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성의 록맨 시리즈/레귤러)] ||<-9> [[파일:external/images.wikia.com/Omega-Xis.jpg|width=75%]] ||<-9> [[파일:Rockman_X_DiVE_Hunter_Program_Star_Force_Mega_Man.png|width=75%]] || ||<-9> '''{{{#3ac99c 워 록}}}''' ||<-9> '''{{{#2b55b4 슈팅 스타 록맨}}}''' || ||<-3> ||<-12> '''{{{+3 {{{#ffffff 슈팅 스타 록맨}}}}}}[br]{{{#ffffff シューティングスター・ロックマン[br]STAR FORCE MEGA MAN}}}''' ||<-3> || ||<-3> {{{#ffffff 성우}}} ||<-15>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오오우라 후유카]][*A 록맨.] & [[이토 켄타로]][*B 워 록.][br][[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제이슨 스피색]][*A ] & [[카일 에이베어]][*B ] || ||<-3> {{{#ffffff 파트너}}} ||<-6> '''[[호시카와 스바루]]''' & '''[[워 록]]''' ||<-3> {{{#ffffff 유래}}} ||<-6> '''[[록맨]]''' || ||<-18> '''{{{#c60802 "전파 변환! 호시카와 스바루 ON AIR!"}}}''' || [목차] == 개요 == [[유성의 록맨 시리즈]]의 주인공 록맨. [[호시카와 스바루|스바루]]가 "전파 변환! 호시카와 스바루 ON AIR!"라는 구호로 워 록과 동화하여 전파 변환한 상태. 록맨답게 전체적으로 파란색을 띠며 워록의 머리는 왼팔이 되어 록 버스터로 사용이 가능하다. 유성의 록맨 3에서는 워 록 헤드가 없어졌고 "트랜스코드! 슈팅 스타 록맨!"이란 구호로 변신한다. == 상세 == 아버지를 그리며 별을 보던 스바루가 워 록을 만나 탄생했다. 당시 목적은 열차를 망가뜨린 전파 바이러스를 퇴치하기 위해서였다. 다른 FM 성인들의 전파 변환과는 달리 악의적인 의도가 아니었다는 것이 특징. [[유성의 록맨|1편]]에서는 전파체라 일반인들이 볼 수 없었기에 특정한 상황에서 가끔씩 목격되었다. 가령 사이버코어에 갇힌 [[시로가네 루나|루나]] 일행이 포착하거나, 아마켄 스크린을 통해 보이는 등. 아는 사람만 아는 히어로였다. 하지만 [[유성의 록맨 2|2편]]에서 웨이브 월드 설정이 확장되면서 현실의 특정 구간에서는 일반인들이 전파를 볼 수 있었다. 이 때문에 UMA를 처리하는 장면이 다수에게 목격되면서 유명 히어로로 등극. [[유성의 록맨 3|3편]]에 와서는 아이돌의 인기도 씹어먹는 히어로가 되어 드라마에도 깜짝 출연한다. 3편에서는 학교 옥상의 학생들을 돕기 위해 오랜만에 전파 변환을 했다가 사테라 폴리스의 프로젝트 트랜스코드에 등록되어 번호 003을 받았다. [* 참고로 1번은 애시드 에이스, 2번은 브라이다.] 자세한 행적은 [[호시카와 스바루#s-2]] 항목과 동일하다. === [[워 록]] === 자세한 내용은 [[워 록]] 항목 참고. == 무장 == * 비지라이저: 전파 변환 이후에도 유지되어 바이러스와 전파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록 온을 돕는다. * 웨이브 토스 기기: 근거리의 전파를 보내거나 받는 센서. 록맨의 각 파츠가 서로 연결될 수 있게 하고, 전파를 모으는데도 쓰인다. 모인 전파 에너지는 록 버스터와 록 암을 변형시키는데 쓰인다. 노이즈의 정보를 모으는 것도 가능하다. * 슈팅 스타 엠블렘: [[호시카와 다이고]]가 물려준 펜던트가 전파 변환 이후에도 유지되어 상징이 된다. * 배틀 카드: 전투에 사용하는 배틀 카드. 록 암으로 보내 사용한다. * 록 암: 록 버스터를 사용할 수 있고, 배틀 카드를 통해 다양한 무기로 변화한다. == 능력 == * 록 버스터: 록맨의 기본 무기. 연타로 빠르게 난사할 수 있으며, 자동으로 충전되는 10배 강력한 차지 샷을 쏠 수도 있다. 워 록이 장비한 무기에 따라 그 수치가 변화한다. * 실드: 브레이크 능력이 없는 공격은 모두 이것으로 막아낼 수 있다. * 워 록 어택: 적을 추적, 즉시 접근하여 근접 공격을 할 수 있다. 시노비 트라이브나 울프 노이즈 등의 형태는 자동 록 온을 제공하기도 한다. * 카운터: 공격을 시작하려는 적에게 반격하면 그 적은 잠시 동안 경직되어 록맨이 배틀 카드 하나를 더 사용할 수 있게 한다. * 에어리어 이터: 헌터 VG의 위저드 온 기능을 통해 워 록이 전장의 1-2 줄을 없애버릴 수 있다. * 비스트 스윙: 헌터 VG의 위저드 온 기능을 통해 워 록이 전면의 2줄을 공격할 수 있다. * 노이즈 체인지: 에이스 프로그램 혹은 조커 프로그램을 통해 노이즈를 다룰 수 있다. === 스타 포스 === スターフォース Star Force 세 명의 위성 관리자들에게서 힘을 얻어 사용하는 것. 애니메이션판 명칭은 '''스타 브레이크'''. [[파일:아이스 페가서스.jpg]] * 아이스 페가서스(Ice Pegasus) [[파일:그린 드래곤.jpg]] * 그린 드래곤(Green Dragon) [[파일:파이어 레오.jpg]] * 파이어 레오(Fire Leo) === 트라이브 온 === トライブオン Tribe On 세 개의 오파츠에서 힘을 얻어 사용하는 것. [[파일:썬더 베르세르크.jpg]] * 썬더 베르세르크(Thunder Zerker) [[파일:그린 시노비.jpg]] * 그린 시노비(Wood Ninja) [[파일:파이어 다이너소어 .jpg]] * 파이어 다이너소어(Fire Saurian) ==== 더블 트라이브 ==== 트라이브 온 상태에서 다른 오파츠의 힘을 얻어 두개의 힘을 융합한 형태. 