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鈴(すず) == 일본어로 '방울'. == 錫(すず) == 일본어로 '[[주석(원소)|주석]]'. 가타카나로 スズ라고 쓰는 경우가 많다. [[포켓몬스터 금·은]] 영문판에서는 1번을 2번으로 [[오역]]하는 바람에 [[방울탑]]이 주석탑(Tin Tower)이 되었으며 이는 [[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에서 수정되었다. == 이름 == * [[경계선상의 호라이즌]] - [[무카이 스즈]] * [[경계의 린네]] - [[스즈(경계의 린네)]] * [[니세코이]] - [[아야카지 스즈]] * [[도우미 여우 센코 씨]] - 스즈 * [[도쿄 레이븐스]] - [[사오토메 스즈]] * [[아야카시 트라이앵글]] - [[카나데 스즈]] * [[악마의 리들]] - [[슈토 스즈]] * [[앙상블 걸즈!!]] - [[쿠로모리 스즈]] * [[이누가미 양과 네코야마 양]] - 네코야마 스즈 * [[이 세상의 한 구석에]] - 우라노 스즈 ⇒ 호죠 스즈[* 결혼하여 남편 성을 따랐다.] * [[용사다 시리즈]] - [[요코테 스즈]] * BJ [[유혜디]]의 과거 닉네임 - 스즈 * [[사키 -Saki-]] - [[우에시게 스즈]] * [[소녀왕국 표류기]] - [[스즈(소녀왕국 표류기)|스즈]] * [[소녀☆가극 레뷰 스타라이트 시리즈]] - [[미나세 스즈]] * [[쇼콜라 -메이드 카페 큐리오-]] - [[유우키 스즈]] * [[십이국기]] - [[오오키 스즈]] * [[쌍성의 음양사]] - [[쌍성의 음양사/등장인물 #s-3.2.2|스즈]] * [[용과 주근깨 공주]] - '''나이토 스즈''' * [[키이타로 소년의 요괴 그림일기]] - 스즈 * [[아이돌 타임 프리파라]] - 스즈[* [[유메카와 유이]]의 친구][* [[프리티 시리즈|시리즈]]내 상호 동명이인이다.] * [[키랏토 프리☆챤]] - [[쿠로카와 스즈]][* [[프리티 시리즈|시리즈]]네 상호 동명이인이다.] * [[하얀고양이 프로젝트]] - 스즈 * [[학생회 임원들]] - [[하기무라 스즈]] * [[형형색색의 세계]], [[형형색색의 빛]], 붉은 눈동자에 비치는 세계 - 나츠메 스즈 * [[IDOLY PRIDE]] - [[나루미야 스즈]] == '스즈네'의 애칭 == * [[러브라보]] - 타나하시 스즈네 == [[무적코털 보보보]]의 등장인물 == [[파일:external/images2.wikia.nocookie.net/Suzu.png]] 정발판 코믹스에서는 '''벨'''이라는 이름으로 나오지만 투니판에서는 일본판 이름인 스즈 그대로 나온다. 성우는 [[야마자키 와카나]]. 투니버스판 성우는 [[이용신]], 북미판은 [[도로시 일라이어스 판]]. 알대가르퉁 4천왕 중 한명인 [[군함(무적코털 보보보)|군함]]이 가장 아끼는 부하. 진권은 없지만 텔레포트를 능력을 주특기로 가지고 있는 초능력자다[* 2부 진설 보보보보 보보보에서는 [[염동력]]을 써서 싸우는 모습도 잠깐 보였다.]. 겉모습부터 보보보 세계에서는 귀중한 미소녀인데다 이 만화 최고의 악당인 보보보가 인정할 민큼 심성이 올곧고 착한 아이지만, 보보보 세계에 흘러 넘치는 엽기의 마수를 피해가지 못하고 가끔씩 대판 망가지기도 한다. [[파일:external/images3.wikia.nocookie.net/Suzu_stuffed.jpg|width=400]] 처음 등장할 때만 해도 쿨하고 진지한 여전사처럼 보였지만, 이 만화의 등장인물답게 역시나 개그 캐릭터의 소질이 있다. 첫 등장화에서도 적으로 첫 대면한 보보보가 먹으라고 준 [[실러캔스]] 요리를 전부 다 먹은 후[* 실러캔스는 사실상 인간이 소화할 수 없는 지방질로 되어있어서 맛이 없는 건 둘째 치고 먹으면 탈까지 난다.] 과식으로 뻗어버렸다. --이걸 본 보보보가 눈물을 흘리며 감동한 건 덤이다.-- 군함도 나중에 이 사실을 알고 "얘가 이런 캐릭터일 줄은 몰랐다."라고 말하면서 충격을 받았다. 정말 착하고 정상적인 캐릭터지만 저 실러캔스 먹은 것이 하나가 유일한 오점이다. 