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별의 커비 시리즈/카피 능력)] [include(틀:별의 커비 Wii)] [include(틀:별의 커비 Wii/카피 능력)] [목차] == 개요 == [youtube(-7w28sBkPIU)] >무지개빛으로 빛나는 적을 빨아들여 >슈퍼 능력으로 적들을 쓸어라! >---- >[[https://www.kirby.jp/ability/special/super-ability.html|커비 포탈]] [[별의 커비 Wii]]와 그 리메이크작 [[별의 커비 Wii 디럭스]]에서 등장하는 특수한 능력. 기존의 [[별의 커비 시리즈/카피 능력|카피 능력]]을 크게 강화한 능력으로, 별 모양 이공간 포탈에서 떨어진 특수한 몬스터를 카피해 획득한다. 슈퍼 능력을 얻으면 짧은 애니메이션과 함께[* 디럭스에서 애니메이션이 살짝 바뀌었다. 대신 최종 보스전에서는 원작의 애니메이션으로 잠시 회귀한다.] 배경 음악이 바뀌면서 변신한다. 데미지는 게임 상 가능한 최대치로, 잡몹, 중간 보스들은 능력 한 방으로 쓰러지며 치트를 이용해서 확인한 결과 일반적인 보스는 물론 '''[[마버로아 소울|최종보스]]에게도 즉사 판정이 나온다.'''[* 입은 피해를 숫자로 보여주는 메탈 제너럴에게 (게임을 개조해) 슈퍼 능력을 사용해보면 1,000이 나오는데, 커비의 성형탄이 520으로 나온다. 1,000은 그냥 메탈 제너럴이 표현할 수 있는 최대치라 나온 것. 크래시의 슈퍼노바를 맞아도 1,000이 표시된다.] 일반 스테이지에서 등장하는 슈퍼 능력의 역할은 슈퍼 능력으로 퍼즐을 클리어하며 [[이공간(별의 커비 시리즈)|이공간]]으로 가는 포탈을 찾는 것으로, 거꾸로 보면 스테이지에 슈퍼 능력이 등장한 걸 보고 이공간 포탈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하는데는 제한 시간이 있어서 게이지가 다 떨어지면 능력이 풀리지만, 떨어지는 속도가 매우 느려 작정하고 시간을 끄는 게 아닌 이상 포탈을 못 찾을 일도 없고 능력을 날려도 슈퍼 능력을 가진 적은 시간이 지나면 다시 나타나 있다. 게임 내에서 등장하는 능력은 스워드, 빔, 파이어, 아이스, 해머 5가지로, 원래는 커터, 스파크, 정체불명의 시계 아이콘도 계획되어 있었지만 게임에 추가되진 않았다. 멀티 플레이 시 다른 플레이어에게도 피격 판정이 있다. 물론 대미지는 없고 피격 모션만 나온다. [[별의 커비 Wii 디럭스]]에서는 연출이 강화되어, 슈퍼 능력에 피격당한 잡몹은 화면에 부딪히는 모션이 추가되었다. == 목록 == === [[울트라 스워드]](Ultra Sword)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울트라 스워드)] === 드래건 스톰(Monster Flame) === [[파일:별의 커비 Wii 디럭스 - 드래건 스톰의 공식 일러스트.png]] >작열하는 '''드래건을 부르는 슈퍼 능력'''! >폭풍처럼 나타나 >불꽃을 일으키며 사라진다... >이 세상 '''모든 것을 태워라'''! [[파이어(별의 커비 시리즈)|파이어 능력]]의 파워업. 공격하면 커다란 용이 뿜어내는 화염을 수평으로 날려 해당 직선 범위의 장애물을 부수고 적을 쓰러뜨린다. 기술 발동 중 십자 버튼을 위나 아래로 움직이면 살짝 수직 방향을 바꿀 수 있지만, 어쨌든 범위가 일직선으로 좀 한정적인 건 단점. 주로 타이밍에 맞춰 일직선상의 적이나 장애물을 일제히 박살내는 컨셉의 스테이지에서 등장한다. 디럭스에서는 용의 생김새가 조금 더 디테일하게 개선되었다. 등장하는 스테이지는 1-4, 3-3, 6-1, 7-2[* 디럭스 한정으로 [[HAL 방]]에 숨겨져 있다.], 최종 보스 1차전이다. === 미라클 빔(Flare Beam) === [[파일:별의 커비 Wii 디럭스 - 미라클 빔의 공식 일러스트.png]] >기를 모아 '''조종하는 슈퍼 능력'''! >전기를 모아 둥글게 만들어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에스퍼''' >'''여기저기 움직여서''' 모두 파괴해요 [[빔(별의 커비 시리즈)|빔 능력]]의 파워업. [[별의 커비 3]]의 [[피치(별의 커비 시리즈)|피치]] + [[스파크(별의 커비 시리즈)|스파크]] 능력의 강화판에 가깝다. 전기를 모아 만든 커다란 구를 컨트롤러로 움직여 공격한다. 