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373a3c,#dddddd '''{{{+1 순결의 마리아}}}'''[br]純潔のマリア[br]Sorciére de gré, pucelle de force}}}[* 부제.]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순결의마리아_1권.jpg|width=100%]]}}} || || '''{{{#373a3c,#dddddd 장르}}}''' ||[[판타지]] || || '''{{{#373a3c,#dddddd 작가}}}''' ||[[이시카와 마사유키]] || || '''{{{#373a3c,#dddddd 출판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코단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발매 || || '''{{{#373a3c,#dddddd 연재처}}}'''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굿! 애프터눈]] || || '''{{{#373a3c,#dddddd 레이블}}}'''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애프터눈 KC[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발매 || || '''{{{#373a3c,#dddddd 연재 기간}}}''' ||2008. 11. 07. ~ 2013. 07. 05. || || '''{{{#373a3c,#dddddd 단행본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3권 ,,(2013. 10. 07. 完),, {{{-2 + 외전 1권}}}[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발매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판타지]] 만화. 작가는 《[[모야시몬]]》을 그린 [[이시카와 마사유키]]. == 줄거리 == >백년전쟁의 시대를 살아가는 최강의 마녀 마리아. 전쟁을 싫어하면서 강력한 마력으로 전쟁터를 유린해온 그녀는 사실 처녀. 사랑은 하고 싶지만 그 앞은 조금 무서운 나이. > >하지만 여몽마 아르테미스와 남몽마 프리아포스를 데리고 너무 난동을 부린 탓에 '천상의 교회'에 찍혀 대천사 미카엘로부터 판결이 내려졌다. 사람 앞에서 마법을 사용하지 않을 것, 그리고 순결을 잃어버렸을 때 마법도 잃게 될 것. > >감시역의 미소녀 천사 에제키엘도 붙여진 마리아의 제약이 있는 대활약은 계속된다! 전쟁이 끊이지 않는 중세 백년전쟁 중인 프랑스. 싸움을 싫어하는 처녀이며 성모의 이름을 가진 마녀 마리아가 밤마다 전장에 서큐버스를 보내어 전쟁을 교란한다. --싸움을 싫어한다는 명분 앞에 친분을 위해 상대팀을 몰살하는 말 그대로 마녀-- == 발매 현황 == 일본의 애프터눈 KC 레이블로 발매됐으며 본편은 3권으로 완결됐다. 외전이자 프리퀄 스토리를 다룬 Exhibition은 1권으로 완결이 났다. == 등장인물 == * '''[[마리아(순결의 마리아)|마리아]]''' 본작의 주인공. [anchor(아르테미스)] * '''아르테미스''' {{{-1 - 성우: [[히카사 요코]][* 히카사 요코는 [[데미는 이야기하고 싶어]]에서도 서큐버스 캐릭터인 [[사토 사키에]]를 맡았는데, 이 캐릭터와는 달리 매우 절제하고 금욕하는 캐릭터다.]/[[휘트니 로저스]]}}} [[파일:attachment/순결의 마리아/chara_02.jpg|width=300]] 마리아의 사역마, [[서큐버스]]. 본체는 암컷 [[흰올빼미]]이며 의뢰가 들어오면 주인인 마리아의 명령으로 적장의 지휘관들의 체력을 빼놓는다. 주인인 마리아가 처녀인것 때문에 매번 놀리거나 핀잔을 주기도 한다.