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수학자]]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수학자)]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GainfulUnadvisedAnxiousHealth, 합의사항1=주요 업적을 5개 이하로 서술하기)] [목차] == 개요 == 실존한 [[수학자]]들의 목록을 정리한 문서지만 수학, 논리학, 철학, 언어학, 통계학, 컴퓨터 과학, 물리학, 화학, 천문학, 생물학, 경제학, 미술 등등 넓은 범주에서 작성을 했기에 과학사 전반을 다루는 측면이 있는데 이것은 학문간에 연결성으로 인하여 독립적으로 온전히 [[수학자]]만 다룰 수는 없기 때문이다. 인류의 역사와 수학의 역사는 궤를 같이하므로, 인물 검색 시 Ctrl+F 사용을 권장한다. ## 이하 삭제 금지 ## 출생년도를 기준으로 정렬하되, 미상의 경우에는 최하단에 새로 작성할 것 ## '이름 - 출생년도 - 주요 업적' 형태로 기록하며, 주요 업적은 자신의 이름이 붙은 것 위주로 표기 ## 이 문서에 모든 수학자들의 업적들을 적을 수 없으니 더 이 사람들에 대한 정보를 얻고 싶으면 수학자 각각의 문서를 참조하기 바람 == 기원전 == ||'''{{{#white 이름}}}''' || '''{{{#white 출생 년도}}}''' ||'''{{{#white 주요 업적}}}''' || ||아메스 || BCE 1680 ||아메스 파피루스 || ||바우다야나[* Baudhayana] || BCE 800 ||[[피타고라스 정리]] || ||[[솔론]] || BCE 638(?) ||[[윤달]] || ||다르마수트라 어파스탐바[* Dharmasutra Apastambha] || BCE 630 ||√2 ≈ 577/408으로 근사 || ||[[탈레스]] || BCE 624 ||[[탈레스의 정리]][* 원주각이 직각이라는 걸 증명] || ||[[피타고라스]] || BCE 580(?) ||[[피타고라스의 정리]] || ||[[레우키포스]] || BCE 560 ||[[원자론]][* 최초로 원자론을 주장한 사람이다.] || ||[[헤라클레이토스]][* 아래에 있는 파르메니데스와 철학적 라이벌 관계이다.] || BCE 535 ||판타레이, [[로고스]] || ||[[파니니]] || BCE 520 ||최초의 형식체계를 갖춘 문법서를 만듦 || ||[[파르메니데스]][* 제논의 스승.] || BCE 515 ||존재론 || ||[[엘레아의 제논|제논]] || BCE 490(?) ||[[제논의 역설]] || ||[[묵자]] || BCE 470 ||묵경(墨經)[* 묵자의 사상을 기록한 책 중에서《경상(經上)》, 《경하(經下)》, 《경설상(經說上)》, 《경설하(經說下)》, 《대취(大取)》, 《소취(小取)》 6편의 책을 따로 묵경(墨經) 또는 묵변(墨辯))이라고 부르는데 논리학과 자연과학에 관련된 논문집이라고 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묵자]] 문서의 7. 서적 墨子 부분 참고바람] || ||키오스의 히포크라테스[* 히포크라테스 선서의 히포크라테스와 다른 사람으로 구별을 위해서 출신지를 앞에 쓴다. 의사 히포크라테스는 코스의 히포크라테스라고 부른다.] || BCE 470(?) ||[[히포크라테스의 초승달]][* 직각삼각형의 각 변 a, b, c를 지름으로 하는 반원 a¹, b¹, c¹가 있고 c가 가장 긴 변일 때 a¹+b¹+직각삼각형의 넓이-c¹=직각삼각형의 넓이. 그렇다. 이항하면 이거 [[피타고라스의 정리]]다. 초승달이라고 이름 붙여진 것은 c¹을 뺐을 때 남은 a¹과 b¹이 마치 초승달처럼 생겼기 때문.] || ||테오도로스 || BCE 465 ||테오도로스의 나선 || ||[[데모크리토스]] || BCE 460 ||[[원자론]][* 스승인 레우키포스의 원자론을 좀더 체계화 시킴] || ||아르키타스 || BCE 428 ||[[3대 작도 불능 문제#s-3|델로스 문제]] 해결, 아르키타스 곡선 || ||[[플라톤]] || BCE 427 ||[[정다면체]][* 플라톤 다면체라고 부르기도 함] || ||테아이테토스 || BCE 417 ||[[정다면체]]가 다섯가지 밖에 없음을 증명[* 정확히는 볼록 정다면체] || ||에우독소스 || BCE 408 ||실진법, 일반 비례론 || ||[[아리스토텔레스]] || BCE 384 ||[[정언 논리]] || ||[[혜시]][* 공손룡과 함께 [[명가(제자백가)|명가]]의 주요 사상가이다.] || BCE 370 ||역물10사(歷物十事)[* 10개의 명제로 각각의 명제들은 모두 모순된 명제이다 자세한 사항은 [[혜시]] 문서를 참고], [[제논의 역설]][* 제논의 역설들 중에서 화살의 역설과 같은 내용을 논하였다.] || ||메나이크모스 || BCE 375 ||[[원뿔곡선]] || ||'''[[유클리드]]''' || BCE 365 ||[[기하학]]의 아버지[* 물론 유클리드가 기하학을 시작했다는건 아니다, 인류의 기하에 대한 탐구는 고대 그리스 이전 고대의 바빌로니아, 이집트 때 부터 이미 있어 왔지만 그를 기하학의 아버지라고 부를 만한 이유는 그 이전까지는 파편적이었던 당시까지 알려진 기하학적인 내용들에서 의심할 여지가 없어 보이는 [[공리]]라는 것을 뽑아내고 이로부터 차례로 파편화된 지식들을 공리로 부터 유도했다는 것이다. 사실 오늘날의 기하학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다 그래서 좀더 정확히는 "유클리드 기하학"의 아버지가 더 정확한 표현일 수 있지만 유클리드 기하학은 그런 다양한 기하학에 뿌리와 같다 [[비유클리드 기하학]] 또한 유클리드 기하학을 탐구하다가 나온 것이기 때문이다], 원론 || ||[[공손룡]] || BCE 320 ||백마비마[* [[백마]]는 말이라는 개념에 '희다'는 다른 개념이 합쳐진 것이므로 [[말(동물)|말]]이라는 개념에 포함되지 않고, 따라서 백마는 말이 아니라는 논리, 이게 무슨 소리인가 싶겠지만 공손룡의 백마비마론은 기준과 층위에 따라 개념과 사물의 관계가 엄격히 구분된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나타낸 비유적 표현이다. 현대적으로 해석하자면 자연언어에서 "A는 B이다"라는 말이 "A=B"라는 것과 "A⊂B"라는 개념 모두를 가리킬 수 있다는 것을 간과했을 때 어떤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지를 말해주는 것이라 볼 수 있다.], 견백동이[* 단단한 흰 돌을 눈으로 보아서는 흰 것을 알 수 있으나 단단한지는 모르며, 손으로 만져 보았을 때는 그 단단한 것을 알 뿐 빛이 흰지는 모르므로 단단한 돌과 흰 돌은 동일물이 아니다라는 주장이다. 백마비마가 [[의미론]]적이라면 견백동이는 [[인식론]]적이다.] || ||[[아리스타르코스]] || BCE 310 ||[[지동설]], [[공전]]주기, [[자전]]주기 계산 || ||핑갈라 || BCE 200~300 ||[[파스칼 삼각형]], [[피보나치 수열]], [[이진법]] || ||'''[[아르키메데스]]'''[* 필즈상에 그의 얼굴이 새겨져 있다.] || BCE 287 ||[[원주율]], 물질의 [[밀도]], [[구분구적법]], [[아르키메데스 다면체]] || ||[[에라토스테네스]] || BCE 273(?)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지구의 크기 측정 || ||아폴로니우스 || BCE 262 ||[[원뿔곡선]], 아폴로니우스 정리[*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는 [[파푸스의 중선정리]]로 알려져 있다.], 주전원과 대원[* 아폴로니우스와 히파르코스는 행성이 단순히 원운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원 위에 있는 작은 원 위를 움직인다고 생각했다. 이 작은 원을 주전원, 큰 원을 대원(Deferent)이라고 부른다. 당연하지만, 이 이론은 틀렸으며, - 정확히는 주전원을 얼마든지 추가하기만 하면 닫힌 궤도는 뭐든지 만들 수 있다 - [[요하네스 케플러]]가 행성의 궤도가 완벽한 원이 아닌 타원이라는 사실을 밝혀내기 전까지 몇십 개의 주전원을 추가해가면서 후배 학자들을 괴롭혔다. 아이러니하게도, 타원은 아폴로니우스가 최초로 명명했다고 알려져 있다.] || ||[[히파르코스]] || BCE 190 ||[[세차운동]], [[삼각함수]]표, 삼각법의 아버지, 주전원과 대원(Deferent) || ||[[헤론]] || BCE 120 ||[[헤론의 공식]], [[이차방정식]]의 풀이법, [[허수|음수의 제곱근]] || ||히파소스 || 미상 ||[[무리수]]의 발견[* 유리수만을 추앙하던 [[피타고라스]]는 무리수의 존재를 쉬쉬하려 했는데 히파소스가 기어코 세상에 무리수를 알리자 피타고라스 학파는 히파소스를 '배신자'로 몰고 물에 빠뜨려 죽여 버렸다는 전설이 있다.] || ||[[안티폰]] || 미상(약 BCE 500) ||[[원주율]]의 상한과 하한 계산 || ||브라이슨 || 미상(BCE 500 후반) ||[[원주율]]의 상한과 하한 계산 || ||테아노 || 미상(약 BCE 500) ||기록된 최초의 여성 수학자[* 피타고라스 학파의 일원이었으며 피타고라스의 아내라는 주장도 있다], [[황금비]][* 황금비를 연구했다는 주장은 있지만 명확한 증거는 없다] || ||카나다[* Kanada] || 미상(BCE 6~4 세기) ||바이셰시카(Vaisheshika) 학파[* 바이세쉬카 학파는 기원전 2세기경에 “카나다”(Kanada)에 의해 시작된 학파이다.], 바이셰시카 수트라(Vaiśesikasūtra)[* 승론경(勝論經)으로 번역된다.] || ||악스파다 고타마[* Akṣapāda Gautama] || 미상(BCE 600~CE 200 추정) ||니야야(Nyaya) 학파[* 니야야 학파는 주후 2세기경에 “악사파다 고타마”(Aksapada Gautama)가 썼다는 『니야야 수트라』(Nyaya Sutra)에 기초한 논리학파이다. “니야야”(Nyaya)는 산스크리트어로 ‘추리, 추론’이란 의미를 갖고 있다. 니야야 논리학은 추론하는 과정을 통해서 진리를 밝히는 학문이다.[[http://www.dangdangnews.com/news/articlePrint.html?idxno=16333]] 참조], 니야야 수트라(Nyāya Sūtras)[* 정리경(正理經)으로 번역된다.] || ||디오도로스 크로노스 || 미상(BCE 284 사망) ||지배논증[* [[https://ko.wikipedia.org/wiki/%EC%A7%80%EB%B0%B0%EB%85%BC%EC%A6%9D]]] || == 기원후 ~ 17세기 == ||'''{{{#white 이름}}}''' || '''{{{#white 출생 년도}}}''' ||'''{{{#white 주요 업적}}}''' || ||니코마코스 || 60 ||니코마코스 정리(세제곱수의 유한합)[* 시대가 시대이다 보니 니코마코스는 기하학적으로 접근하였다.][* [math(\displaystyle \sum_{k=1}^nk^3=\left(\sum_{k=1}^nk\right)^2=\left\{\frac{n(n+1)}2\right\}^2=\frac{n^4}4+\frac{n^3}2+\frac{n^2}4)]] || ||메넬라오스 || 70 ||[[메넬라오스 정리]], 구면삼각법 || ||[[프톨레마이오스#s-1]] || 85(?) ||[[톨레미의 정리]], [[천동설|프톨레마이오스 체계]][* 사실 천동설은 프톨레마이오스 이전에도 있었는데 천동설하면 프톨레마이오스를 떠올리는 이유는 그가 당시까지 알려진 천동설을 집대성하고 발전시켰기 때문이다 ], 동시심(Equant) || ||[[나가르주나]] || 150 ||체트슈 코티카(Catuṣkoṭi)[* 체트슈 코티카는 명제의 긍정, 부정, 긍정 한편 부정, 긍정도 부정도 아닌 것 4종류를 고려하는 4진 논리체계이다.] || ||[[디오판토스]] || 201(?) ||[[디오판토스 방정식]] || ||[[유휘(삼국지)|유휘]] || 220(?) ||할원술[* 무한등비급수의 일종], 음수의 연산, [[방정식]] || ||파푸스 || 290 ||수학 집성, [[파푸스의 중선 정리]] || ||[[히파티아]] || 355(?) ||원뿔곡선 || ||조충지 || 429 ||대명력, 카발리에리의 원리[* 아들 조긍지와 함께 발견하여 조긍지의 원리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다] || ||아리아바타 || 476 ||아리아바타 알고리즘, π ≈ 3.1416으로 근사, 니코마코스 정리, 중국인의 나머지 정리[* 중국인의 나머지 정리는 손자산경(孫子算經)에서 최초로 등장한다] || ||디그나가 || 480 ||인명정리문론(因明正理門論), 집량론(集量論), 관소연연론(觀所緣緣論), 관삼세론(觀三世論) || ||왕효통(王孝通) || 580 ||집고산경(缉古算经) || ||브라마굽타 || 598 ||[[음수(수학)|음수]], [[0]], [[브라마굽타 공식]], 브라마굽타 정리 || ||바스카라 1세 || 600(?) ||[[윌슨의 정리]], 바스카라 사인 근사 공식 || ||웃디요타카라[* Uddyotakara] || 600(?) ||정리평석(Nyaya-varttika)[* 정리소(Nyaya-bhasya)에 대한 디그나가의 비판에 대해서 방어하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 ||[[알콰리즈미]] || 780(?) ||[[대수학]], [[0]] 도입, [[사칙연산]], 삼각법 || ||알 킨디[* 풀네임은 아부 유수프 야꿉 이븐 이스하끄 앗삽바흐 알킨디] || 803 ||빈도 분석(암호학)[* 평문과 암호문에 사용되는 문자 또는 문자열의 출현빈도를 단서로 이용하는 암호해독법을 말한다], [[알코올]][* 그는 증류를 통하여 순수한 [[알코올]]을 증류한 최초의 사람으로도 알려져 있다.] || ||타빗 이븐 쿠라[* Thābit ibn Qurra] || 836 ||타빗 수 [* 음 아닌 정수 n에 대해 [math(3 \cdot 2^{n}-1)] 꼴의 수], [[정역학]] || ||[[알 파라비]][* 1994년 발행한 카자흐스탄의 지폐인 "텐게"에는 알 파라비의 초상이 그려져 있었다. 1994년 발행된 지폐는 2007년 경 유통중지가 되었고 2018년 11월 4일 폐기되었다.] || 872 ||고전 논리학[* 알 파라비는 주로 아리스토텔레스(고전 논리) 논리학자였지만, 알 파라비의 작품에는 많은 비아리스토텔레스적 요소들도 포함되어있다. 