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쉐보레|[[파일:쉐보레 로고(1976-1988).png|width=20%]]]]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80 쉐보레 셰베어.jpg|width=100%]]}}} || || {{{#000000 '''Chevair'''}}} || [목차] '''Chevrolet Chevair''' == 개요 == [[미국]]의 자동차 제조사인 [[제너럴 모터스]] 산하의 [[쉐보레]]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 시장에 판매한 승용차로, [[복스홀 카발리에]]의 [[배지 엔지니어링]] 차량이다. == 상세 == === 1세대(1976~1983) === || [[파일:쉐보레 셰베어.png|width=100%]] || || '''{{{#fff 초기형 차량}}}''' || [[1976년]] 11월에 출시되었다. [[오펠 아스코나]]/[[복스홀 카발리에]]의 [[배지 엔지니어링]] 차량이다. 4도어 차체를 가진 차량이며, [[오펠 만타]]와 그릴을 공유했다. [[1978년]]부터는 [[오펠 아스코나]]와 그릴을 공유한 형제차는 쉐보레 아스코나로 판매되었다.[* 해당 차량에는 [[복스홀 비바]]의 1.3L I4 엔진이 탑재되었다.] 차량의 생산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포트 엘리자베스 공장에서 이루어졌다. [[파워트레인]]은 76마력의 2.0L 및 85마력의 2.3L 푸시로드 I4 엔진이 탑재되었다.[* 이들은 [[쉐보레]]의 2.5L I4 엔진의 파생형이었다.] 주행은 2.3L 사양이 더 부드럽게 이루어졌다. 2.0L 사양은 디럭스(De Luxe), 2.3L 사양은 GL 모니커(GL Moniker)라는 이름이 있었으며, 4단 [[수동변속기]]와 3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되었다. 헤드레스트, 로스타일 휠, 휠웰 주변의 크롬 장식 등이 GL 사양에 추가적으로 적용되었다. [[1978년]] 7월부터는 ISO의 기준 출력으로 수용하면서 2.3L 사양의 출력이 85마력으로 감소했으며, 2.0L 사양은 삭제되었다. || [[파일:쉐보레 셰베어 베를리나.png|width=100%]] || || '''{{{#fff 베를리나 사양}}}''' || [[1978년]]에는 [[자동변속기]]가 적용된 고급형 '베를리나' 사양이 추가되었다. 해당 사양에는 매그 스타일 휠, 틴팅 유리, 벨루어 내장재, 이중 배기구가 적용되었다. [[1980년]]에는 [[페이스리프트]]를 거치면서 '디럭스' 사양의 단종이 이루어졌다. 새로워진 그릴 및 더 넓어진 개폐구, 새로운 휠, 그리고 새로운 랩어라운드 블랙 플라스틱 범퍼가 적용되었다. 또한 [[남아프리카 공화국]] 시장에서 [[쉐보레]] 철수를 단행하면서 차량에 해당 브랜드 이름을 제거하기 시작했다. [[1983년]]을 끝으로 단종되었으며, [[전륜구동]]형 [[오펠 아스코나]]가 해당 차량을 대체하였다. ==== 모터스포츠 ==== || [[파일:쉐보레 셰베어 광고.jpg|width=100%]] || || '''{{{#fff 당시 모터스포츠 연계 광고}}}''' || [[남아프리카 공화국]] 챔피언십 대회 랠리 경주에 참여한 이력이 있다. 2.5L [[쉐보레]] I4 엔진을 튜닝한 제품을 동력으로 사용한 그룹 1 레이스와 2.3L [[복스홀]]제 로투스크 [[DOHC]] I4 엔진을 탑재한 그룹 2 레이스에 참전했다. 각각 120마력과 235마력의 최고 출력을 냈다. [[1979년]]에는 레이서 토니 폰드를 중심으로 덕햄 랠리에서 우승을 기록한 바 있었다. 하지만, 그 해 [[포드 에스코트]] 및 [[닷선]]제 차량들에게 밀리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쉐보레의 차량)] [[분류:쉐보레/생산차량]][[분류:1976년 출시]][[분류:1983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