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순천시/정치, top2=곡성군/정치)] [include(틀:제19대 국회의원/전라남도)] ---- ||<-4>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fff [[대한민국|{{{#fff 대한민국}}}]]의 폐지된 [[대한민국 국회|{{{#fff 국회}}}]][[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height=70]]]]}}}||{{{#!wiki style="margin: -5px 0" '''{{{+2 {{{#fff 순천시·곡성군}}}}}}'''[br]{{{-1 {{{#fff 순천시, 곡성군 일원[br]順天市·谷城郡[br]Suncheon·Gokseong}}}}}}}}}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회선거구 순천시·곡성군.svg|width=100%]]}}} || ||<-2> '''선거인 수''' ||<-2> 242,298명 (2014) || ||<-2> '''상위 행정구역''' ||<-2> [[전라남도]]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순천시|{{{#000 순천시}}}]] 전역''' 왕조1동, 왕조2동, 매곡동, 삼산동, 조곡동, 덕연동, 풍덕동, 남제동, 저전동, 장천동, 중앙동, 도사동, 향동(舊 순천시)[br] 승주읍, 해룡면, 황전면, 월등면, 주암면, 송광면, 외서면, 낙안면, 별량면, 상사면, 서면 (舊 승주군) ---- '''[[곡성군|{{{#373a3c,#ddd 곡성군}}}]] 전역''' 곡성읍, 입면, 겸면, 오곡면, 삼기면, 석곡면, 죽곡면, 고달면, 옥과면, 오산면, 목사동면}}} || ||<-2> '''신설년도''' ||<-2> [[제19대 국회의원 선거|2012년]] || ||<-2> '''이전 선거구''' ||<-2> 순천시 || ||<-2> '''신설년도''' ||<-2> [[제20대 국회의원 선거|2016년]] || ||<-2> '''이후 선거구''' ||<-2> [[순천시(선거구)|순천시]] || ||<-2> '''국회의원'''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이정현(정치인)|이정현]] || [목차] [clearfix] == 개요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단 한 차례 존속한 선거구. 재보궐선거가 이루어져 선거는 두 번 치루어졌다. 호남 지역의 선거구임에도 두 차례 선거 모두 [[민주당계 정당]] 후보 (탈당한 무소속 후보들 포함)들이 당선되지 못한 진귀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 ==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순천시·곡성군'''}}}}}}[br]{{{#ffffff 순천시, 곡성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정채하|{{{#373a3c,#dddddd 정채하}}}]](丁菜夏) || 4,209 || 3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97% || 낙선 || ||<|2> {{{#3AB34A {{{+5 '''2'''}}}}}} || [[노관규|{{{#373a3c,#dddddd 노관규}}}]](盧官奎) || 57,447 || 2위 || || [include(틀:민주통합당)] || 40.61% || 낙선 || ||<|2> {{{#FFFFFF {{{+5 '''4'''}}}}}} || '''[[김선동(1967)|{{{#373a3c,#dddddd 김선동}}}]](金先東)''' || '''79,774''' || '''1위''' || || [include(틀:통합진보당)] || '''56.40%''' ||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232,783 ||<|3> '''투표율'''[br]61.63% || || '''투표 수''' || 143,471 || || '''무효표 수''' || 2,401 || ---- 개표 초반에는 노관규 후보가 앞서나갔으나, 김선동 후보가 역전했다. ===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 ||<-4> {{{#ffffff {{{+1 '''순천시·곡성군'''}}}}}}[br]{{{#ffffff 순천시 일원, 곡성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정현(정치인)|{{{#373a3c,#dddddd 이정현}}}]](李貞鉉)''' || '''60,815'''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49.43%''' || '''당선''' || ||<|2> {{{#FFFFFF {{{+5 '''2'''}}}}}} || [[서갑원|{{{#373a3c,#dddddd 서갑원}}}]](徐甲源) || 49,611 || 2위 ||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40.32% || 낙선 || ||<|2> {{{#FFFFFF {{{+5 '''3'''}}}}}} || [[이성수(1969년 4월)|{{{#373a3c,#dddddd 이성수}}}]](李城秀) || 7,341 || 3위 || || [include(틀:통합진보당)] || 5.96% || 낙선 || ||<|2> {{{#FFFFFF {{{+5 '''5'''}}}}}} || [[김동철|{{{#373a3c,#dddddd 김동철}}}]](金東喆) || 785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0.83% || 낙선 || ||<|2> {{{#FFFFFF {{{+5 '''6'''}}}}}} || [[구희승|{{{#373a3c,#dddddd 구희승}}}]](具熙承) || 