작진의 말과 게일이 6편에서 살아남은 점을 고려하면 시드니와 게일은 속편에 등장할 가능성이 있다.] 5편의 새 주인공들과 그 동료들이 거의 그대로 살아남아 6편에서도 활약하면서 앞으로의 스크림 시리즈를 이끌어갈 토대를 새롭게 쌓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초대 살인마 빌리 루미스의 친딸이자, '알게 모르게 살인에 쾌감을 느끼고 아버지 빌리의 환청을 듣고 살인 충동을 느끼면서 고뇌하는 주인공'이라는, 보다 입체적이고 매력적인 캐릭터인 사만다가 이후의 시리즈에서 어떻게 활약할 것인지 팬들에게 큰 기대감을 가지게 하는 데에 성공했다.[* 사실상 지금까지의 시리즈에서도 시드니 역시 고스트페이스들에게 쫓기고 두려워하며 절망하다 매번 후반에는 갑자기 인격이 돌변하여 고스트페이스를 몰아붙이는 모습을 보여줬는데, 사만다는 본능과 혈통에 힘입어 범인에게 반격하고 복수할 때 한술 더 뜰 가능성이 높다.] [* 사실 사만다가 5편에서 처음 등장했을 당시는 해외 팬덤에서 평가가 매우 좋지 않았다. 하지만 6편을 기점으로 평가가 반전, 이제는 스크림 시리즈를 넘어 호러 영화 최고의 파이널 걸 캐릭터 중 한 명이 되었다며 열광하는 사람들이 늘었다.] 캐릭터들 이외에도, 지하철 씬에서는 여러 호러 아이콘들이 카메오로 나와 이 역시 팬들의 환호를 받았다. == 흥행 == 개봉 12일차에 수익 1억 달러를 돌파했다. === [[북미]] === ||<-5>
{{{#ffffff '''북미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23년 9주차 ||<|2> → || '''2023년 10주차''' ||<|2> → || 2023년 11주차 || || [[크리드 3]] || {{{#ffffff '''스크림 6''' }}} || [[샤잠! 신들의 분노]] || ||<-5> [[http://www.boxofficemojo.com/weekend/|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개봉 28일차에 1억 달러를 돌파했다. === [[브라질]] === ||<-5>
{{{#fedf00 '''브라질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23년 9주차 ||<|2> → || '''2023년 10주차''' ||<|2> → || 2023년 11주차 || || [[크리드 3]] || {{{#fedf00 '''스크림 6''' }}} || [[샤잠! 신들의 분노]] || ||<-5> [[https://www.boxofficemojo.com/intl/brazil/|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브라질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 [[아르헨티나]] === ||<-5>
{{{#fcbf49 '''아르헨티나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23년 9주차 ||<|2> → || '''2023년 10주차''' ||<|2> → || 2023년 11주차 || || [[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 || {{{#fcbf49 '''스크림 6''' }}} || [[더 웨일]] || ||<-5> [[https://www.boxofficemojo.com/intl/argentina/|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아르헨티나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 [[오스트레일리아]] === ||<-5>
{{{#ffffff '''오스트레일리아 흥행 1위 영화''' }}} || || 2023년 9주차 ||<|2> → || '''2023년 10주차''' ||<|2> → || 2023년 11주차 || || [[크리드 3]] || {{{#ffffff '''스크림 6''' }}} || [[샤잠! 신들의 분노]] || ||<-5> [[http://www.boxofficemojo.com/intl/australia/|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오스트레일리아 주말 흥행 집계 기준]] || === [[이탈리아]] === ||<-5>
{{{#ffffff '''이탈리아 흥행 1위 영화''' }}} || || 2023년 10주차 ||<|2> → || '''2023년 11주차''' ||<|2> → || 2023년 12주차 || || [[크리드 3]] || {{{#ffffff '''스크림 6''' }}} || || ||<-5> [[http://www.boxofficemojo.com/intl/italy/|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이탈리아 주말 흥행 집계 기준]] || == 기타 == * [[니브 캠벨]]이 출연료 문제로 시드니 프레스콧 역에서 하차했다.[* 몇몇 배우들의 지지 선언도 있었는데, [[세라 미셸 겔러]], [[엠마 로버츠]], 랜디 역의 제이미 케네디, 스튜어트 역의 매튜 릴라드, 듀이 역의 데이빗 아퀘트 등이 옳은 선택을 한 것이라며 지지하였다.] 제작진 또한 시드니 프레스콧을 지키겠다고 약속하였으며 후의 프랜차이즈에 돌아올 수 있게 하겠다고 밝혔다. * 기존 스크림 영화들과 달리 생존자들의 이야기에 더 집중했다고 밝혔다. * [[사마라 위빙]]이 오프닝 살인의 희생자로 출연, 등장하자마자 살해된다. 1편의 [[드류 배리모어]]를 연상시키는 역할. * 한국에선 뒤늦게 등급 심의에 들어가 2023년 5월 24일 개봉을 확정지었지만 아무런 홍보도 없이 딱 하루만 개봉하고 VOD로 출시했다. 극장 흥행이 안될 것으로 판단해 전작과 마찬가지로 VOD 출시를 위한 [[꼼수 개봉]]으로 보인다.[* 더군다나 적당한 시간대가 있었던 전작과 달리 상영 시간도 밤 9시 이후 밖에 없어 시간대도 한정적이었다.] 아무리 한국에선 슬래셔 영화 자체가 이미 한물 간 장르 취급을 받기도 하지만 이건 너무했다는 반응도 많다. * 전작들에 비해 잔인성[* 살인 묘사가 더욱 잔인해졌고, 신체 절단이나 추락사로 얼굴이 뭉개지는 등 전작들에 비해 잔혹한 장면이 대거 추가되었다.]이 대폭 높아졌다. * 유명 공포 영화 프랜차이즈가 3D 영화를 만들면 하나같이 다 평가가 밑바닥을 찍는다는 징크스를 처음으로 벗어난 케이스이다.[* 유명한 예시로는 [[죠스 3-D]], [[쏘우 3D]], [[마이 블러디 밸런타인(영화)|마이 블러디 발렌타인 3D]], [[최후의 나이트메어]], [[파이널 데스티네이션]] 4, [[텍사스 전기톱 학살]] 3D, [[피라냐(실사영화 시리즈)|피라냐 3D & 3DD]]가 있다. 대부분 시리즈 최악의 평가를 받는다. 그나마 양호한 편이라면 [[13일의 금요일 파트3]]의 평가는 그냥 저냥이지만 후에 나온 5, 7~10편이 시리즈 최악의 평가를 받는 바람에 최악을 벗어났다. 또한 3편은 [[제이슨 부히스]]가 하키 마스크를 얻는 기념비적인 작품으로 꼽힌다. 피라냐 3D는 호불호도 갈리고 후속작 3DD가 망해서 그렇지 평타는 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