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문법]] [[분류:스웨덴어]]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스웨덴어)] [목차] == 개요 == [[스웨덴어]]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 [[북게르만어군]] 동스칸디나비아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덴마크어]], [[노르웨이어]]와 가장 가깝다. 스웨덴어는 [[굴절어]]에 속한다. 그러나 [[주격]]-[[속격]] 체계이며, 아래에서 설명하듯 굴절이 그리 복잡하지 않다. == [[명사]](Substantiv) == === [[문법적 성|성]](Genus) === 스웨덴어는 성이 2종류로, 통성(Utrum, N-genus), 중성(Neutrum, T-genus)으로 나뉘어진다. 아래의 관사 문단을 보면 알겠지만 통성과 중성 관사에 각각 n, t가 들어가 붙은 명칭이다. 통성이 남성과 여성으로 나뉘는 [[독일어]]나 [[노르웨이어]](뉘노르스크), [[아이슬란드어]]보다 단순하다. 통성명사는 주로 사람에게, 중성명사는 주로 사물에게 적용된다. 스웨덴어 명사 중 약 70~80%가 통성명사라고 한다. 그도 그럴 것이 남성이랑 여성이 합쳐진 것이 통성이기 때문이다. === [[수(문법)|수]](Numerus) === 스웨덴어는 단수명사와 복수명사가 존재한다. 거기에는 다음과 같은 어미를 붙일 수 있다. ||{{{#fecc00 -ar}}} ||pojke-pojkar || ||{{{#fecc00 -er}}} ||rad-rader || ||{{{#fecc00 -or}}} ||flicka-flickor || ||{{{#fecc00 -r}}} ||ko-kor || ||{{{#fecc00 -n}}} ||äpple-äppelen || ||{{{#fecc00 -}}} ||hus-hus || === [[격]](Kasus) === 스웨덴어는 [[주격]](Nominativ)-[[속격]](Genitiv) 체계이다. 명사의 [[속격]]은 일반명사 뒤 -s를 붙여 만든다. [br] -s로 끝나는 명사 뒤에는 '를 s 대신 붙인다. 예)[[안데르스]]의 Anders' 영어와 마찬가지로 일반명사의 [[대격]] 등 다른 격에서의 굴절은 존재하지 않는다. === [[관사]](Artikel) === 스웨덴어의 관사를 구분하는 기준이 3가지가 있다. 성, 수, 부정-정관사. [br] 또한 어말관사라는 개념이 있는데, 관사를 단어 끝에 붙여 나타내는 것이다. || {{{#fecc00 '''부정관사'''}}} || {{{#fecc00 통성명사}}} || {{{#fecc00 중성명사}}} || || {{{#fecc00 단수}}} || en || ett || || {{{#fecc00 복수}}} || -ar || - || || {{{#fecc00 '''정관사'''}}} || {{{#fecc00 통성명사}}} || {{{#fecc00 중성명사}}} || || {{{#fecc00 단수}}} || -(e)n || -et || || {{{#fecc00 복수}}} || -arna || -en || 스웨덴어는 정관사 명사에 형용사를 붙일 때 쓰는 독립 정관사가 있다. 이때는 '''독립 정관사+정관사로 인해 굴절한 형용사[* 주로 a가 붙는다.]+명사.어말관사'''의 형태로 나타낸다. 예)그 작은 개 den lilla hunden/den+lilla+hund.en || {{{#fecc00 '''독립 정관사'''}}} || {{{#fecc00 통성명사}}} || {{{#fecc00 중성명사}}} || || {{{#fecc00 단수}}} || den || det || || {{{#fecc00 복수}}} ||<-2> de || == [[대명사]](Pronomen) == === [[인칭대명사]](Personliga pronomen) === || {{{#fecc00 '''주격'''}}} || {{{#fecc00 1인칭}}} || {{{#fecc00 2인칭}}} || {{{#fecc00 3인칭}}} || || {{{#fecc00 단수}}} || jag(나) || du(예삿말)[br]ni(존댓말)[* 현재는 왕실을 제외하면 거의 쓰이지 않는다.] || han(그)[br]hen(그-그녀)[br]hon(그녀)[br]den(그것)[br]det(그것) || || {{{#fecc00 복수}}} || vi(우리) || ni(너희) || de(그들) || 예삿말 du는 영어의 [[thou]]와 같은 어원으로, 영어에 [[thou]](예삿말)와 you(높임말과 복수)의 구별이 있었을 때로 따지면 du가 thou고 ni가 you다. 하지만 영어는 [[thou]]가 사라져 you가 그 자리에 쓰이는 데 반해[* 자세한 건 [[thou]] 문서 참고] 스웨덴어는 ni가 사라져가고 du가 그 자리에 자주 쓰인다. [br] 단수 중 det만이 유일하게 중성 취급이다. mig, dig는 '메이', '데이'처럼 읽으며 mej, dej로도 쓸 수 있다. [br] hen은 성별에 관계없이 어떤 사람에게든 쓸 수 있다. 