4,462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3.6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42,298 ||<|3> '''투표율'''[br]50.98% || || '''투표 수''' || 123,534 || || '''무효표 수''' || 508 || ---- {{{#!folding [전라남도 순천시·곡성군 읍면동별 개표 결과 보기] ||<-8> {{{#ffffff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순천시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서갑원|{{{#FFFFFF '''서갑원'''}}}]] || [[이정현(정치인)|{{{#FFFFFF '''이정현'''}}}]]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45,819 [br] (42.92%)''' || '''49,342 [br] (46.22%)''' || '''+ 3,523 [br] (△4.70)''' || '''128,163 [br] (54.43%)''' || || '''향동''' || 44.09% || {{{#c9252b 47.44%}}} || △3.35 || 59.22% || || '''매곡동''' || 44.37% || {{{#c9252b 47.11%}}} || △2.74 || 54.76% || || '''삼산동''' || 42.30% || {{{#c9252b 48.23%}}} || △5.93 || 53.72% || || '''조곡동''' || {{{#0082cd 49.11%}}} || 43.98% || ▼5.13 || 54.65% || || '''덕연동''' || 44.06% || {{{#c9252b 46.26%}}} || △2.20 || 50.55% || || '''풍덕동''' || {{{#0082cd 47.90%}}} || 43.92% || ▼3.98 || 53.60% || || '''남제동''' || {{{#0082cd 48.17%}}} || 42.96% || ▼5.21 || 46.98% || || '''저전동''' || 41.94% || {{{#c9252b 50.09%}}} || △8.15 || 59.36% || || '''장천동''' || 39.96% || {{{#c9252b 52.15%}}} || △12.19 || 48.69% || || '''중앙동''' || {{{#0082cd 47.19%}}} || 46.57% || ▼0.62 || 55.18% || || '''도사동''' || {{{#0082cd '''57.59%'''}}} || 35.99% || ▼21.60 || 50.60% || || '''왕조1동''' || 41.46% || {{{#c9252b 46.72%}}} || △5.26 || 45.89% || || '''왕조2동''' || 41.52% || {{{#c9252b 47.04%}}} || △5.48 || 49.74% || || '''승주읍''' || 39.85% || {{{#c9252b 50.08%}}} || △10.23 || 58.96% || || '''주암면''' || 29.56% || {{{#c9252b '''57.65%'''}}} || △28.09 || 58.75% || || '''송광면''' || 38.69% || {{{#c9252b 53.41%}}} || △14.72 || 54.31% || || '''외서면''' || {{{#0082cd 46.73%}}} || 41.59% || ▼5.14 || 61.95% || || '''낙안면''' || {{{#0082cd 54.37%}}} || 37.06% || ▼27.31 || 59.39% || || '''별량면''' || {{{#0082cd 52.40%}}} || 37.15% || ▼25.25 || 54.27% || || '''상사면''' || {{{#0082cd 49.53%}}} || 38.65% || ▼10.88 || 56.06% || || '''해룡면''' || 44.28% || {{{#c9252b 44.94%}}} || △0.64 || 44.15% || || '''서면''' || {{{#0082cd 47.49%}}} || 43.38% || ▼4.11 || 52.83% || || '''황전면''' || {{{#0082cd 44.03%}}} || 35.26% || ▼8.77 || '''67.30%''' || || '''월등면''' || {{{#0082cd 48.88%}}} || 42.81% || ▼6.07 || 61.31% || ---- ||<-8> {{{#ffffff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곡성군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서갑원|{{{#FFFFFF '''서갑원'''}}}]] || [[이정현(정치인)|{{{#FFFFFF '''이정현'''}}}]]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br] '''(득표율)''' || '''3,792''' [br] '''(23.31%)''' || '''11,472''' [br] '''(70.55%)''' || '''+7,680''' [br] '''(△47.24)''' || '''73.99%''' || || '''곡성읍''' || 20.78% || {{{#c9252b 74.51%}}} || △53.73 || 74.02% || || '''오곡면''' || 26.17% || {{{#c9252b 69.68%}}} || △43.51 || '''76.59%''' || || '''삼기면''' || 20.05% || {{{#c9252b 74.66%}}} || △54.61 || 68.78% || || '''석곡면''' || 22.76% || {{{#c9252b 73.88%}}} || △51.12 || 75.04% || || '''목사동면'''[* [[이정현(정치인)|이정현]] 후보의 고향.] || 12.69% || {{{#c9252b '''84.17%'''}}} || △71.48 || 64.33% || || '''죽곡면''' || 28.76% || {{{#c9252b 69.06%}}} || △40.30 || 69.08% || || '''고달면''' || 30.32% || {{{#c9252b 66.25%}}} || △35.93 || 73.06% || || '''옥과면''' || 27.79% || {{{#c9252b 65.23%}}} || △37.44 || 68.88% || || '''입면''' || 29.03% || {{{#c9252b 59.11%}}} || △30.08 || 71.57% || || '''겸면''' || 23.13% || {{{#c9252b 69.25%}}} || △46.12 || 71.86% || || '''오산면''' || '''35.50%''' || {{{#c9252b 57.66%}}} || △22.16 || 65.21% ||}}} ---- '''민주화 이후 보수 정당이 광주광역시·전라남도 지역의 국회의원 선거에서 거둔 첫 승리다.'''