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external/mlbpark.donga.com/1.jpg]] [[KBO 리그]]에서 '''포스트시즌까지 완전히 끝난 후에''' 미편성된 잔여 정규리그 경기를 소화하는 상황을 의미하는 말. [[한국시리즈]]가 끝난 후에 또 다른 슈퍼 한국시리즈를 벌인다(...)는 농담성 의미로 붙여졌다. 1982년과 2007년에 실제로 벌어진 해프닝이다. == [[1982년]] [[10월 14일]] == || '''팀'''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R''' || ||<#074CA1> '''[[삼성 라이온즈|{{{#FFFFFF 삼성}}}]]''' || 0 || 0 || 0 || 0 || 0 || 0 || 0 || 1 || 0 ||<#074CA1> '''{{{#FFFFFF 1}}}''' || ||<#1552F8> '''[[MBC 청룡|{{{#FFFF00 MBC}}}]]''' || 0 || 0 || 0 || 0 || 0 || 0 || 0 || 0 || 2X ||<#1552F8> '''{{{#FFFF00 2}}}''' ||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2100700209201006&officeId=00020|1982년 10월 7일자 동아일보 8면. 전날(6일) 롯데와 해태와의 더블헤더를 보도하면서 기사 말미에 MBC 청룡이 전기로 배정된 잔여경기를 7일과 14일에 치른다고 나와 있다.]]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82-10-15&officeId=00032&pageNo=1|1982년 10월 15일 경향신문 8면. 달랑 스코어만 나와있다. 그옆에 프로야구 시상식 기사가 있다.]] 삼성이 [[1982년 한국시리즈]]에서 [[이선희(야구)|이선희]]가 9회 초 만루홈런을 맞으며 우승을 놓친 아쉬움이 채 가시기도 전에 이틀 뒤인 [[10월 14일]]에 [[동대문야구장]]에서 전기리그에 남아있던 [[MBC 청룡]]과의 잔여경기를 치렀다. 당시는 시즌을 전기리그와 후기리그로 나눠 전-후기 각 1위 팀이 한국시리즈에서 맞붙는 형태였다. 해당 경기 결과와 관계 없이 전기리그 순위는 이미 확정되었지만, 미뤄도 한참 뒤로 미뤄버렸다는 점에서는 운영상의 미숙함이 있던 원년의 KBO를 보여준다. 결과는 1:2로 MBC의 끝내기 승리인데 KBO 연감에 따르면, '''[[최정기(야구)|최정기]]'''가 [[성낙수]]를 상대로 '''대타 끝내기 투런 홈런'''을 쳐 MBC가 이겼다고 나와 있다. 이 해 개막전 역시 이종도의 끝내기 만루 홈런으로 끝났으니, [[한국프로야구/1982년|원년 프로야구 시즌]]은 시즌을 [[수미상관|끝내기 홈런으로 시작해 끝내기 홈런으로 끝나는]] 셈이었다. 공교롭게도 두 경기 모두 삼성과 MBC 간의 동대문구장 경기였다. == [[2007년]] [[10월 19일]] == ||
'''팀''' || '''선발'''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R''' || '''H''' || '''E''' || '''B''' || ||<#FF6600>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 '''김경선''' || 0 || 2 || 0 || 1 || 0 || 1 || 0 || 0 || 0 ||<#FF6600> '''{{{#FFFFFF 4}}}''' || 9 || 0 || 1 || ||<#C70125> '''[[KIA 타이거즈|{{{#FFFFFF KIA}}}]]''' || '''[[오준형]]''' || 0 || 0 || 2 || 0 || 1 || 0 || 0 || 0 || 0 ||<#C70125> '''{{{#FFFFFF 3}}}''' || 8 || 3 || 1 || * '''승리투수''': [[정민혁]] * '''패전투수''': [[고우석(1984)|고우석]] * '''세이브''': [[유원상]] * '''승리팀 홀드''': [[윤규진]] * [[http://sports.media.daum.net/sports/gamecenter/1512/cast|문자중계]] * [[https://m.hani.co.kr/arti/sports/baseball/244269.html?