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쉐보레 벨 에어)] || [[쉐보레|[[파일:1964 쉐보레 로고.png|width=25%]]]]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쉐보레 벨 에어 세단 1981.jpg|width=100%]]}}} || || {{{#000000 '''Bel Air'''}}} || [목차] '''Chevrolet Bel Air''' == 개요 == [[미국]]의 자동차 제조사인 [[제너럴 모터스]] 산하에서 판매된 [[쉐보레 벨 에어]]의 [[캐나다]] 사양에 대해 정리한 문서이다. == 상세 == === 1세대~6세대 === [[쉐보레 벨 에어]] 문서 참고 === 7세대 캐나다 사양(1970~1976)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71 쉐보레 벨 에어 스포츠 쿠페.jpg|width=100%]]}}}|| || '''{{{#ffffff 1971년형 스포츠 쿠페 사양}}}''' || 이전 미국 사양과는 다르게 중간급 사양의 이름에서 저가 대형 세단으로 포지션이 변경되었다. 7세대 벨 에어와 궤를 같이 했지만, 약간의 차이점이 있었다. [[미국]]에서는 마지막 벨 에어 2도어 세단이 [[1969년]]에 생산되었지만, 쉐보레는 [[1970년]]부터 [[1975년]]까지 [[캐나다]] 시장 전용으로 2도어 하드탑인 스포츠 쿠페를 판매하였다. [[쉐보레 임팔라|임팔라 스포츠 쿠페]]를 기반으로 하였으나 임팔라보다 저렴한 사양이었다.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76 쉐보레 벨 에어 쿠페.jpg|width=100%]]}}}|| || '''{{{#ffffff 1976년형 쿠페 사양}}}''' || 해당 차량의 차체는 출시부터 다음 세대에 자리를 물려주기 전까지 임팔라 스포츠 쿠페의 디자인과 궤를 유지했다. 반면, 4도어 세단과 스테이션 왜건은 미국 모델과 완전히 동일하게 생산되었다. [[1976년]]부터는 쿠페 사양이 임팔라 커스텀 쿠페와 동일한 차체 구성을 따랐으며, 크게 고정된 후측면 윈도우와 프레임리스 전면 도어가 적용되었다.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76 쉐보레 벨 에어 세단.png|width=100%]]}}}|| || '''{{{#ffffff 1976년형 세단 사양}}}''' || 1976년형 [[캐나다]] 쉐보레의 대형차 라인업은 모두 스틸 벨트 래디얼 타이어와 전동식 후방 윈도우 김서림 방지 장치를 기본 적용하였다. [[미국]]에서는 [[1975년]]에 마지막 벨 에어가 생산되었지만, 캐나다의 대형 쉐보레 라인업은 1976년부터 2도어, 4도어 및 스테이션 왜건 라인업으로 계속 생산하였다. [[1976년]] [[미국]]에서는 후속으로 [[쉐보레 임팔라]] 라인업에 4도어 세단인 'S' 사양을 만들어 이를 유지해 나갔다. === 2세대(1977~1981)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79 쉐보레 벨 에어 경찰차.png|width=100%]]}}}|| || '''{{{#ffffff 1979년형 경찰차 사양}}}''' || 계속해서 저가 대형차 라인업으로 판매되었다. 차량의 생산은 [[캐나다]] [[온타리오 주]] 오샤와 제조 공장에서 이루어졌다. [[1977년]]에 [[미국]] 시장에서 [[쉐보레 임팔라]]/[[쉐보레 카프리스|카프리스]]가 다운사이징을 거치며 벨 에어 역시 같은 과정을 거쳤다. 라인업으로는 4도어 세단, 2도어 쿠페, 그리고 스테이션 왜건으로 구성되었다. 차량의 연비 향상을 위해 일반적으로 더 작은 엔진이 사용되었으며, [[1973년]] 이후 처음으로 쉐보레의 4.1L 터보 쓰리프트 I6 엔진이 세단 사양에 기본 탑재되었다. 