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top1=스크린도어/대한민국)] [목차] 현재는 지하 구간 기준 완전밀폐식이, 지상 구간 기준 반밀폐식이 주로 설치되어 있다. == [[수도권 전철]] == * [[서울교통공사]]: 100% * [[인천교통공사]]: 100%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인천 2호선]]은 건설할 때부터 전 역사에 스크린도어를 설치) * [[한국철도공사]]: 99% - 현재 거의 모든 역에 승강장 스크린도어 공사가 완료되어 가동 중이다.[* 일부 역사의 부본선 및 통과선 포함. 경부선 및 경인선 일부 역사의 부본선과 통과선에는 설치가 되어 있지 않고 개폐식 안전 펜스를 설치해 접근하지 못하게 막아 두고 있었으나, 경부선 역사는 대부분 열차가 고속으로 통과하거나 서울역 급행 열차가 정차하는 관계로 거의 설치되었다. 서울역 급행 정차역인 [[금천구청역]], [[안양역]], [[군포역]], [[의왕역]], [[성균관대역]] 통과선과 여객열차 대피역인 [[오산역]], [[서정리역]], [[평택역]], [[성환역]] 부본선이 해당된다.][* 참고로 지상역의 경우는 승강장 양쪽 끄트머리 쪽만 안전 펜스로 막아 놓는다.][*소요산역 2022년 10월, 경원선 구간이 [[연천역]]까지 연장되면 사용할 예정인 [[소요산역]]의 새 승강장에도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 [[https://m.dcinside.com/board/monorail/330576|#]] 연천 ~ 동두천 구간이 개통하면 모든 운행 체계를 고가 승강장으로 이설할 예정이라 기존 승강장에는 설치하지 않았다.] * [[신분당선]]: 100% (건설할 때부터 전 역사에 스크린도어를 설치) * [[인천국제공항철도]]: 100% (건설할 때부터 전 역사에 스크린도어를 설치)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100% (건설할 때부터 전 역사에 스크린도어를 설치) * [[김포 골드라인]]: 100% (건설할 때부터 전 역사에 스크린도어를 설치) * [[용인 에버라인]]: 100%[* 개통 후 2020년 8월 전까지는 승강장에 스크린도어 대신 선로에 접근 시 굉음을 내고 모든 열차가 비상 정차하는 시스템을 사용 중이었다. 용인 경전철은 플랫폼 길이도 짧아서 역에 바로 정지가 가능할 정도로 낮은 속도로 진입하긴 하지만 물리적으로 앞이 막혀 있는 게 아니기 때문에 그 굉음을 무시하고 선로에 진입할 수 있다는 문제는 여전했었고, 스크린도어 설치가 시급한 노선 중 하나였다. 용인시도 이 문제를 받아들여 스크린도어 설치를 권고하였다. 그리하여 지난 2020년 8월 스크린도어 공사를 진행하여 11월 전 구간에 설치를 완료하였으며, 2021년 2월 18일에 가동을 시작했다.] * [[의정부 경전철]]: 100% (건설할 때부터 전 역사에 스크린도어를 설치)[* 2021년 10월 30일에 개통한 [[의정부경전철 차량기지임시승강장|차량기지임시승강장]]에만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애초에 정식 역사가 아닌 임시승강장으로 지어져서 임시승강장 철도안전법에 의거하여 스크린도어 설치 기준에 해당하지 않아 스크린도어를 설치하지 않았다고 한다. 대신 대합실에서 승강장으로 가는 문이 열차가 들어왔을 때만 열리고 그 외에는 항시 닫혀 있게 하여 열차가 들어오는 시간 외에 승객이 승강장에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고 있다.]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우이신설선]]: 100% (건설할 때부터 전 역사에 스크린도어를 설치) * [[서울 경전철 신림선|신림선]]: 100% (건설할 때부터 전 역사에 스크린도어를 설치) || {{{#!folding [ 한국철도공사의 현재 설치 중이거나 추후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할 계획인 역 (일반) ] || [[수도권 전철 1호선]] || ||<(> [[동두천역]] 4번 승강장 (상행 부본선) || ||<(> [[의정부역]] 4번 승강장 (상행 부본선) || ||<(> [[도봉산역]] 1, 4번 승강장 (부본선) || ||<(> [[구일역]] 2, 3번 승강장 (통과선)[* 구일역 2번 승강장은 인천발 구로행 열차가 정차하며, 3번 승강장은 구로발 인천행 열차가 정차한다. 2, 3번 승강장은 1, 4번 승강장보다 사용 빈도가 훨씬 