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스기우치 토시야/선수 경력/후쿠오카 다이에-소프트뱅크 호크스)] [목차]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기우치_2009년.jpg|width=100%]]}}} || [[스기우치 토시야]]의 2009년 활약을 서술한 문서. == 시즌 전 == [[아키야마 코지]] 감독 휘하에서 치르는 첫 시즌. 전년도 에이스로서 팀을 하드캐리한 것에 대한 보상으로 연봉이 21% 인상되며 2억 3000만엔(추정)에 사인했다. [[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로서 차출되었다. 그 대비로서 투구폼에 미묘한 변화[* 타자에게 그립이 노출된다는 말을 듣고 다리를 든 후의 글러브의 위치를 올렸다고 한다.]를 주었다. == 페넌트레이스 == === 3~4월 === ==== 4월 5일 : [[오릭스 버팔로즈|오릭스]]전 (홈) [{{{#green ND}}}] ==== 7.2이닝 1실점 QS+로 좋은 투구를 보여주었으나 [[스기우치 토시야/선수 경력/2008년|지난 해]]의 데자뷰인 듯 타선이 침묵하며 ND. 그래도 팀은 연장 10회말 끝내기로 1-2 승리를 거뒀다. 이 경기에서 5탈삼진을 기록하며 역대 122번째 '''통산 1000탈삼진''' 투수가 되었다. 덧붙여 역대 4번째로 빠른 페이스 (979 ⅓이닝)로 기록한 것이기도 하다. ==== 4월 12일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닛폰햄]]전 (홈) [{{{#blue 승리}}}] ==== 7이닝 3실점으로 QS+를 거두었다. 타선도 적절히 5점을 지원하며 승리에 보탰고, 불펜도 1점만 실점하며 승리를 지켜냈다. ==== 4월 19일 : [[치바 롯데 마린즈|롯데]]전 (원정) [{{{#blue 승리}}}] ==== 타선이 간만에 대폭발하며 6이닝 3실점 QS로 승리를 챙겼다. [[고쿠보 히로키]]의 4타점 원맨쇼를 포함해 [[하세가와 유우야]] - [[타노우에 히데노리]] - 시바하라 히로시의 5-6-7번이 5타점을 쓸어담아 팀의 12-5 대승의 주역이 되었다. ==== 4월 26일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라쿠텐]]전 (홈) [{{{#red 패배}}}] ==== 7이닝 4실점(3자책) QS+를 거두었지만 패배. 타선이 라쿠텐 투수진에게 꽁꽁 묶였다. 3~4월 종합 성적 4선발 2승 1패 평균자책점 3.25를 기록했다. === 5월 === ==== 5월 3일 : [[치바 롯데 마린즈|롯데]]전 (홈) [{{{#blue 승리}}}] ==== 7이닝 2실점 QS+로 롯데 타선을 요리하며 승리를 챙겼다. 2실점이 모두 솔로 홈런인게 아쉬울 뿐.. ==== 5월 10일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세이부]]전 (홈) [{{{#blue 승리}}}] ==== 8이닝 '''12탈삼진''' 1실점 DS를 기록하며 승리를 챙겼다. 타선도 4회 4득점을 중심으로 8점을 지원하며 어깨를 가볍게 해주었다. ==== 5월 19일 : [[한신 타이거스|한신]]전 (홈) [{{{#green ND}}}] ==== 7이닝 무실점 QS+를 기록했으나 야수진이 3안타밖에 치지 못하는 빈공에 ND. 팀은 11안타를 맞으며 꾸역꾸역 한신의 맹공을 막아내며 1-1 무승부를 거두었다. ==== 5월 25일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야쿠르트]]전 (원정) [{{{#blue 승리}}}] ==== 4개의 사사구를 내주는 등 컨트롤이 조금 흔들렸지만 굴하지 않고 7이닝 1실점 QS+를 기록하며 승리투수가 되었다. ==== 5월 31일 : [[주니치 드래곤즈|주니치]]전 (홈) [{{{#green ND}}}] ==== 6이닝 3실점 QS를 기록하며 승리투수 요건을 갖추고 내려왔으나 셋츠 타다시가 1실점하며 ND행. 그래도 팀은 9회 끝내기로 4-5 승리를 거두었다. 5월 종합 성적 5선발 3승 무패 평균자책점 1.80을 기록했다. === 6월 === ==== 6월 7일 : [[한신 타이거스|한신]]전 (원정) [{{{#green ND}}}] ==== 6이닝 2실점을 기록했으나 팀은 9회 끝내기 안타를 얻어맞고 3-4 패배. 