세단에서는 140마력의 5.0L 305형 V8 엔진을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었고, 왜건에서는 이 엔진이 기본 적용되었다. 세단과 왜건 사양 모두 적용되던 170마력의 5.7L 350 V8 엔진은 더 큰 6.6L 400 스몰 블록 V8 엔진과 7.4L 454 빅 블록 V8 엔진을 대체하는 최고급 옵션 엔진이 되었다. 이 시기에 벨 에어의 기본 장착 장비로는 작은 허브캡, 세단 한정 천연 섬유와 비닐로 구성된 시트 원단과 왜건 사양에 적용된 풀 비닐 시트, 담배 라이터, 재떨이, 정면 도어 자동 돔 라이트, 풀 카펫, 아스트라 환기장치, 델코 프리덤 배터리, 가변비 [[파워 스티어링]], 전방 [[디스크 브레이크]] 및 터보 하이드라매틱 [[자동변속기]]가 적용되었다. 이전 연식의 차체에서는 한 면당 두 개의 테일램프가 적용되었지만, 후술할 테일램프 설정이 적용되었다.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80 쉐보레 벨 에어 왜건.jpg|width=100%]]}}}|| || '''{{{#ffffff 1980년형 왜건 사양}}}''' || 1980년에는 다른 [[쉐보레]] 대형차 라인업과 함께 외부 판금이 완전히 수정되어 상대적으로 공기역학적인 디자인으로 성능과 연비 향상이 이루어졌다.[[쉐보레 임팔라]]와 동일한 그릴이 적용되었으며, 후면 삼중 테일램프도 임팔라와 계속해서 공유하였다. 또한, 이 해에 [[파워트레인]] 수정이 이루어져 4.1L 터보 쓰리프트 I6 엔진이 스몰 블록 V8 엔진을 기반으로 한 3.8L 229형 V6 엔진으로 대체되었다. 새로운 기본 탑재 V8[* 왜건 사양에서는 기본, 세단 사양에서는 옵션이었다.] 엔진은 2배럴 카뷰레터를 사용한 4.4L 267형 스몰 블록 V8 엔진이었고, 5.0L 305형 스몰 블록[* 모든 사양에 옵션으로 적용되었다.]은 2배럴 카뷰레터에서 4배럴 카뷰레터로 변경되어 15마력 증가한 155마력을 발휘했다. 350 V8 엔진 경찰차 옵션에서만 적용되었다. 여기에 [[올즈모빌]]제 5.7L 로켓 350 디젤 V8 엔진도 새롭게 추가되었다. 대형차 판매가 점점 줄어들면서 [[캐나다]] 시장에서 [[1981년]]까지 판매되다가 단종되었다. 비슷한 시기 저가 대형차 시장에서 경쟁하던 [[폰티악 로렌틴]], [[머큐리 마퀴스|머큐리 마퀴스 미티어]] 및 [[포드 LTD|포드 LTD 커스텀 500]]도 단종되었다. === 폰티악 버전 위탁생산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폰티악 로렌틴 1968.jpg|width=100%]]}}}|| || '''{{{#ffffff 폰티악 로렌틴}}}''' || 해당 차량이 생산되기 이전인 [[1954년]]부터 [[1969년]]까지 GM 캐나다 법인에서는 해당 차량을 기반으로 한 [[폰티악 로렌틴]]을 생산하였다. 차체 패널은 [[미국]]에서 판매된 최신식 [[폰티악]] 라인업과 유사했지만,[[쉐보레 벨 에어]] 섀시, [[파워트레인]], 휠베이스, 심지어 계기판을 제외한 실내까지 모두 동일하였다. 이 차량들은 SKD 키트 형태로 우핸들 사양이 제작되어 [[호주]],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에 수출되어 [[폰티악]]으로 [[배지 엔지니어링]]되어 GM 본사가 [[1968년]]에 생산 중단 요청을 하기 전까지 계속 우핸들 사양이 제작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쉐보레의 차량)]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쉐보레 벨 에어, version=47)] [[분류:쉐보레/생산차량]][[분류:1950년 출시]][[분류:1981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