알 파라비는 미래시점 우연명제의 문제, 범주의 수와 관계, 논리와 문법 사이의 관계, 그리고 비아리스토텔레스적 형태의 추론 또한 논의했다.] || ||[[이븐 알하이삼]] || 965 ||[[광학]], 원뿔곡선, 람베르트 사변형, 알하젠의 문제 || ||알 비루니 || 973 ||지구 둘레의 길이 || ||[[이븐 시나]] || 980 ||아비센나(Avicenna) 논리[* 아비센나 논리학은 이슬람 세계의 논리학에서의 주도적인 체계로서의 지위를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으로부터 빼앗아, 한층 더 아르베르트스 마그누스와 같은 중세 서구의 저술가에게 심대한 영향을 줬다. 이븐 시나는 가말삼단논법 및 명제 논리에 관한 저작을 남기고 있지만, 어느 쪽이나 스토아파 논리학의 영역이다. 그는 '시 상적으로 양상화된' 삼단논법이라는 독자 이론을 발전시켜, 과학적 방법에 대해서 비판적인, 일치법, 차이법, 공변법 등의 귀납 논리를 이용했다.] || ||우다야나[* Udayana, 니야야 학파와 바이셰시카 학파를 융합을 했다.] || 980(?) ||정리평석진의주해명(Nyaya-vartika- tatparya-parisuddhi), 정리화속(Nyaya-kusumanjali) || ||[[오마르 하이얌]][* 그는 수학자일 뿐만 아니라 뛰어난 시인이기도 하였다, 하이얌이 집필한 시집 "루바이야트"는 에드워드 피츠제럴드가 번역한 이후로 여러 문학작품에 영향을 주었다] || 1048 ||삼차방정식의 기하학적 해법 연구, [[이항정리]] || ||로스켈리누스 || 1050 ||[[유명론]] || ||샹포의 기욤 || 1070 ||[[실재론]] || ||바스카라 2세[* 600년대에 바스카라와 구별하기 위해서 뒤에 2세를 붙인다.] || 1114 ||[[10진법]]의 체계화, [[피타고라스의 정리]] 증명, 2차방정식의 해법, [[롤의 정리]], 릴라바티 || ||[[레오나르도 피보나치]] || 1170 ||[[피보나치 수열]], 유럽에 [[아라비아 숫자]] 소개, 산반서 || ||나시르 알딘 알 투시 || 1201 ||구면 삼각법, Tusi couple[* [[https://en.wikipedia.org/wiki/Tusi_couple]]], [[사인 법칙]] || ||진구소(秦九韶) || 1202 ||호너의 방법, 수서구장(數書九章), 대연술(大 衍 術)[* 연립 합동 방정식의 문제를 푸는 방법], 중국수학에 0 기호를 도입 || ||양휘 || 1238 ||상해구장산법(詳解九章算法)[* 파스칼 삼각형이 등장하는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문헌이다], [[파스칼의 삼각형]], 속고적기산법(續古摘奇算法), 산법통변본말(算法通變本末) || ||주세걸 || 1249 ||산학계몽, 사원보감 || ||니콜 오렘 || 1320~1325 ||조화급수의 발산, 평균 속도 정리, [[지수(수학)|분수 지수]]를 고안 || ||[[필리포 브루넬레스키]] || 1377 ||투시도법(선원근법) || ||잠시드 알 카시[* Jamshīd al-Kāshī] || 1380 ||[[코사인 법칙]] || ||[[정인지]] || 1396 ||칠정산내편 || ||[[이순지]] || 1406 ||[[칠정산]][* 정확히는 같은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였던 김담과 같이 만들었다.] || ||레기오몬타누스 || 1436 ||레기오몬타누스의 최대각 문제, 삼각법 || ||[[파치올리|루카 파치올리]][* 풀네임은 프라 루카 바르톨로메오 데 파치올리] || 1447 ||산술집성, [[회계학]]의 아버지 || ||[[레오나르도 다빈치]][* 루카 파치올리에게 수학을 배웠다] || 1452 ||[[깎은 정이십면체]], 아나모포시스(anamorphosis) || ||스키피오네 델 페로 || 1465 ||ax+x^3=b 형태의 삼차방정식 해법 ||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 1473 ||[[지동설|코페르니쿠스 체계]][* 지동설(태양중심설)은 코페르니쿠스 이전에 [[아리스타르코스]]가 최초이다] || ||미하엘 슈티펠 || 1486 ||[[지수법칙]] || ||[[지롤라모 카르다노]] || 1501 ||[[복소수]], [[확률론]], 삼차방정식의 해법을 책으로 출판 || ||[[니콜로 폰타나|니콜로 폰타나(타르탈리아)]] || 1506 ||[[삼차방정식]]의 해법을 처음 발견 || ||로버트 레코드 || 1512 ||= 기호 발명 || ||레티쿠스 || 1514 ||삼각법 || ||루도비코 페라리 || 1522 ||4차방정식의 해법 || ||라파엘 봄벨리 || 1526 ||[[허수]] 단위의 정의 || ||뤼돌프 판 쾰런 || 1540 ||소수점 아래 35자리까지의 파이값을 구함 || ||프랑수아 비에트 || 1540 ||[[근과 계수의 관계]], [[변수]], 비에타 정리 || ||윌리엄 길버트 || 1544 ||[[전기]], [[자기]] || ||[[튀코 브라헤]] || 1546 ||튀코 체계[* 코페르니쿠스의 체계와 프톨레마이오스 체계의 절충안이라고 할 수 있다, 튀코 브라헤는 지구가 중심이 아니고 태양이 중심이라는 것을 매우 비판하였다 역설이게도 그의 관측자료로 부터 제자인 케플러가 만든 [[케플러 법칙]]이 브라헤의 주장을 반박하는 결과가 나왔다] || ||시몬 스테빈 || 1548 ||[[소수(실수)|소수(小數)]]의 발명, [[벡터]] 개념을 처음 사용 || ||[[존 네이피어]] || 1550 ||[[로그(수학)]] || ||요스트 뷔르기 || 1552 ||[[로그(수학)]][* 네이피어와 독립적으로 발견했으나 네이피어 보다 6년 늦게 발표하였다. ] || ||토머스 해리엇 || 1560 ||<,> [[부등호]] 기호 창안 || ||[[프랜시스 베이컨]] || 1561 ||[[귀납법]]의 아버지 || ||헨리 브릭스 || 1561 ||[[상용로그]] || ||[[갈릴레오 갈릴레이]] || 1564 ||아리스토텔레스의 바퀴 역설의 부분적 해결[* 또는 사이클로이드의 발견][* 완전한 해결은 칸토어의 업적으로 이뤄졌다.], [[지동설]][* [[뉴턴 역학]]이 만들어지는데 지대한 공헌을 했다. 수학적 업적이 분명히 있긴 있는데, 지동설의 임팩트가 너무 강하다.], [[관성]], 갈릴레이 상대론 || ||[[요하네스 케플러]] || 1571 ||[[케플러의 법칙]], [[역제곱의 법칙]], [[케플러-푸앵소 다면체]], 케플러 추측 || ||윌리엄 오트레드 || 1574 ||계산자 발명, 곱셈기호(×)를 도입, [[부등호]] || ||에드문드 건터 || 1581 ||로그 눈금자를 이용해 건터자를 만듬 || ||[[마랭 메르센]] || 1588 ||[[메르센 소수]] || ||지라르 데자르그 || 1591 ||[[사영평면|사영 기하학]] 창시, [[데자르그 정리]] || ||요한 아담 샬 폰 벨 || 1591 ||[[시헌력]][* 천문학이 발전함에 따라서 시헌력 또한 여러 역법이 나오는데 그 중에서 탕법(湯法)은 아담 샬의 중국식 이름 탕약망(湯若望)에서 나왔다] || ||피에르 가상디 || 1592 ||수성의 일면통과를 최초로 관찰 || ||알베르 지라르 || 1595 ||[[음수(수학)|음수]] 가시화[* 음수를 '''눈에 보이게 했다'''는 것인데, '''0 왼쪽에 음수를 표시'''하여 수직선에 모든 실수를 표시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처음으로 제시하였다는 뜻이다.] || ||[[르네 데카르트]] || 1596 ||[[좌표계]][* 수학자로서는 직교좌표계 도입이 가장 큰 업적이다. 다만, 방법적 회의로 대표되는 철학자로서의 업적이 넘사벽일 뿐...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도 데카르트가 한 말이다.], x[* 흔히 미지수로 많이 사용되는 x를 데카르트가 처음 사용하였다.], 데카르트 정리, [[데카르트의 악마]], 데카르트 운동법칙[*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고안한 초기의 관성 개념은 원운동에 국한되었다 데카르트는 자신의 운동법칙을 통해 직선 운동을 포괄하도록 관성의 개념을 확장했고 이 개념은 뉴턴의 제1 운동법칙인 관성의 법칙이 되었고, 데카르트의 운동법칙은 다음과 같다 1.모든 물체는 다른 것이 그 상태를 변화시키지 않는 한 똑같은 상태로 남아 있으려고 한다, 2.운동하는 물체는 직선으로 그 운동을 계속하려 한다, 3.운동하는 물체가 자신보다 강한 것에 부딪히면 그 운동을 잃지 않고, 약한 것에 부딪혀서 그것을 움직이게 하면 그것에 준 만큼의 운동을 잃는다, 첫 번째 법칙과 두 번째 법칙은 관성의 법칙이고, 세 번째 법칙은 데카르트가 운동의 양이라고 부른 양의 보존을 나타내는 법칙이다.] || ||보나벤투라 카발리에리 || 1598 ||카발리에리의 원리 || ||[[피에르 드 페르마]] || 1601 ||[[페르마의 소정리]][* 피에르 드 페르마의 이름이 붙어 있지만, 페르마는 이 정리를 언급했을 뿐, 정확한 증명을 제시하지는 않았다. 현재 기록상 남아 있는 증명 가운데 최초는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의 것이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페르마의 원리]], [[확률론]], [[좌표계]][* 동시대에 데카르트와 독립적으로 발명함] 외 다수 || ||질 페르손 데 로베르발[* Gilles Personne de Roberval] || 1602 ||로베르발 균형, 트로코이드[* "트로코이드"라는 용어를 만든 사람이다. [[https://ko.wikipedia.org/wiki/%ED%8A%B8%EB%A1%9C%EC%BD%94%EC%9D%B4%EB%93%9C]]] || ||[[에반젤리스타 토리첼리]][* 수은기압계를 발명하였으며 토리첼리의 이름을 딴 토르(Torr)라는 압력의 단위도 있고 갈릴레이의 제자였다] || 1608 ||페르마 점, 토리첼리의 정리, 가브리엘의 나팔(토리첼리의 트럼펫) || ||[[존 월리스]][* [[토머스 홉스]]가 원적 문제를 증명했다고 주장하여 이에 관하여 홉스와 논쟁을 벌였다] || 1616 ||[math(\infty)] 기호 처음 사용, 월리스 공식, 월리스 적분, [[초기하함수]], [[복소평면]] || ||윌리엄 브롱커 || 1620 ||펠 방정식의 일반해 발견 [* 펠 방정식은 펠과 관련이 없다.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펠과 브롱커의 이름을 혼동하여 이름을 잘못 붙였다고 한다.] || ||[[블레즈 파스칼]][* 파스칼의 이름을 딴 파스칼(Pa)이라는 압력의 단위가 있다] || 1623 ||[[파스칼의 삼각형]], [[확률론]], [[파스칼 정리]], [[파스칼의 원리]], 계산기(파스칼라인) 최초 발명 ||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 || 1625 ||카시니의 난형선, 카시니의 3법칙, [[시헌력]][* 천문학이 발전함에 따라서 시헌력 또한 여러 역법이 나오는데 그 중에서 갈법(喝法)은 카시니의 중국식 이름 갈서니(喝西尼)에서 나왔다] || ||[[로버트 보일]] || 1627 ||[[보일의 법칙]] ||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뉴턴과 빛이 입자냐 파동이냐를 두고 논쟁을 벌였다 뉴턴은 입자로 보았고 하위헌스는 파동으로 보았다.] || 1629 ||도박꾼의 파산 문제(Gambler's Ruin Problem), [[하위헌스 원리]], [[현수선]], [[원심력]], [[구심력]] || ||아이작 배로[* 뉴턴의 스승] || 1630 ||[[미적분학의 기본정리]] || ||제임스 그레고리 || 1638 ||[[미적분학의 기본정리]], [[테일러 급수]], 그레고리식 망원경 || ||게오르그 모르 || 1640 ||모르-마스케로니 정리 || ||세키 다카카즈 || 1642 ||[[행렬식]], [[베르누이 수]] || ||'''[[아이작 뉴턴]]'''[* 뉴턴의 이름을 딴 뉴턴(N)이라는 힘의 단위도 있다.] || 1642 ||[[미적분]], [[뉴턴의 운동법칙]], [[만유인력]], 뉴턴 방법(수치 해석학), 베주 정리 외 다수 || ||'''[[고트프리트 폰 라이프니츠]]''' || 1646 ||[[미적분]], [[이진법]], [[가능세계]][* 가능세계는 라이프니츠가 처음 고안한 것으로 여겨지며, 현재의 가능세계론은 가능성이나 필연성의 의미론을 다루기 때문에 솔 크립키와 그의 동료가 1950년대에 도입했다.], 개념 대수(algebra of concepts)[* 불 대수와 연역적으로 동일하다], E = mv^2 외 다수 || ||[[최석정]] || 1646 ||[[지수귀문도]], [[구수략]] || ||조반니 체바 || 1647 ||[[체바의 정리]] || ||에렌프리트 발터 폰 치른하우스 || 1651 ||치른하우스 변형 || ||미셸 롤 || 1652 ||[[롤의 정리]], [[거듭제곱근]] 표시법 발명 || ||피에르 바리뇽 || 1654 ||바리뇽의 정리(기하학)[* [[https://en.wikipedia.org/wiki/Varignon%27s_theorem]]], 바리뇽의 정리(역학)[* [[https://en.wikipedia.org/wiki/Varignon%27s_theorem_(mechanics)]]] || ||야코프 베르누이[* 요한 베르누이의 형이고, 라이프니츠의 제자였다] || 1655 ||[[베르누이 수열]], 베르누이의 렘니스케이트, 베르누이 시행, [[베르누이 미분방정식]], [[큰 수의 법칙]] || ||에드먼드 핼리 || 1656 ||[[핼리 혜성]]의 주기성 계산 || ||아브라함 드 무아브르 || 1667 ||[[드 무아브르 공식]], [[정규분포]], [[생성함수]], 드무아브르-라플라스 정리 || ||[[요한 베르누이]] || 1667 ||[[로피탈의 정리]][* 이름이 뭔가 이상한데, 당시 얼치기 제자였던 로피탈이 요한이 발견한 정리를 [[돚거]]질(...)