당연히 승리투수 요건은 날아갔다. ==== 6월 14일 : [[요미우리 자이언츠|요미우리]]전 (홈) [{{{#blue 승리}}}] ==== 1회 [[가와사키 무네노리|가와사키]]의 실책에 이어 연속 안타로 선제 1실점 하긴 했다만 남은 8이닝을 완벽에 가깝게 정리하며 9이닝 1실점(무자책) DS로 '''완투승'''을 기록했다. ==== 6월 21일 : [[요코하마 베이스타즈|요코하마]]전 (원정) [{{{#blue 승리}}}] ==== 전 경기에서 완봉을 달성하지 못한 설움을 달래듯 9이닝동안 단 30타자만을 상대하며 '''완봉승'''을 거둔다. 이 경기로 평균자책점 또한 1점대(1.97) 진입. ==== 6월 27일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세이부]]전 (원정) [{{{#blue 승리}}}] ==== 타선이 폭발하며 6점이라는 든든한 지원속에 6이닝 3실점 QS를 달성하며 가뿐히 승리를 챙겼다. 6월 종합 성적 4선발 3승 무패 평균자책점 1.50으로, 6월 월간 MVP를 수상했다. === 7월 === ==== 7월 4일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닛폰햄]]전 (원정) [{{{#blue 승리}}}] ==== 9이닝 2실점 QS+ 완벽투로 승리를 기록했다. 4회 2실점으로 패전 위기에 몰렸으나 7,9회 타선이 5점을 뽑아주며 구원해냈다. ==== 7월 16일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닛폰햄]]전 (홈) [{{{#red 패배}}}] ==== 7이닝 3실점(2자책) QS+로 호투했으나 패전을 떠안았다. ==== 7월 22일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라쿠텐]]전 (홈) [{{{#green ND}}}] ==== 5.1이닝 6실점으로 털렸다. 타선이 4이닝동안 6점을 지원했음에도 불구하고 5,6회 연속으로 3점, 2점 홈런을 허용하며 동점을 내주고 내려갔다. 7회에 팀이 득점하여 6-7로 승리했기에 ND. 7월 종합 성적 3선발 1승 1패 평균자책점 4.22로 부진했다. === 8월 === ==== 8월 2일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닛폰햄]]전 (원정) [{{{#red 패배}}}] ==== 5.2이닝 5실점으로 또 털렸다. 당연하게도 패전을 적립. ==== 8월 9일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세이부]]전 (원정) [{{{#blue 승리}}}] ==== 7이닝 무실점 QS+를 기록하며 부활했다. 세이부 타선을 잘 막아내며 시즌 '''10승''' 고지에 올랐다. ==== 8월 16일 : [[오릭스 버팔로즈|오릭스]]전 (원정) [{{{#blue 승리}}}] ==== 8이닝 1실점 DS로 가뿐히 승리투수가 되었다. 8월 초의 부진은 일시적이었다는 것을 직접 증명하고 있다. ==== 8월 23일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닛폰햄]]전 (홈) [{{{#blue 승리}}}] ==== 9이닝 1실점 DS로 '''완투승'''을 기록했다. 어느새인가 3연승. ==== 8월 30일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닛폰햄]]전 (원정) [{{{#blue 승리}}}] ==== 7이닝 2실점 QS+로 승리를 기록했다. 4회 2실점으로 말미암은 패전 위기에서 8회초 [[혼다 유이치]] - [[타무라 히토시]]가 연속 적시타를 기록하며 승리투수 요건을 만들어 주었다. 8월 종합 성적 5선발 4승 1패 평균자책점 2.21로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 9~10월 === ==== 9월 6일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세이부]]전 (홈) [{{{#blue 승리}}}] ==== 8이닝 1실점 DS로 가뿐히 승리했다. 