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조선의 후궁]][[분류:1524년 사망]][[분류:경주 이씨]] [include(틀:조선의 후궁(중종 ~ 고종))]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E1D55, #89236A 20%, #89236A 80%, #6E1D55); color: #FFD400" '''조선 중종의 후궁[br]{{{+1 숙의 이씨 | 淑儀 李氏}}}'''}}}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 산17-1, 너비=100%)]}}} || ||<-2> {{{#ffd400 {{{-2 숙의 이씨묘 위치}}} }}} || || '''출생''' ||미상 || || '''사망''' ||[[1524년]] [[11월 5일]]^^([[음력]] [[9월 30일]])^^ || || '''묘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성남)|궁내동]] 산17-1 || || '''본관''' ||[[경주 이씨]] || || '''부모''' ||부친 - 이형신(李亨臣) || || '''부군''' ||[[중종(조선)|중종]] || || '''자녀''' ||'''슬하 1남''' 아들 - [[덕양군]](德陽君, {{{-3 1524 ~ 1581}}}) || || '''봉작''' ||숙원(淑媛) → '''숙의(淑儀)'''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중종(조선)|중종]]의 [[후궁]]. 아버지는 사섬시 첨정을 지낸 이형신(李亨臣)이며, 어머니는 알려지지 않았다. 슬하에 외아들로 [[덕양군|덕양군 이기]]를 두었다. == 생애 == 본래 숙원(淑媛)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인종실록]]》에 실린 [[중종(조선)|중종]]의 지문에서도 숙원 이씨라고 쓰고 있다.[* 인종실록 1권, 인종 1년 1월 24일 무오 3번째기사. [[http://sillok.history.go.kr/id/kla_10101024_003|#]] ] 그런데 언제 종2품 숙의(淑儀)로 봉작되었는지 기록이 없는데, 숙의 이씨로 알려져 있다.[* 공식적인 기록물인 《[[조선왕조실록]]》에 기록이 없고, 《[[승정원일기]]》는 전란으로 인하여 [[인조]] 대부터 남아있어서 찾을 수 없다. ] 특히 1719년(숙종 45) 5대손 이무(李楙)가 다시 세웠다는 묘표에는 숙원경주이씨지묘(淑媛慶州李氏之墓)로 되어있고[* 출처: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01&contents_id=GC00101364|#]] ], 《선원계보기략》에서 [[덕양군]]의 생모를 ' 숙원 이씨 '로 썼고, 《[[국조인물고]]》에 실린 덕양군의 묘지문에서도 '숙원 이씨'로 썼다.[* [[덕양군]]의 묘지문은 동시대에 활동한 [[중종(조선)|중종]]의 딸 [[정순옹주(중종)|정순옹주]]의 남편 여성위 송인(宋寅)이 썼다. ] 그런데 《선원록》에서는 덕양군의 생모를 '숙의 이씨'로 써서 혼동이 오는 것.[* 일례로 《조선왕조실록》에서도 [[성종(조선)|성종]]이나 [[연산군]]의 후궁들이 앞에서는 정2품 소의였다가 뒤에서는 종2품 숙의가 되는 등 시기에 맞지 않게 써있는 경우가 있어서 이상한 일은 아니다. ][* [[덕양군]]파 종중에서는 [[숙종(조선)|숙종]] 대에 숙원 이씨가 숙의로 추증되었다고 말하고 있으나 추증에 대해서는 《승정원일기》에서도 확인되지 않는다. ] 한편, 아들 [[덕양군]]을 낳고 산고를 이기지 못하여 일찍 죽는 바람에 [[덕양군]]은 같은 후궁인 [[숙의 김씨(중종)|숙의 김씨]]의 손에서 자랐다. == 여담 == *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 중인 보물 제1326호 《함창 상원사 사불회탱(咸昌 上院寺 四佛會幀)》은 [[명종(조선)|명종]] 재위 연간에 손자 풍산정 이종린(李宗麟)이 할머니 숙원 이씨를 비롯한 가족들을 위해 발원·조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