젠더 인권 등의 이유로 현대에 와서 새로 만들어진 단어이다. || {{{#fecc00 '''속격'''}}} || {{{#fecc00 1인칭}}} || {{{#fecc00 2인칭}}} || {{{#fecc00 3인칭}}} || || {{{#fecc00 단수}}} || min[*통 통성][br]mitt[*중 중성][br]mina[*복 복수] || din[*통][br]ditt[*중][br]dina[*복] || hans(그의)[br]hens(그-그녀의)[br]hennes(그녀의)[br]dess(그것의) || || {{{#fecc00 복수}}} || vår[*통][br]vårt[*중][br]våra[*복] || er[*통][br]ert[*중][br]era[*복] || deras || 스웨덴어는 속격 인칭대명사와 [[속격#s-3.1.1.1.|소유대명사]](Possessiva pronomen)가 같다. || {{{#fecc00 '''대격-여격'''}}} || {{{#fecc00 1인칭}}} || {{{#fecc00 2인칭}}} || {{{#fecc00 3인칭}}} || || {{{#fecc00 단수}}} || mig || dig || honom(그를)[br]hen(그-그녀를)[br]henne(그녀를)[br]det(그것을) || || {{{#fecc00 복수}}} || oss || er || dem || === [[재귀대명사]](Reflexiva pronomen) === ||{{{#fecc00 속격}}}||sin[*통][br]sitt[*중][br]sina[*복]|| ||{{{#fecc00 대격-여격}}}||sig|| sig는 mig, dig처럼 '세이'라고 읽으며 sej로도 쓸 수 있다. == [[수사(품사)|수사]] == || {{{#fecc00 0}}} ||noll ||놀 || {{{#fecc00 10}}} ||tio ||티오 || {{{#fecc00 -}}} || - || - || || {{{#fecc00 1}}} ||ett ||에트 || {{{#fecc00 11}}} ||elva ||엘바 || {{{#fecc00 -}}} || - || - || || {{{#fecc00 2}}} ||två ||트보 || {{{#fecc00 12}}} ||tolv ||톨브 || {{{#fecc00 20}}} ||tjugo ||슈고 || || {{{#fecc00 3}}} ||tre ||트레 || {{{#fecc00 13}}} ||tretton ||트레톤 || {{{#fecc00 30}}} ||trettio ||트레티오 || || {{{#fecc00 4}}} ||fyra ||퓌라 || {{{#fecc00 14}}} ||fjorton ||피오톤 || {{{#fecc00 40}}} ||fjortio ||피오티오 || || {{{#fecc00 5}}} ||fem ||펨 || {{{#fecc00 15}}} ||femton ||펨톤 || {{{#fecc00 50}}} ||femtio ||펨티오 || || {{{#fecc00 6}}} ||sex ||섹스 || {{{#fecc00 16}}} ||sexton ||섹스톤 || {{{#fecc00 60}}} ||sextio ||섹스티오 || || {{{#fecc00 7}}} ||sju ||후 || {{{#fecc00 17}}} ||sjutton ||후톤 || {{{#fecc00 70}}} ||sjuttio ||후티오 || || {{{#fecc00 8}}} ||åtta ||오타 || {{{#fecc00 18}}} ||arton ||아톤 || {{{#fecc00 80}}} ||åttio ||오티오 || || {{{#fecc00 9}}} ||nio ||니오 || {{{#fecc00 19}}} ||nitton ||니톤 || {{{#fecc00 90}}} ||nittio ||니티오 || ||{{{#fecc00 백([[100|{{{#fecc00 100}}}]])}}} ||ett hundra ||에트 훈드라 || ||{{{#fecc00 천([[1000|{{{#fecc00 1000}}}]])}}} ||ett tusen ||에트 투센 || ||{{{#fecc00 만([[10000|{{{#fecc00 10000}}}]])}}} ||tio tusen ||티오 투센 || ||{{{#fecc00 십만([[100000|{{{#fecc00 100000}}}]], 10^^5^^)}}} ||hundra tusen ||훈드라 투센 || ||{{{#fecc00 백만([[1000000|{{{#fecc00 1000000}}}]], 10^^6^^)}}} ||en miljon ||엔 밀리온 || ||{{{#fecc00 십억([[10억|{{{#fecc00 1000000000}}}]], 10^^9^^)}}} ||en miljard ||엔 밀리아드 || ||{{{#fecc00 조([[조(수)|{{{#fecc00 1000000000000}}}]], 10^^12^^)}}} ||en biljon ||엔 빌리온 || hundra, tusen은 중성, miljon부터는 통성명사다. [br] 수를 띄어 적는 경우도, 붙여 적는 경우도 있다. 'tio tusen'같이 작은 수를 큰 수 앞에 붙여 큰 수를 표현하는 경우나, 'två tusen'같은 경우처럼 한 자릿수가 여러 단어인 경우에는 띄어 써야 한다. 