기존 트라이브 온 상태에서 속성이 변환되는 방식이다. 트라이브 능력이나 차지샷은 합체하는 측(이름의 뒤), 특수능력은 합체의 기본이 되는 측(이름의 앞)의 능력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썬더 베르세르크 상태로 파이어 다이너소어의 힘을 융합한 베르세르크 다이너소어의 경우 트라이브 능력 및 차지샷은 파이어 다이너소어를, 기본 능력은 썬더 베르세르크의 것을 따른다. * [[https://static.wikia.nocookie.net/megaman/images/0/02/ZerkerNinja-ocw.png/revision/latest?cb=20210831233257|베르세르크 시노비]] * [[https://static.wikia.nocookie.net/megaman/images/f/fb/ZerkerSaurian-ocw.png/revision/latest?cb=20210831234745|베르세르크 다이너소어]] * [[https://static.wikia.nocookie.net/megaman/images/b/ba/NinjaSaurian2-ocw.png/revision/latest?cb=20210831235122|시노비 다이너소어]] * [[https://static.wikia.nocookie.net/megaman/images/7/76/Ninja_Zerker-ocw.png/revision/latest?cb=20210831235249|시노비 베르세르크]] * [[https://static.wikia.nocookie.net/megaman/images/b/b3/Saurian_Zerker-ocw.png/revision/latest?cb=20210831235945|다이너소어 베르세르크]] * [[https://static.wikia.nocookie.net/megaman/images/c/c5/SaurianNinja-ocw.png/revision/latest?cb=20210831235533|다이너소어 시노비]] ==== 트리플 트라이브 ==== 세 개의 오파츠의 힘을 모두 사용한 최강의 형태. [[파일:트라이브 킹.jpg]] * 트라이브 킹(Tribe King) ==== 브라이 트라이브 ==== 실제 브라더가 1명도 없을 때에만 얻을 수 있는 트라이브. * [[https://lparchive.org/Mega-Man-Star-Force-2-Zerker-x-Saurian/Update%2015/89-OA_RogueZerker.jpg|브라이 베르세르크]] * [[https://lparchive.org/Mega-Man-Star-Force-2-Zerker-x-Saurian/Update%2015/88-OA_RogueNinja.jpg|브라이 시노비]] * [[https://lparchive.org/Mega-Man-Star-Force-2-Zerker-x-Saurian/Update%2015/24-OA_RogueSaurian.jpg|브라이 다이노소어]] === [[유성의 록맨 3/노이즈 체인지 리스트|노이즈 체인지]] === [[노이즈 체인지|항목참조]] == 갤러리 == || [[파일:external/images.wikia.com/MegaManStarForce.jpg|width=250]] || [[파일:megaman_mmsf2.png|width=250]] || [[파일:슈팅 스타 록맨 3편 모습.png|width=250]] || || '''유성의 록맨 공식 아트''' || '''유성의 록맨 2 공식 아트''' || '''유성의 록맨 3 공식 아트''' || || [[파일:megaman_mmsf3_2.jpg|width=250]] || [[파일:megaman_mmsf3_3.png|width=250]] || [[파일:megaman_mmsf3_4.png|width=250]] || ||<-3> '''유성의 록맨 3 프로모''' || || [[파일:megamancalender1.jpg|width=250]] || [[파일:roguevstribeking.png|width=250]] || [[파일:megaman_exeoss.jpg|width=250]] || || '''유성의 록맨 달력 3, 4월''' || '''[[브라이(유성의 록맨 시리즈)|{{{#2b55b4 브라이}}}]]와의 대결''' || '''[[록맨 에그제 오퍼레이트 슈팅 스타|{{{#2b55b4 오퍼레이트 슈팅 스타}}}]] 프로모''' || || [[파일:20thlogo.png|width=250]] || [[파일:Rockman_X_DiVE_Hunter_Program_Star_Force_Mega_Man.png|width=250]] || || '''[[록맨 시리즈|{{{#2b55b4 록맨 시리즈}}}]] 20주년 로고''' || '''[[록맨 X 다이브|{{{#2b55b4 록맨 X 다이브}}}]]''' || == 여담 == [[록맨.EXE]]와 [[히카리 넷토]]의 역할을 모두 수행하는 주인공이다. 워 록은 조언을 맡거나 3편에 와서 공격을 보조하긴 하지만, 웨이브 월드에서나 지상에서나 직접 뛰어다니는 것은 록맨 혹은 스바루. [[록맨 시리즈]] 최초와 유일하게 순수한 [[인간]]인 록맨이다. 그 전까지의 록맨들은 로봇, [[레플리로이드]], [[네트워크 내비게이터]], 사이보그인 반면, 스바루는 100% 인간이다.[* 순수 인간 주인공은 [[히카리 넷토]]가 있긴 하지만, 이쪽은 록맨이 아니다. 애니메이션 한정 [[크로스 퓨전]]으로 록맨이 될 수 있긴 하지만 어디까지나 애니한정일뿐 원작에서는 록맨이 아니다.] [[분류:유성의 록맨 시리즈/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