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쉐보레|[[파일:1964 쉐보레 로고.png|width=25%]]]]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75 쉐보레 벨 에어 세단.jpg|width=100%]]}}} || || {{{#000000 '''Bel Air'''}}} || '''Chevrolet Bel Air''' [목차] == 개요 == '''Chevrolet Bel Air''' [[미국]]의 자동차 제조사인 [[제너럴 모터스]] 산하의 [[쉐보레]] 브랜드에서 1950년 부터 1981년 까지 생산한 대형차이다. == 상세 == 벨 에어는 [[캐딜락 엘도라도]]와 여러 모로 비슷한 디자인이면서도 캐딜락과는 엄연히 다른 차다. 좀더 쉽게 말하자면 캐딜락 엘도라도와는 촌수가 4촌 넘어가는 먼 친척 정도라 외형"만" 비슷하다. 이렇게 캐딜락과 비슷한 디자인은 형제차 중 하나인 [[쉐보레 임팔라]]의 1~5세대 모델들도 마찬가지. === 1세대(1950~1954) === [[파일:chevy_bel_air_50.jpg|width=60%]] [[1950년]]형부터 [[1952년]]까지 "벨 에어 스포트 쿠페"라는 이름은 동시기 생산된 [[쉐보레]]의 "스타일라인"과 "플리트라인" 차량과의 구별을 위해 2도어 하드탑 사양에 한해 명명되었다. 이름은 미국 [[로스엔젤레스]] 웨스트 사이드의 부유했던 지역 벨 에어[* Bel Air]에서 유래되었다. 첫해의 생산량은 76,662대였으며, 당시 $1,741[* 한화 약 2,318,000원]이라는 가격에 판매되었다. 중량은 1,463kg이었고 길이는 1950년식 부터 1952년식 까지 5.0165m였다. 이후 [[1953년]]형부터 고급 사양의 이름으로 독립이 이루어졌다. === 2세대(1955~1957) === ||[[파일:chevy_bel_air_55.jpg|width=100%]] || [[파일:chevy_bel_air_55_2.jpg|width=100%]] || || 55년형 전면부 || 55년형 후면부 || ||[[파일:chevy_bel_air_57.jpg|width=100%]] || [[파일:chevy_bel_air_57_2.jpg|width=100%]] || || 57년형 전면부 || 57년형 후면부 || 벨 에어의 전성기라고 볼 수 있는 세대. 이 세대부터 [[테일 핀]] 디자인이 적용되었으며 기존 2도어 하드탑 차체명에서 다양한 라인업의 고급차의 이름으로 정착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의 디자인을 벨 에어 디자인 중 최고로 꼽기도 하며, [[1950년대]]를 대표하는 미국차 중 하나였다. 이 중 잘 보존된 차량들은 자동차 수집가 및 애호가들에게 큰 호응을 얻기도 했다. 차량의 중량은 1,568kg으로 소폭 증가했으며 길이는 4.9m였다. 로우라이더로 개조되기도 한다.[* 다만 이러한 로우라이더 개조는 3세대 [[쉐보레 임팔라]]보단 덜한 편이다.] === 3세대(1958) === ||[[파일:chevy_bel_air_58.jpg|width=100%]] || [[파일:chevy_bel_air_58_2.jpg|width=100%]] || || 전면부 || 후면부 || 2세대 차량과 함께 사당한 인기를 얻었으며, 해당 세대부터 파생형으로 [[쉐보레 임팔라]]가 출시되었다. === 4세대(1959~1960) === ||[[파일:chevy_bel_air_59.jpg|width=100%]] || [[파일:chevy_bel_air_59_2.jpg|width=100%]] || || 59년형 전면부 || 59년형 후면부 || === 5세대(1961~1964) === ||[[파일:chevy_bel_air_61.jpg|width=100%]] || [[파일:chevy_bel_air_61_2.jpg|width=100%]] || || 61년형 전면부 || 61년형 후면부 || ==== 스포츠 쿠페 ==== 특히 1962년형 스포츠 쿠페 사양이 인기를 많이 끌었으며, 이는 미국에서 마지막으로 생산된 벨 에어의 필러리스 하드탑 사양이 판매된 해였기 때문이었다. 해당 차량은 1961년식 '버블탑' 지붕을 채택했으며, 1962년형 [[쉐보레 임팔라|임팔라 스포츠 쿠페]]보다 더 위로 서 있는 지붕 구조가 적용되었다. 이 차량은 최대 409마력의 새로운 '6.7L 빅 블록(W-block) V8 엔진'과 함께 주문을 거쳤고, 알루미늄 바디 패널, 히터 삭제, 4단 [[수동변속기]] 등의 특별 옵션이 적용된 패키지가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차량은 다른 1962년형 사양인 슈퍼 스포츠보다 매우 높은 가치를 지녔으며, 수집가들에게 매우 인기가 많은 편이었다고 한다. === 6세대(1965~1970) === ||[[파일:chevy_bel_air_65.jpg|width=100%]] || [[파일:chevy_bel_air_65_2.jpg|width=100%]] || || 65년형 전면부 || 65년형 후면부 || === 7세대(1971~1975) === ||[[파일:chevy_bel_air_71.jpg|width=100%]] || [[파일:chevy_bel_air_71_2.jpg|width=100%]] || || 71년형 전면부 || 71년형 후면부 || [[1960년대]] 후반 [[쉐보레 카프리스]]의 등장으로 인해 [[쉐보레 비스케인]]과 함께 플릿 위주의 대형차로 전환되었으나, 염가 사양인 비스케인에 비해 조금 더 고급진 입문형 대형차를 원하는 소비자층을 공략하는 차량이었으나, [[1972년]] 비스케인의 단종 이후 엔트리급으로 격하되었다. 윗급인 [[쉐보레 임팔라]]나 [[쉐보레 카프리스|카프리스]]의 삼중 세그먼트 램프와 달리 벨 에어는 이중 세그먼트 테일램프가 장착되었다.[* 다만, [[1972년]]형의 경우 범퍼에 삼중 세그먼트 램프가 모든 대형차 라인업에 장착된 바 있었다.] == 수출 시장 == === 캐나다 사양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쉐보레 벨 에어 세단 1981.jpg|width=100%]]}}}|| || '''{{{#ffffff 1981년 세단 사양}}}''' || [[쉐보레 벨 에어(캐나다)]] 문서 참고 === 호주 사양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쉐보레 벨 에어 호주 광고.jpg|width=100%]]}}}|| || '''{{{#ffffff 호주 시장 현지 광고}}}''' || [[1960년대]]에 해당 시장에서 판매된 바 있었으며, 우핸들 사양으로 판매되었다. 해당 시장 규정 상 호박색 후방 방향지시등이 적용되었으며, 당시 판매된 [[쉐보레 임팔라]]의 삼중 램프 스타일을 적용하였다. 중앙 램프는 호박색 방향 지시등이 적용되었으며, 안쪽 램프는 예비등이었다. [[1961년]]형의 대부분은 [[폰티악]]의 계기판과 공유하였다. == 콘셉트 카 사양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쉐보레 벨 에어 콘셉트 카.png|width=100%]]}}}|| || '''{{{#ffffff 2002년 콘셉트 카 사양}}}''' || [[쉐보레 벨 에어(콘셉트 카)]] 문서 참고 == 둘러보기 == [include(틀:쉐보레의 차량)] [[분류:쉐보레/생산차량]][[분류:1950년 출시]][[분류:1975년 단종]][[분류:나무위키 자동차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