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에서 가장 화제였던 지역이다. 당시 전국 최고 투표율인 50.98%(순천시·곡성군 선거구 전체)을 달성했을 뿐더어, 호남에서 18년 만에 보수 정당 후보인 [[이정현(정치인)|이정현]]의 당선이 엄청난 이슈를 만들어냈기 때문이다. [[http://economy.hankooki.com/lpage/politics/201407/e2014073020445896380.htm|해당 기사]] 이런 결과가 나온 이유에 대해 서갑원과 [[새정치민주연합]]의 자업자득이라는 평가가 지역 민심으로 나오고 있다. 실제로 순천시에서는 노관규 전 시장 재직 당시 서갑원 전 의원이 '''자기 지역구 예산을 자신의 손으로 삭감한 헌정 최초의 사건'''을 터트렸기 때문에, 순천시 주민들의 여론이 매우 나빴음에도 [[새정치민주연합]]이 그를 공천하자 시민들의 불만이 폭발하였다.[* 심지어 노관규 전 시장 쪽의 캠프 인물들이 서갑원 대신 새누리당 이정현 전 의원을 지원하는 행위까지 했다고 인정하기도 했을 정도다. [[http://www.sctoday.kr/news/articleView.html?idxno=2922|해당 기사]]] 결국 서갑원은 민주당의 텃밭에서 무려 9.11%p 차이로 지는 굴욕을 겪게 된다. 세부적으로 보자면 이정현 후보의 고향인 곡성군에서는 이정현 후보가 무려 70.55%(11,473)를 받으며 불과 23.31%(3,792)에 그친 서갑원 후보를 7,681표 차이로 앞섰다. 특히 목사동면은 484표 대 73표로 이 후보가 83.73%를 기록했다. 이같은 곡성군에서의 압도적인 승리가 전체 승리를 견인했다. 하지만 선거인수 8:1, 투표인수 7.5:1로 순천시에 밀리기 때문에, 순천시에서 3% 이상 격차로 진다면 이정현에게 불리한 상황이였다. 하지만 옆 동네인 순천시에서도 이정현 후보가 49,342표를 받아 45,819표를 받은 서갑원 후보를 4,523표 차이로 눌렀다. 세부적으로 보자면 이정현 후보는 승주읍(592:471), 주암면(870:446), 송광면(399:289), 해룡면(3,949:3,892), 향동(594:552), 매곡동(791:745), 삼산동(3,418:2,998), 덕연동(6,415:6,110), 저전동(547:458), 장천동(496:380), 왕조1동(5,070:4,496), 왕조2동(2,419:2,135)에서 승리했고, 서갑원 후보는 외서면(178:200), 낙안면(441:647), 별량면(775:1,093), 상사면(488:574), 서면(1,687:1,847), 황전면(390:487), 월등면(268:306), 조곡동(1,097:1,225), 풍덕동(1,317:1,436), 남제동(1,376:1,543), 중앙동(597:605), 도사동(903:1,525)에서 이겼다. 이로써 이정현 후보가 약 600여표 차이로 앞섰으나, 관내사전투표(13,319:9,603)에서 무려 3,716표를 앞서며 순천에서도 4,523표 차이로 이겼다. 곡성군에서는 이정현 후보의 압승. '''70.55%'''에 달하는 압도적 득표율로 서갑원 후보를 7,700표(11,473:3,792)나 앞섰다. 특히 이정현 후보의 고향인 목사동면은 484표 대 73표로 이정현 후보가 83.73%를 기록하기도. 이같은 곡성군에서의 압도적인 승리가 전체 승리를 견인했다. 하지만 선거인 수 8:1, 투표인 수 7.5:1로 순천시에 밀리기 때문에, 이 정도로는 당선을 장담하기 힘들었다. 하지만 순천시에서는 동/읍면별 표심이 엇갈렸다. 이정현 후보는 승주읍(592:471), 주암면(870:446), 송광면(399:289), 해룡면(3,949:3,892), 향동(594:552), 매곡동(791:745), 삼산동(3,418:2,998), 덕연동(6,415:6,110), 저전동(547:458), 장천동(496:380), 왕조1동(5,070:4,496), 왕조2동(2,419:2,135)에서 승리했다. 인구가 많은 왕조동에서 800표, 삼산동에서 500표, 덕연동에서 300여표를 앞서며 이 4개동에서만 1600표 가량 앞선것이 순천시에서도 승리하는 결정적인 계기를 마련했다는 평. 여기에 이정현 후보의 출신 중학교가 있는 주암면의 몰표가 더해졌다. 서갑원 후보는 외서면(178:200), 낙안면(441:647), 별량면(775:1,093), 상사면(488:574), 서면(1,687:1,847), 황전면(390:487), 월등면(268:306)으로 7개의 면지역에서 900표 이상 앞서고 조곡동(1,097:1,225), 풍덕동(1,317:1,436), 남제동(1,376:1,543), 중앙동(597:605), 도사동(903:1,525)에서도 1000표 이상 앞서는 등 선전했으나[* 공교롭게도 순천시 서남부 권역에서만 서갑원이 이기고, 나머지 지역은 이정현이 쓸어갔다.] 인구가 많은 해룡면, 삼산동, 덕연동, 왕조1동, 2동에서 참패하며 순천시에서도 10% 가량 이정현 후보에게 밀렸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서, title=순천시(선거구), version=153)] [[분류:폐지된 선거구/대한민국]][[분류:전라남도의 정치]][[분류:순천시]][[분류:곡성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