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당 황후)] ||<-2> '''{{{#fff 당나라의 황후[br]{{{+1 肅明順聖皇后 | 숙명순성황후}}}}}}''' || || '''{{{#fff 시호}}}''' ||<(> 숙명순성황후(肅明順聖皇后) || || '''[[성씨|{{{#fff 성}}}]]''' ||<(> 유(劉) || || '''{{{#fff 생몰}}}''' ||<(> ? ~ 693년 || ||<|2> '''{{{#fff 재위}}}''' ||<(> '''{{{#fff 당나라의 황후}}}'''|| ||<(> 684년 ~ 690년|| || '''{{{#fff 배우자}}}''' ||<(> [[예종(당)|예종]](睿宗) || || '''{{{#fff 부친}}}''' ||<(> 유연경(劉延景) || || '''{{{#fff 조부}}}''' ||<(> [[유덕위]](劉德威) || [목차] [clearfix] == 개요 == [[당나라]]의 제5대 황제인 [[예종(당)|예종]]의 황후이다. == 생애 == 형부상서 유덕위의 손녀이자 유연경의 딸이다. 의봉 연간에 고종의 상왕(相王) 이륜의 유인(孺人)이 되었다가 이후 정식으로 상왕비가 되었다. 유씨는 예종과의 사이에서 1남 2녀로 영왕(寧王) 이헌(李憲), 수창공주(壽昌公主), 대국공주(代國公主)를 낳았다. 상왕 이륜은 이후 이름을 단(旦)으로 고쳤고 684년에 형인 [[중종(당)|중종]]이 폐위되자 황제로 즉위하니, 이가 제5대 황제인 예종이다. 유씨는 예종이 황제로 즉위하자, 황후로 책봉되었다. 당시 조정은 예종의 모후인 [[측천무후]]가 [[황태후]] 자격으로 섭정을 하고 있었으며, 690년이 되면 측천무후가 직접 예종으로부터 제위를 넘겨받아 황제로 즉위한다. 예종이 황사(皇嗣)로 강등되면서 유씨 역시 비로 강등되었다. 이후 693년에 궁녀인 단아(團兒)로부터 유씨가 두씨(竇氏)와 함께 요술을 부려서 측천무후를 저주했다는 참소를 당하여 두씨와 함께 가예전(嘉豫殿)에서 처형되었으며, 이 사실은 조정 밖으로 공표되지 않았다. 유씨가 죽고 17년 뒤인 710년, [[당륭정변]]이 일어나 예종의 아들인 임치왕 [[이융기]]가 예종을 다시 제위에 올렸다. 유씨는 예종에 의해 숙명황후라는 시호를 받았고 동도 남쪽에서 초혼장을 지냈으며, 능은 혜릉(惠陵)으로 명명되고 수도인 장안에 의곤묘(儀坤廟)라는 사당을 세웠다. 이융기가 즉위하고 716년 예종이 죽은 뒤 숙명황후는 [[현종(당)|현종]]에 의해 예종의 능인 교릉(橋陵)에 합장되었다. 하지만 태묘에 신주가 봉안된 이는 숙명황후와 함께 처형되었던 두씨였는데, 이는 두씨가 현종의 모후였기 때문이다. 이후 숙명황후는 732년에 와서야 태묘에 신주가 봉안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구당서)] [include(틀:신당서)] [[분류:수당시대/황후]][[분류:693년 사망]][[분류:팽성 유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