낮다.] || ||<(> --[[소사역]] 2, 3번 승강장 (통과선)--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 [[월롱역]] 1, 4번 승강장 (부본선) || ||<(> [[운정역]] 1, 4번 승강장 (부본선) || ||<(> [[능곡역]] 1, 8번 승강장 (부본선) || ||<(> [[서빙고역]] 측면 승강장 (부본선) || ||<(> [[도농역]] 1, 4번 승강장 (부본선) || ||<(> [[팔당역]] 1, 4번 승강장 (부본선) || ||<(> [[운길산역]] 1, 4번 승강장 (부본선) || ||<(> [[양수역]] 1, 4번 승강장 (부본선) || ||<(> [[신원역]] 1, 4번 승강장 (부본선) || ||<(> [[국수역]] 1, 4번 승강장 (부본선) || ||<(> [[아신역]] 1, 4번 승강장 (부본선) || ||<(> [[양평역(중앙선)|양평역]] 1, 8번 승강장 (부본선) || ||<(> [[원덕역]] 1, 4번 승강장 (부본선) || || [[수도권 전철 경춘선]] || ||<(> --[[망우역]] 4, 7번 승강장 (부본선)-- || ||<(> [[퇴계원역]] 1, 4번 승강장 (부본선) || ||<(> [[사릉역]] 1, 4번 승강장 (부본선) || ||<(> [[평내호평역]] 1, 4번 승강장 (부본선) || ||<(> [[마석역]] 1, 4번 승강장 (부본선) || ||<(> [[대성리역]] 1, 4번 승강장 (부본선) || ||<(> [[청평역]] 1, 4번 승강장 (부본선) || ||<(> [[가평역]] 1, 4번 승강장 (부본선) || ||<(> [[강촌역]] 1, 4번 승강장 (부본선) || ||<(> [[김유정역]] 1, 4번 승강장 (부본선) || || [[수도권 전철 4호선]] || ||<(> [[상록수역]] 1, 4번 승강장 (부본선) ||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 [[송도역]] 1, 4번 승강장 (부본선) || || [[수도권 전철 서해선]] || ||<(> [[능곡역]] 3, 6번 승강장 (부본선) || }}} || || {{{#!folding [ 한국철도공사의 현재 설치 중이거나 추후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할 계획인 역 (특수) ] || [[수도권 전철 1호선]] || ||<(> [[광운대역]] 4, 5번 승강장 (이문기지 및 성북분소 입·출고 열차 시·종착) || ||<(> [[영등포역]] 5번 승강장 (영등포 착발 셔틀 열차 시·종착 및 서울역 녹색 급행 열차 정차) || ||<(> [[인천역]] 1, 2, 3번 승강장 (인천 착발 열차 시·종착)[* 2023년 6월 공사를 발주, 2024년 3월까지 설치할 예정이다. [[http://www.inche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185703|기사]] 참고] || ||<(> [[천안역]] 5, 8번 승강장 (천안 착발 열차 시·종착) || ||<(> 지상 [[서울역]] 1, 2번 승강장 (서울역 착발 녹색 급행 열차 시·종착)[* 대부분 2번 승강장에서 취급한다. 인천역과 같이 승강장 개량 공사 이후 설치될 예정이다.] || }}} || || {{{#!folding [ 한국철도공사의 현재 스크린도어 설치 계획이 아직까지 없는 역 (일반) ] || [[수도권 전철 1호선]] || ||<(> [[동두천중앙역]] 1, 4번 승강장 (부본선) || ||<(> [[지행역]] 1, 4번 승강장 (부본선) || ||<(> [[오류동역]] 2, 3번 승강장 (통과선) || ||<(> [[온수역]] 2, 3번 승강장 (통과선) || ||<(> [[중동역(경인선)|중동역]] 2, 3번 승강장 (통과선) || ||<(> [[부개역]] 2, 3번 승강장 (통과선) || ||<(> [[백운역]] 2, 3번 승강장 (통과선) || ||<(> [[간석역]] 2, 3번 승강장 (통과선) || ||<(> [[도화역]] 2, 3번 승강장 (통과선) || ||<(> [[도원역]] 2, 3번 승강장 (통과선) || ||<(> [[석수역]] 중앙 승강장 (통과선) || ||<(> [[관악역]] 중앙 승강장 (통과선) || ||<(> [[명학역]] 중앙 승강장 (통과선) || ||<(> [[직산역]] 중앙 승강장 (통과선) || ||<(> [[두정역]] 2, 3번 승강장 (통과선) || ||<(> [[배방역]] 1, 4번 승강장 (부본선)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 [[파주역]] 1, 4번 