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어: 夙興夜寐 간자체 : 夙兴夜寐 한자 훈음: 일찍 숙 · 일어날 흥 · 밤 야 · 잠잘 매 영어: working early and late [목차] == 겉 뜻 == 아침에 일찍 일어나고 밤에는 늦게 잔다. == 속 뜻 == 책임을 다하기 위해 애쓰고 노력하는 모습을 비유하는 말 == 출전 == [[시경]], [[사기(역사책)|사기]], [[수서]] [[수문제]], [[명심보감]], 사자소학, 이황의 성학십도 == 유래 == 1. 詩經 衛風 氓(시경 위풍 맹) 편에, >三歲爲婦 (삼세위부) : 삼 년 동안 그이의 [[부인]]이 되어 >靡室勞矣 (미실로의) : 방에서 쉬임없이 고생하였네. >夙興夜寐 (숙흥야매) : 새벽에 일어나 밤늦게 잠들며 >靡有朝矣 (미유조의) : 아침이 있는 줄도 몰랐네. >言旣遂矣 (언기수의) : [[혼인]]의 언약이 이루어지자마자 >至于暴矣 (지우포의) : [[남편]]은 갑자기 난폭하게 나를 대했지. >兄弟不知 (형제부지) : [[형제]]들도 이를 알지 못하고 >咥其笑矣 (희기소의) : 나를 보면 그저 허허 웃기만 하네. >靜言思之 (정언사지) : 가만히 앉아 돌이켜 생각해 보니 >窮者悼矣 (궁자도의) : 나 자신만 가여워지는구나. > 2. 詩經 小雅 小宛(시경 소아 소완) 편에, >題彼脊令 (제피척령) : 날아가는 [[할미새]]를 보니 >載飛載鳴 (재비재명) : 날면서 울어 대네. >我日斯邁 (아일사매) : 나는 나날이 힘을 쓰고 >而月斯征 (이월사정) : 달을 따라 노력하여. >夙興夜寐 (숙흥야매) : 새벽에 일어나 밤늦게 잠이 들며 >無添爾所生(무첨이소생) : 낳아주신 부모님 욕되게 말아야지. 3. 明心寶鑑 存心(명심보감 존심) 편에, >夙興夜寐 所思忠孝者 人不知天必知之(숙흥야매 소사충효자 인부지 천필지지) >(아침에 일어나 밤늦게까지 충효를 다하는 자는 사람이 알아주지 않아도 하늘이 반드시 알아줄 것이다.) 4. 사기 전한 효문제 "상(효문제)는 아침 일찍 일어나서 나랏일을 돌보고 밤 늦게되어야 겨우 잤다." [[분류:고사성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