[* 애니메이션 1화에서는 적장의 사제들 중에서 여성과의 성욕을 죄악시해서 남자끼리(...) 하는 사람도 있어서 아르테미스가 마리아에게 부탁해서 원래는 수컷 [[흰올빼미]]였던 프리아포스를 [[인큐버스]]로 만들었는데, 후술하겠지만 문제는 마리아가 처녀인지라 남성의 거기(...)를 본 적이 없는 채로 탄생시켜서 결국 아르테미스는 마리아에게 따지면서 자신이 직접 남성의 것을 아무거나 보여주겠다면서(...) 끌고 가려고 한 건 덤.] 사역마로서 인간의 모습은 마리아의 10년 후의 성장한 모습을 본을 떠서 만든 것이라한다. 철이 들었을 때부터 혼자였던 마리아를 어릴 때부터 키워온 듯 하다. 작중에서 최강 섹드립 보유자. 밤일을 하고 오면 입이나 손,허리가 아프다고 투덜대는데 정작 마리아는 처녀라 눈치를 못 챈다. [anchor(프리아포스)] * '''프리아포스''' {{{-1 - 성우: [[코마츠 미카코]]}}} [[파일:attachment/순결의 마리아/chara_03.jpg|width=300]] 마리아의 사역마, 인큐버스. 아르테미스가 꼬셔온 수컷 부엉이. 인간으로서의 모습은 죠세프의 모습을 본떴다. 마리아가 남자의 거기(...)를 본적이 없는 관계로 인큐버스임에도 불구하고 [[고자|남성의 생식기가 없어서]] 몽마의 일을 못한다. 그래서 평소엔 집안 일을 하거나 골렘이나 다른 소환수들로 둔갑을 해서 전쟁터를 휩쓸고 다닌다.[* 그 전까지는 마리아가 소환수들을 소환했었다.] 비브가 프리아포스를 보고 귀엽다고 한 것을 보면 원본인 죠세프의 외모가 미남이란 것을 알 수 있다. * [anchor(에제키엘)]'''[[에제키엘]]''' {{{-1 - 성우: [[하나자와 카나]]}}} [[파일:attachment/순결의 마리아/chara_04.jpg|width=300]] 천계의 천사. 대천사 미카엘의 사역마이자 사용무기인 창 그자체이다. 평상시의 본 모습은 비둘기, 사이즈가 작아서 늘 마리아의 두 사역마한테 쪼임을 당하고, 인간의 모습 때는 유아체형이라서 또 당한다(...). 마리아의 감시역으로 붙어있으며, 마리아의 행동과 천계의 모순에 의문을 가지기 시작한다. 마리아의 사역마들과 티격태격하지만 같이 장보러 갈 정도로 꽤나 사이가 좋다. [[츤데레]]. [anchor(죠세프)] * '''죠세프''' {{{-1 - 성우: [[오노 켄쇼]]}}} [[파일:attachment/순결의 마리아/chara_05.jpg|width=300]] 프랑스 정규군의 군인. 원래는 마리아에게 의뢰서를 건내주는 담당이었지만, 전투병쪽으로 전향을 하였다. 죠세프에게 고백 비스끄므리한 것을 받은 마리아가 죠세프가 죽지않게 의뢰가 없어도 직접적으로 전투에 개입을 시작한다.[* 의뢰는 아르테미스를 시켰고 마리아 본인은 일단 자기눈에 보이는 전쟁은 전부 막고 봤다.] 마지막엔 마리아에게 고백을 하고 청혼을 한다. 그 뒤 마리아와 같이 마을에서 살게되고 인간으로 환생을 하게될 에제키엘의 아버지가 된다.[br] '''미카엘에게 데미지를 입힐 수 있었던 유일한 인물'''. 마법은커녕 그 어떤 능력도 지니지 않은 그가 신의 대리인을 상처입혔다는 사실은 여러모로 의미심장하다. [anchor(비브)] * '''비브''' {{{-1 - 성우: [[노토 마미코]]}}} 잉글랜드 출신의 마녀. 잉글랜드 출신이지만 다른 마녀들과 달리 잉글랜드편만 들지 않고 의뢰가 들어오는 쪽이라면 어느 편이든 들어주는 중립. 사역마를 사용해서 지휘관들의 정기를 빨아먹게 하는 프랑스 마녀들과 달리 비브는 본인이 직접한다. 2부의 주인공이며, 프랑스에 처음왔을 때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anchor(미카엘)] * '''미카엘''' {{{-1 - 성우: [[이노우에 키쿠코]]}}} 천계의 대천사. 인간계에 너무 대놓고 개입을 하는 마리아를 죽이려다가, 죽이지 않는 조건으로 마리아의 처녀성을 유지시키게 하였다. 