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1 肅軍}}} [[군대]] [[숙청]]. 군의 기강을 바로잡기 위해 군 내부의 부정이나 불상사와 관련된 불순분자들을 인사 조치하는 일. 군대는 한 [[국가]] 내에서 가장 집단화된 [[무력]]을 행사할 수 있는 조직이기 때문에 국가가 제대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정부]]에서 설정한 국가의 방향성에 군대가 절대 복종하도록 통제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물론 이는 [[군부]]의 수장이 국가의 이념과 [[정부수반]]에게 충성·복종하면 해결되는 문제지만 역사를 살펴보면 "권력은 총구에서 나온다"는 격언처럼 군부 내 야심을 품은 인물들이 권력욕에 눈멀어 모국의 정신이나 질서를 위협하는 사례들도 많았다. 때문에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중앙권력은 군 내 불순분자들을 제거함으로써 기강을 바로잡고 군에 대한 국가의 우위를 확보하려 시도'''하곤 하였으며 이를 통칭하여 숙군이라고 한다. [[문민통제]]와도 밀접한 개념이다. == 역사적 사례 == 역사적으로 숙군 작업은 대개 큰 [[전쟁]] 직후에 이루어졌는데 이는 대규모 전쟁을 치르다 보면 [[군대]]가 팽창하면서 군 간부들의 위상이 자연스럽게 올라가고 이에 따라 권력에 대한 야심을 품은 [[군인]]들이 등장할 확률이 높았기 때문이다. [[정복]]·[[반란]]·[[혁명]] 등을 통해 정치체제가 급변한 직후에도 기존 체제에 충성하던 군인들이 새로운 체제의 [[이념]]에 부합하는지를 확신할 수 없었기 때문에 [[사상검증]]을 통한 숙군 작업이 이루어지곤 하였다. 전근대 [[동북아시아]]의 여러 통일 왕조들은 건국 및 통일 과정에서는 적국의 군사적 위협에 맞서야 하므로 필연적으로 군부에 힘을 실어주었지만 안정기에 접어들면 [[공신]]·[[호족]]들을 쳐내는 등 숙군 작업을 진행하곤 하였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토사구팽]]의 고사로 알려진 [[한신]]이며 [[명나라]]의 [[주원장]]도 공신 숙청으로 유명했다. 보통 '혼란기'의 반복은 숙군 작업에 실패하여 지방 [[군벌]]들이 난립하고 이로 인해 차기 군주의 왕권이 위협받거나 [[내란]]이 발생하여 심하면 [[역성혁명|왕조가 교체]]되곤 하였다. [[송나라]]의 [[태조(송)|태조]] [[조광윤]]은 제위에 오른 이후 피를 보지 않기 위해 군권을 가진 장수들을 조용히 불러 숙군 작업을 마친 것으로 유명하며 이를 인용하는 고사로 '[[배주석병권]](杯酒釋兵權)'이라는 단어가 있다. [[한국사]]에서 [[통일신라]]는 [[삼국 통일]] 이후에도 [[호족]]들이 각 지방에 많았기 때문에 숙군 작업은 사실상 불가능했다. [[고려]] 태조 [[왕건]] 사후 [[광종(고려)|광종]]대에, 그리고 [[조선]] 태조 [[이성계]] 사후 태종 [[이방원]] 대에 대규모 숙군 작업에 성공하여 조정의 우위를 확립하였다. 이처럼 동북아에서 "창업에는 무([[武]]), 수성에는 문([[文]])이 필요하다."는 것은 상식처럼 받아들여져 왔으며 이러한 [[문민통제]]와 숙군 작업을 제대로 이행하지 못해 망했던 것이 바로 [[일본 제국]]이다. [[세계사]]로 범위를 넓혀 보면 [[스탈린]] 시기 [[소련]]에서 [[대숙청]]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던 숙군 작업이 유명하다. [[프랑스 혁명]]이 [[나폴레옹]]에 의해 탈취, 변질되어가는 과정을 뚜렷히 지켜본 [[혁명가]]들은,자신들의 이해관계를 투사하기 위해서는 군대가 필요하지만 동시에 이를 제대로 통제하지 못하면 [[혁명]]이 무너질지도 모른다는 분명한 위기의식을 갖게 되었다. 게다가 [[소련]]은 [[러시아 내전]]에서 살아남기 위해 [[러시아 제국]] 출신 장교들을 무분별하게 받아들였고 이들은 당연히 본질적으로 [[공산주의]]에 우호적인 집단이 아니었기 때문에 정부의 입장에서는 [[시한폭탄]]과도 같은 존재였다. 물론 대숙청기 숙군 작업은 스탈린의 [[편집증]]적인 의심으로 인해 현실적 필요를 훨씬 넘어서는 수준으로 벌어졌으며 직후의 [[독소전쟁]] 초기 소련이 크게 밀려나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반대편에 위치한 [[나치 독일]]도 전쟁 준비·진행 과정에서 [[나치즘]]에 충성하지 않는 군인들을 예편시키는 등 군에 대한 통제권 장악에 주력했고 대전 말기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이 터진 후에는 대규모 숙군 작업을 단행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냉전]]이 도래하면서 [[제1세계]]와 [[제2세계]] 모두 [[추축국]]에 복무했거나 [[파시즘]] 성향을 가진 군 간부들을 대거 숙청하였으며 동시에 [[자본주의]] 진영은 [[공산주의자]](라고 여겨지던 군인)들을, [[공산주의]] 진영은 자본주의자(라고 여겨지던 군인)들을 군 내부에서 색출하여 내쫓았다. 물론 [[매카시즘]] 분위기 속에서 단지 [[좌파]]에 우호적이라는 이유로 공산주의자로 몰린 사례도 있었고 그나마 민주국가들은 자정이 가능해서 좀 덜했지만 [[공산권]]에서는 당중앙의 심기에 거슬린다는 이유로 [[극좌]]·[[극우]] 모험주의자로 낙인찍히거나 [[부르주아]] [[반동분자]]로 여겨져 [[예편]], 심하면 [[숙청]]당한 사례가 많았다. 