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다른 스콜포녹, rd1=스콜포녹)]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파일:Kingdom_Predacon_insignia.png|width=50]] }}} || ||<-2> [[파일:ROTB_Scorponok.jpg |width=100%]] || ||<-2> '''{{{#fff {{{+1 스콜포녹}}} [br]Scorponok / スコルポノック}}}''' || || '''{{{#fff 알트 모드}}}''' ||[[전갈]] || || '''{{{#fff 소속}}}''' ||[[프레데콘(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프레데콘]] || [목차] == 개요 == [[트랜스포머: 비스트의 서막]]의 [[스콜포녹]]. 원작과 다르게 극중에선 [[테러콘(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테러콘]]들이 부리는 양산형 병사로 묘사된다. 다만 인터뷰 자료등을 통해 프레데콘 소속 설정 자체는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유니크론이 노예로 부리는 것으로 보인다. == 작중 행적 == === [[트랜스포머: 비스트의 서막]] === 도입부에서 맥시멀들의 고향 행성을 습격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했다. 두 개체가 [[에이프링크]]를 습격하나 [[옵티머스 프라이멀(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옵티머스 프라이멀]]에게 목이 뽑히며 격퇴당한다. 이후에 나타난 개체도 [[에어레이저(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에어레이저]]에게 격퇴당하고 만다. 이후 후반부 전투에서 [[스커지(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스커지]]가 [[유니크론(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유니크론]]에게 지원 요청을 하자 유니크론이 수십마리의 스콜포녹들을 지구로 내려보낸다. 그러나 이들도 얼마못가 오토봇과 맥시멀에 의해 격퇴당하고, 그마저도 최후에는 유니크론에 의해 전원 다 빨려들어가 삼켜졌다. == 완구 == * '''비스트 웨포나이저 스콜포녹 & 샌드스피어''' [[파일:ROTB 비스트 웨포나이저 스콜포녹.jpg|width=700]] 얼굴이 트랜스포머: 패자의 역습 개봉 당시 출시된 디럭스 클래스 데드 엔드를 닮았다. 이는 원화를 반영한 것이 아닌, 해외 유저의 창작 작례를 참고했기 때문. === [[스튜디오 시리즈]] === * '''SS-107 디럭스 클래스 프레데콘 스콜포녹''' [[파일:스튜디오 시리즈 디럭스 클래스 ROTB 스콜포녹.jpg|width=700]] 작중에서는 등장하지 않은 로봇 모드가 재현되었다. 꼬리에는 가동 조인트가 달려있으며, 탈부착해 손에 들려줄 수 있다. == 기타 == * 전갈 모습은 리부트 이전의 [[스콜포녹(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스콜포녹]]과 일부 외형이 비슷하게 생겼다. 집게 대신 날카로운 손가락이 달려있고, 얼굴 외형이 다른 등 차이점도 많다. * 원화와 완구에선 초록색 개체가 스콜포녹, 붉은 개체가 샌드스톰, 푸른 개체가 더블펀치로 묘사된다[[https://www.artstation.com/artwork/8bReL6|#]]. 이들은 비스트 워즈 스콜포녹 완구의 리데코 캐릭터들이다. 최종적으로 영화에선 붉은 개체가 출연한다. * 자세히보면 개체별로 크기 차이가 있다. 프라이멀보다 큰 개체들이 있는가하면 반대로 프라이멀이 한손으로 들 수 있을정도로 작은 개체도 있다. * 로봇 모드가 극중에서 구현되지 않은 탓에 [[https://roseknightmare.tistory.com/2480|다양한 형태의 로봇 모드 디자인이 존재한다]]. 개중에는 여러 스콜포녹이 합체해 거대한 형태를 이루는 것도 있었고, 스튜디오 완구는 인간형에 가까운 단독 형태로 구현되었다. [[분류: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등장인물]][[분류:스콜포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