에제키엘을 감시역으로 붙였지만 이는 천계가 너무 바쁘다는 이유였기때문에 마리아는 노골적으로 계속 자신의 개입을 멈추지 않고 있다. [anchor(베르나르)] * '''베르나르''' {{{-1 - 성우: [[사쿠라이 타카히로]]/[[소니 스트레이트]]}}} 수도사. 교회에서 꽤나 발언권이 있는 위치에 있으며 양봉부업을 한다. 영주의 조카로 마리아를 이용해 모종의 음모를 꾸미고 있다. 애니메이션에서 마리아의 대척점에 서는 존재였으나 마리아에 의해 자신의 사상이 논파당한 이후 역할을 지르베에 넘기고 마리아의 대화에서 영감을 받은 인문주의의 사상을 저술했다. 12화에 지상에 강림하여 마리아에 대한 의견을 묻는 대천사 미카엘을 거부하고 가루가 되어 죽었다. [anchor(지르베)] * '''지르베''' {{{-1 - 성우: [[하나에 나츠키]]}}} 하급 수도사. 8화에서 이단 심문관으로 임명된다. 베르나르가 저술에 빠지자 마리아의 화형을 주도했다. [anchor(갈파)] * '''갈파''' {{{-1 - 성우: [[오노 유우키]]}}} 애니판 오리지널 캐릭터. 붉은 오른팔 용병단의 일원. 죠세프와는 행군 도중 안면을 트게 된다. 매번 전투를 방해하는 마리아를 탐탁지 않게 본다.[* 용병의 입장에서는 적장을 많이 죽이거나, 기사들을 포로로 잡아서 몸값을 받고, 전사자들의 전리품을 챙겨서 돈을 벌어 생계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매번 전투에 끼어들어서 싸움자체를 못하게 하니 눈에 가시일수밖에] 용병으로서 짬밥도 꽤 있고, 보기보다는 잔머리도 굴릴 줄 안다. 입이 험하고 자기 잇속을 잘 챙기지만 의리도 강한 편이다. 나름 꿈이 있어서 기사나 귀족 테크를 타고 왕이 되겠다는 시청자들 보기엔 참 허황된 꿈을 꾸고 있다. 뭐 그냥 용병은 됐고 출세하고 싶다는 거. 자신의 출세를 위해서 무모한 일도 꺼리지 않는 모습을 보이는 바람에 7화에서 한 쪽 팔을 잃게 되었고 그것을 베르나르가 거둬들인다. 이후 이반이 이끌고 있던 용병단의 새로운 리더가 된다. 심지어 베르나르에 의해 오토메일을 지급받게 되어 더욱 더 강력한 움직임이 가능해지게 되었다. [anchor(이반)] * '''이반''' {{{-1 - 성우: [[미야케 켄타]]}}} 갈파가 소속되어 있는 용병단의 리더. 애꾸눈. [anchor(마셀)] * '''마셀''' {{{-1 - 성우: [[야마모토 타다시]]}}} 갈파가 이반을 살해하고 용병단의 리더를 꿰찬것을 납득하지 못하고 그에게 승부를 걸었으나 하필 그의 오토메일이 등장하면서 최초의 희생자가 된다. 무기는 장검. [anchor(로롯트)] * '''로롯트''' {{{-1 - 성우: [[코지마 사치코]]}}} 갈파의 소꿉친구인 창부. 용병단 관련으로 물건을 파는 일도 하고 있다. [anchor(안)] * '''안''' {{{-1 - 성우: [[카쿠마 아이]]}}} 프랑스에 살고 있는 평범한 농가의 소녀. 전쟁의 진행중에 태어난 어린이에 해당하므로 평화를 누구보다도 바라는 면이 있다. [anchor(마사)] * '''마사''' {{{-1 - 성우: [[이치죠 미유키]]}}} 안의 할머니. 꽤 오래전부터 마리아와 알고지낸 듯 하다. 그 때문에 마리아가 착한 마녀인 것을 알고있고 무슨 일이 있어도 전쟁에 끌려간 자신의 아들이 살아돌아올 것이란 것을 믿고있다.[* 애니판에서는 초조해하는 다른 가족들과 달리 느긋한 모습을 보여준다.] [anchor(도니)] * '''도니''' {{{-1 - 성우: [[야스무라 마코토]]}}} 마사의 아들, 안의 아버지. 전쟁을 직접 체감하고 있는 신분. [anchor(본느)] * '''본느''' {{{-1 - 성우: [[케이쵸 유카]]}}} 안의 어머니. [anchor(르 메 기욤)] * '''르 메 기욤''' {{{-1 - 성우: [[시마다 빈]]}}} 베르나르의 삼촌이자, 죠셉이 살고 있는 곳의 영주. [[백작]]. 죠셉의 아버지때부터 상관으로 칭해졌던 인물. [anchor(존 드 트로안)] * '''존 드 트로안''' {{{-1 - 성우: [[야나기타 준이치]]}}} 기사. 