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1 [[菽]][[麥]]}}} '[[콩]]과 [[보리]]'라는 의미를 지닌 [[고사성어]]로, 숙맥불변([[菽]][[麥]][[不]][[辨]])의 준말이다. 콩과 보리를 구별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종종 ''''쑥맥''''이라고 하는 사람이 있는데, 아무래도 첫 발음에 강세가 들어가서 그런 탓이 크다. == 유래 == 출전은 [[춘추좌씨전]]으로, 주자(周子)[* [[주자(철학자)|주희]]가 아니라 [[진도공|진(晉)나라 도공(悼公)]]이다.]의 형이 그 주인공이다. >기원전 573년, 진나라의 대신 난서와 중항언은 임금 여공을 죽이고 [[주나라]]에서 나이 14세의 주자를 맞아들여 임금으로 세웠다. 주자가 진나라 대부들을 처음 만난 자리에서 "사람들이 임금을 찾는 것은 임금에게 명령을 내리게 하여 나라를 다스리게 하려는 것이다. 임금을 세우고 그 명령에 따르지 않는다면 무엇 때문에 임금이 필요하겠는가"라고 하여 대부들의 충성서약을 받았다. >반면 주자의 형은 어리석어 콩과 보리를 구별하지 못할 정도였기 때문에 임금이 될 수 없었다고 한다. == 쓰임 == 사리 분별을 못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한국 속담에 '낫놓고 기역자도 모른다'와 같은 뜻이다. 더 확장된 의미로는 세상 물정을 잘 모르는 사람을 뜻하기도 한다. 근래에는 '''지나치게 순수하거나''' 숫기가 없는 순정/금욕적인 사람을 가리켜 사용한다. [[분류:고사성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