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nclude(틀:체스게임, info=, a8=, b8=, c8=, d8=, e8=, f8=, g8=Rb, h8=Kb, a7=, b7=, c7=, d7=, e7=, f7=Nw, g7=Pb, h7=Pb, a6=, b6=, c6=, d6=, e6=, f6=, g6=, h6=, a5=, b5=, c5=, d5=, e5=, f5=, g5=, h5=, a4=, b4=, c4=, d4=, e4=,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 b2=, c2=, d2=, e2=, f2=, g2=, h2=, a1=, b1=, c1=, d1=, e1=, f1=, g1=, h1=, caption=)] || || 스머더드 메이트의 예시[* 룩과 폰이 킹이 갈 수 있는 칸을 가로막고 있는 바람에 나이트의 체크를 킹이 피할 수 없어 [[체크메이트]]가 발생한 상황이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체스]]의 [[체크메이트]] 패턴 중 하나. 나이트로 체크메이트가 되는 상황으로, 퀸이나 비숍 등 다른 말과 협동해 나이트가 메이트를 하는 경우도 그렇게 부르지만 보통은 위 형태처럼 아군 기물들이 사방을 막아버려 킹이 이동할 칸이 다른 말들에 막혀 영문 뜻 그대로 [[질식]]한 것처럼 보여지는 체크메이트 형태를 일컫는다. 주로 킹이 구석에 가까워지는 킹사이드 캐슬링 후 일어난다. 이게 가능한 이유는 체스에서 체크를 피하는 방법은 크게 세가지로 킹을 움직여 피하거나, 기물의 경로를 가로막거나 혹은 공격하는 기물을 잡는 것 이 세가지가 존재하는데, 나이트에겐 두번째 방법이 통하지 않는 데다가, 다른 기물에 가로막혀 킹이 움직일 수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즉, 상대가 자기 기물에 다 막혀 킹이 갇혀 버렸는데, 나이트만은 유일하게 다른 기물을 넘어 다닐 수 있어서 가능한 메이트이다. == 대응법 == 대응 방법은 간단한데, 킹이 움직일 수 있는 길을 터놓으면 아주 쉽게 대응할 수 있다. 다만 상대 기물이 그 길을 공격하고 있거나, 킹이 그 길로 가면 포지션상 더 위험해지는 경우도 있기에 주의가 필요하다. == 패턴 == ||<-7> {{{+2 '''Philidor's Legacy'''}}} || ||[include(틀:체스게임, info=, a8=Rb, b8=, c8=, d8=, e8=, f8=, g8=, h8=Kb, a7=, b7=, c7=, d7=, e7=, f7=, g7=Pb, h7=Pb, a6=, b6=, c6=, d6=, e6=, f6=, g6=, h6=, a5=, b5=, c5=, d5=, e5=Nw, f5=, g5=, h5=, a4=, b4=, c4=Qw, d4=, e4=,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 b2=, c2=, d2=, e2=, f2=, g2=, h2=, a1=, b1=, c1=, d1=, e1=, f1=, g1=, h1=, caption=1.Qc4+ Kh8)]||[include(틀:체스게임, info=, a8=Rb, b8=, c8=, d8=, e8=, f8=, g8=Kb, h8=, a7=, b7=, c7=, d7=, e7=, f7=Nw, g7=Pb, h7=Pb, a6=, b6=, c6=, d6=, e6=, f6=, g6=, h6=, a5=, b5=, c5=, d5=, e5=, f5=, g5=, h5=, a4=, b4=, c4=Qw, d4=, e4=,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 b2=, c2=, d2=, e2=, f2=, g2=, h2=, a1=, b1=, c1=, d1=, e1=, f1=, g1=, h1=, caption=2.Nf7+ Kg8 )]||[include(틀:체스게임, info=, a8=Rb, b8=, c8=, d8=, e8=, f8=, g8=, h8=Kb, a7=, b7=, c7=, d7=, e7=, f7=, g7=Pb, h7=Pb, a6=, b6=, c6=, d6=, e6=, f6=, g6=, h6=Nw, a5=, b5=, c5=, d5=, e5=, f5=, g5=, h5=, a4=, b4=, c4=Qw, d4=, e4=,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 b2=, c2=, d2=, e2=, f2=, g2=, h2=, a1=, b1=, c1=, d1=, e1=, f1=, g1=, h1=, caption= 3.Nh6++ Kh8)]||[include(틀:체스게임, info=, a8=, b8=, c8=, d8=, e8=, f8=, g8=Rb, h8=Kb, a7=, b7=, c7=, d7=, e7=, f7=, g7=Pb, h7=Pb, a6=, b6=, c6=, d6=, e6=, f6=, g6=, h6=Nw, a5=, b5=, c5=, d5=, e5=, f5=, g5=, h5=, a4=, b4=, c4=, d4=, e4=,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 b2=, c2=, d2=, e2=, f2=, g2=, h2=, a1=, b1=, c1=, d1=, e1=, f1=, g1=, h1=, caption=4.Qg8+! Rxg8)]||[include(틀:체스게임, info=, a8=, b8=, c8=, d8=, e8=, f8=, g8=Rb, h8=Kb, a7=, b7=, c7=, d7=, e7=, f7=Nw, g7=Pb, h7=Pb, a6=, b6=, c6=, d6=, e6=, f6=, g6=, h6=, a5=, b5=, c5=, d5=, e5=, f5=, g5=, h5=, a4=, b4=, c4=, d4=, e4=,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 b2=, c2=, d2=, e2=, f2=, g2=, h2=, a1=, b1=, c1=, d1=, e1=, f1=, g1=, h1=, caption=5.Nf7#)]|| 위 패턴은 18세기 프랑스의 체스 선수이자 저술가인 필리도어[* [[필리도어 디펜스]]의 그 필리도어 맞다.]의 이름을 따 필리도어의 유산(philidor's legacy)이라고도 한다.[* 3.Nh6+는 퀸과 나이트의 더블 체크라 킹이 이동해야 하는데, 3...Kf8(1...Kf8도)의 경우 4.Qf7#] 오프닝 중 트랩에서 스머더드 메이트가 나오기도 하는데, 대표적으로 [[인디언 디펜스|부다페스트 갬빗]]과 [[이탈리안 게임]]의 블랙번-쉴링 갬빗, 넓게는 [[클로즈드 게임|할로사 트랩]] 등이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체크메이트, version=280, paragraph=4.5)] [[분류:체크]][[분류:나무위키 체스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