자신의 정혼자가 갈파와 정분을 통한 것을 알게 되고 그에게 결투를 신청한다. 이미 갈파는 무차별적인 폭행에 한쪽 팔이 온전치 못해 누가 봐도 그의 승리였었다. 그러나 갈파는 사실 팔이 다친 시늉을 했고, 방심 끝에 드로안을 꺾고 만다. 수치심을 느낀 드로안은 패배 후 자결로 생을 마쳤다. [anchor(우제니)] * '''우제니''' {{{-1 - 성우: [[사쿠라이 하루미]]}}} 기사의 정혼자. 비록 갈파가 술이 취해 인사불성이였다해도 같이 하룻밤 정분을 날 정도면 보통 헤픈 것이 아닐지도. 아니면 드로안을 별로 중하게 여기지 않은 듯 하다. 드로안이 자결하자 종적을 감춘다. [anchor(발키리)] * '''발키리''' {{{-1 - 성우: [[후지이 유키요]]}}} 발할라의 사자들. 초반에 등장한 이후로 출연이 없었으나 8화에서 본격적으로 모습을 드러낸다. [anchor(고블린 가족)] * '''고블린 가족''' {{{-1 - 성우: [[무라나카 토모]], [[무로 겐키]]}}} 8화에서 부상을 입고 마리아를 방문한 고블린 가족. 영국의 버킹검 부근에서 촌락을 이루어 다른 고블린들과 살고 있다. [anchor(케르는노스)] * '''케르는노스''' {{{-1 - 성우: [[하시 타카야]]}}} 마리아의 사상에 의문을 갖고 있는 이형생물체. * '''라 퓌셀''' [[잔 다르크]]이다. 해당 작품에서는 프랑스를 지키기 위해 직접 개입한 마녀로 나오고, 작중시점에서 이미 고인이다. [anchor(마녀들)] * '''다른 마녀들''' * '''베라''' {{{-1 - 성우: [[덴도 리나]]}}} * '''샨다르''' {{{-1 - 성우: [[스즈키 에리]]}}} * '''수잔느''' {{{-1 - 성우: [[하시모토 치나미(성우)|하시모토 치나미]]}}} * '''도로시''' {{{-1 - 성우: [[타카하시 리에]]}}} * '''에드비나''' {{{-1 - 성우: [[우치야마 유미]]}}} 마녀들 중에 인간계에서 자연스럽게 활동하고 있는 마녀. 검은 고양이 사역마가 있다. 조용히 살고 싶어서 다른 마녀들과는 달리 의뢰도 받지 않고 숨어서 지내고 있었고, 마리아의 위기 때도 미카엘에게 찍힐까봐 주저했지만 갈등 끝에 이성의 끈이 툭 끊어진 상태에서 나타났을 때는 제법 강력한 모습을 보였다. * '''레그리스''' {{{-1 - 성우: [[오자와 아리]]}}} 에드비나의 사역마. 인간으로 변신하는 것이 가능하며 마리아의 위기를 에드비나와 함께 돕는다. == 설정 == * '''배경 설정''' * 영국과 프랑스의 백년전쟁이 주무대이다. 스토리가 마녀들의 중심으로 흘러가는 만큼 실제 역사의 언급은 없다. * 천사, 마녀들이 존재하며 그 외에도 다른 종교의 사자인 발키리들도 존재한다. * 인간들이 신과 천사들에게 늘 기도를 함에도 불구하고 방관만 하는 부분을 비판하는 마리아의 모습도 꽤나 큰 볼거리. * 정확히 어느 년도인지는 언급이 없지만, [[잔 다르크|라 퓌셀]]이 화형을 당한지 얼마 안 되었고, 작품 후반부에서 잉글랜드가 프랑스에서 철수를 시작하였다. * '''[[마녀]]''' 프랑스-영국의 100년 전쟁의 뒤에서 몰래 개입하고 있는 존재. 각 군의 의뢰를 받아서 서큐버스를 이용하여 적군들을 전투 불능 상태로 만드는 것이 주 업무. 작품내에서는 프랑스 마녀와 잉글랜드에서 건너온 마녀들이 있다. 마녀들은 서로 싸우는 일은 없고, 본국인 프랑스나 잉글랜드가 지고 있어도 개의치 않는다. 국적에는 상관없이 서로 마녀간의 공동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마리아처럼 직접 개입을 하는 마녀도 드물지만 가끔 있는 모양이다. 한 마을당 한명씩 마을을 지켜주는 식으로 있는 모양이지만 이단심문단의 마녀 사냥으로 인하여 마녀의 수가 매우 줄었고 상당수가 떠난 모양이라고 한다. 숨어사는 마녀도 있는 듯하다. * '''[[사역마]]''' 마녀들의 시종. 서큐버스와 인큐버스가 있다. 작품에서는 다양한 동물들을 사용해서 만든다. 