_fr=gg#cb|경기 기사]] [[한국프로야구/2007년|2007년 프로야구]]는 전체적으로 우천취소 경기는 많이 없었던 시즌이지만, 유독 [[한화 이글스]]는 많은 경기가 비로 연기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다른 팀들과는 달리 9월 중~하순에 많은 경기를 소화해야 했다. 그런데 엎친 데 덮친 격으로 9월에도 한화의 경기는 비로 계속 연기되면서 준플레이오프 '''2일 전'''인 [[10월 7일]]까지 경기를 해야 했는데, 이 날은 [[무등 야구장]]에서 [[KIA 타이거즈]]와 경기가 잡혔다. 이미 성적은 결정난 상황이고 준플레이오프 직전에 전력을 낭비할 수 없었던 [[김인식]] 한화 감독은 어쩔 수 없이 연속 출장을 기록 중인 [[이범호]]를 제외하고는 후보 선수들로 팀을 구성해 경기에 임했는데, 운명의 장난인지 7일에도 비가 오면서 상당히 곤혹스러운 상태가 되었다. 일단 [[10월 7일]] 경기가 플레이볼은 선언이 되었으나 1회가 끝난 후에 폭우가 쏟아지면서 우천 노게임이 선언되면서 결국 추후편성으로 넘어갔다. 이 상황에서, 지금의 [[한국야구위원회|KBO]]라면 포스트시즌 전체 일정을 하루 늦추고[* 지금 3위가 확정된 팀의 경기가 이렇게 밀렸을 경우엔 와일드카드 결정전도 있어서, 와일드카드 결정전 전날에 경기를 치르고 포스트시즌 일정이 미뤄지지 않을 수도 있었다.], [[10월 8일]]에 경기를 했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보다 좀 모자랐던 이 때의 KBO는 "'''한화의 포스트시즌이 끝나면 차후 연기된 경기를 개최한다'''"라는 막장 결단을 내놓았다.[* 다 끝난 마당에 의미없는 경기를 하는 것이 무리한 결정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KBO 리그]]는 메이저리그와 달리 '''경기를 치를 야구장의 소유권이 구단이 아니라 [[지방자치단체]]'''에 있는 이상, [[지방자치단체]]와 연간 구장 사용 계약을 미리 맺은 상황에서 '''경기를 취소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또 야구라는 것이 기록의 [[스포츠]]이기 때문에, 리그 내의 모든 팀은 미리 정해진 횟수대로 같은 수의 경기를 치르는 게 맞다는 의견도 있다.] 이 결정에 대해, 사람들은 만약 [[1999년 한국시리즈|8년 전처럼 우승을]] 한다면 [[최종보스]]인 [[KIA 타이거즈]]와 슈퍼 한국시리즈를 한다는 우스갯소리를 했다. 그리고 거의 해임될 것이 확실했던 [[KIA 타이거즈]]의 [[서정환]] 감독도 팀을 꼴지로 꼴아박게 했지만 이 슈퍼 한국시리즈에서 한화를 전력으로 이기면 유임될 것이라는 드립까지 나왔다. 한편 [[한화 이글스]]는 [[KBO 준플레이오프/2007년|준플레이오프]]에서 '''[[삼성 라이온즈]]를 꺾고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비록 당해에 4위를 했고 [[배영수]]가 나가 떨어진 상태라지만 어쨌든 전년도 우승팀이고 나머지 전력은 그대로였던 [[삼성 라이온즈]]을 꺾고 올라온 것이기 때문에 이러다가 진짜 슈퍼 한국시리즈가 실현되는 거 아니냐는 소리가 곳곳에서 나왔다. 하지만 [[KBO 플레이오프/2007년|이어진 플레이오프]]에서 [[KBO 플레이오프/2005년|2년 전]]에 이어 [[두산 베어스]]에 3전 전패로 [[광탈]]하는 바람에 아쉽게도(?) 슈퍼 한국시리즈는 실현되지 못했다. 결국 연기되었던 경기는 플레이오프 3차전 이틀 뒤인 [[10월 19일]] 14시, [[광주광역시|광주]] [[무등 야구장]]에서 '''352명'''의 [[반어법|구름관중]][* 애당초 [[평일]]([[금요일]]) 14시 경기인데 관중동원은 거의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몇몇 팬들은 그래도 이왕 하는 거 저녁 경기로 돌리는 게 더 낫지 않았겠냐는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다. 구단 입장에선 조명 사용료라도 아끼는 게 옳았겠으나...]이 운집한 가운데 1.5군 선수들로 성대히(?) 치루어졌다. [[한화 이글스]] 팬들은 플레이오프에서 탈락한 아쉬움을 떨치지 못해 그다지 분위기가 좋지 않았다. 그러나 [[KIA 타이거즈]] 팬들은 전날 '''[[서정환]] 감독의 해임이 결정되었기 때문에''' 축제처럼 즐겼다. 어차피 이 해 7위였던 [[롯데 자이언츠]]와 4.5게임 차이라 이기나 지나 꼴찌인 건 매한가지이기도 했고. 