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신일본 프로레슬링]] * 보이그룹은 [[SUPER JUNIOR]] ||<-6> [[파일:섬머스트러글2021.jpg|width=100%]] || || '''대회명''' ||<-5> '''슈퍼 주니어 태그 리그 2021[br]Super Jr. Tag League 2021''' || || '''주최''' ||<-5> [[신일본 프로레슬링|{{{#000000 '''신일본 프로레슬링[br]New Japan Pro Wrestling'''}}}]] || || '''제공''' ||<-5> '''[[고질라 VS. 콩|{{{#000000 고질라 VS. 콩}}}]]''' || || '''중계''' ||<-5> [[신일본 월드|[[파일:신일본 월드2.png|width=80]]]][* 전 경기 생중계.][[ABEMA|[[파일:ABEMA 로고.svg|width=80]]]][* 일부 경기 생중계.] || || '''일시''' ||<-5> 2021년 8월 7일 ~ 8월 17일 || || '''장소''' ||<-5>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도쿄 [[고라쿠엔 홀|{{{#000000 고라쿠엔 홀}}}]] || || [[슈퍼 주니어 태그 리그 2019|{{{#000000 2019}}}]] || {{{#000000 ▶}}} || '''{{{#000000 슈퍼 주니어 태그 리그 2021}}}''' || {{{#000000 ▶}}} || [[슈퍼 주니어 태그 리그 2022|{{{#000000 2022}}}]] || [목차] == 개요 ==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섬머 스트러글 2021]] 기간 동안 진행하는 풀리그 토너먼트 대회로, 단체내외의 주니어 헤비급 선수들 12명이 두명씩 태그팀을 이뤄 총 6팀이 참가한다. 이번 대회는 슈퍼 주니어 태그 토너먼트 시절까지 합하면 9번째 대회이며, 2년만에 개최된다. == 대회 방식 == 12명의 주니어 헤비급 선수들이 두명씩 태그팀을 이뤄 총 6팀이 참가하게 되며, 이 6팀이 한 조를 이뤄 풀리그 방식으로 승부를 겨룬다. 공식전은 30분의 시간 제한이 주어지게 되며 공식전에서 승리를 거둘시 승점 2점, 시간 제한 등으로 무승부를 기록할 시 양 팀 모두에 1점씩 주어지게 되며, 패배나 노 컨테스트를 기록할 경우는 승점 0점이 주어진다. 이런식으로 모든 공식전 경기가 종료시 1위 팀이 최종 우승을 차지하게 되며, 동점 팀이 여러 팀 존재하여 승자승 원칙에 따라 우승 팀을 가릴 수 없는 경우 우승 결정전을 실시한다. == 참가팀 == * [[로비 이글스]] (Free/CHAOS/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 & [[타이거 마스크]] (신일본/정규군) * [[타구치 류스케]] & [[마스터 와토]] (신일본/정규군) * [[SHO]] & [[YOH]] (신일본/CHAOS/롯폰기 3K) * [[엘 데스페라도]] (신일본/스즈키군) & [[카네마루 요시노부]] (Free/스즈키군) * [[이시모리 타이지]] & [[엘 판타즈모]] (Free/BULLET CLUB/IWGP 주니어 태그팀 챔피언) * [[자도&게도|게도]] (신일본/BULLET CLUB) & [[딕 토고]] (미치노쿠 프로레슬링/BULLET CLUB) == 개최지 및 대진표 == || {{{#white '''일시'''}}} || {{{#white '''장소'''}}} || {{{#white '''관중수'''}}} || {{{#white '''대진표'''}}} || || 8월 7일 ||<|5> 도쿄 고라쿠엔 홀 || 483 || 로비 이글스 & 타이거 마스크 vs. 게도 & 딕 토고[br]타구치 류스케 & 마스터 와토 vs. 엘 데스페라도 & 카네마루 요시노부[br]SHO & YOH vs. 이시모리 타이지 & 엘 판타즈모 || || 8월 8일 || 518 || 엘 데스페라도 & 카네마루 요시노부 vs. 게도 & 딕 토고[br]로비 이글스 & 타이거 마스크 vs. SHO & YOH[br]타구치 류스케 & 마스터 와토 vs. 이시모리 타이지 & 엘 판타즈모 || || 8월 9일 || 435 || 이시모리 타이지 & 엘 판타즈모 vs. 게도 & 딕 토고[br]로비 이글스 & 타이거 마스크 vs. 