다만 동물의 특성에 따라 겉모습이나 비행 능력들이 결정되는 것으로 보인다. 전쟁에는 남자들뿐이라 서큐버스만 있으면 되지만, 성직자나 기사들 중에 남색가들이 꽤나 많아서[* 작중에서도 애니메이션 2화쯤에 해당 묘사가 있다.] 인큐버스를 만들기도 한다. * '''[[천사]]''' 천계의 사자. 창조주의 대리인으로서 절대적인 우위에 있다. 인간계의 개입을 절대로 금지하고 있고, 인간계에 간접적으로 개입을 하는 마녀들이나 발키리들을 감시하는 편이다. 마녀들이 인간계에 개입을 하여도 직접적인 모습을 보이거나 큰 힘만 쓰지 않으면 신경 쓰지 않는 모양이다. * '''[[발키리]]''' 발할라의 사자들. 전쟁터에서 죽은 전사들의 영혼을 데려가는 것이 주 목적. 하지만 해당 전사들이 그리스도교라면 천사들이 개입을 하기 때문에 데려가지 못한다. == 미디어 믹스 == === 애니메이션 === ||<-2>
{{{#373a3c,#dddddd '''{{{+1 순결의 마리아}}}''' (2015)[br]純潔のマリア}}}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순결의마리아_애니키비주얼.jpg|width=100%]]}}} || ||<-2>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373a3c,#dddddd 원작}}}''' ||[[이시카와 마사유키]] || || '''{{{#373a3c,#dddddd 감독}}}''' ||[[타니구치 고로]] || || '''{{{#373a3c,#dddddd 시리즈 구성}}}''' ||[[쿠라타 히데유키]] || || '''{{{#373a3c,#dddddd 치프 리서처}}}''' ||시라토 세이이치(白土晴一) || || '''{{{#373a3c,#dddddd 캐릭터 디자인}}}''' ||[[치바 유리코]] || || '''{{{#373a3c,#dddddd 컨셉추얼 디자인}}}''' ||[[나카다 에이지]] || || '''{{{#373a3c,#dddddd 총 작화감독}}}''' ||[[치바 유리코]][br][[나카다 에이지]] || || '''{{{#373a3c,#dddddd 미술 감독}}}''' ||이케다 시게미(池田繁美)[br]마루야마 유키코(丸山由紀子) || || '''{{{#373a3c,#dddddd 색채 설계}}}''' ||사카이 나루미(境 成美) || || '''{{{#373a3c,#dddddd 촬영 감독}}}''' ||타나카 코지(田中宏侍) || || '''{{{#373a3c,#dddddd CG 디렉터}}}''' ||미카미 야스히로(三上康博) || || '''{{{#373a3c,#dddddd 편집}}}''' ||모리타 세이지(森田清次) || || '''{{{#373a3c,#dddddd 음향 감독}}}''' ||[[아케타가와 진]] || || '''{{{#373a3c,#dddddd 음악}}}''' ||[[코우다 마사토]] || || '''{{{#373a3c,#dddddd 음악 제작}}}''' ||[[란티스]][br]I will || || '''{{{#373a3c,#dddddd 치프 프로듀서}}}''' ||유카와 아츠시(湯川 淳)[br]마츠시타 타쿠야(松下卓也)[br]우스이 히사토(臼井久人)[br]사쿠라이 유카(櫻井優香)[br]모리시타 카츠지(森下勝司)[br]이시가키 타케시(石垣 毅) || || '''{{{#373a3c,#dddddd 프로듀서}}}''' ||타나카 타로(田中太郎)[br]츠치야 준이치로(土屋潤一郎)[br]니시카와 카즈요시(西川和良)[br]키사라 요헤이(木皿陽平)[br]시미즈 키이(清水紀衣)[br]타바타 타카유키(田畑孝之) || || '''{{{#373a3c,#dddddd 라인 프로듀서}}}''' ||니시무라 토모야스(西村知恭)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제작}}}''' ||[[Production I.G]] || || '''{{{#373a3c,#dddddd 제작}}}''' ||순결의 마리아 [[제작위원회]] || || '''{{{#373a3c,#dddddd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15년 1월|2015. 