승강장 (부본선) || ||<(> [[금촌역]] 1, 4번 승강장 (부본선) || || [[수도권 전철 경춘선]] || ||<(> [[춘천역]] 5번 승강장 (하행 부본선) || || [[수도권 전철 4호선]] || ||<(> [[산본역]] 1, 4번 승강장 (부본선) ||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 [[신길온천역]] 1, 4번 승강장 (부본선) || ||<(> [[월곶역]] 1, 4번 승강장 (부본선) || ||<(> [[인천논현역]] 1, 4번 승강장 (부본선) || ||<(> [[남동인더스파크역]] 1, 4번 승강장 (부본선) || }}} || || {{{#!folding [ 한국철도공사의 현재 스크린도어 설치 계획이 아직까지 없는 역 (특수) ] || [[수도권 전철 1호선]] || ||<(> [[광명역]] 고상 승강장 (광명 착발 셔틀 열차 시·종착)[* [[신안산선]] 및 [[경강선]] 개통 후 영등포 ~ 광명 셔틀은 운행을 중단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따로 설치하지 않는다.]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 [[도라산역]] 1번 승강장 (도라산 관광 셔틀 열차 시·종착)[* 주말, 공휴일 한정으로 일 1회 운행하는 데다가, 해당 구간은 광역전철 노선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이다. 게다가 민통선 내부라 [[군사경찰]]들의 감시가 철저할 것이기 때문에 굳이 설치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거기다 현재는 코로나 19 확산으로 인해 무기한으로 운행이 중지되었다.] || || [[수도권 전철 4호선]] || ||<(> [[금정역]] 6번 승강장 (오이도발 금정행 막차·금정발 오이도행 첫차 시·종착)[* 현재 5번 승강장은 개폐식 안전 펜스로 막혀 있다.] || }}} || [[https://m.dcinside.com/board/monorail/244785|#1]] [[https://m.dcinside.com/board/monorail/310856|#2]] [[https://m.dcinside.com/board/monorail/311093|#3]] [[https://m.dcinside.com/board/monorail/430451|#4]] 게시글 참고 == [[동남권 광역전철]] == * [[부산교통공사]]: 100% ([[부산 도시철도 3호선|부산 3호선]]과 [[부산 도시철도 4호선|부산 4호선]]은 건설할 때부터 전 역사에 스크린도어를 설치) * [[부산김해경전철]]: 100% (건설할 때부터 전 역사에 스크린도어를 설치) * [[동해선 광역전철]]: 100%[* 1단계 부전 ~ 일광 구간은 개통 당시에는 일반철도로서 건설되었기 때문에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대상에 포함되지 않아 안전 펜스만 설치된 상태였다. [[한국철도공사]]와 [[국가철도공단]]에서는 2022년도까지 부전 ~ 일광 구간의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를 완료하겠다고 했었으며, 2021년 9월부터 공사를 시작해 2023년 6월 28일에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 가동을 시작했다. 2단계 좌천 ~ 태화강 구간은 개통 당시부터 스크린도어가 이미 설치되어 있었다.] == 기타 광역전철 == * [[대구 도시철도]]: 100% - 서울, 부산을 제외하고는 유일하게 스크린도어 없이 개통된[* [[대실역]]과 [[다사역]]은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이 2005년 개통할 당시부터 설치되어 있었다.] 도시철도이며, 전국 도시철도 중에서 가장 늦게 전 역사 스크린도어 설치 공사가 끝났다. ([[대구 도시철도 3호선|대구 3호선]]은 건설할 때부터 전 역사에 스크린도어를 설치) * [[대전 도시철도]]: 100% (건설할 때부터 전 역사에 스크린도어를 설치) * [[광주 도시철도]]: 100% - 국내 최초로 스크린도어를 [[금남로4가역]]과 [[문화전당역]]에 시범적으로 설치했다. == [[고속철도]], 일반철도 구간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역 == * [[수서평택고속선]] [[동탄역]]: 국내 최초로 고속철도 구간에 승강장 스크린도어를 설치한 역사. 