을 해서 자기 책으로 냈다.], [[2학년의 꿈]], E = mv^2, [[부분분수분해]][* 라이프니츠와 요한 베르누이가 개발] || ||조반니 지롤라모 사케리 || 1667 ||사케리-르장드르 정리 [*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비유클리드 기하학이 등장하는 중간과정의 수학자로 비유클리드 기하학에 매우 근접했다.] || ||루이지 귀도 그란디 || 1671 ||[[그란디 급수]] || ||로저 코츠[* 뉴턴의 제자였다] || 1682 ||[[오일러 공식]], [[라디안]], 뉴턴-코츠 공식 || ||[[홍정하]] || 1684 ||<구일집> 저술 || ||[[테일러|브룩 테일러]] || 1684 ||증분법, [[테일러 급수]] || ||[[조지 버클리]] || 1685 ||엄밀하지 않은 무한소 개념 비판[* 이에 대해서는 [[유율법#s-4]] 혹은 [[엡실론-델타 논법#s-2]] 문서를 참고하라.] || ||크리스티안 골드바흐 || 1690 ||[[골드바흐 추측]] 제시 || ||제임스 스털링 || 1692 ||[[제1종 스털링 수]], [[제2종 스털링 수]], [[스털링 근사]] || ||콜린 매클로린 || 1698 ||[[매클로린 급수]], 매클로린 부등식, 오일러-매클로린 공식 || ||피에르 루이 모페르튀이 || 1698 ||[[해밀턴의 원리|최소 작용 원리]] || ||다니엘 베르누이[* 요한 베르누이의 아들이다.] || 1700 ||[[베르누이 정리]], [[베셀 함수]], 오일러-베르누이 보(Beam) 방정식 || ||바트시야나[* Vatsyayana] || 미상(약 4세기 이전) ||정리소(Nyaya-bhasya) || ||다르마카르티[* Dharmakīrti] || 미상(약 6~7세기) ||인명칠론(因明七論)[* 양평석(Pramāṇavārttika), 정량론(Pramāṇaviniścaya), 이적론(Nyāyabindu), 인적론(Hetubindu), 관계론(Saṃbandhaparīkṣā), 쟁리론(Vādanyāya), 오타론(Saṃtānāntarasiddhi) 이렇게 일곱개의 저서를 통칭하여 인명칠론 또는 칠부량론(七部量論)이라고 부른다.] || ||바차스파티 미스라[* Vachaspati Mishra] || 미상(약 9세기) ||정리평석진의주(Nyaya-varttika- tatparya-tika) || ||강게샤 우파드하야[* Gangesha Upadhyaya] || 미상(13세기 후반~14세기 전반으로 추정) ||신 니야야 학파[* 신 니야야 학파의 창시자이다.], 진리화의주(Tattvacintamani) || == 18세기 == ||'''{{{#white 이름}}}''' || '''{{{#white 출생 년도}}}''' ||'''{{{#white 주요 업적}}}''' || ||토머스 베이즈 || 1701 ||[[베이즈 정리]], [[베이즈 확률론]] || ||가브리엘 크라메르 || 1704 ||크라메르 공식, 크라메르 정리 || ||[[레온하르트 오일러]] || 1707 ||[[오일러의 공식]], [[오일러 정리]], 오일러의 다면체 정리, [[감마 함수]], [[한붓그리기]] 외 다수 || ||조르주루이 르클레르 드 뷔퐁 || 1707 ||[[뷔퐁의 바늘]], Franc-Carreau 게임 || ||[[데이비드 흄]] || 1711 ||[[귀납법|귀납의 문제]] || ||알렉시 클로드 클레로 || 1713 ||클레로 정리, 클레로 방정식, 클로드 관계 || ||[[달랑베르|장바티스트 르롱 달랑베르]] || 1717 ||달랑베르 연산자(달랑베르시안), 달랑베르의 원리[* [[https://en.wikipedia.org/wiki/D%27Alembert%27s_principle]]], 비반정법[* [[https://ko.wikipedia.org/wiki/%EB%B9%84%ED%8C%90%EC%A0%95%EB%B2%95]]], 달랑베르 방정식[* [[https://en.wikipedia.org/wiki/D%27Alembert%27s_equation]]], 달랑베르 공식[* [[https://en.wikipedia.org/wiki/D%27Alembert%27s_formula]]] || ||[[마리아 아녜시]] || 1718 ||아녜시 곡선[* 당시 곡선과 마녀는 같은 단어를 썼기에 일부는 [[마녀]] 아녜시라고 알았다고...] || ||조지프 블랙 || 1728 ||잠열, 비열, 이산화 탄소 발견 || ||요한 하인리히 람베르트 || 1728 ||[[원주율]]의 무리성 증명, 람베르트 w함수, 방위정적도법[* 경선은 극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뻗어 있고 위선은 극을 중심으로 동심원을 이룬다. 지도상에서 일정한 간격의 경선과 위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모두 면적이 지구본과 동일하다. 국토가 넓은 국가나 대륙을 나타내는 지도에 쓰인다.], 람베르트 정각원추도법[* 표준위선이 2개인 원추도법을 개량한 것으로 위선의 간격을 조절해 각도의 왜곡을 없앴다. 그리기 쉬우며 대축척 지도에서 개별 도엽들이 잘 맞춰진다. 지도상의 직선이 대권과 매우 유사하므로 항공용 지도로 사용된다.] || ||에티엔 베주 || 1730 ||베주 정리, 베주 항등식 || ||조지프 프리스틀리 || 1733 ||여러 기체 발견(산소, 아산화 질소, 암모니아, 염화수소, 이산화 황) || ||장 샤를 드 보르다 || 1733 ||보르다-카르노 방정식 || ||알렉상드르 테오필 방데르몽드 || 1735 ||방데르몽드 행렬, 방데르몽드 항등식 || ||[[조제프루이 라그랑주]] || 1736 ||[[라그랑지언]],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 [[라그랑주 승수법]], 라그랑주 네 제곱수 정리, 라그랑주 정리(군론) 외 다수 || ||샤를 오귀스탱 드 쿨롱 || 1736 ||[[쿨롱의 법칙]] || ||존 윌슨 || 1741 ||[[윌슨의 정리]] || ||[[앙투안 라부아지에]] || 1743 ||[[질량 보존의 법칙]] || ||[[니콜라 드 콩도르세]] || 1743 ||[[편미분]] 기호 [math(\partial)]의 고안, [[투표의 역설|콩도르세 역설]] || ||알레산드로 주세페 안토니오 아나스타시오 볼타 || 1745 ||[[전지(장치)]]를 발명 || ||카스파르 베셀 || 1745 ||[[복소평면]][* 복소평면의 아이디어를 처음으로 책으로 출판하였으나 덴마크어로 되어 있어서 거의 읽히지 않았다 이후 같은 아이디어를 아르강과 가우스 등이 독립적으로 발견하여 널리 퍼지게 되었다.] || ||가스파르 몽주 || 1746 ||화법 기하학 창시, 몽주 정리, [[몽주-앙페르 방정식]], 운송이론 || ||자크 알렉상드르 세사르 샤를 || 1746 ||[[샤를의 법칙]] || ||존 플레이페어 || 1748 ||플레이페어 공리 || ||클로드 루이 베르톨레 || 1748 ||베르톨레설[* 2가지 화합물 사이에는 모든 중간적 단계가 가능하다고 하는 이론, 그러나 일정 성분비 법칙이 나오면서 틀린 이론이 되었다] || ||[[피에르시몽 라플라스]][* 오늘날에는 [[라플라스의 악마]]로도 유명하다] || 1749 ||[[라플라스 변환]], [[라플라시안]], [[구면 조화 함수]] 정의, [[베이즈 확률론]][* 현재의 베이즈 확률론을 개척하고 대중화함], 라플라스 전개 외 다수 || ||로렌초 마스케로니 || 1750 ||모르-마스케로니 정리,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 || ||[[아드리앵마리 르장드르]] || 1752 ||[[르장드르 함수]], [[소수 정리]], [[최소제곱법]], [[르장드르 변환]], [[르장드르 다항식]] || ||[[조제프 루이 프루스트]] || 1754 ||[[일정 성분비 법칙]] || ||마르크앙투안 파르스발 || 1755 ||파르스발 항등식, 파르스발 정리 || ||가스파드 드 프로니 || 1755 ||프로니 방정식, 프로니 방법 || ||파올로 루피니 || 1765 ||아벨-루피니 정리 || ||요한 프리드리히 파프[*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의 스승이다.] || 1765 ||파피안 계(Pfaffian system), 파피안(Pfaffian)[* 아서 케일리가 도입했으며 파프의 미분 방정식에 대한 연구와 연관이 있으므로 파피안으로 이름을 지었다.] || ||존 돌턴 || 1766 ||원자설, 돌턴의 법칙, 배수 비례의 법칙, [[색각 이상]] || ||칼 페르디난드 데겐 || 1766 ||데겐의 여덟 제곱수 항등식 || ||[[조제프 푸리에]] || 1768 ||[[푸리에 변환]], [[푸리에 해석]], [[푸리에 급수]], [[열 방정식]] || ||장 로버트 아르강 || 1768 ||[[대수학의 기본정리]] 증명, [[복소평면]] || ||조제프 디에즈 제르곤 || 1771 ||[[제르곤의 정리]], 아폴로니우스 문제의 해결, 사영 기하학의 쌍대성 개념 개발 || ||토마스 영 || 1773 ||영-라플라스 방정식 || ||장바티스트 비오 || 1774 ||[[비오-사바르 법칙]] || ||[[앙페르|앙드레마리 앙페르]] || 1775 ||[[몽주-앙페르 방정식]], [[앙페르 법칙]] || ||[[소피 제르맹]] || 1776 ||[[소피 제르맹의 정리]], 제르멩의 방정식[* [math({\displaystyle N^{2}\left({\frac {\partial ^{4}z}{\partial x^{4}}}+{\frac {\partial ^{4}z}{\partial x^{2}\partial y^{2}}}+{\frac {\partial ^{4}z}{\partial y^{4}}}\right)+{\frac {\partial ^{2}z}{\partial t^{2}}}=0})] 표면의 탄성의 관한 방정식으로 에른스트 클라드니의 금속판 탄성 실험을 수학적으로 설명하여 소피 제르맹은 파리 과학 아카데미의 첫 번째 여성 수상자가 되었다.], 평균곡률((Mean curvature) || ||요한 폰 졸트너 || 1776 ||[[로그 적분 함수]], 라마누잔-졸트너 상수 || ||[[아메데오 아보가드로]] || 1776 ||[[아보가드로 법칙]], [[아보가드로 수]] || ||유제프 마리아 호에네브론스키 || 1776 ||론스키 행렬식 || ||루이스 푸앵소 || 1777 ||[[케플러-푸앵소 다면체]], 푸앵소 타원체 ||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 1777 ||[[대수학의 기본정리]], [[비유클리드 기하학]][*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발견자로는 가우스, 보여이 야노시, 니콜라이 로바체프스키가 있다], [[발산 정리]], [[합동식]], 가우스이 빼어난 정리 외 다수 || ||[[한스 크리스티안 외르스테드]] || 1777 ||전류가 흐르는 도체 주위에서 나침반이 흔들린다는 사실을 발견 || ||[[조제프 루이 게이뤼삭]] || 1778 ||[[기체 반응의 법칙]], [[샤를의 법칙]] || ||시메옹 드니 푸아송 || 1781 ||[[푸아송 분포]], [[푸아송 방정식]] || ||베르나르트 플라치두스 요한 네포무크 볼차노 || 1781 ||[[엡실론-델타 논법]], [[중간값 정리|볼차노 정리]],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 || ||샤를 줄리앙 브리앙숑 || 1783 ||브리앙숑의 정리 || ||프리드리히 빌헬름 베셀 || 1784 ||[[베셀 함수]] || ||클로드 루이 나비에 || 1785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 || ||[[자크 필리프 마리 비네]] || 1786 ||코시-비네 항등식, 비네 방정식 || ||윌리엄 조지 호너 || 1786 ||호너의 방법[* [[https://en.wikipedia.org/wiki/Horner%27s_method]]] || ||오귀스탱 장 프레넬 || 1788 ||[[프레넬 적분 함수]], 프레넬-아라고 법칙, 프레넬 방정식 || ||장빅토르 퐁슬레 || 1788 ||퐁슬레-슈타이너 정리 || ||게오르크 시몬 옴 || 1789 ||[[옴의 법칙]] || ||[[코시#s-1|오귀스탱 루이 코시]] || 1789 ||[[해석학(수학)|해석학]], [[코시-슈바르츠 부등식]], [[엡실론-델타 논법]], [[응력|변형력(응력)]] 개념 고안, 코시 정리(군론) 외 다수 || ||루트비히 임마누엘 마그누스 || 1790 ||반전 기하학, 반전변환(inversion transformations) || ||[[아우구스트 뫼비우스]] || 1790 ||[[뫼비우스의 띠]], [[뫼비우스 변환]], [[동차좌표]] || ||펠릭스 사바르 || 1791 ||[[비오-사바르 법칙]] || ||[[마이클 패러데이]][* 패러데이는 전문교육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수학을 잘하지 못했다 그러나 페러데이의 전자기 유도 법칙은 이후에 맥스웰에 의하여 수학적으로 정리된다] || 1791 ||[[전자기 유도|전자기 유도 법칙]] || ||[[찰스 배비지]] || 1791 ||[[차분기관]], [[해석기관]] || ||니콜라이 로바체프스키 || 1792 ||[[비유클리드 기하학]] 창시, 로바체프스키 방정식 || ||조지 그린 || 1793 ||[[그린 정리]], [[그린 함수]] || ||미셸 플로레알 샬 || 1793 ||샬의 정리 || ||가브리엘 라메 || 1795 ||라메 곡선,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n이 7인 경우 증명, 라메 함수, 라메 상수 || ||야코프 슈타이너 || 1796 ||퐁슬레-슈타이너 정리, 슈타이너 계 || ||니콜라스 레오나르드 사디 카르노 || 1796 ||[[카르노 기관]], [[카르노 정리|카르노 정리(열역학)]] || ||크리스토프 구데르만 || 1798 ||[[구데르만 함수]], [[균등수렴]] || ||에밀 