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슈토쿠 고등학교)] ||<-5>
'''{{{+1 {{{#FFFFFF 공식 팬북 능력치 패러미터}}}}}}''' || ||
'''공격력''' || '''방어력''' || '''선수층''' || '''신장''' || '''팀워크''' || || 8 || 8 || 8 || 8 || 6 || ||<-3>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latest?cb=20121105200937.png|width=100%]]|| ||<-3> [[도쿄]]의 3대 왕자 || || [[센신칸 고등학교|{{{#87A96B 센신칸 고등학교}}}]] || [[세이호 고등학교|{{{#black 세이호 고등학교}}}]] || [[슈토쿠 고등학교|{{{#orange 슈토쿠 고등학교}}}]]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latest?cb=20131006085457.png|align=center]] [목차] == 개요 == {{{+1 秀徳}}} (수덕) >'''역전의 왕자(歴戦[* 형세를 뒤집는 '역전'이 아닌, 경험이 많음을 뜻하는 '역전'이다. (예문: 역전의 용사) 발음도 갸쿠텐이 아닌 레키센.]の王者)''' 《[[쿠로코의 농구]]》에 [[가공의 교육기관#s-5|등장하는 고등학교]]. [[도쿄]] 소재. 지도를 보면 [[세타가야구]]로 추정된다. == 상세 == 연혁이 상당히 길어서 시설이 좀 많이 낡았으며 교칙이 엄격한 편. 중학교 때 [[미도리마 신타로|미도리마]]가 남긴 언급으로 추정하면 [[편차치]]도 높은 것 같다. 팀컬러는 [[주황색]]이며 교복은 그냥 무난하게 [[가쿠란]]이다. 원정 유니폼이 [[보라색]]처럼 잘 매치하지 못하면 엄청 촌스럽게 보일 수 있는 주황색이다보니 호불호가 갈린다.[* 위에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녹발|머리카락이 녹색]]인 미도리마는 레알 [[당근]]이다(…)] 홈 유니폼은 크림색. 3대 왕자 중 유일하게 [[기적의 세대]]가 들어간 학교. 기적의 세대인 미도리마의 가세로 다른 두 왕자를 월등히 능가하는 전력을 지니게 되었다.[* 매년 도내 결승리그와 전국대회 진출에 매년 전국대회 8강 정도는 항상 올라오던 팀인걸로 보인다.] 작품 진행에 따라 신예인 [[토오 학원 고등학교|토오]]와 [[세이린 고등학교|세이린]]이 강하게 부각되면서 [[아오미네 다이키|아오미네]]의 말대로 슈토쿠를 제외한 기존의 도내 3대 왕자는 사실상 유명무실해지고 말았다. 슈토쿠를 제외한 [[센신칸 고등학교|센신칸]]과 [[세이호 고등학교|세이호]]는 인터하이 이후로는 그야말로 [[전투력 측정기]]가 되었고, 내년에는 [[키리사키 제1 고등학교|키리사키]]의 존재도 고려할 경우 대진표가 잘못 짜이면 결승리그 진출조차 장담할 수 없다. 작중에서 [[요센 고등학교]] 다음으로 신장대가 좋은 팀이다. 주전들을 키 순으로 나열하면 '''198'''(오츠보/C)-'''195'''(미도리마/SG)-191(미야지/SF)-187(키무라/PF)-176(타카오). 오츠보는 요센 3인방 및 초반부에 단역으로 나온 파파 음바이시키를 제외하면 본편 내에서 가장 큰 선수이고, 스몰포워드인 미야지 역시 쿠로코의 농구에선 센터급의 프로필인데다 미도리마는 아예 [[무관의 오장]] 센터인 키요시보다도 크다. 작중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팀들은 우리나라 기준 동호회팀 수준의 신장대를 가졌는데, 그래도 슈토쿠 정도면 큰 순서로 나열했을 때 우리나라 고등학교 팀들과 비슷한 수준은 된다.[* 여담이지만 큰 순서대로 나열하면 웹툰 [[가비지타임]]의 주인공 학교인 지상고의 주전들과 딱 비슷한 규격이다. 이쪽은 [[김다은(가비지타임)|198]]-[[공태성|195]]-[[성준수|188]]-[[기상호(가비지타임)|187]]-[[진재유|175]]에 식스맨이 [[정희찬|183]].] [[파일:external/file2.instiz.net/43b4ea5c1c6ab0e6b91cda07110a0cc7.jpg]] 학교의 좌우명은 불요불굴(不撓不屈)로 [[라쿠잔 고등학교|라쿠잔]] VS 슈토쿠 시합에서 타카오가 절망하는 모습을 보이자 [[미야지 키요시|미야지]]하고 [[키무라 신스케|키무라]]가 타카오에게 이 좌우명을 언급해 정신차리게 했다. 