승강장이 [[SRT]] 전용으로 정차하기 때문에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가 가능했다. 도어가 선로 쪽으로 바짝 붙어 있는 것이 아니라, 몇 미터 떨어진 위치에 있다. 이로 인해 열차와 도어 사이에 넓은 공간이 생기며, 정차 위치가 다소 어긋나더라도 승·하차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승무원이 수동으로 개폐한다. * [[중부내륙선]] KTX 운행 역: [[충주역]], [[앙성온천역]], [[감곡장호원역]], [[가남역]]은 KTX-이음 전용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 [[부발역]] 제외] 열차의 3~6호차는 문 위치에 맞추어 전철과 같은 형태로 되어 있으며, 1~2호차의 출입문은 가까이 붙어 있어서 종합병원에서 보이는 침대용 엘리베이터처럼 일방개폐형으로 여닫힌다. [[https://youtu.be/iuQaLZa8l30|참조]] * [[중앙선]] KTX 운행 역: [[서원주역]], [[원주역]], [[제천역]], [[단양역]], [[풍기역]], [[영주역]], [[안동역]] 고상 홈에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었다. [[서원주역]], [[원주역]]은 현재 가동 중이며 [[제천역]], [[단양역]], [[풍기역]], [[영주역]], [[안동역]]은 가동 준비중이다. 추후에 연장 개통할 [[의성역]], [[군위역]], [[영천역]], [[경주역|신경주역]] 고상 홈에도 스크린도어를 설치하기 위해 발주가 나갔다. * [[경강선]] KTX 운행 역: [[기획재정부]] 총사업비 협의를 거쳐 2024년까지 [[만종역]]부터 [[강릉역]]까지 전 역에 스크린도어 설치 예정이다. == 그 외 설치 역 == 아직 일반철도나 고속철도는 승강장 스크린도어를 설치할 엄두도 못 내고 있다. 우선 일반철도는 승강장 길이부터가 전철 승강장에 비하면 매우 길고, 같은 등급의 열차마다 차량의 규격이나 수도 전부 다 다르고, 거기에다 중련이니 뭐니 다 포함하면 복잡해져서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그나마 가능성이 있는 건 KTX 계통만 다니고 지하 역으로 지어지는 [[수색-금천구청 고속철도]]의 용산역, 서울역, 수색역 뿐이다. 다만 차후 모든 일반철도, 고속철도 승강장이 고상 홈으로 바꿀 계획이 있으니[* 현재 KTX, KTX-산천, SRT, ITX-새마을, 무궁화호 열차를 제외한 다른 열차들은 모두 고상 홈 대응이 가능하다.] 먼 미래에 모든 승강장이 고상 홈으로 바뀌어야 해당 역들의 승강장도 스크린도어 설치가 가능할 듯 싶다.[* [[누리로]] 대응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누리로가 ITX-마음 정차 위치에 대응을 하더라도 일부 호차에 한해 [[도어컷]]을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이 중 [[ITX-마음]] 정차가 예정된 167개 역의 경우 2028년까지 고상 홈 구축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https://www.re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546|기사]] 최근 [[고속철도]]/[[일반철도]]가 정차하는 [[광역전철]] 역의 스크린도어는 상호 열차 간 승·하차 호환이 되도록 겸용 스크린도어의 발주가 이루어지고 있다. * [[경강선]] [[판교역(성남)|판교역]]의 경우 [[KTX-이음]]과 [[광역전철]] 간 호환이 되도록 설계된 스크린도어가 발주되었다. * [[경강선]] [[부발역]]의 경우 [[KTX-이음]], ITX-마음, [[광역전철]] 간 3중 호환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스크린도어가 발주되었다. [[https://gall.dcinside.com/m/monorail/375317|#1]] [[https://gall.dcinside.com/m/monorail/379974|#2]] * [[수도권 전철 서해선|서해선]] [[김포공항역]]의 경우 [[KTX-이음]] 정차를 대비하여 다중 슬라이드형 스크린도어가 개통 시부터 설치되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스크린도어, version=2248)] [[분류:스크린도어]][[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