01. 11.]] ~ 2015. 03. 29. || || '''{{{#373a3c,#dddddd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도쿄 메트로폴리탄 텔레비전|도쿄 MX]] / (일) 22:30[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플러스]] / (금) 23:30 || || '''{{{#373a3c,#dddddd 편당 러닝타임}}}''' ||24분 || || '''{{{#373a3c,#dddddd 화수}}}''' ||12화 || || '''{{{#373a3c,#dddddd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9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ffffff 19세 이상 시청가}}}]] || || '''{{{#373a3c,#dddddd 관련 사이트}}}''' ||[[http://www.junketsu-maria.tv/|[[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JunketsuMariaTV, 크기=25)] || }}}}}}}}}}}} || 감독은 [[타니구치 고로]]. 2015년 1월 6일에 선행편을 공개를 하였다. 기본적으로 원작의 내용을 따라가지만 원작의 분량이 3권으로 굉장히 적은지라 오리지널 스토리와 캐릭터들을 추가하였다. 미국에서는 퍼니메이션을 통해, 한국과는 달리 영어 더빙까지 다 되어 방영되었다. ==== 음악 ==== ===== 주제가 ===== ====== OP ====== ||<-2>
'''{{{#373a3c,#dddddd OP[br]Philosophy of Dear World}}}'''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qn86xlrtTmE, width=100%)]}}} || ||<-2> '''{{{#373a3c,#dddddd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Full ver.}}}''' || || '''노래''' ||<|4> [[ZAQ]] || || '''작사''' || || '''작곡''' || || '''편곡''' || || '''스트링스 어레인지''' || [[카토 타츠야]]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 [[타니구치 고로]][br][[나카다 에이지]][br]시라토 세이이치(白土晴一) || || '''연출''' || [[타니구치 고로]][br][[와타나베 테츠아키]] || || '''작화감독''' || [[치바 유리코]][br][[나카다 에이지]]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ED ====== ||<-2>
'''{{{#373a3c,#dddddd ED[br]alie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Full ver.}}}''' || || '''노래''' || [[TRUE]] || || '''작사''' || [[TRUE|카라사와 미호]](唐沢美帆) || || '''작곡''' ||<|2> [[카토 타츠야]]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 [[타니구치 고로]] || || '''연출''' || [[타니구치 고로]][br][[와타나베 테츠아키]] || || '''작화감독''' || [[치바 유리코]][br][[나카다 에이지]] || || '''원화''' || 洪昌熙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삽입곡 ===== ||<-2>