타선도 5점을 뽑아주며 안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 9월 13일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라쿠텐]]전 (홈) [{{{#blue 승리}}}] ==== [[가와사키 무네노리|가와사키]]의 끝내기 안타에 힘입어 9이닝 '''11탈삼진''' 1실점으로 '''완투승'''을 거두었다. ==== 9월 20일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세이부]]전 (원정) [{{{#red 패배}}}] ==== 7회 급격히 무너지며 6.2이닝 5실점으로 패전. [[나카무라 타케야]]의 시즌 40호 홈런 또한 허용했다. ==== 9월 26일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닛폰햄]]전 (홈) [{{{#green ND}}}] ==== 7.2이닝 2실점 QS+를 기록하였으나 셋츠 타다시의 블론세이브로 ND. 팀은 연장 12회 1점을 허용하고 패배했다. ==== 10월 6일 : [[오릭스 버팔로즈|오릭스]]전 (홈) [{{{#red 패배}}}] ==== 1,2회에 나온 실책쇼에 힘입어 선제 2실점하더니 그대로 9이닝 2실점(무자책) '''완투패'''. 11탈삼진을 기록하며 [[와쿠이 히데아키]]를 5탈삼진 차이로 제치고 '''2년 연속 최다 탈삼진''' 타이틀을 가져갔다. == 포스트시즌 == === [[2009년 퍼시픽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제1 스테이지 === ==== 10월 16일 1차전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라쿠텐]]전 (원정) [{{{#red 패배}}}] ==== 홈런만 3개를 허용하는 등 2.2이닝 7실점으로 이번 시즌 최악투를 가장 중요한 무대에서 보여주며 패전투수가 되었다. 팀은 스기우치의 조기 강판 + [[이와쿠마 히사시|이와쿠마]]의 완투쇼에 힘입어 4-11로 개털렸다. 이어진 2차전에서도 1-4로 털리며 결국 2004~2009 6시즌 중 4시즌을 가을 야구 무대에서 광탈하는 비극을 맞이했다. == 페넌트레이스 총평 == ||<-11>
'''{{{#ffffff 2009 시즌 최종 성적}}}''' || || '''{{{#fff 경기(선발)}}}'''|| '''{{{#fff 이닝}}}''' || '''[[평균자책점|{{{#fff ERA}}}]]''' || '''{{{#fff 승}}}''' || '''{{{#fff 패}}}''' || '''{{{#fff 세이브}}}''' || '''{{{#fff 홀드}}}''' || '''{{{#fff 탈삼진}}}''' || '''{{{#fff QS(QS+)}}} ''' || '''{{{#fff 완투(완봉)}}}''' || '''[[WHIP|{{{#fff WHIP}}}]]''' || || 26'''(26)^^2위^^''' || '''191^^2위^^''' || '''2.36^^4위^^''' || '''15^^2위^^''' || 5 || 0 || 0 || '''{{{#red 204^^1위^^}}}''' || '''{{{#red 23^^1위^^}}}''''''(19)^^3위^^''' || '''6^^3위^^'''(1) || '''1.09^^2위^^''' || 시즌 전 WBC 차출에도 불구하고 특급 성적을 거두며 클래스를 증명했다. 와다가 빠진 선발진을 데니스 홀튼과 지탱하며 호크스의 포스트시즌 진출을 캐리했다. [[다르빗슈 유]], [[와쿠이 히데아키]], [[다나카 마사히로]]등의 쟁쟁한 경쟁자들을 제치고 '''2년 연속으로 최다 탈삼진''' 타이틀을 차지하며 본인이 구속만으로 보이지 않는 뛰어난 탈삼진 유도 능력을 가졌다는 것 또한 증명했다. == 포스트시즌 총평 == ||<-11>
'''{{{#ffffff 2009 포스트시즌 최종 성적}}}''' || || '''{{{#fff 경기(선발)}}}'''|| '''{{{#fff 이닝}}}''' || '''[[평균자책점|{{{#fff ERA}}}]]''' || '''{{{#fff 승}}}''' || '''{{{#fff 패}}}''' || '''{{{#fff 세이브}}}''' || '''{{{#fff 홀드}}}''' || '''{{{#fff 탈삼진}}}''' || '''{{{#fff QS(QS+)}}} ''' || '''{{{#fff 완투(완봉)}}}''' || '''[[WHIP|{{{#fff WHIP}}}]]''' || || 1(1) || 2 ⅔ || 28.64 || 0 || 1 || 0 || 0 || 2 || 0(0) || 0(0) || 2.63 || 빅게임 피처답지 않게 아주 빠른 시기에 침몰하며 팀의 광탈에 일조했다. == 시즌 후 == 팀메이트 [[아라카키 나기사]]가 스기우치의 처제와 결혼하며 처남-매부 관계를 맺게 되었다. [[분류:야구선수/커리어]] [[분류:스기우치 토시야/선수 경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