구를 움직일 때 관성이 심해 조작이 까다로운 대신[* Wii 리모콘의 방향 조작을 십자키로 해야 해서 조작감이 나쁠 수밖에 없었다. 디럭스에서 관성이 개선되었으며, 조작도 아날로그 스틱으로 바뀌어 다루기 조금 편해졌다.] 컨트롤만 되면 온갖 범위를 다 커버할 수 있다. 주로 구가 없어지기 전에 주변 오브젝트 전부에게 전력을 공급하는 퍼즐을 푸는데 사용된다. 이후 [[별의 커비 로보보 플래닛]]에서 이 능력을 약화시킨 [[에스퍼(별의 커비 시리즈)|에스퍼]]가 등장한다. 등장하는 스테이지는 2-2, 5-2, 6-3, 최종 보스 1차전이다. === 스노 마스터(Snow Bowl) === [[파일:별의 커비 Wii 디럭스 - 스노 마스터의 공식 일러스트.png]] >차가운 눈보라 >'''슈퍼 눈덩이로 대변신''' >적들도 얼어붙는 '''영하의 추위''' >'''해제'''되면 '''펑''' 부서져서 >뛰고 구르고 '''날아간다'''! [[아이스(별의 커비 시리즈)|아이스 능력]]의 파워업으로, [[별의 커비 64]]의 아이스+아이스 능력, 도팡 일당의 습격의 얼음 위에서 달리면 적을 얼렸던 아이스 [[휠(별의 커비 시리즈)|휠]]의 강화판이다. 커다란 소프트 아이스크림 모자를 써서 커다란 눈덩이로 변신하고, 공격하면 눈덩이가 빠르게 전방으로 돌진한다. 돌진이 끝나면 눈덩이에 휩쌓인 적들은 일제히 날아가고, 멀티 플레이 중인 아군 역시 눈덩이에 파묻혀 구르다가 돌진이 끝나면 무사히 착지한다. 주로 빠르게 굴러 볼링 핀 같이 생긴 장애물을 전부 부수거나 스테이지를 빠르게 진행할 때 등장한다. 등장하는 스테이지는 3-1, 4-4, 7-1, 최종 보스 EX 1차전이다. === 그랜드 해머(Grand Hammer) === [[파일:별의 커비 Wii 디럭스 - 그랜드 해머의 공식 일러스트.png]] >'''슈퍼 거대 해머'''로 '''땅을 쾅'''! >온 땅에 진동이 울려요! >리모컨 흔들어 파워 업 >'''커다란 말뚝'''도... '''납작쿵'''! [[해머(별의 커비 시리즈)|해머 능력]]의 파워업. 훨씬 거대해진 해머로 내리친다. 최대 3단까지 거대화가 가능하며[* 평범한 해머 - 무지개색 해머 - 황금색 해머 순서대로 강화된다.] 거대화 정도에 따라 위력이 달라지기 때문에 이를 토대로 한 퍼즐도 존재한다. 해머 능력이 있는 잡몹이 없어서 이 능력은 보통 '슈퍼 본커스'라는 강화된 중간 보스를 처치해야 얻을 수 있다. 등장하는 스테이지는 4-2, 5-4, 7-2, 최종 보스 EX 1차전이다. HAL 연구소의 2012년 연하장에 쓰인 일러스트가 이 능력이다. == [[더미 데이터]] == === --커터-- === [[파일:슈퍼 커터.jpg]] [[커터(별의 커비 시리즈)|커터 능력]]의 파워업. 삭제된 슈퍼 능력 중 하나로 유일하게 모델링이 남아있다. 거대한 부메랑을 던진다. 아무래도 울트라 스워드랑 능력이 비슷하여 사라진 것 같다. === --스파크-- === [[파일:슈퍼 스파크.jpg]] [[스파크(별의 커비 시리즈)|스파크 능력]]의 파워업. 삭제된 능력 중 하나다. 추측하기로는 미라클 빔이랑 능력이 겹쳐 삭제된 것 같다.[* 스파크의 주요 커맨드가 몸을 전기로 두르기 때문에 스노 마스터와 겹쳤거나, 공격 방식이 단순해서 나오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다.] === --시간 능력-- === [[파일:커비 시간 능력.jpg]] Wii에서는 시간과 관련된 일반 카피 능력이 없어서 무슨 능력인지는 알 수 없다. [[별의 커비 디스커버리]]에서 시간을 잠시 정지시키는 [[크래시(별의 커비 시리즈)#타임 크래시|타임 크래시]] 능력이 등장하는데, 이 능력도 비슷한 능력이라고 유추할 수는 있지만 명확하게 밝혀진 건 없다.[* 빔 슈퍼 능력을 헌터즈 시리즈에 나오는 타임 빔처럼 만들려 했을 가능성도 있다.] == 관련 문서 == * [[별의 커비 Wii]] * [[별의 커비 Wii 디럭스]] * [[별의 커비 시리즈/카피 능력]] [[분류:별의 커비 시리즈/카피 능력]][[분류:별의 커비 Wii]]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과 하위 문단들, title=별의 커비 시리즈/카피 능력, version=1773, paragraph=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