'''{{{#373a3c,#dddddd 10화 삽입곡[br]Les serments de chasteté 〜純潔の誓い〜}}}'''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Full ver.}}}''' || || '''노래''' || [[TRUE]] || || '''작사''' || 마츠이 요헤이(松井洋平) || || '''작곡''' ||<|2> myu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2>
'''{{{#373a3c,#dddddd 12화 삽입곡[br]素晴らしき実りを歌い捧げよう}}}'''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Full ver.}}}''' || || '''노래''' || [[TRUE]] || || '''작사''' || 마츠이 요헤이(松井洋平) || || '''작곡''' ||<|2> myu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회차 목록 ==== * 전화 각본: [[쿠라타 히데유키]] * 전화 총 작화감독: [[치바 유리코]], [[나카다 에이지]] ||
'''회차''' || '''제목'''[*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 LIBER I[br]제1화 || VIRGO INTACTA[br]完全なる乙女[br]완전한 처녀 || [[타니구치 고로]] || [[하마나 타카유키]] || 오카야마 시나코[br](岡山思菜子)[br]카와이 모모코[br](河合桃子) || 日: 2015.01.11.[br]韓: 2015.01.16. || || LIBER II[br]제2화 || CONTRA MUNDUM[br]世界に対す[br]세계에 맞서다 || 니이도메 토시야[br](新留俊哉) || 우에노 후미히로[br](上野史博) || 코다 나오코[br](幸田直子)[br]마츠모토 요시노[br](松本美乃) || 日: 2015.01.18.[br]韓: 2015.01.23. || || LIBER III[br]제3화 || FIDE,NON ARMIS[br]武器ではなく信仰で[br]무기가 아닌 신앙으로 ||<-2> [[이바타 요시히데]] || 이지마 케이코[br](井嶋けい子)[br][[야히로 유코]][br]아라이 코이치[br](新井浩一)[br]사이토 에이코[br](斉藤英子)[br]이나요시 아사코[br](稲吉朝子)[br]니시무라 이쿠[br](西村 郁)[br]카쿠타 케이이치[br](角田桂一) || 日: 2015.01.25.[br]韓: 2015.01.30. || || LIBER IV[br]제4화 || MEMENTO MORI[br]死を思え[br]죽음을 기억하라 || [[스나가 츠카사]] || 노시타니 미츠타카[br](熨斗谷充孝) || 사토 토모코[br](佐藤友子) || 日: 2015.02.01.[br]韓: 2015.02.06. || || LIBER V[br]제5화 || SAPERE AUDE[br]勇気を、分別を[br]용기를, 분별을 || 타니구치 고로 || 마루야마 유타[br](丸山由太) || 스즈키 사에코[br](鈴木さえこ)[br]무라마츠 히사오[br][*액션][br](村松尚雄) || 日: 2015.02.08.[br]韓: 2015.02.13. || || LIBER VI[br]제6화 || SUB ROSA[br]薔薇の下で[br]장미 아래에서 || 스나가 츠카사 || 이토가 신타로[br](いとがしんたろー) || 니시오 테츠야[br](西尾鉄也)[br]야히로 유코[br]이지마 케이코[br]사이토 에이코[br]카와이 모모코 || 日: 2015.02.15.[br]韓: 2015.02.20. || || LIBER VII[br]제7화 || BELLUM SE IPSUM ALET[br]戦争は戦争を食う[br]전쟁은 전쟁을 먹는다 || 호소카와 히데키[br](細川ヒデキ) || 나카자와 신타로[br](仲澤慎太郎) || [[스즈키 슌지]][br]사사키 아츠코[br](佐々木敦子) || 日: 2015.02.22.