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청말의 인물]][[분류:청나라의 친왕]][[분류:아시아의 섭정]][[분류:중화인민공화국의 인물]] [목차] == 개요 == [[중국]] [[청나라]]에서 존재했던 [[친왕]] 작위의 이름. 여기서는 인지도가 가장 높은 19세기 ~ 20세기의 순친왕(醇親王)을 맨 처음으로 소개한다. == 순친왕(醇親王) == 세대가 내려갈수록 작위가 강등되지 않는 특권을 가진 12개 '철모자왕' 작위 중 하나였다. [[광서제]]와 [[선통제]], 두 황제를 배출했다. === 1대 순친왕 혁현(奕譞)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아이신기오로 이후완)] === 2대 순친왕 재풍(짜이펑, 載灃) === [[파일:순친왕 재풍.jpg]] 1883년 2월 12일 ~ 1951년 2월 3일 1대 순친왕 혁현의 5남으로 [[선통제]]의 아버지이다. 띠동갑인 둘째 형 재첨(載湉)이 [[광서제]]로 즉위하고 나머지 형들이 유아기 때 죽어서 순친왕가의 장자로서 순친왕작을 계승했다. [[의화단 운동|의화단의 난]] 때 [[독일 제국|독일]]에 대표로 사죄하러 가기도 했는데, 이때 무릎을 꿇으라는 [[빌헬름 2세]]에게 "[[청나라|대청제국]]의 신하로서 몸을 굽히는 정도는 몰라도 무릎을 꿇을 수는 없소."라며 버티기도 했다. 험악한 언쟁 끝에 황제는 명령을 철회했고, 순친왕은 귀국 후 황실은 물론 청나라 전 인민들에게 청나라의 자존심을 지켜줬다고 칭송을 받았다고 한다.[* 강정만, '청나라 역대 황제 평전', p.581] 다만 이는 순친왕이 그냥 버텨서 된 건 아니고 동행한 양성의 외교적 [[로비]]도 주효했다고 한다. 이후 독일 황실을 둘러보고 독일의 부강함에 감명을 많이 받았다. 빌헬름 2세의 동생인 [[하인리히 폰 프로이센]]에게 나라를 부강하게 하는 법을 물어보기도 했다. 중국 최초의 헌법 [[흠정 헌법 대강]](欽定憲法大綱)은 순친왕의 주관하에 제정되었다.[* [[대일본제국 헌법]]을 본떴다.] 형인 광서제가 죽은 뒤 장남인 [[푸이]]가 3세의 나이로 [[선통제]]로 즉위하면서 감국섭정왕(監國攝政王)이 되어 1908년부터 청나라 멸망 시까지 선통제의 섭정 역할을 했다. 재풍 본인이 아닌 아들 푸이가 즉위한 이유는 당시 계승법 때문이었다. 당시 계승법에서 황제는 하나의 항렬에 한 명만이 가능했다. 즉, 재풍은 형 광서제와 같은 항렬이었기 때문에 즉위하지 못하고 광서제의 조카이자 다음 항렬인 푸이가 즉위한 것. 사실 광서제 본인도 본래는 선제인 동치제의 사촌 동생으로 같은 항렬이어서 즉위할 수 없었으나 서태후가 인위적으로 즉위시킨 형태였다. 1910년에는 반청 혁명파 [[왕징웨이]]에 의해 죽음의 위기를 맞을 뻔하지만, 거사 전 이들이 발각됨에 따라 재풍은 살아남는다. 이 무렵에는 장지동 등 개혁의 주역들도 상당수 세상을 떠나고 없었다. 섭정을 맡은 직후 공친왕 푸웨이(溥偉)[* [[공친왕|공충친왕 혁흔]]의 손자이자 2대 공친왕. 재풍에게는 5촌 조카인데 재풍이 혁현의 늦둥이인지라 재풍보다 3살 위였다. 순친왕가와 마찬가지로 철모자왕가였으나 부위의 아버지와 삼촌이 모두 할아버지보다 일찍 사망하여 한 대를 건너뛰어 계승이 이뤄졌다.], [[위안스카이]](袁世凱) 등 선대의 [[권신]]들을 배제한다.[* 부위(푸웨이)는 황실의 안위를 중시하던 재풍과 달리 상당히 강경파여서 훗날 숙친왕 선기(산치)([[카와시마 요시코]]의 아버지)와 함께 [[복벽]] 운동에 뛰어든다. 이후 6촌 동생 부의(푸이)에게 공현친왕으로 추봉되지만, [[만주국]] 수립에 참여한 이력이 문제가 되어 3대 공친왕인 아들 육첨이 훗날 [[문화대혁명]] 때 큰 고초를 겪게 된다. 그래도 육첨은 무려 [[2016년]]까지 살아있었다.] 위안스카이는 상당한 군사력을 가지고 있었지만 [[서태후]]의 부재와 광서제의 실각과 독살에 적극적으로 가담한 원죄 때문에 그 친동생, 재풍에게 적극적으로 맞설 수 없었다. 결국 푸웨이는 한직으로 밀려났고 위안스카이는 낙향한다. 재풍은 이들의 빈 자리를 친동생 등 만주족 황족들로 채운다. 이는 위안스카이의 찬탈을 방지하기 위함이었으나, 이를 본 일반 백성들은 만주족들이 정신을 못차렸다며 반만주족 감정에 불을 질렀고, 결국 신해혁명으로 재풍의 황족 내각은 청이 허무하게 무너지는 또 다른 원인이 된다. 1924년까지는 사실상 [[자금성]]의 제일 웃어른으로 예식을 처리했고, [[톈진]]으로 잠깐 옮겼다가 이후 쭉 [[베이징]]에 살았다. 이 때문에 [[일본 제국|일제]]에게 고초를 겪기도 했다. 생몰년도에서 나오는 것처럼 [[중화인민공화국]]이 [[국공내전]]에서 승리할 때까지 살아있었다. 청나라를 [[중화민국]]에 선양한 사실상의 주체였고, [[만주국]]을 반대했으며, 중화인민공화국에도 협조했기에 대접받았다. 공산당이 집권하자 자신의 거처를 빼앗길까봐 노심초사 했으나 다행히 신정부는 순친왕의 자택을 유상으로 매입해서 청사로 썼고, 순친왕은 자택을 정부에 매각해 받은 돈으로 양호한 주택으로 이사했다고 한다. [[문화대혁명]]으로 고초를 겪은 아들과 달리, 공산 정권 초기에 사망했으므로 예우를 받는 말년을 보낼 수 있었던 것은 나름 행운이었다. 푸이의 동생 아이신기오로 푸제(愛新覺羅 溥傑, 애신각라 부걸)[* 순친왕가의 명목상 후계자였다. 장자 부의가 백부 [[광서제]]의 양자로 입적되어 제위를 승계했으므로 차자 부걸이 가계를 이은 것이다.]의 아내가 [[사가 히로]]이므로 그녀의 시아버지이기도 하다. == 순친왕(純親王) 융희(隆禧) == 1660년 ~ 1679년 [[순치제]]의 7남이다. 시호는 정(靖)으로 순정친왕(純靖親王)이라고도 한다. 19세의 나이로 요절했으나 [[유복자]] 富爾祜倫가 있어서 작위는 2대까지 이어진다. 그러나 2대 순친왕이 2살의 나이로 죽으면서 작위 단절. == 순친왕(淳親王) 윤우(胤祐) == 1680년 ~ 1730년 [[강희제]]의 7남이다. 시호는 도(度)로 순도친왕(淳度親王)이라고도 한다. 세습친왕이 아니였던 관계로 아들은 군왕(郡王)의 작위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