베누아 폴 클라페이롱 || 1799 ||클라우지우스-클라페이롱 방정식, 클라페이롱 정리(탄성) || == 19세기 == ||'''{{{#white 이름}}}''' || '''{{{#white 출생 년도}}}''' ||'''{{{#white 주요 업적}}}''' || '''{{{#white 주요 수상 내역}}}'''[* [[필즈상]], [[아벨상]], [[울프상]], [[노벨상]],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보셰 기념상] || ||율리우스 플뤼커 || 1801 ||플뤼커 좌표, 플뤼커 매장, 플뤼커 공식 || || ||조지 비델 에어리 || 1801 ||[[에어리 함수]] || || ||미하일 오스트로그라드스키 || 1801 ||[[발산 정리]], 오스트로그라드스키 불안정성 || || ||[[닐스 헨리크 아벨]][*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아벨상은 아벨을 기리기 위해 만들어졌다.] || 1802 ||[[군(대수학)]], 아벨군(가환군), 타원 함수, 아벨-루피니 정리, 아벨-야코비 정리 || || ||보여이 야노시 || 1802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창시자중 하나 || || ||존 블리사드 || 1803 ||음계산법 발명 || || ||앙리 필리베르 가스파드 달시 || 1803 ||달시-바이스바하 방정식 || || ||자크 샤를 프랑수아 스튀름 || 1803 ||스튀름-리우빌 연산자, 스튀름-리우빌 방정식, 스튀름-리우빌 이론, 스튀름 정리 || || ||피에르 프랑수아 베르헐스트 || 1804 ||[[로지스틱 방정식]] || || ||[[카를 구스타프 야코프 야코비]] || 1804 ||[[야코비안|야코비 행렬]], 야코비 미분방정식, 야코비 타원함수, [[세타 함수]], 해밀턴-야코비 방정식 등 || || ||[[페터 구스타프 르죈 디리클레]] || 1805 ||[[집합 판별 함수#s-2|디리클레 함수]], [[비둘기 집의 원리]], 디리클레 L-함수, 디리클레 경계 조건, 디리클레 합성곱 외 다수 || || ||[[윌리엄 로원 해밀턴]] || 1805 ||[[해밀턴 역학]], [[사원수]], [[델(연산자)|델]], [[해밀턴 회로]] 등 || || ||[[오거스터스 드 모르간]] || 1806 ||[[드 모르간 법칙]], [[수학적 귀납법]], 관계 대수 || || ||줄리어스 루드비히 바이스바하 || 1806 ||달시-바이스바하 방정식 || || ||존 토머스 그레이브스 || 1806 ||데겐의 여덟 제곱수 항등식, [[팔원수]] || || ||카를 안톤 브레치나이더 || 1808 ||[[브레치나이더 공식]] || || ||조제프 리우빌 || 1809 ||[[리우빌 정리]], [[초월수]]의 존재 증명, 리우빌 수 || || ||헤르만 귀터 그라스만 || 1809 ||[[선형대수학]], [[벡터 공간]], 외 대수(그라스만 대수), 그라스만 다양체 || || ||에른스트 에두아르트 쿠머 || 1810 ||쿠머 이론, [[아이디얼|아이디얼(이데알)]] 도입 등 || || ||위르뱅 장 조제프 르베리에 || 1811 ||수학을 통해 [[해왕성]]의 존재와 위치를 예측함 || || ||루트비히 오토 헤세 || 1811 ||[[헤세 행렬]], 헤세 정리, 헤세 정규형 || || ||오귀스트 브라베 || 1811 ||브라베 격자 || || ||[[에바리스트 갈루아]] || 1811 ||[[갈루아 이론]], 갈루아 확대, 갈루아 군, [[유한체|갈루아 체(유한체)]]를 도입 || || ||피에르 알퐁스 로랑 || 1813 ||[[로랑 급수]] || || ||피에르 방첼 || 1814 ||[[3대 작도 불능 문제]]해결 || || ||[[제임스 조지프 실베스터]] || 1814 ||실베스터 행렬, 아다마르 행렬, [[실베스터-갈라이 정리]] || || ||외젠 샤를 카탈랑 || 1814 ||[[카탈랑 수]], 카탈랑의 다면체, 카탈랑 추측(미허일레스쿠 정리) || || ||[[카를 바이어슈트라스]][* | x |로 표현되는 [[절댓값]]의 표기법을 도입하기도 하였다.] || 1815 ||[[엡실론 - 델타 논법]], [[바이어슈트라스 함수]], 바이어슈트라스 타원함수, 바이어슈트라스 곱 정리,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 등 || || ||[[조지 불]] || 1815 ||[[불 대수]], [[존재 함축]] || || ||[[에이다 러브레이스 백작부인]] || 1815 ||세계 최초의 [[프로그래머]] || || ||제임스 프레스콧 줄 || 1818 ||[[에너지 보존 법칙]] || || ||존 쿠치 애덤스 || 1819 ||수학을 통해 [[해왕성]]의 존재와 위치를 예측함 || || ||조지 스토크스 || 1819 ||[[나비에-스톡스 방정식]], [[스토크스 정리]] || || ||피에르 오시안 보넷 || 1818 ||[[가우스-보넷 정리]], 보넷 정리 || || ||빅터 알렉산드르 퓌죄 || 1820 ||퓌죄 급수 || ||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 1820 ||원 그래프 || || ||하인리히 에두아르트 하이네 || 1821 ||균등 연속 함수, 하이네-보렐 정리 등 || || ||파프누티 리보비치 체비쇼프 || 1821 ||체비쇼프 다항식, [[체비쇼프 부등식]], [[체비쇼프 함수]], 베르트랑 추측 증명 || || ||[[아서 케일리]] || 1821 ||[[행렬]], [[케일리-해밀턴 정리]], 케일리-딕슨 구성, [[팔원수]], 케일리 변환 외 다수 || || ||헤르만 루트비히 페르디난트 폰 헬름홀츠 || 1821 ||헬름홀츠 정리, [[헬름홀츠 방정식]] || || ||필리프 루트비히 폰 자이델 || 1821 ||가우스-자이델 방법 || || ||[[루돌프 클라우지우스]] || 1822 ||클라우지우스 정리, [[열역학 제2법칙]], [[엔트로피]] 등 || || ||프랜시스 골턴[* 찰스 다윈의 사촌이며 역설적으로 우생학의 창시자이다] || 1822 ||[[평균으로의 회귀]], 골턴-왓슨 과정 || || ||조제프 루이스 프랑수아 베르트랑 || 1822 ||베르트랑 역설(확률), [[베르트랑 모형|베르트랑 역설(경제)]], 베르트랑 투표 정리, 베르트랑 정리(고전역학), 베르트랑 상자 역설 || || ||샤를 에르미트 || 1822 ||e의 초월성 증명, 에르미트 행렬, 에르미트 다항식 || || ||레오폴트 크로네커 || 1823 ||크로네커 정리, [[크로네커 델타]], 크로네커-베버 정리, 크로네커의 청춘의 꿈 || || ||페르디난트 고트홀드 막스 아이젠슈타인 || 1823 ||[[아이젠슈타인 정수]], 아이젠슈타인 판정법 || || ||엔리코 베티 || 1823 ||[[베티 수]] || || ||[[제1대 켈빈 남작 윌리엄 톰슨]] || 1824 ||[[절대온도]], 켈빈의 최소 에너지 정리, 켈빈 방정식 등 || || ||장 프랑수아 테오필 페팽 || 1826 ||페팽 소수판별법 || || ||다니엘 프리드리히 에른스트 마이셀 || 1826 ||마이셀-메르텐스 상수, 마이셀-레머 알고리즘 || || ||[[베른하르트 리만]] || 1826 ||[[리만 기하학]], [[리만 가설]], [[리만 제타 함수]], [[리만 적분]], 리만 재배열 정리 외 다수 || || ||헨리 존 스티븐 스미스 || 1826 ||스미스-민코프스키-지겔 질량 공식, 스미스-볼테라-칸토어 집합 || || ||헨리 윌리엄 왓슨 || 1827 ||골턴-왓슨 과정 || || ||엘빈 브루노 크리스토펠 || 1829 ||[[크리스토펠 기호]], 슈바르츠-크리스토펠 사상 || || ||루이지 크레모나 || 1830 ||크레모나 군, 크레모나 다이어그램, 크레모나-리치몬드 구성 || || ||에드워드 존 루스 || 1831 ||루스-후루비츠 정리, 루스-후루비츠 안정성 판별법, 루스 역학 || || ||피터 거스리 테이트 || 1831 ||테이트-네저 정리, 테이트 추측 || ||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 1831 ||[[맥스웰 방정식]] 등 || || ||[[율리우스 빌헬름 리하르트 데데킨트]] || 1831 ||[[데데킨트 절단]], 데데킨트 군, 모듈러 군(보형군) 등 || || ||[[루이스 캐럴]] || 1832 ||고장난 시계 역설, [[마리아가 쓴 편지를 볼 수 있는가?]],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거울 나라의 앨리스]] || || ||카를 고트프리드 노이만 || 1832 ||노이만 경계조건, 노이만 급수 || || ||루돌프 오토 지기스문트 립시츠 || 1832 ||립시츠 연속 함수 || || ||페테르 루드비 메이델 쉴로브 || 1832 ||[[실로우 정리]], 실로우 부분군 || || ||루돌프 프리드리히 알프레트 클렙슈 || 1833 ||클렙슈 곡면, 클렙슈-고르단 계수 || || ||라차루스 임마누엘 푹스 || 1833 ||푹스 군, 푹스 정리, 피카르-푹스 방정식 || || ||에드몬드 니콜라스 라게르 || 1834 ||[[라게르 함수]], 라게르 평면, 라게르의 방법 || || ||존 벤 || 1834 ||[[벤 다이어그램]] || || ||오귀스트 케르크호프스 || 1835 ||케르크호프스의 원리[* [[https://ko.wikipedia.org/wiki/%EC%BC%80%EB%A5%B4%ED%81%AC%ED%98%B8%ED%94%84%EC%8A%A4%EC%9D%98_%EC%9B%90%EB%A6%AC]]] || || ||에밀 레오나르 마티외 || 1835 ||마티외 군, 마티외 함수, 마티외 변환 || || ||에우제니오 벨트라미 || 1835 ||쌍곡기하학, 벨트라미-클라인 모형 등 || || ||펠리체 카소라티 || 1835 ||카소라티-바이어슈트라스 정리 || || ||파울 알버트 고르단 || 1837 ||고르단 문제, 불변식 이론, 클렙슈-고르단 계수 || || ||요하너스 디데릭 판데르발스 || 1837 ||판데르발스 상태 방정식, 판데르발스 힘 || 1910년 노벨 물리학상 || ||카미유 조르당 || 1838 ||[[조르당 분해]], 조르당 곡선 정리, 조르당 표준형, 페아노-조르당 측도, Total variation 등 || || ||[[조시아 윌러드 깁스]] || 1839 ||[[벡터 미적분학]], 기브스-헬름홀츠 방정식 등 || || ||헤르만 한켈 || 1839 ||한켈 행렬, 한켈 변환 || || ||히에로니무스 게오르그 제우텐 || 1839 ||열거 기하학, 제우텐-세그레 불변량 || || ||율리우스 페테르 크리스티안 페테르센 || 1839 ||페테르센 그래프, 페테르센 정리, 페테르센-몰리 정리 || || ||찰스 샌더스 퍼스 || 1839 ||확률의 성향 이론, [[귀추법]], [[술어 논리]] 창안[* [[고틀로프 프레게]]와는 독립적으로 만듬], 관계 대수 || || ||구스타프 로흐 || 1839 ||리만-로흐 정리 증명 || || ||프란츠 메르텐스 || 1840 ||[[메르텐스 함수]], 메르텐스 정리, 마이셀-메르텐스 상수, 메르텐스 추측 || || ||레오 아우구스트 포흐하머 || 1841 ||[[계승(수학)#s-2|포흐하머 기호]] || || ||에른스트 슈뢰더 || 1841 ||[[슈뢰더 수]], 슈뢰더 규칙, 슈뢰더 방정식, 번스타인-슈뢰더 정리 || || ||하인리히 마틴 베버 || 1842 ||베버 정리, 크로네커-베버 정리, 베버 모듈러 함수 || || ||프랑수아 에두아르 아나톨 뤼카 || 1842 ||뤼카 수열, 가우스-뤼카 정리, 뤼카-레머-리젤 소수판별법 || || ||오토 슈톨츠 || 1842 ||스톨츠-체사로 정리 || || ||장 가스통 다르부 || 1842 ||다르부 적분, 다르부 정리(해석학), 다르부 정리(기하학) || || ||존 윌리엄 스트럿 레일리 || 1842 ||광학 정리, 레일리 산란, 레일리-진스 법칙, 레일리 수, [[아르곤]] 발견 || 1904년 노벨 물리학상 || ||소푸스 리 || 1842 ||[[리 군|리(Lie) 군]], 리 대수 || || ||줄리오 아스콜리 || 1843 ||아젤라-아스콜리 정리 || || ||헤르만 아만두스 슈바르츠 || 1843 ||[[코시-슈바르츠 부등식]], 슈바르치안, 반사원리 || || ||모리츠 파쉬 || 1843 ||순서 기하학, 파쉬 공리, 파쉬 정리 || || ||야콥 뤼로스 || 1844 ||뤼로스 정리, 뤼로스 4차 다항식, 뤼로스 상수 || || ||[[루트비히 에두아르트 볼츠만]] || 1844 ||볼츠만 운송 방정식, 슈테판-볼츠만 법칙, [[에르고딕 가설]] 등 || || ||막스 뇌터[* 수학자 에미 뇌터의 아버지이다.] || 1844 ||곡선에 대한 뇌터 정리, 막스 뇌터의 기본정리 || || ||[[게오르크 칸토어]] || 1845 ||[[집합론]] 창시, [[무한대]], [[대각선 논법]], [[연속체 가설]] 외 다수 || || ||윌리엄 킹던 클리퍼드 || 1845 ||클리퍼드 대수, 클리퍼드 정리, 클리퍼드 평행선 || || ||윌리엄 발로우 || 1845 ||3차원 공간 군의 개수 || || ||망누스 예스타 미타그레플레르 || 1846 ||미타그레플레르 정리 ,미타그레플레르 다항식, 미타그레플레르 합 || || ||체사레 아젤라 || 1847 ||아젤라-아스콜리 정리 || || ||빌헬름 킬링 || 1847 ||킬링 벡터, [[리 군]], 리 대수, 카르탕 행렬, 카르탕 대합 || || ||아킬레 마리 가스통 플로케[* Achille Marie Gaston Floquet] || 1847 ||플로케(Floquet) 이론 || || ||디에데릭 요하네스 코르테버흐 || 1848 ||KdV 방정식(Korteweg–De Vries 방정식), 모엔스-코르테버흐(Moens–Korteweg) 방정식 || || ||헤르만 슈베르트 || 1848 ||열거 기하학, 슈베르트 계산(Schubert calculus), 슈베르트 다양체 || || ||빌프레도 페데리코 다마조 파레토 || 1848 ||[[파레토 법칙]], 파레토 분포 || || ||제임스 위트브레드 리 글레이셔 || 1848 ||[[오차함수]], 글레이셔 정리, 글레이셔-킨켈린 상수 || || ||[[고틀로프 프레게]] || 1848 ||[[수리 논리학|현대논리]] 창시, 프레게의 정리, [[술어 논리]] 창안, 뜻과 지시체 || || ||펠릭스 클라인 || 1849 ||[[에를랑겐 프로그램]], [[클라인의 병]], 클라인 기하학, 클라인 사원군, 클라인 부분군 외 다수 || || ||페르디난트 게오르크 프로베니우스 || 1849 ||프로베니우스 정리, 프로베니우스 사상, 프로베니우스 군 || || ||쾨니그 줄러[* 수학자 쾨니그 데네시의 아버지이다.] || 1849 ||쾨니그의 정리 || || ||소피야 바실리예브나 코발렙스카야 || 1850 ||코시-코발렙스카야 정리 || || ||[[올리버 헤비사이드]][* 전리층을 발견하였다 또한 헤비사이드는 원래 20개의 변수로 이루어진 맥스웰 방정식을 4개의 미분 방정식으로 정리한 사람이다] || 1850 ||헤비사이드 계단 함수, [[포인팅 벡터]], [[벡터 미적분학]] || || ||루트비히 스티켈버거 || 1850 ||스티켈버거 정리, 프로베니우스-스티켈버거 정리 || || ||예르겐 페데르센 그람 || 1850 ||[[그람-슈미트 과정]], 그람 행렬 || || ||칼 구스타프 악셀 하르낙 || 1851 ||하르낙 부등식, 하르낙 곡선 정리, 하르낙 원리 || || ||프리드리히 헤르만 쇼트키 || 1851 ||쇼트키 군, 쇼트키 정리, 쇼트키 문제 || || ||페르디난트 폰 린데만 || 1852 ||[[원주율]]이 [[초월수]]임을 증명 || || ||프랑수아 프로트 || 1852 ||프로트 소수판별법, 프로트 소수 || || ||윌리엄 번사이드 || 1852 ||[[번사이드 정리]], 번사이드 보조정리, 번사이드 문제 || || ||야코뷔스 헨리퀴스 판트호프 || 1852 ||판트호프 방정식, 판트호프 법칙, 입체화학 || 1901년 노벨 화학상 || ||존 헨리 포인팅 || 1852 ||[[포인팅 벡터]], 포인팅 정리 || || ||그레고리오 리치쿠르바스트로 || 1853 ||[[텐서 미적분학]], 리치 곡률 텐서 || || ||아르투어 모리츠 쇤플리스 || 1853 ||쇤플리스 표기법, 쇤플리스 정리, 표도로프-쇤플리스-비버바흐 정리 || || ||[[헨드릭 안톤 로런츠]] || 1853 ||[[로런츠 변환]], [[로런츠 인자]] || 1902년 노벨 물리학상 || ||하인리히 마슈케 || 1853 ||마슈케의 정리 || || ||에브그라프 스테파노비치 표도로프 || 1853 ||표도로프-쇤플리스-비버바흐 정리, Zonohedron 정의 || || ||찰스 하워드 힌튼 || 1853 ||[[테서랙트]][* 테서랙트라는 단어를 만든 사람이다.], 힌튼의 폴리토프 || || ||[[앙리 푸앵카레]][* 앙리 푸앵카레의 이름을 딴 수리 물리학에 큰 공헌한 학자에게 주는 앙리 푸앵카레상이 있으며, 그의 사촌 [[레몽 푸앵카레]]는 제10대 프랑스 대통령이었고 총리 자리에 있었던 적도 있다.] || 1854 ||[[위상수학|대수적 위상수학]], [[호몰로지]], [[푸앵카레 추측]], [[푸앵카레 재귀 정리]], [[삼체문제]]의 일반해를 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증명[* 이로부터 [[카오스 이론]]이 시작되었다, 또한 오늘날 푸앵카레는 동역학계(Dynamical system)의 창시자로 간주 된다] 외 다수 || || ||주세페 베로네세 || 1854 ||베로네세 곡면 || || ||한스 칼 프리드리히 폰 망골트 || 1854 ||[[폰 망골트 함수]], 카르탕-아다마르 정리 || || ||로베르트 얄마르 멜린 || 1854 ||멜빈 변환 || || ||퍼시 알렉산더 맥메이헌 || 1854 ||평면 분할, 맥메이헌 마스터 정리 || || ||요한네스 로베르트 뤼드베리 || 1854 ||뤼드베리 공식, 뤼드베리-리츠 조합 원리, 뤼드베리상수 || || ||제임스 알프레드 유잉[* Sir James Alfred Ewing] || 1855 ||히스테리시스(이력 현상) || || ||빅터 구스타브 로빈 || 1855 ||로빈 경계 조건 || || ||폴 에밀 아펠 || 1855 ||아펠 급수, 아펠 다항식열, 아펠-레치 급수, 아펠-험버트 정리 || || ||루이지 비앙키 || 1856 ||비앙키 항등식, 비앙키 분류 || || ||안드레이 안드레예비치 마르코프 || 1856 ||[[마르코프 연쇄]], [[마르코프 확률과정]], 가우스-마르코프 정리, 마르코프 행렬 || || ||샤를 에밀 피카르 || 1856 ||피카르 군, 피카르 정리, 피카르-렙셰츠 이론 || || ||카를 다비트 톨메 룽게 || 1856 ||[[룽게-쿠타 방법]], 룽게의 정리 || || ||토마스 스틸체스 || 1856 ||[[스틸체스 적분]] || || ||[[칼 피어슨]] || 1857 ||[[표준편차]], [[카이제곱 검정]], [[주성분 분석]], 피어슨 분포, 피어슨 상관계수 || || ||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 랴푸노프 || 1857 ||[[랴푸노프 안전성]], 랴푸노프 중심 극한 정리, [[랴푸노프 방정식]] || || ||[[치올코프스키|콘스탄틴 예두아르도비치 치올코프스키]] || 1857 ||[[치올코프스키 로켓 방정식]] || || ||[[막스 플랑크|막스 카를 에른스트 루트비히 플랑크]] || 1858 ||[[플랑크 상수]], 플랑크 법칙, 포커르-플랑크 방정식 || 1918년 노벨 물리학상 || ||에두아르 장바티스트 구르사 || 1858 ||코시-구르사 정리, 구르사 보조정리, 구르사 사면체 || || ||윌리엄 어니스트 존슨 || 1858 ||교환 가능 확률 변수(Exchangeable random variables) || || ||[[주세페 페아노]] || 1858 ||[[페아노 공리계]], [[페아노 곡선]], 페아노 곡면, [[페아노 산술]], 페아노-조르당 측도 || || ||마리 조지 험버트 || 1858 ||아펠-험버트 정리, 험버트 곡면 || || ||스반테 아우구스트 아레니우스 || 1859 ||아레니우스 방정식, 산-염기 반응 || 1903년 노벨 화학상 || ||에르네스토 체사로 || 1859 ||슈톨츠-체사로 정리, 체사로 평균 || || ||아돌프 후르비츠 || 1859 ||후르비츠 정리, 후르비츠 제타 함수, 리만-후르비츠 공식, 후루비츠 행렬 || || ||파스쿠알레 델 페초 || 1859 ||델 페초 곡면 || || ||요한 루드비히 발데마르 젠센 || 1859 ||[[젠센 부등식]], 젠센 공식 || || ||게오르그 알렉산더 픽 || 1859 ||[[픽의 정리]], 네반린나-픽 보간법 || || ||오토 루트비히 횔더 || 1859 ||횔더 연속 함수, [[횔더 부등식]] || || ||마티아스 레치 || 1860 ||아펠-레치 급수, 레치 제타함수 || || ||다르시 웬트워스 톰슨 || 1860 ||성장과 형태에 관하여(On Growth and Form)[* 1116쪽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의 책으로 수학을 이용하여 생물이 가지는 기관의 형태 형성을 설명한다. 특히나 마지막 17장 ("변형의 이론, 또는 관련된 형태의 비교에 대하여")에서 톰슨은 생물의 형태에 좌표의 개념을 도입한 뒤 좌표의 변형을 통해 관련된 다른 종의 형태가 나타날 수 있음을 많은 실례를 통해 보여줬다. [[https://www.lgsl.kr/story/detail/sto/sto/76/IQEX2011010009]]] || || ||비토 볼테라 || 1860 ||볼테라 방정식, 볼테라 급수, 로트카-볼테라 방정식 || || ||얼리샤 불 스톳[* [[불 대수]]를 만든 수학자 조지 불의 셋째딸이다] || 1860 ||[[다포체]][* 다포체(폴리토프)라는 용어를 만든 사람이다], 정규 4-폴리토프가 6종류밖에 없다는 것을 밝혀냄 || || ||프랭크 몰리 || 1860 ||페테르센-몰리 정리, 몰리의 삼등분 정리 || ||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 || 1861 ||[[수리 논리학]], point-free geometry || || ||피에르 모리스 마리 뒤엠 || 1861 ||뒤엠-콰인 논제, 기브스-뒤엠 방정식, 뒤엠-마르굴레스 방정식, 클라우지우스-뒤엠 부등식 || || ||이바르 오토 벤딕손 || 1861 ||푸앵카레-벤딕손 정리, 칸토어-벤딕손 정리 || || ||체사레 부랄리포르티 || 1861 ||[[부랄리포르티 역설]] || || ||드미트리 세미오노비치 미리마노프[* Dmitry Semionovitch Mirimanoff] || 1861 ||비정초적 집합론(non-well-founded set theory)[* [[https://en.wikipedia.org/wiki/Non-well-founded_set_theory]]], 미리마노프 합동[* [[https://en.wikipedia.org/wiki/Mirimanoff%27s_congruence]]] || || ||카를 엠마누엘 로버트 프리케 || 1861 ||프리케 대합 || || ||프랭크 넬슨 콜 || 1861 ||[[메르센 소수|M(67)]]의 반례 발견, 기압의 일변량, 콜 상 || || ||프리드리히 엥겔 || 1861 ||엥겔 군, 엥겔 전개, 엥겔 정리 || || ||쿠르트 빌헬름 제바스티안 헨젤 || 1861 ||[[p-진수]], 헨젤 보조 정리, 헨젤 환 || || ||[[다비트 힐베르트]] || 1862 ||[[힐베르트 공간]], [[힐베르트의 23가지 문제]], [[힐베르트 프로그램]], 웨어링 문제 해결, 힐베르트 영점 정리 외 다수 || || ||일라이어킴 헤이 스팅스 무어 || 1862 ||그물, 폐포 연산자 || || ||프랜시스 소워비 매콜리 || 1862 ||코언-매콜리 환, 매콜리 쌍대성, 매콜리 종결식 || || ||악셀 투에 || 1863 ||투에 정리, 투에 보조정리, 투에 방정식 등 || || ||레너드 제임스 로저스 || 1862 ||로저스-라마누잔 항등식, 로저스 다항식, 횔더 부등식 || || ||카를 헤르만 브룬 || 1862 ||브룬-민코프스키 정리, 브루니안 링크 || || ||존 찰스 필즈 || 1863 ||[[필즈상]] || || ||코라도 세그레 || 1863 ||세그레 곡면, 세그레 큐빅, 제우텐-세그레 불변량 || || ||라스 에드바르 프라그멘[* 푸앵카레의 3차 문제에 관한 출판 전 논문에서 불분명한 부분을 지적하였고 푸앵카레는 자신의 논문에서 실수를 발견했고 이를 수정하면서 삼체문제의 일반해를 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하였는데, 이는 훗날 혼돈 이론의 모태가 되었다.] || 1863 ||프라그멘-브라우어르 정리, 프라그멘-린델뢰프 원리 || || ||윌리엄 헨리 영[* 수학자 로렌스 치숌 영의 아버지이다.] || 1863 ||영의 정리, 하우스도르프-영 부등식, 영의 부등식, 영의 합성곱 부등식 || || ||앙리 외젠 파데 || 1863 ||파데 근사 || || ||윌리엄 포그 오스굿 || 1864 ||리만 사상 정리, 오스굿 곡선, 오스굿 정리, 오스굿 유일성 정리 || || ||퀴르샤크 요제프 || 1864 ||p-진수에 대한 대수적 절댓값을 도입 || || ||[[헤르만 민코프스키]] || 1864 ||[[택시 기하학]], [[민코프스키 다이어그램]], 민코프스키 공간, 수의 기하학(Geometry of numbers), 하세-민코프스키 정리 외 다수[* [[고유 시간]], [[세계선]], [[푸앵카레 군]], 민코프스키 물음표 함수, 민코프스키 정리, 스미스-민코프스키-지겔 질량 공식, 브룬-민코프스키 정리, 민코프스키 부등식] || || ||발터 헤르만 네른스트 || 1864 ||네른스트 열 정리, 네른스트 방정식, 열역학 제3법칙, 네른스트 분포 법칙, 네른스트-플랑크 방정식 || 1920년 노벨 화학상 || ||찰스 프로테우스 스타인메츠 || 1865 ||스타인메츠 방정식, [[위상자|페이저]], 스타인메츠 다면체 || || ||빌헬름 비르팅거 || 1865 ||비르팅거 도함수, 비르팅거 부등식, 비르팅거 표현 및 투영 정리, 비르팅거 매듭군의 표시 || || ||귀도 카스텔누오보 || 1865 ||카스텔누오보 정리, 카스텔누오보 곡선 || || ||윌렘 아브라함 위토프 || 1865 ||위토프 기호, 위토프 구성, 위토프 게임 || || ||자크 아다마르 || 1865 ||[[소수정리]] 증명, 아다마르 곱, [[아다마르 행렬]], 아다마르 당구, 코시-아다마르 정리 || || ||구스타브 더프리스[* Gustav de Vries] || 1866 ||KdV 방정식(Korteweg–de Vries 방정식) || || ||에리크 이바르 프레드홀름 || 1866 ||프레드홀름 방정식, 프레드홀름 연산자, 프레드홀름 이론 || || ||샤를장 드 라 발레푸생 || 1866 ||[[소수정리]] 증명, 드 라 발레푸생 정리 || || ||알프레드 타우버 || 1866 ||타우버 정리 || || ||막심 보셰[* Maxime Bôcher][* 미국 수학회에서는 그의 이를을 따서 만든 [[해석학(수학)|해석학]] 분야에 주목할 만한 연구를 한 수학자에게 주는 보셰 기념상이 있다.