그리고 결과는 [[정범모]]의 결승 솔로 홈런으로 [[한화 이글스]]가 4:3으로 승리했다. 이것으로 [[조범현]] KIA 타이거즈 신임 감독은 '''선임되자마자 정식 데뷔전을 치른''' 특이한 기록의 소유자가 되었다. 사실 그 이후에도 [[양상문/2014년|양상문]]이나 [[래리 서튼]]과 같이 감독 계약을 맺은 뒤 곧장 정식 경기를 이끄는 경우가 있었지만, 이거는 시즌 초반 팀의 하락세를 막기 위해 벌어진 일이기 때문에 팬들도 납득할 수 있었다. 두 사례 모두 이 슈퍼 한국시리즈처럼 코미디같은 경우는 아니었기 때문에 슈퍼 한국시리즈는 KBO의 당시 막장 행정력을 유감없이 발휘한 사건이라고 봐야 한다.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07/10/19/2007101900935.html|'데뷔전'을 치른 조범현 감독 인터뷰]] == 해외 사례 == [[미국]]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의 경우 우천취소된 경기가 팀 순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경우 해당 경기를 재편성하는 것이 여의치 않다면 아예 취소시켜 버린다. 무엇보다 애초에 우천순연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이 [[돔구장]]도 많고 미국의 전반적인 기후상 MLB는 비가 그치길 서너시간도 기다렸다 하는 리그니. 게다가 드넓은 미국 땅에서 단 한 경기를 위해 서부에서 동부까지 비행기를 4시간 이상 타고 이동해야 하는 상황도 발생할 수 있다. 때문에 슈퍼 한국시리즈와 비슷한 사례는 원천적으로 나올 수 없다. 해당 팀의 선수가 중요한 개인 기록이 걸려있다고 해도 얄짤없다. 2002년 [[알폰소 소리아노]]의 경우 리그 최종전을 앞둔 시점에서 39홈런-40도루를 기록하고 있었지만 최종전이 취소되어 대기록 수립이 무산되었다. 그래도 소리아노는 2006년에 [[40-40]]을 달성했다. 2011년 [[맷 켐프]]의 경우에도 시즌 39홈런-40도루를 기록하고 있었으나 마찬가지로 최종전이 취소되며 눈물을 삼켜야 했다. 일본 [[일본프로야구|NPB]]의 경우에도 [[돔구장]]이 많아 우천순연이 한국처럼 많이 안 나오기도 해서 이런 경우가 거의 없었으나 [[클라이맥스 시리즈]]가 도입되고 포스트시즌 개막일이 빨라지면서 이런 경우가 생길 가능성이 좀 높아졌다. 2018년 시즌 [[한신 타이거스]]는 잦은 우천으로 [[한신 고시엔 구장]]의 홈경기가 유난히 취소가 많이 되었는데 그 경기가 시즌 막판에 몰려서 자칫하면 클라이맥스 시리즈 개막 때까지 정규시즌 경기를 다 소화하지 못할 위기에 몰려 있다. 자칫하면 남들 포스트시즌 하는 동안 정규시즌을 치르게 생겼으며 상대가 포스트시즌 진출 팀일 경우 그 팀이 탈락할 때까지 기다렸다가 남은 경기를 소화해야 할 상황에 몰렸다. 하지만 포스트시즌 진출 팀들의 일정이 다 끝나면서 클라이막스 시리즈 첫날 [[주니치 드래곤즈]]와의 도토리 키재기(...) 경기가 이뤄지게 되었다. 같은 해 퍼시픽리그에서는 이미 [[치바 롯데 마린즈]]와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경기가 계속해서 취소되는 바람에 클라이맥스 시리즈 첫 날에도 경기를 치르게 되었지만, 롯데와 라쿠텐은 순위 경쟁권에 있던 한신과는 달리 일찌감치 B클래스를 확정지었기에 엄밀히 말하자면 밀린 숙제에 가까워서 슈퍼 일본시리즈 같은 개념은 아니다.[* 라쿠텐은 2013년에 이어 두 번째인데 그 때는 정규시즌 우승을 결정짓고 파이널 스테이지에 직행해서 상대를 기다리면서 몸을 푸는 스파링 역할이라도 했지만 이번 시즌은 정말로 아무런 의미도 없는 밀린 숙제에 불과한 것이 차이이다.][* 다만 두 경기 모두 정규시즌 5위 대 6위 팀간의 경기였기에, 이 경기를 '''어둠의 클라이막스 시리즈'''라 부르고 이 두 경기의 승자(혹은 패자)가 진정한 양대리그 꼴지를 가리는 '''어둠의 일본시리즈'''를 치루라고 비아냥거리는 드립이 일본 웹상에서 흥하기는 했다.] == 관련 문서 == * [[코랜드 파일날]] [각주] [[분류:KBO 리그/개별 문서가 있는 경기]][[분류:야구 기담]][[분류:MBC 청룡]][[분류:삼성 라이온즈/1982년]][[분류:한화 이글스/2007년]][[분류:KIA 타이거즈/2007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