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熟]][[膾]]}}} [목차] == 개요 == [[고기]]·[[생선]]·[[채소]] 등을 뜨거운 물에 살짝 익힌 [[음식]]이다. 우리나라에서 숙회가 생겨난 건 [[조선시대]]로 추측된다. [[회]]라고 하면 보통은 육류나 어패류를 날 것 그대로 먹는 생회(生膾)를 말하지만,「옹희잡지(饔―雜志)」에서는 "회는 원칙적으로 어육생자(魚肉生者)를 가리키는 말이다. 그러나 날 것을 삶거나 데치거나 하여 썬 것도 회라 한다."라고 하며, [[천엽]]·[[양]] 등을 뜨거운 물에 약간 데쳐내어 나뭇잎처럼 썬 이른바 숙회를 소개하고 있다. 현재는 주로 [[문어]]와 [[오징어]]를 숙회로 많이 먹는 편이지만, 숙회의 종류는 재료의 개수만큼이나 다양하다. 두릅같은 각종 채소, 나물도 숙회로 해먹는다. 조선시대에는 고기의 내장 등도 숙회로 많이 먹었다는 기록이 있다. 특히 숙회는 특유의 쫄깃한 식감이 일품이다. == 종류 == === 문어숙회 === === 오징어숙회 === === 어채 === === 두릅숙회 === [[분류:한국 요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