[* [[https://en.wikipedia.org/wiki/B%C3%B4cher_Memorial_Prize]]]] || 1867 ||보셰 정리(복소 해석학), 보셰 정리(조화 함수), 보셰 방정식 || || ||마르틴 빌헬름 쿠타 || 1867 ||[[룽게-쿠타 방법]] || || ||그레이스 에밀리 치숌 영[* 윌리엄 헨리 영의 배우자이다.] || 1867 ||당주아-영-삭스 정리 || || ||게오르기 페오도시예비치 보로노이 || 1868 ||[[보로노이 다이어그램]] || || ||펠릭스 하우스도르프 || 1868 ||[[하우스도르프 공간]], [[하우스도르프 차원]], 하우스도프 극대 원리 || || ||[[아르놀트 요하네스 빌헬름 조머펠트]] || 1868 ||미세 구조 상수, 조머펠트 확장, 조머펠트 항등식 등 || || ||[[엠마누엘 라스커]][* 1894년부터 1921년까지 27 년간 세계 체스 챔피언이었다.] || 1868 ||라스커-뇌터 정리, 라스커 환 || || ||[[엘리 조제프 카르탕]][* 울프상을 받은 수학자 앙리 카르탕의 아버지이다.] || 1869 ||[[미분형식]] 발명, [[스피너]] 개념 도입, 킬링 형식, 콤팩트 대칭 공간의 분류, 카르탕 접속 외 다수 || || ||프리드리히 피우스 필리프 푸르트벵글러 || 1869 ||주 아이디얼 정리, 힐베르트 유체의 존재 증명, 쿠머-밴디버 추측 || || ||앨런 하젠 || 1869 ||하젠-윌리엄스 방정식 || || ||드미트리 표도로비치 예고로프 || 1869 ||예고로프 정리 || || ||헬리에 본 코크 || 1870 ||[[코흐 곡선]] || || ||헨리 케번 포클링턴 || 1870 ||포클링턴-레머 소수판별법, 포클링턴 알고리즘 || || ||에른스트 레너드 린델뢰프 || 1870 ||린델뢰프 공간, 피카르-린델뢰프 정리, 린델뢰프 정리, 프라그멘-린델뢰프 원리 || || ||루이 바슐리에 || 1870 ||금융시장의 가격변동을 [[브라운 운동]]으로 모형화 || || ||지노 파노 || 1871 ||[[파노 다양체]], 파노 곡면, 갈루아 기하학 || || ||[[펠릭스 에두아르 쥐스탱 에밀 보렐]] || 1871 ||보렐 집합, [[무한 원숭이 정리]], 보렐 합, 보렐-칸텔리 보조정리, 하이네-보렐 정리 || || ||아브라모 줄리오 움베르토 페데리고 엔리퀘스 || 1871 ||엔리퀘스-고다이라 분류, 엔리퀘스 곡면 || || ||보리스 그리고리예비치 갤러킨 || 1871 ||갤러킨 방법 || || ||에른스트 슈타이니츠 || 1871 ||슈타이니츠 클래스, 슈타이니츠 정리, 레비-슈타이니츠 정리 등 || || ||[[에른스트 체르멜로]] || 1871 ||[[ZFC 공리계]] || || ||[[어니스트 러더퍼드]] || 1871 ||러더퍼드 원자모형, 러더퍼드 산란, 양성자 || 1908년 노벨 화학상 || ||폴 히가드 || 1871 ||히가드 분해(splitting) || || ||[[버트런드 러셀]] || 1872 ||[[러셀의 역설]], 유형 이론, 러셀의 기술이론 || 1950년 노벨 문학상 || ||[[툴리오 레비치비타]] || 1873 ||텐서 미적분학, 더 시터르 공간, 레비치비타 접속, 레비치비타 기호 || || ||앨프리드 영 || 1873 ||영 타블로, 영 대칭기 || || ||콘스탄티노스 카라테오도리 || 1873 ||카라테오도리 정리, 보렐-카라테오도리 정리, 단열 도달 가능성(Adiabatic accessibility) || || ||카를 슈바르츠실트 || 1873 ||슈바르츠실트 계량, 슈바르츠실트 반지름 || || ||조지 에드워드 무어 || 1873 ||무어의 역설, 분석의 역설(랭퍼드-무어의 역설), 자연주의적 오류(Naturalistic fallacy) || || ||르네루이 베르 || 1874 ||베르 집합, 베르 공간, 베르 범주 정리, 제1 범주 집합, 준열린집합 || || ||레너드 유진 딕슨 || 1874 ||케일리-딕슨 구성, 딕슨 다항식, 모듈러 불변식 이론 || 1928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 ||어니스트 윌리엄 반스 || 1874 ||반스 적분, 반스 G 함수 || || ||프리드리히 모리츠 하르톡스 || 1874 ||하르톡스 정리, 하르톡스 수, 하르톡스 확장 정리 || || ||게르하르트 헤센베르크 || 1874 ||헤센베르크 합 || || ||이사이 슈어 || 1875 ||슈어 부등식, 슈어 보조정리, 슈어 직교 관계, 슈어 분해 || || ||다카기 데이지 || 1875 ||유체론, 다카기 곡선, 다카기의 존재 공리 || || ||베포 레비 || 1875 ||레비 정리 || || ||[[앙리 레옹 르베그]] || 1875 ||[[르베그 측도]], 르베그 [[적분]] 등 || || ||주세페 비탈리 || 1875 ||비탈리 집합, 비탈리 덮개 정리, 비탈리 수렴 정리, 비탈리-한-삭스 정리 || || ||길버트 뉴턴 루이스 || 1875 ||[[루이스 산염기]], 옥텟 규칙, 활동도 || || ||프란체스코 파올로 칸텔리 || 1875 ||글리벤코-칸텔리 정리, [[칸텔리 부등식]], 보렐-칸텔리 보조정리 || || ||에르하르트 슈미트 || 1876 ||[[그람-슈미트 과정]], 힐베르트-슈미트 작용소 || || ||폴 앙투안 아리스티드 몽텔 || 1876 ||몬텔 정리, 몬텔 공간, 정규 족 || || ||윌리엄 실리 고셋 || 1876 ||[[t분포]] || || ||[[G. H. 하디]] || 1877 ||[[해석적 정수론]], 하디-리틀우드 원 방법, 하디 부등식, 하디-바인베르크 원리, 리만 제타 함수의 임계선 위에 무한히 많은 수의 영점이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 || || ||[[에드문트 란다우]] || 1877 ||[[해석적 정수론]], 란다우 함수, 란다우-라마누잔 상수, [[점근 표기법]], 란다우 소 아이디얼 정리 등 || || ||프레더릭 소디 || 1877 ||소디의 헥슬렛[* [[https://en.wikipedia.org/wiki/Soddy%27s_hexlet]]], 소디의 원 || 1921년 노벨 화학상 || ||제임스 호프우드 진스 || 1877 ||레일리-진스 법칙, 진스 방정식, 진스 정리, 진스 불안정성 || || ||게오르그 칼 빌헬름 하멜 || 1877 ||하멜 기저, 하멜 함수, 제프리-하멜 흐름 || || ||아그너 크라루프 얼랭[* Agner Krarup Erlang] || 1878 ||E(Erlang)[* 1회선이 1시간 동안 점유된 호량(통화량)의 단위이다.], Teletraffic engineering[* [[https://en.wikipedia.org/wiki/Teletraffic_engineering]]], [[대기행렬이론]](큐잉 이론)[* 큐잉 이론의 창시자이다.[[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A%B8%B0%ED%96%89%EB%A0%AC%EC%9D%B4%EB%A1%A0]]], 얼랭 분포 || || ||발터 하인리히 빌헬름 리츠 || 1878 ||레일리-리츠 방법, 뤼드베리-리츠 조합 원리, 리츠 방법 || || ||피에르 조셉 루이스 파투 || 1878 ||파투 보조정리, 파투 정리, 파투 집합, 파투-르베그 정리 || || ||에드워드 카스너 || 1878 ||카스너 계량, [[구골]] || || ||레오폴트 뢰벤하임 || 1878 ||[[뢰벤하임-스콜렘 정리]] || || ||모리스 르네 프레셰 || 1878 ||거리 공간, 콤팩트, 프레셰 공간, 리스 표현 정리 || || ||막스 빌헬름 덴 || 1878 ||덴의 보조정리, 덴 불변량, 힐베르트 3번 문제 해결 || || ||얀 우카시예비치 || 1878 ||폴란드 표기법, 우카시예비치 논리 || || ||귀도 푸비니 || 1879 ||푸비니 정리, 푸비니-슈투티 계량 || || ||로버트 카마이클 || 1879 ||[[카마이클 수]] ||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1879 ||[[특수 상대성 이론]], [[일반 상대성 이론]], 보스-아인슈타인 통계, [[아인슈타인 방정식|아인슈타인 장 방정식]], [[광전 효과]] 외 다수 || 1921년 노벨 물리학상 || ||[[프란체스코 세베리]] || 1879 ||네롱-세베리 군, 세베리-브라우어 대수다양체 || || ||마르게리타 피아졸라 벨로흐[* Margherita Piazzolla Beloch] || 1879 ||벨로흐 접기[* [[https://en.wikipedia.org/wiki/Huzita%E2%80%93Hatori_axioms#Axiom_6]]] || || ||한스 한 || 1879 ||한-바나흐 정리 등 || || ||니콜라이 미트로파노비치 크릴로프 || 1879 ||크릴로프-보골류보프 정리, Describing function || || ||파울 에렌페스트 || 1880 ||에렌페스트 정리, 에렌페스트 역설, 에렌페스트 방정식 || || ||리스 프리제시 || 1880 ||[[리스 표현정리]], 리스의 보조정리, 리스 공간, 하디 공간, 당주아-리스 정리 || || ||리포트 페예르 || 1880 ||페예르 정리, 페예르 커널 || || ||세르게이 나타노비치 베른시테인 || 1880 ||베른시테인 대수, 베른세테인 정리, 선험적 추정 || || ||오즈월드 베블런[* 그의 이름을 가진 3년마다 [[기하학]]과 [[위상수학]]에 크게 공헌한 수학자에게 주는 오즈월드 베블런 기하학상이 있다.[* [[https://en.wikipedia.org/wiki/Oswald_Veblen_Prize_in_Geometry]]]] || 1880 ||베블런-영 정리, 베블런 함수, [[조르당 곡선 정리]] || || ||하인리히 프란츠 프리드리히 티체 || 1880 ||티체 변환, 티체 그래프 || || ||니콜라이 알렉산드로비치 바실리예프 || 1880 ||초일관 논리와 다치논리의 선구자 || || ||구스타프 헤르글로츠 || 1881 ||헤르글로츠-뇌터 정리, 헤르글로츠-리스 정리 || || ||라위천 에흐베르튀스 얀 브라우어르[* 수리철학에서 직관주의의 창시자이다 ] || 1881 ||브라우어르 고정점 정리, 털난 공 정리, 브라우어르 차수, Bar induction || || ||군나르 노르드스트룀 || 1881 ||라이스너-노르드스트룀 계량, 칼루차-클레인 이론 || || ||오토 퇴플리츠 || 1881 ||퇴플리츠 행렬, 퇴플리츠 연산자, 실버만-퇴플리츠 정리 || || ||조지프 헨리 맥라건 웨더번 || 1882 ||아틴-웨더번 정리, 웨더번 정리, 웨더번-에더링턴 수 || || ||파울 쾨베 || 1882 ||균일화 정리, 쾨베 함수, 쾨베 1/4 정리, 원 채우기 정리(Circle packing theorem) || || ||바츠와프 시에르핀스키 || 1882 ||시에르핀스키 삼각형, [[도달 불가능한 기수]], 폴란드 공간 || || ||[[에미 뇌터]] || 1882 ||가환 대수학에 공헌, [[뇌터 정리]], 뇌터 환, 라스커-뇌터 정리 || || ||해리 슐츠 밴디버 || 1882 ||컴퓨터를 이용해 2521까지의 소수 n에 대하여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가 성립한다는 것을 증명, 쿠머-밴디버 추측 || 1931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 ||[[막스 보른]] || 1882 ||보른 급수, 보른 방정식 등 || 1954년 노벨 물리학상 || ||제임스 머서 || 1883 ||머서의 정리, Positive-definite kernel || || ||에릭 템플 벨 || 1883 ||[[벨 수]], 벨 급수 || 1924년 보셰 기념상 || ||클라렌스 어빙 루이스 || 1883 ||양상 논리, Strict conditional || || ||프리드리히 파울 말로 || 1883 ||말로 기수 || ||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루진 || 1883 ||기술적 집합론, 루진 정리, 루진-당주아 정리, 당주아-루진-삭스 정리 || || ||아르노 당주아 || 1884 ||루진-당주아 정리, 당주아-칼레만-알포르스 정리 등 || || ||조지 데이비드 버코프 || 1884 ||버코프 에르고딕 정리, 버코프 공리 || 1923년 보셰 기념상 || ||피터 조지프 윌리엄 디바이 || 1884 ||디바이 모형, 디바이-휘켈 방정식, 디바이 함수, 디바이 주파수, 디바이 차폐 || 1936년 노벨 화학상 || ||에두아르 헬리 || 1884 ||헬리 정리, 헬리 족, 헬리 선택 정리, 헬리-브레이 정리 || || ||루제로 토렐리 || 1884 ||토렐리 정리 || || ||솔로몬 렙셰츠 || 1884 ||렙셰츠 고정점 정리, 렙셰츠 초평면 정리, 렙셰츠 다양체, 렙셰츠 원리 || 1924년 보셰 기념상 || ||쾨니그 데네시 || 1884 ||쾨니그의 정리[* 쾨니그 줄러의 것과는 다른 정리이다.], 쾨니그 보조정리, 헝가리안 알고리즘 || || ||레오니다 토넬리 || 1885 ||토넬리 정리 || || ||마우로 피코네 || 1885 ||스튀름-피코네 비교 정리, 피코네 항등식 || || ||존 에든스너 리틀우드 || 1885 ||[[스큐스 수]], 리틀우드-페일리 이론, 하디-리틀우드 원 방법, 리틀우드 추측, 리만 제타 함수의 임계선 위에 무한히 많은 수의 영점이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 || || ||빌헬름 요한 오이겐 블라슈케 || 1885 ||블라슈케 선택 정리, 블라슈케 곱, 블라슈케-산탈로 부등식 || || ||니콜라스 미노르스키 || 1885 ||PID 제어기(PID controller)[* [[https://en.wikipedia.org/wiki/PID_controller]]] || || ||알프레드 하르 || 1885 ||하르 측도, 하르 웨이블릿, 하르 변환 || || ||비고 브룬 || 1885 ||브룬 정리, 브룬 상수, 브룬 체(Brun sieve) || || ||[[헤르만 바일]] || 1885 ||[[게이지 이론]], 바일 군, 바일 변환, 바일 대수, 페터-바일 정리 외 다수[* 바일 지표 공식, 바일 곡률 텐서, 바일 방정식, 바일 스피너, 위그너-바일 변환] || || ||테오도어 프란츠 에두아르트 칼루차 || 1885 ||칼루차-클레인 이론 || || ||자크 투샤르 || 1885 ||투샤르 다항식 || || ||[[닐스 보어|닐스 헨리크 다비드 보어]] || 1885 ||상보성의 원리, [[코펜하겐 해석]], 보어 모형 || 1922년 노벨 물리학상 || ||카케야 소이치 || 1886 ||카케야 바늘 문제, 카케야 집합(베시코비치 집합) || || ||파울 게오르그 펑크[* Paul Georg Funk] || 1886 ||펑크 변환(Funk transform) || || ||폴 피에르 레비 || 1886 ||[[레비 확률 과정]], 린데베르그-레비 중심 극한 정리, [[마팅게일]] || || ||하인리히 브란트 || 1886 ||준군(groupoid)을 도입함 || || ||리스 머르첼 [* 리스 프리제시의 동생이다. ] || 1886 ||리스 평균, 리스 포텐셜, 리스 확장 정리, 리스-토린 정리, 리스 변환 || || ||루트비히 게오르크 엘리아스 모제스 비버바흐 || 1886 ||비버바흐 추측, 표도로프-쇤플리스 정리를 고차원으로 일반화함 || || ||브와디스와프 후고 디오니지 스테인하우스 || 1887 ||결정 공리, k-평균 알고리즘, 균등 유계성 원리 || || ||발터 마이어 || 1887 ||마이어-피토리스 열 || || ||하랄드 어거스트 보어[* 그 유명한 물리학자 [[닐스 보어]]의 동생이다.] || 1887 ||보어 콤팩트화, 거의 주기적인 함수, 보어-몰레럽 정리, 보어-란다우 정리 || || ||토랄프 알버트 스콜렘 || 1887 ||[[뢰벤하임-스콜렘 정리]], 스콜렘 산술 || || ||오톤 마르친 니코딤 || 1887 ||라돈-니코딤 정리, 니코딤 집합 || || ||[[에르빈 슈뢰딩거|에르빈 루돌프 요제프 알렉산더 슈뢰딩거]] || 1887 ||[[슈뢰딩거 방정식]], 레일리-슈뢰딩거 섭동 이론, [[슈뢰딩거의 고양이]] || 1933년 노벨 물리학상 || ||에리히 헤케 || 1887 ||[[모듈러 형식]], 헤케 지표, 헤케 연산자, 헤케 L 함수 || || ||포여 죄르지 || 1887 ||포여 열거 정리, 순환 지표, 포여 추측, 포여 부등식 || || ||요한 카를 아우구스트 라돈 || 1887 ||라돈-니코딤 정리, 라돈 측도, 라돈 변환 || || ||[[스리니바사 라마누잔]] || 1887 ||[[라마누잔합]], [[택시 수]], 목 세타 함수, 라마누잔-피터슨 추측, 란다우-라마누잔 상수 등 || || ||리하르트 쿠란트 || 1888 ||[[유한요소법]], 쿠란트-프리드리히-레비 조건, 쿠란트 최소극대 원리 || || ||루이스 조엘 모델 || 1888 ||모델 곡선, 모델-베유 정리, 차우라-모델 정리, 모델 추측 || || ||조르주 다르모아 || 1888 ||[[지수족|지수족]](Exponential family), 피트먼-쿠프만-다르모아 정리, 다르모아-스키토비치 정리 || || ||알렉산드르 알렉산드로비치 프리드만 || 1888 ||[[프리드만 방정식]], FLRW 계량 || || ||제임스 워델 알렉산더 2세 || 1888 ||[[알렉산더 다항식]], [[알렉산더의 뿔 달린 구]] 등|| 1928년 보셰 기념상 || ||스테판 마주르키예비치 || 1888 ||크나스테르-쿠라토프스키-마주르키에비치 정리, 한-마주르키예비치 정리 || || ||모지즈 일리치 쇤핑클[* Moses Ilyich Schönfinkel] || 1888 ||조합 논리(Combinatory logic), 베르나이스-쇤핑클 클래스, 커링(Currying) || || ||파울 이자크 베르나이스 || 1888 ||NBG 집합론[* NBG 집합론은 폰 노이만, 베르나이스, 괴델이 만들었다] || || ||랄프 빈턴 리옹 하틀리 || 1888 ||하틀리 변환, 하틀리 법칙, 섀넌-하틀리 정리 || || ||해리 나이퀴스트 || 1889 ||나이퀴스트-섀넌 표본화 정리 등 || || ||레옹 니콜라 브릴루앙 || 1889 ||WKB 근사, 브릴루앙 영역, 아인슈타인-브릴루앙-켈러 방법, 브릴루앙 함수 || || ||[[로널드 피셔]] || 1890 ||[[최대가능도 방법]], [[귀무 가설]], [[분산]], [[분산 분석]], [[우도|우도(가능도)]] || || ||보리스 니콜라예비치 델로네 || 1890 ||[[델로네 삼각분할]] || || ||야코프 닐센 || 1890 ||닐센 변환, 닐센 이론, 덴-닐센 정리, 닐센-슈라이어 정리, 닐센-서스턴 분류, 펜첼-닐센 좌표 || || ||에우제니오 주세페 톨리아티[* 그의 동생인 팔미로 톨리아티는 이탈리아 공산당의 서기장이었다.] || 1890 ||톨리아티 곡면[* [[https://en.wikipedia.org/wiki/Togliatti_surface]]] || || ||아브람 사모일로비치 베시코비치 || 1891 ||베시코비치 덮개 정리, 하우스도르프-베시코비치 차원, 베시코비치 거의 주기적인 함수, 베시코비치 집합(카케야 집합) || || ||아브라함 프렝켈 || 1891 ||[[ZFC 공리계]] || || ||에게르바리 예뇌 || 1891 ||쾨니그 정리, 헝가리안 알고리즘 || || ||해롤드 제프리스[* [[알프레트 베게너]]의 [[대륙이동설]]이나 [[판 구조론]]의 강력한 반대자였다.] || 1891 ||WKB 근사, 제프리스 사전분포(Jeffreys prior), 제프리스-린들리 역설[* [[https://en.wikipedia.org/wiki/Lindley%27s_paradox]]] || || ||[[루돌프 카르나프]][* 루돌프 카르납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1891 ||램지 문장(Ramsey sentence)[* 카르납에 의해 소개되어서 Carnap sentences라고 부르기도 한다.], 확증도(degree of confirmation) || || ||레오폴드 피토리스 || 1891 ||마이어-피토리스 열, 피토리스 위상, 피토리스 호몰로지 || || ||에밀 율리우스 굼벨 || 1891 ||굼벨 분포, 극단치 이론(Extreme Value Theory) || || ||이반 비노그라도프 || 1891 ||비노그라도프 정리, [[골드바흐의 약한 추측]] 등 || || ||해럴드 캘빈 마스턴 모스 || 1892 ||[[모스 이론]], 투에-모스 수열 || 1933년 보셰 기념상 || ||[[스테판 바나흐]] || 1892 ||[[바나흐 공간]], [[바나흐 대수]], 한-바나흐 정리, [[바나흐-타르스키 역설]], [[균등 유계성 원리]] 외 다수 || || ||헤르만 로렌츠 퀴네트 || 1892 ||퀴네트 정리 || || ||토르스텐 칼레만 || 1892 ||칼레만 조건, 칼레만 부등식, 칼레만 방정식 등 || || ||가스통 쥘리아 || 1893 ||[[쥘리아 집합]] || || ||브로니스와프 크나스테르 || 1893 ||크나스테르-쿠라토프스키-마주르키에비치 정리, 크나스테르-타르스키 정리 || || ||카를 뢰브너 || 1893 ||수축 기하학, 수축량, 뢰브너 미분방정식 || || ||에두아르트 체흐 || 1893 ||체흐 코호몰로지, 체흐 신경, 스톤-체흐 콤팩트화, 르베그 덮개 차원 || || ||조셉 펠스 리트 || 1893 ||미분 대수, characteristic set || || ||하랄드 크라메르 || 1893 ||크라메르 추측, 크라메르-라오 하한, 크라메르 분해 정리, 크라메르 정리 || || ||알렉산드르 오스트로우스키[* 그의 이름을 딴 오스트로우스키 상이 있다] || 1893 ||오스트로우스키 정리, 오스트로우스키-아다마르 간격 정리 || || ||쿠르트 라이데마이스터 || 1893 ||[[매듭이론]], 라이데마이스터 변환, 라이데마이스터 비틀림 || || ||안드레 블로흐[* 친족살해로 유명하다 자세한 내용은 링크로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aoegame&no=4578901]]] || 1893 ||블로흐 정리, 블로흐 상수 || || ||쿠르트 헤그너 || 1893 ||헤그너 수, 헤그너 보조정리, 스타크-헤그너 정리, 가우스 유수 문제 || || ||헨드릭 안토니 크라머르스 || 1894 ||크라머르스-하이젠베르크 공식, 크라머르스 축퇴 정리, 크라머르스-모얄 확장 || || ||파울 핀슬러 || 1894 ||핀슬러 다양체, 핀슬러-하드비거 정리, 핀슬러 기하학, [[핀슬러 공간]] || || ||예르지 네이만 || 1894 ||[[신뢰구간]], [[네이만-피어슨 보조정리]], [[대립 가설]] || || ||니콜라이 그리고리예비치 체보타리오프[* Nikolai Grigorievich Chebotaryov] || 1894 ||체보타리오프 밀도 정리, 1의 거듭제곱근에 대한 체보타리오프 정리 || || ||칼 에이나르 힐레[* Carl Einar Hille] || 1894 ||추상 미분방정식(abstract differential equation), 힐레-요시다 정리(Hille–Yosida theorem), 보넨블러스트-힐레 부등식(Bohnenblust–Hille inequality) || || ||[[조르주 르메트르]] || 1894 ||[[빅뱅이론]], FLRW 계량, [[허블-르메트르 법칙]] || || ||알렉산드르 야코블레비치 킨친 || 1894 ||킨친 상수, 킨친의 정리, 위너-킨친 정리, 폴라젝-킨친 공식 || || ||오스카르 베니아민 클레인 || 1894 ||칼루차-클레인 이론, 클라인-고든 방정식 || || ||미하일 야코블레비치 수슬린 || 1894 ||수슬린 가설, 해석적 집합 || || ||하인츠 호프 || 1894 ||[[매듭이론]], 푸앵카레-호프 정리, [[호프 대수]], 호프 불변량, 호프 올뭉치, 호프 다양체 || || ||[[노버트 위너]] || 1894 ||페일리-위너 정리, 위너-킨친 정리, 위너-윈트너 정리, 위너 필터, 위너 확률 과정 외 다수 || 1933년 보셰 기념상 || ||가보 세고[* 폰 노이만이 15세였을 무렵에 그에게 고급 미적분을 가르쳤으며, 폰 노이만에 재능에 감동하여 눈물을 흘렸다는 일화가 있다.] || 1895 ||세고 다항식, 그레이스-월쉬-세고 정리, 세고 극한 정리, 세고 커널 || || ||카를 아우구스트 라인하르트 || 1895 ||라인하르트 다각형, 힐베르트의 18번째 문제의 두 번째 부분을 해결[* 정다면체가 아니면서도 쪽매맞춤(anisohedral tiling)을 할 수 있는 다면체가 있는가?] || || ||스테판 버그만 || 1895 ||버그만 커널, 버그만 공간, 버그만 계량 || || ||티보르 라도 || 1895 ||플라토 문제 해결, 라도의 정리(리만 곡면), 라도의 정리(조화 함수), [[바쁜 비버]], || || ||이건 피어슨[* 칼 피어슨의 아들이다.] || 1895 ||[[네이먼-피어슨 보조정리]], [[대립 가설]] || || ||쿠퍼 해롤드 랭퍼드 || 1895 ||분석의 역설(무어-랭퍼드 역설), S5(양상 논리)[* [[https://en.wikipedia.org/wiki/S5_(modal_logic)]]] || || ||조셉 레오나르드 월시 || 1895 ||그레이스-월쉬-세게 정리, 월시 함수, 월시-르베그 정리 || || ||롤프 헤르만 네반린나[* 네반린나 상은 네반린나의 이름을 땃다] || 1895 ||[[네반린나 이론]], 네반린나 판정법, 네반린나 함수 || || ||카지미에시 쿠라토프스키 || 1896 ||초른의 보조정리, 쿠라토프스키 정리, 크나스테르-쿠라토프스키-마주르키에비치 정리 || || ||빌헬름 프리드리히 아커만 || 1896 ||아커만 함수, 아커만 서수, 아커만 집합론 || || ||파벨 세르게예비치 알렉산드로프 || 1896 ||알렉산드로프 콤팩트화, 체흐 코호몰로지 || || ||이보 라흐 || 1896 ||[[라흐 수]] || || ||에른스트 파울 하인즈 프뤼퍼[* Ernst Paul Heinz Prüfer] || 1896 ||프뤼퍼 열, 프뤼퍼 정리, 프뤼퍼 군, 프루퍼 다양체 || || ||발레리 이바노비치 글리벤코 || 1896 ||글리벤코 정리, 글리벤코-스톤 정리, 글리벤코-칸텔리 정리 || || ||카를 루트비히 지겔 || 1896 ||지겔 모듈러 형식, 스미스-민코프스키-지겔 질량 공식, 브라우어-지겔 정리 || 1978 울프상 수학 부문 || ||에밀 레온 포스트 || 1897 ||포스트의 정리, 포스트-튜링 기계, 포스트 대응 문제, 포스트 격자, 포스트 반전 공식(Post's inversion formula) || || ||제시 더글라스 || 1897 ||플라토 문제 해결, 페트르-더글라스-노이만 정리, 헬름홀츠 조건 || 1936년 필즈상, 1943년 보셰 기념상 || ||에드윈 제임스 조지 피트먼 || 1897 ||[[지수족|지수족]](exponential family), 피트먼 근접성 판정법, 피트먼-쿠프만-다르모아 정리 || || ||스타니스와프 삭스 || 1897 ||비탈리-한-삭스 정리, 당주아-루진-삭스 정리, 당주아-영-삭스 정리 || || ||파벨 사무일로비치 우리손 || 1898 ||[[우리손 공간]], 우리손 보조정리 || || ||그레고르 벤첼 || 1898 ||WKB 근사, 찬드라세카르-벤첼 보조정리 || || ||에밀 아틴[* 울프상을 받은 수학자 마이클 아틴의 아버지이다.] || 1898 ||아르틴 환, 아틴 대수, 아르틴 상호법칙, 아틴 당구, 힐베르트의 17번 문제 해결 || || ||헬무트 크네저[* 그의 아버지인 아돌프 크네저 또한 수학자이며 헬무트 크네저의 아들 마틴 크네저 까지 3대가 수학자이다.] || 1898 ||3차원 다양체의 소 분해(Prime decomposition)의 존재 증명, Normal surface, 크네저-하켄 유한성 || || ||아런트 헤이팅 || 1898 ||헤이팅 산술, [[헤이팅 대수]], 직관 논리 || || ||리처드 트렐켈드 콕스 || 1898 ||콕스의 정리[* [[https://en.wikipedia.org/wiki/Cox%27s_theorem]]] || || ||헬무트 하세 || 1898 ||하세-베유 제타 함수, 하세-민코프스키 정리, 하세-아르프 정리 || || ||라파엘 살렘[* 라파엘 살렘이 사망후 그의 아내가 살렘상을 설립했고 살렘상을 받고 나중에 필즈상도 받은 수학자가 몇명있다] || 1898 ||살렘-스펜서 집합, 살렘 수 || || ||오스카 자리스키 || 1899 ||[[자리스키 위상]], 자리스키 접공간, [[자리스키 환]] || 1944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1981년 울프상 수학 부문 || ||에드워즈 찰스 티치마시 || 1899 ||티치마시-코다이라 공식, 브룬-티치마시 정리, 티치마시 정리 || || ||잘로몬 보흐너 || 1899 ||보흐너 적분, 보흐너 정리 || || ||볼프강 크룰 || 1899 ||크룰 차원, 크룰 높이 정리, 크룰 환 || || ||율리우시 파베우 샤우데르 || 1899 ||샤우데르 기저, 열린 사상 정리, 샤우데르 고정점 정리, 바나흐-샤우데르 정리 || || ||라자리 아로노비치 류스테르니크 || 1899 ||류스테르니크-시니렐만 범주, 세 개의 측지선 정리, 류스테르니크-시니렐만 정리 || || ||스탠리 스큐스 || 1899 ||[[스큐스 수]] || || ||베르나르 오스굿 쿠푸만 || 1900 ||[[지수족|지수족]](exponential family), 