[br]韓: 2015.02.27. || || LIBER VIII[br]제8화 || LUPUS EST HOMO HOMINI[br]人は、人にとって狼[br]인간은 인간에게 늑대다 || 엔도 히로타카[br](遠藤広隆) || 토사카 신[br](登坂 晋) || 이토 타케시[br](伊藤岳史) || 日: 2015.03.01.[br]韓: 2015.03.06. || || LIBER IX[br]제9화 || CUM GRANO SALIS[br]一つまみの塩を[br]약간의 소금을 ||<|3> 스나가 츠카사 || 이시이 히사시[br](石井久志) || 마츠모토 요시노[br]코다 나오코 || 日: 2015.03.08.[br]韓: 2015.03.13. || || LIBER X[br]제10화 || ODI ET AMO[br]我憎み、我愛す[br]난 증오하며 사랑한다 || 이바타 요시히데 || 키쿠치 토시히로[br](菊池聡延) || 日: 2015.03.15.[br]韓: 2015.03.20. || || LIBER XI[br]제11화 || SI VIS AMARI, AMA[br]愛を望むなら愛せ[br]사랑을 원한다면 사랑하라 || 쿠라카와 히데아키[br](倉川英揚)[br][[와타나베 테츠아키]] ||<|2> - || 日: 2015.03.22.[br]韓: 2015.03.27. || || APOCALYPSIS[br]최종화 || OMNIA VINCIT AMOR[br]愛は、全てに勝つ[br]사랑은 모든 것을 이긴다 || 타니구치 고로 || 타니구치 고로[br]와타나베 테츠아키 || 日: 2015.03.29.[br]韓: 2015.04.03. || ==== 평가 ==== [[Production I.G]]답게 선행편에서 고퀄리티의 동화 작업을 보여주었고, 프랑스군과 영국군의 고증을 잘살렸다.[* 그덕분에 원작의 디자인들은 반영이 안 되었기 때문에 좀 아쉽다는 평이있다.] 실제로 한 중세 무기등을 주로 다루는 유튜버가 [[https://www.youtube.com/watch?v=_tFOJFyTl1U|가장 고증이 잘 맞는 작품은 영화나 TV쇼가 아니라 아니메였다]]며 본작의 고증을 설명했다. 선행편에서 공개된 전투씬은 원작과 달리 공성전이 아니라 평지에서의 전투라서 아쉽다는 평가도 있다. 중세시대 때는 검지와 중지를 상대방에게 향하게 하는 것이 욕설이라는 고증도 살려 작중에 보여주었다. 게다가 5화에서 가르파가 존이라는 기사와 결투를 하는 과정에서 나온 칼등으로 공격한 것은, Mordhau라고 하여 실제 중세에서 사용되었던 움직임이다. 판매량은 503장으로 심각한 결과[* 2010년부터 좋은 평가를 받는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BD/DVD 판매량으로 직결되지 않고 있는 사례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제작사의 명성에도 불구하고 중반 이후로는 타산이 맞지 않았는지 작화에서 힘이 꽤나 빠지기 시작했다. 다만 충분히 곱씹어볼 만한 주제의식을 갖고 있고, 원작내용을 잘라먹기에 급급한 홍보용 1쿨애니가 대세인 요즘 원작에 감독 나름대로의 해석을 덧붙여 1쿨만으로도 무난하고 깔끔하게 마무리했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걸작이라는 평이다. 실제로 유투버들이나 애니 관련 커뮤니티에서 꾸준하게 추천작 리스트에 오르고 있다. [[분류:일본 만화/목록]][[분류:2008년 만화]][[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15년 1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일본 만화 원작 애니메이션]][[분류:Production I.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