그러나, 한 자릿수가 한 단어인 123(hundratjugotre, hundra+tjugo+tre)같은 경우에는 붙여 적는다. 소수점은 [[영어]]와 마찬가지로 .으로 적는다. 그런데 소수점을 [[온점]]으로 적어 놓고서는 [[쉼표]]처럼 콤마(komma)라고 읽는다(...) === [[서수#s-2.1|서수]] === || {{{#fecc00 -}}} ||- ||- || {{{#fecc00 10}}} ||tio ||티오 || {{{#fecc00 -}}} || - || - || || {{{#fecc00 1}}} ||först ||푀슈트 || {{{#fecc00 11}}} ||elfte ||엘프테 || {{{#fecc00 -}}} || - || - || || {{{#fecc00 2}}} ||andra ||안드라 || {{{#fecc00 12}}} ||tolfte ||톨프테 || {{{#fecc00 20}}} ||tjugonde ||슈곤데 || || {{{#fecc00 3}}} ||tredje ||트레디에 || {{{#fecc00 13}}} ||trettonde ||트레톤데 || {{{#fecc00 30}}} ||trettionde ||트레티온데 || || {{{#fecc00 4}}} ||fjärde ||피에데 || {{{#fecc00 14}}} ||fjortonde ||피오톤데 || {{{#fecc00 40}}} ||fyrtionde[* 놓치기 쉽지만 불규칙이다. fjorttio에서 바뀌었다.] ||퓌티온데 || || {{{#fecc00 5}}} ||femte ||펨테 || {{{#fecc00 15}}} ||femtonde ||펨톤데 || {{{#fecc00 50}}} ||femtionde ||펨티온데 || || {{{#fecc00 6}}} ||sjätte ||훼테 || {{{#fecc00 16}}} ||sextonde ||섹스톤데 || {{{#fecc00 60}}} ||sextionde ||섹스티온데 || || {{{#fecc00 7}}} ||sjunde ||훈데 || {{{#fecc00 17}}} ||sjuttonde ||후톤데 || {{{#fecc00 70}}} ||sjuttionde ||후티온데 || || {{{#fecc00 8}}} ||åttonde ||오톤데 || {{{#fecc00 18}}} ||artonde ||아톤데 || {{{#fecc00 80}}} ||åttionde ||오티온데 || || {{{#fecc00 9}}} ||nionde ||니온데 || {{{#fecc00 19}}} ||nittonde ||니톤데 || {{{#fecc00 90}}} ||nittionde ||니티온데 || 1째를 의미하는 först는 명사를 수식하는 의미로 쓰일 때 första로 굴절한다. ||{{{#fecc00 백([[100|{{{#fecc00 100}}}]])}}} ||hundradel ||훈드라델 || ||{{{#fecc00 천([[1000|{{{#fecc00 1000}}}]])}}} ||tusendel ||투센델 || ||{{{#fecc00 백만([[1000000|{{{#fecc00 1000000}}}]], 10^^6^^)}}} ||miljonte ||밀리온테 || ||{{{#fecc00 십억([[10억|{{{#fecc00 1000000000}}}]], 10^^9^^)}}} ||miljarder ||밀리아데르 || ||{{{#fecc00 조([[조(수)|{{{#fecc00 1000000000000}}}]], 10^^12^^)}}} ||biljon ||빌리온 || === 분수 === '(분자) (분모)' 꼴로 읽는다. 분자는 일반 수사와 같지만, 분모는 그렇지 않다. '2분의'는 halv(할브)라 하며, 나머지는 [[서수]]에 -del을 붙인다. 예를 들어, 3분의 1은 en tredjedel이다. === 시간 표현 === 스웨덴어는 ~시 ~분을 영어와 마찬가지로 따로 읽는다. [br] 그런데 ~시 반(half past ~)는 반 ~시(halv ~)로 적는다. 예를 들어, 3시 반(halv past three)은 반 4시(halv fyra)라고 한다. == [[동사(품사)|동사]](Verb) == 부정형(원래 형태), 현재형, 과거형, 명령형의 4가지 형태가 있다. [br] 이외에도 수동태형, 과거분사 등이 존재한다. == [[형용사]](Adjektiv) == 관사와 마찬가지로 성, 수에 따라 굴절한다. == [[부사(품사)|부사]](Adverb) == == 접속사 == 기초적인 접속사로는 och(그리고), eller(또는), för(왜냐하면), men(그러나) 등이 있다. || medan || ~하는 동안 || == 기타 == [[쌍점]]을 자주 사용한다.줄임말(Sankt→S:t)에서도 쓰고, 가격표에서 소숫점 자리까지 쌍점으로 쓰는 경우도 흔하다. 100크로나 → '100:-kr' 같은 식으로. 순서에 해당하는 서수(첫번째, 두번째 등)를 숫자로 표기하는 경우에도 쌍점을 쓴다. 영어에서 1st, 2nd, 3rd를 쓰듯이 첫번째를 의미하는 första는 1:a, 두번째인 andra는 2:a, 세번째인 tredje는 3:e로 표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