엘 데스페라도 & 카네마루 요시노부[br]타구치 류스케 & 마스터 와토 vs. SHO & YOH || || 8월 16일 || 380 || ~~타구치 류스케 & 마스터 와토 vs. 게도 & 딕 토고~~[* 게도 & 토고 팀의 결장으로 인한 대진표 변경으로 인해서 타구치 류스케 & 마스터 와토 팀의 부전승.][br]로비 이글스 & 타이거 마스크 vs. 이시모리 타이지 & 엘 판타즈모[br]SHO & YOH vs. 엘 데스페라도 & 카네마루 요시노부 || || 8월 17일 || 428 || ~~SHO & YOH vs. 게도 & 딕 토고~~[* SHO & YOH 팀의 분열로 인해서 경기 불성립과 게도 & 토고 팀이 결장이 동시에 이루어져서 양 팀 모두 0점.][br]로비 이글스 & 타이거 마스크 vs. 타구치 류스케 & 마스터 와토[br]엘 데스페라도 & 카네마루 요시노부 vs. 이시모리 타이지 & 엘 판타즈모 || == 순위 == 아래 상황판의 세로 열에는 본선수를, 가로 열에는 상대 선수를 기입한다. 본선수가 상대 선수를 상대로 승리 하였을 경우에는 O, 패배 하였을 경우에는 X 표시를 하고 무승부를 기록할 경우 △로 표시한다. || {{{#white '''순위'''}}} || {{{#white '''선수'''}}} || {{{#white '''승점'''}}} || || '''1''' || 엘 데스페라도 & 카네마루 요시노부[* 이시모리 타이지 & 엘 판타즈모 팀에게 승리를 거둬 1위.] || 8 || || '''2''' || 이시모리 타이지 & 엘 판타즈모[* 엘 데스페라도 & 카네마루 요시노부 팀에게 패배해 2위.] || 8 || || '''3''' || 로비 이글스 & 타이거 마스크 || 6 || || '''3''' || 타구치 류스케 & 마스터 와토 || 6 || || '''5''' || SHO & YOH || 0 || || '''5''' || 게도 & 딕 토고 || 0 || || {{{#white }}} || {{{#white 이글스[br]타이거}}} || {{{#white 타구치[br]와토}}} || {{{#white SHO[br]YOH}}} || {{{#white 데스페라도[br]카네마루}}} || {{{#white 이시모리[br]판타즈모}}} || {{{#white 게도[br]토고}}} || {{{#white '''승패'''}}} || {{{#white '''승점'''}}} || || 이글스 & 타이거 || {{{#white /}}} || X || O || O || X || O || 3승 2패 || 6점 || || 타구치 & 와토 || O || {{{#white /}}} || O || X || X || □[* 부전승.] || 3승 2패 || 6점 || || SHO & YOH || X || X || {{{#white /}}} || X || X || [*☆ SHO & YOH 팀 분열로 인해서 경기 불성립.] || 0승 4패 || 0점 || || 데스페라도 & 카네마루 || X || O || O || {{{#white /}}} || O || O || 4승 1패 || 8점 || || 이시모리 & 판타즈모 || O || O || O || X || {{{#white /}}} || O || 4승 1패 || 8점 || || 게도 & 토고 || X || ■[* 부전패.] || [*☆] || X || X || {{{#white /}}} || 0승 4패 || 0점 || == 최종 우승팀 == ||
[[파일:SJTL2021우승팀.jpg|width=100%]] || || '''[[엘 데스페라도|{{{#white 엘 데스페라도}}}]] {{{#white &}}} [[카네마루 요시노부|{{{#white 카네마루 요시노부}}}]]''' || == 기타 == * 8월 16일 게도와 딕 토고 팀이 코로나 이슈로 결장하며 부전패를 당하였다.[* 며칠 전 열린 전초 태그전에서 상대팀이었던 BUSHI와 타카기의 발열 증세로 경과를 지켜보기 위해 결장.] 이후 17일도 동일한 문제와 상대였던 롯폰기 3K의 분열로 결장. * 섬머 스트러글 기간 동안 계속 패배의 원인을 제공하던 YOH에게 SHO가 점점 불만을 품는 모습이 보여졌고 결국 8월 16일 대회에서 공격 당하는 YOH를 구하지 않고 패배하도록 내버려두었다. 이후 쇼크 애로우로 롯폰기 3K는 완전히 분열. [[분류:신일본 프로레슬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