그런데 그것도 결국 올곧고 착하다는 뜻이기 때문에 혹시 모른다. 보보보가 스즈를 착한 아이라 인정하게 된 계기가 바로 이것으로, 보보보는 단순히 스즈의 발을 묶을 용도로 실러캔스 요리를 던져준 건데 정말로 다 먹어버려서 보보보는 감동했다. 그리고 [[오버(무적코털 보보보)|오버]]와의 싸움이 끝나고 성이 무너질 때 보보보 일행, 군함 그리고 오버까지 구해준다. 구해준 이유가 '''죽일 필요까지 없다고 생각해서'''라고 하자 보보보와 젤라티노는 다시 한 번 감동했다. 허나 오버가 그런 스즈를 인질로 잡자 보보보는 전에 없는 분노를 보이며 오버를 격퇴한다. 보보보 일행이 오버를 격파한 이후에는 고마움의 표시로 보보보 일행을 도와주는 협력자로서 활약하며, 보보보 일행이 [[할레쿨라니(무적코털 보보보)|할레쿨라니]]를 물리치러 갈 때 동행하기도 한다. 할렐루야 랜드에서 선혈의 가르벨과 싸울 땐 돈벼락이 없어서 보보보가 제 실력을 못 내자 '''자신이 직접 돈벼락 코스프레를 하는'''[* 그 모습을 본 보보보가 '''스즈를 정신병원에 신고하려 했고''' (애니메이션에서는 보보보도 덩달아 돈벼락 인형옷을 입는 것으로 바뀌었다.) 뷰티 또한 침통한 표정으로 '''"그것만큼은 해선 안 돼"'''라고 했다. 한편 젤라티노는 돈벼락 인형옷을 뒤집어쓴 채 좌절하고 있는 스즈를 보고 순간 돈벼락으로 착각했다.] 무리수를 두는 등 또다시 망가지며, 뷰티와 ~~돈벼락과~~함께 옥살 삼형제의 인질이 되기도 했다. 할레쿨라니와의 결전에선 그의 돈을 만져선 안 된다며 경고까지 해줬지만 돈에 눈이 먼 바보 [[보보보보 보보보|트]][[돈벼락|리]][[젤라티노|오]]는 돈을 줍기 바빴으며, 돈벼락이 돈으로 변하려 하자 그를 밀치고 동전이 되버린다. 이 때문에 보보보는 돈을 줍지 않고 할레쿨라니에게 엄청난 분노를 표했다. 보보보 일행이 할레쿨라니를 물리친 뒤엔 다시 원래대로 돌아왔으며, 이후 보보보 일행이 납치된 뀌리를 구하러 사이버 도시로 향할 땐 항구까지만 텔레포트로 데려다 주고 배웅하는 모습을 마지막으로 작별한다. 한 동안 등장이 없다 제왕결정전 도중에 하이드레이트의 제물로 바쳐지는 수모를 겪고, 하이드레이트 일행을 물리친 뒤 하늘에서 떨어지는 보보보 일행들 중 이가스뀌리와 뷰티만 구해주고 나머지는 적으로 착각해 땅에 처박히도록 냅둬서 보보보 일행에게 억울하게 욕을 먹었다. 보보보 2기 OP인 [[바카 서바이버]]에서는 아예 보보보와 정식 일행으로 당당히 소개되며, 중간에 아기 인격의 이가스뀌리가 무대에서 방귀를 뀌자 떡꼬치맨과 뷰티를 데리고 순간이동으로 피신하는 등 깨알같은 활약상을 보인다. == Suze == [[파일:external/pernod-ricard.com/suze_small_0.jpg]] 본래 '수즈'라고 읽으나, 하필 오역으로 악명 높은 [[바텐더(만화)]] 초반부를 통해 국내에 알려진 탓에 국내 명칭이 스즈로 정착되었다. スーズ를 그냥 스즈라고 읽어버린 것.[* 참고로 수즈만 그런게 아니라 보드카도 일본식 발음인 워카, 그레인 위스키를 글렌 위스키라고 일본식 그대로 적는 등 만화 초반부에 오독이 많다.] [[비터스]] 계열의 [[리큐르]]이다. 도수는 15도, 혹은 20도. 1885년 파리에서 Fernand Moureaux가 식전주로 개발하였으며 현재는 [[페르노]] 그룹 소속으로 있다. [[용담]] 뿌리(젠티안 루트)를 주 재료로 다양한 식물을 오드비(숙성시키지 않은 브랜디)에 숙성시킨 것이다. 한약과 비슷한 향이 있으며 맛은 약간 쌉쌀한 편이다. 보통 그대로 또는 온더락스로 마시거나 [[탄산수]]에 희석하여 하이볼로 마신다. 널리 알려진 칵테일은 잘 없으나 "수즈 [[김렛]]"이라는, 김렛에서 [[진(술)|진]]을 술로 대체한 레시피가 알려져 있다. 이 역시 [[바텐더(만화)]]에서 소개된 칵테일이다. == [[일본]] [[이시카와현]]의 도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즈시)] [[분류:이름/일본]][[분류:일본어 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