당장 [[6.25 전쟁]] 이후 [[김일성]]이나 [[마오쩌둥]]이 군부를 장악하고 절대권력을 손에 넣기까지의 과정이 그러했고 현대 [[중국]]에서도 [[시진핑]] 집권 이후 반부패 드라이브를 명목삼아 대규모 숙군이 진행 중이며 [[2017년]]까지 8명의 [[장성급 장교]]가 [[자살]]하였고 이 중 2명은 [[한국군]]의 [[대장]]에 상당하는 상장[* [[장양(군인)|장양]], [[왕젠핑]]]이었다. === [[대한민국]]에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1946-1950년 한국군의 숙군)] 현대 [[대한민국]]에서는 해방정국에서 [[한국군]] 내 친[[소련]], 친[[공산주의|공]] 성향 [[군인]]들을 솎아낸 일, 그리고 [[민주화]] 이후인 [[문민정부]] 시절 군 내 사조직인 [[하나회]] 출신들을 대거 경질시킨 일 등이 대표적인 숙군 사례로 꼽힌다. 아직 [[남북분단]]이 고착화되지 않았던 [[1940년대]] 중후반기에는 남북간 이념대립을 일시적인 것으로 보고 금방 [[남북통일|통일]]이 이루어지리라 여기는 사람들이 많았고 이에 따라 군인들도 국가보다는 이념에 따라 충성의 대상을 찾곤 했다. 때문에 명목상으로는 [[대한민국]] [[조선경비대]][* [[미군정]]의 주도 하에 창설된 공식 군사조직으로, [[대한민국 육군]]의 전신이다.]가 엄연히 [[북한]]의 [[조선인민군|보안대]]와 대치하는 상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좌익 군인들은 심정적으로 [[북한]]에 동조할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졌으며 실제로도 여러 [[탈영]], [[월북]], [[항명]] 사태가 일어나곤 했다. 때문에 [[대한민국 국군]]의 입장에서는 유사시 [[북한|적]]과 내통하여 문제를 일으킬 만한 [[장교]]나 [[사병]]을 찾아내 처리할 필요가 있었고 그 결과 대부분의 불순분자들을 잡아낼 수 있었다. 숙군으로 인해 당시 장교진의 5% 정도가 군에서 축출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하사관과 병사, 그리고 이런 분위기 속에 회의감을 느껴 전역한 이들까지 감안하면 10%에 달했다.] 하지만 당시 숙군이 [[남로당]] 계열만 정확하게 골라내서 날린 게 아니라 다소 불분명하게 이루어졌고[* 이 탓에 창군기 시절 장교들의 회고록을 보면 [[공산주의]]랑 상관 없는 부하를 잡아가는 숙군의 주먹구구식 집행에 대해 비판하는 늬앙스를 풍기거나 [[김창룡(군인)|김창룡]]에 대해서 치를 떠는 서술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중도]]나 우익 계열임에도 단지 [[이승만]]에 반대했다는 이유로 같이 날아가는 경우도 드물지 않았으며 그 빈자리를 [[서북청년단]] 등 [[극우]] 집단으로 채우면서 또 다른 문제를 일으켰다. 이러한 숙군은 주로 [[대한민국 육군|육군]]이 대상이었다.[* 다만 [[대한민국 해군|해군]]은 육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을 뿐이지 당시 해군에겐 귀중한 알짜배기인 기술장교들이 적지 않게 모가지가 날아갔다(...).] 한편 [[1987년]] [[6월 항쟁]]으로 민주화가 이루어지자 [[5.17 내란|군사 쿠데타]]를 통해 정권을 탈취한 [[신군부]] 세력을 조사·처벌하는 과정에서 군 내 사조직인 [[하나회]]의 존재가 드러났다. 오직 국가의 명령에만 충성해야 하는 군 내부에 공식적인 지휘 체계 이외의 사조직이 존재한다는 것은 [[문민통제]]에 크나큰 위협이었으며 실제로 [[5.16 군사정변]]과 [[12.12 군사반란]] 등 연이은 [[쿠데타]]로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를 위협받은 전적이 있는 [[대한민국 정부]]의 입장에서는 이를 가능한 빠르게 숙정(肅正)할 필요가 있었다. 당시까지는 여전히 대한민국 군부의 입김이 강했기 때문에 [[김영삼]]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의 [[문민정부]]는 비선을 동원하여 기습적으로 군 내 대규모 인사를 단행하여 하나회 요인들을 요직에서 예편, 제거하였다. [[박근혜 정부]] 시기에 [[김관진]]을 중심으로 한 독사파 등이 잠깐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문제가 되기도 했지만 어쨌든 [[대한민국]]에서 [[문민통제]]는 그럭저럭 잘 지켜지고 있는 편이다. 다만 제2의 하나회라고 할 수 있는 [[알자회]]가 드러난 일도 있었다. == 관련 문서 == * [[건군기]] * [[5.16 군사정변]] * [[여수·순천 10.19 사건|여순사건]] * [[제주 4.3 사건]] * [[1946-1950년 한국군의 숙군]] * [[SNS 숙군 사건]] * [[문민정부]] * [[하나회]] * [[전두환]] * [[12.12 군사반란]] * [[노태우]] *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 * [[대숙청]] [[분류:군 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