윈터컵 준결승에서 결국 라쿠잔에게 패배했으나 침울해하던 도중 '''"우리만 싸운게 아니다!"'''라는 [[오츠보 타이스케|오츠보]]의 말에 일동 응원단에게 감사 인사를 복창하고 퇴장하였다. 작중에서 세이린과 가장 많이 붙은 학교다. 인터하이 공식전에서 1번, 여름 합숙에서 연습 시합으로 3번, 원터컵 리그전에서 1번으로 총 5회.[* 전적은 슈토쿠가 3승 1무 1패로 앞서지만, 3승은 연습 시합에서 카가미를 제외한 경기이므로 공식 전적은 1무 1패로 열세다.] 세이린과 여러 의미에서 대조적인 팀. 두 학교 모두 도쿄 소재지란 점이 공통점. 반면 세이린은 신생 학교에 3학년이 없고 편차치도 평범하지만, 슈토쿠는 농구 강호 학교에 편차치도 높은 명문고라는게 차이점. 또한 카가미-쿠로코 처럼 미도리마-타카오의 관계를 슈토쿠의 빛과 그림자라 부른다는 점에서도 세이린과 라이벌처럼 묘사된다. 대전회수도 그렇고 사실상 세이린 고교와 가장 접점이 많은 학교다. 상술한 이유로 팬덤에서 인기가 높은 학교로 [[일본]]에서는 슈토쿠 굿즈가 가장 초고속으로 완판되는 걸로 유명하다. 3회 공식투표에선 타카오가 3위, 미도리마가 6위, 미야지가 8위로 상위권을 제법 많이 차지했다. [[타카오 카즈나리|타카오]]가 미도리마에게 선배들과 함께 훈련한 것을 떠올리면서 힘들었다는 언급이 있는 걸 보면 꽤 빡세게 훈련하는 것으로 보이며, 매년 여름에 [[아키타현|아키타]]로 1군 합숙을 나가는 전통이 있다. 부원 대부분이 동생이 있다. 타카오가 "우리 팀 동생 너무 많은 것 아니에요?"라고 할 정도. 레귤러 전원이 가족구성원에 동생을 포함하고 있는 학교는 슈토쿠뿐이다.[* [[미도리마 신타로|미도리마]], [[타카오 카즈나리|타카오]], [[오츠보 타이스케|오츠보]]는 여동생이 있고, [[미야지 키요시|미야지]]와 [[키무라 신스케|키무라]]는 남동생이 있다.] 윈터컵 이후로 들어온 새 부원들은 [[타카오 카즈나리|타카오]]를 잘 따르는 모습을 보여준다. 친숙해지기 쉬운 선배라고. [[미도리마 신타로|미도리마]]는 여러 의미로 다가가기 힘든 선배라며 가까이 가지 않는다(…) ~~인기란 잔인한 것이라는 작가의 코멘트는 덤~~ ~~작가가 제일 나쁘다~~ 흘깃 보고 지나가는 것이지만 라쿠잔과 같이 윈터컵 본선에서 같은 지역 학교 2개와 대결한 팀이다. 라쿠잔은 도쿄 지역 학교를 준결승전과 결승전에서 만났고, 슈토쿠는 교토 지역 학교를 2회전과 준결승전에서 만났다. 둘 다 첫 학교는 이기고 두번째 학교에서 패한 것도 공통점이라면 공통점. == 농구부 구성원 == ||
[[파일:수덕2.gif|width=100%]] || || [[파일:수덕.gif|width=1000%]] || === 1학년 === * '''[[미도리마 신타로]]''' (緑間 真太郎) - SG * '''[[타카오 카즈나리]]''' (高尾 和成) - PG === 2학년 === * '''미야지 유우야 (宮地裕也)''' [[파일:external/67.media.tumblr.com/tumblr_oahy2qlYkm1tvraeuo1_250.png]] [[파일:external/65.media.tumblr.com/tumblr_oahy2qlYkm1tvraeuo2_250.png]] [[미야지 키요시]]의 동생. 윈터컵 후 차기 캡틴이 된다. 성우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정황상 형과 같은 [[쇼지 마사유키]]로 추정된다. === 3학년 === * '''[[오츠보 타이스케]]''' (大坪泰介) - C * '''[[미야지 키요시]]''' (宮地清志) - SF * '''[[키무라 신스케]]''' (木村信介) - PF === 기타 === * '''[[나카타니 마사아키]]''' (中谷仁亮) - 감독 * '''오츠보 타에 (大坪多恵)''' [[파일:external/67.media.tumblr.com/tumblr_oahy2qlYkm1tvraeuo3_250.png]] [[파일:오츠보 타에.png]] 오츠보 타이스케의 여동생. [[여신|이쁘다]]. 농구부를 지망한다고. * '''키무라의 남동생''' 3학년 선배 졸업 후에 들어올 예정. 체격도 잠재력도 본인 이상이라고 키무라 본인이 보장했다. 키가 키무라보다 머리 1개가 더 크다!! 원근감을 고려하더라도 최소 10cm 이상은 더 큰 듯 하다. 키무라가 187cm라는 점을 고려하면 못 해도 오츠보만큼의 센터가 들어오는 셈이다. [각주] [[분류:슈토쿠 고등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