피트먼-쿠푸만-다르모아 정리, 쿠푸만-폰 노이만 고전역학 || || ||[[볼프강 에른스트 파울리]] || 1900 ||[[스핀(물리학)|스핀]], [[파울리 배타 원리]] 등 || 1945년 노벨 물리학상 || ||데니스 가보르 || 1900 ||[[홀로그래피]] 발명, 가보르 웨이블릿, 가보르 변환, 가보르 함수(가보르 원자), 가보르 필터 || 1971년 노벨 물리학상 || ||하스켈 브룩스 커리[* 프로그래밍 언어 [[하스켈]]은 그의 이름을 딴 것이다.] || 1900 ||조합 논리(Combinatory logic), [[커리-하워드 대응]], 커리의 역설 || || ||안토니 지그문트 || 1900 ||칼데론-지그문트 분해, 페일리-지그문트 부등식, 칼데론-지그문트 커널 || || ||구스타프 도빈스키 || 미상 ||도빈스키 공식 || || == 20세기 == === 1901 ~ 1910년 출생 === ||'''{{{#white 이름}}}''' || '''{{{#white 출생 년도}}}''' ||'''{{{#white 주요 업적}}}''' ||'''{{{#white 주요 수상 내역}}}'''[* [[필즈상]], [[아벨상]], [[울프상]], [[노벨상]], [[튜링상]], [[가우스상]], [[천 메달]], 쇼상, 브레이크스루 상,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보셰 기념상, 오스트로우스키(Ostrowski) 상] || ||알프레트 타르스키 || 1901 ||TG 집합론[* TG 집합론은 타르스키와 그로텐디크가 만들었다] ,타르스키의 정의 불가능성 정리, [[바나흐-타르스키 역설]], 무한 논리, 원통 대수(Cylindric algebra) 외 다수 || || ||리하르트 다고베르트 브라우어 || 1901 ||브라우어 군, 브라우어 정리, 브라우어-파울러 정리, 브라우어-스즈키 정리, 알페린-브라우어-고렌스타인 정리 외 다수 || 1949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 ||[[라이너스 칼 폴링]] || 1901 ||전기 음성도, 혼성 궤도, 폴링 규칙, 양자 그래프, 원자가 결합 이론, 잔류 엔트로피, 공간채움 모형 || 1954년 노벨 화학상, 1962년 노벨 평화상 || ||오토 슈라이어 || 1901 ||아틴-슈라이어 이론, 닐센-슈라이어 정리, 슈라이어 추측, 슈라이어 보조 정리 || || ||수바야 시바산카라나라야나 필라이[* Subbayya Sivasankaranarayana Pillai] || 1901 ||필라이 추측, 필라이 산술 함수, 필라이 소수, 필라이 수열 || || ||오카 기요시 || 1901 ||오카 연접성 정리, 쿠쟁 문제 해결, 오카 보조정리, 레비 문제 해결 || || ||라지 찬드라 보스 || 1901 ||결합도식, 보스-메스너 대수, 강한 정규 그래프 || || ||세묜 아라노비치 게르시고린[* Semyon Aronovich Gershgorin] || 1901 ||게르시고린 정리 || || ||표트르 세르게예비치 노비코프[* 필즈상 수상자 세르게이 페트로비치 노비코프의 아버지이다.] || 1901 ||경계 번사이드 문제, 노비코프-아디안 정리, 노비코프-분 정리 || || ||쿠르트 오토 프리드리히 || 1901 ||쿠란트-프리드리히-레비 조건, 프리드리히 확장, 럭스-프리드리히 방법 || || ||[[엔리코 페르미]] || 1901 ||페르미-디렉 통계, 페르미 상호작용, 페르미 추정, [[페르미 역설]] || 1938년 노벨 물리학상 || ||[[베르너 하이젠베르크|베르너 카를 하이젠베르크]] || 1901 ||[[불확정성 원리|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 [[코펜하겐 해석]] || 1932년 노벨 물리학상 || ||이자도어 미첼 셰퍼 || 1901 ||셰퍼 다항식열 || || ||카를 멩거 || 1902 ||멩거 스펀지, 케일리-멩거 행렬식, 멩거 정리 || || ||레오나르드 헨리 칼레브 티페트 || 1902 ||극단치 이론, 피셔-티페트-게네덴코 정리, 난수 테이블 || || ||카밀로 허버트 그로츠슈[* Camillo Herbert Grötzsch] || 1902 ||그로츠슈 그래프, 준등각 사상 || || ||라인홀드 베어 || 1902 ||베어 군, 베어 환, 단사 가군, 베어-스즈키 정리, 베어-스페커 군, Ext 함자 || || ||[[폴 디랙|폴 에이드리언 모리스 디랙]] || 1902 ||[[디랙 방정식]], [[반물질]], [[디랙 델타 함수]], 음의 확률(Negative probability)[* [[https://en.wikipedia.org/wiki/Negative_probability]]] || 1933년 노벨 물리학상 || ||한스 페터슨 || 1902 ||페터슨 내적, 라마누잔-페터슨 추측 || || ||에른스트 파스쿠알 요르단 || 1902 ||요르단 대수 || || ||아브라함 왈드 || 1902 ||왈드 테스트, 왈드 방정식, [[편향|생존자 편향]] 오류 || || ||유진 폴 위그너 || 1902 ||위그너 정리, 위그너 함수, 위그너-에카르트 정리 || 1963년 노벨 물리학상 || ||바르털 레인더르트 판데르바르던 || 1903 ||판데르바르던 정리, 판데르바르던 수, 판데르바르던 추측 || || ||베니아미노 세그레[* 코라도 세그레의 조카이다.] || 1903 ||세그레 정리, 세그레 클래스, 세그레 곡면, 세그레 매장 || || ||[[프랭크 램지]] || 1903 ||램지 이론, 램지의 정리, 단순 유형이론(Theory of simple types), 램지-루이스 방법 || || ||패트릭 뒤발 || 1903 ||뒤발 특이점, 59개의 이십면체 목록작성[* [[https://en.wikipedia.org/wiki/The_Fifty-Nine_Icosahedra#Petrie]]] || || ||마셜 하비 스톤 || 1903 ||스톤-체흐 콤팩트화, 스톤-바이어슈트라스 정리, 스톤-폰노이만 정리 || || ||오렐 프리드리히 윈트너 || 1903 ||확률론적 정수론, 제센-윈트너 정리, 위너-윈트너 정리, 에르되시-윈트너 정리 || || ||안드레이 니콜라예비치 콜모고로프 || 1903 ||[[확률론|공리적 확률론]], 콜모고로프 복잡도, KAM 정리, 힐베르트의 13번 문제 해결, 푸리에 급수가 거의 모든 곳에서 발산하는 L 1 의 함수 예를 구성 외 다수 || 1980 울프상 수학 부문 || ||브와디스와프 로마 오를리츠 || 1903 ||오를리츠-페티스 정리, 오를리츠 공간 || || ||알론조 처치 || 1903 ||람다 대수, 처치-튜링 명제, 처치-로서 정리, 계산 가능성 이론 || || ||윌리엄 밸런스 더글러스 호지 || 1903 ||[[호지 추측]], 호지 이론, 호지 쌍대, 호지 지표 정리 || || ||쿠르트 말러 || 1903 ||말러 정리, 말러 콤팩트성 정리 || || ||조르주 드 람 || 1903 ||드람 코호몰로지, 드람 정리 || || ||라르스 온사게르 || 1903 ||양자 소용돌이, 온사게르-매클럽 함수, 온사게르 상반법칙, 2차원 [[이징 모형]]에서 상전이가 존재함을 증명, 음의 온도[* [[https://en.wikipedia.org/wiki/Negative_temperature]]] || 1968년 노벨 화학상 || ||[[존 폰 노이만]] || 1903 ||[[폰 노이만 대수]], [[폰 노이만 구조]], [[게임 이론]], 폰노이만 에르고딕 정리, 연속 기하학 || 1938년 보셰 기념상 || ||레나토 카치오폴리 || 1904 ||카치오폴리 집합, 바나흐-카치오폴리 고정점 정리 || || ||필립 홀 || 1904 ||홀 대수, 홀의 결혼 정리, 홀 다항식 || || ||아돌프 린덴바움 || 1904 ||린젠바움-타르스키 대수, 린덴바움 보조정리 || || ||앙리 폴 카르탕 || 1904 ||카르탕 정리, 베유 대수, 카르탕-툴렌 정리, 카르탕 보조정리, 필터[* [[https://ko.wikipedia.org/wiki/%ED%95%84%ED%84%B0_(%EC%88%98%ED%95%99)]]] || 1980년 울프상 수학 부문 || ||도널드 올딩 헵 || 1904 ||Hebbian theory[* [[https://en.wikipedia.org/wiki/Hebbian_theory]]] || || ||카를 헤센베르크 || 1904 ||헤센베르크 정리, 헤센베르크 행렬 || || ||한스 레비 || 1904 ||레비의 예, 쿠란트-프리드리히-레비 조건 || 1984~1985년 울프상 수학 부문 || ||존 화이트헤드 || 1904 ||화이트헤드 다양체, 스파니에-화이트헤드 쌍대성, 화이트헤드 정리 || || ||모제스 프레스버거 || 1904 ||프레스버거 산술 || || ||스타니스와프 메이치스와프 마주르 || 1905 ||바나흐-마주르 정리, 겔판트-마주르 정리, 마주르-울람 정리 || || ||레프 겐리호비치 시니렐만 || 1905 ||시니렐만 밀도, 류스테르니크-시니렐만 범주, 류스테르니크-시니렐만 정리 || || ||[[칼 구스타프 헴펠]] || 1905 ||[[헴펠의 까마귀]] || || ||루트 무팡 || 1905 ||무팡 고리, 무팡 평면, 무팡 다각형 || || ||에른스트 카를 게를라흐 스튀켈베르크 || 1905 ||재규격화군 || || ||데릭 헨리 레머 || 1905 ||레머의 추측, 레머 수열, 뤼카-레머-리젤 소수판별법 || || ||샤를 에레스만 || 1905 ||에레스만 접속, 에레스만 올뭉치(fibration) 정리, 제트[* [[https://ko.wikipedia.org/wiki/%EC%A0%9C%ED%8A%B8_(%EC%88%98%ED%95%99)]]], 스케치[* [[https://en.wikipedia.org/wiki/Sketch_(mathematics)]]] || || ||알브레히트 오토 요하네스 운죌트 || 1905 ||운죌트 정리 || || ||모리츠 베르너 펜첼 || 1905 ||르장드르-펜첼 변환, 펜첼 쌍대 정리, 펜첼의 정리 || || ||카롤 보르수크 || 1905 ||보르수크-울람 정리, 변형 수축 || || ||로렌스 치숌 영 || 1905 ||바리폴드, 영 측도, 영 적분 || || ||한스 프로이덴탈 || 1905 ||프로이덴탈 현수 정리, 프로이덴탈 스펙트럼 정리, 프로이덴탈 대수 || || ||헨리 베르톨드 만 || 1905 ||시니렐만-란다우 추측 증명(만의 정리), 만-휘트니 U 검정, 만-왈드 정리 || 1946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 ||에이브러햄 에이드리언 앨버트 || 1905 ||앨버트 대수, 앨버트-브라우어-하세-뇌터 정리 || 1939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 ||앨버트 윌리엄 터커 || 1905 ||터커 보조정리, 카루시-쿤-터커 조건, [[죄수의 딜레마]][* 메릴 플루드와 멜빈 드레셔가 개발한 게임에 오늘날 유명해진 "죄수의 딜레마"라는 이름을 붙인 장본인 ] || || ||에마누엘 슈페르너 || 1905 ||슈페르너 정리, 슈페르너 보조정리 || || ||[[그레이스 호퍼]] || 1906 ||[[코볼]], [[컴파일러]], [[버그]]를 최초로 입증 || || ||그리고리 콘스탄틴 모이실 || 1906 ||우카시예비치-모이실 대수, 드 모르간 대수 || || ||에리히 켈러 || 1906 ||켈러 미분, 켈러 다양체 || || ||도모나가 신이치로 || 1906 ||슈윙거-도모나가 방정식, [[양자 전기역학]] || 1965년 노벨 물리학상 || ||스타니스와프 야스코프스키[* Stanisław Jaśkowski] || 1906 ||모순허용논리의 형식체계를 구축 || || ||[[쿠르트 괴델]] || 1906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 괴델의 완전성 정리, 구성 가능 전체, [[연속체 가설]]이 ZFC 공리계에서 반증할 수 없음을 증명, NBG 집합론 || || ||리하르트 라도 || 1906 ||라도 그래프, 해바라기, 무한 매트로이드 || || ||앙드레 베유[* 니콜라 부르바키의 초기 리더였으며 철학자 시몬 베유의 오빠이다. 오늘날 필즈상의 나이 제한은 1950년 당시 필즈상 후보였던 앙드레 베유를 빼고 로랑 슈바르츠 넣기 위해서 하랄드 보어가 당시 43세였던 앙드레 베유를 빼면서 지난 수상자의 나이를 포함하고 슈바르츠에게 상을 줄 수 있는 나이로 제안했고 이때부터 만 40세 이하의 젊은 수학자라는 기준이 생겼다 ] || 1906 ||베유 추측, 모델-베유 정리, 보렐-베유-보트 정리, 하세-베유 제타 함수, 베유-페터슨 계량 || 1979 울프상 수학 부문 || ||막스 아우구스트 초른 || 1906 ||초른의 보조정리 || || ||브루노 데 피네티 || 1906 ||예측 추론(Predictive inference), 데 피네티(de Finetti) 정리, 무한 가분성(Infinite divisibility), 데 피네티 다이어그램 || || ||장 알렉상드르 외젠 디외도네 || 1906 ||파라콤팩트 공간, 디외도네 환, 디외도네-마닌 분류 정리 || || ||윌리엄 펠러[* William Feller] || 1906 ||펠러 과정, 펠러 연속 과정, 펠러-미야데라-필립스 정리(Feller-Miyadera-Phillips theorem), 펠러-토르니어 상수, 펠러의 동전 던지기 상수 || || ||에토레 마요라나 || 1906 ||마요라나 방정식, [[마요라나 페르미온]] || || ||제프리 찰스 퍼시 밀러 || 1906 ||밀러의 괴물[* [[https://en.wikipedia.org/wiki/Great_dirhombicosidodecahedron]]], 밀러의 재귀 알고리즘, 고른 다면체 목록 || || ||안드레이 니콜라예비치 티호노프 || 1906 ||우리손 거리화 정리 증명, 티호노프 정리, 티호노프 공간, 티호노프 정칙화 || || ||프란츠 렐리히[* Franz Rellich] || 1906 ||렐리히-콘드라초프(Rellich-Kondrachov) 정리, 가토-렐리히 정리 || || ||알렉산드르 겔폰트 || 1906 ||겔폰트-슈나이더 정리 || || ||장 르레 || 1906 ||스펙트럼 열, 르레 덮개, 층(Sheaf) 이론, 층 코호몰로지,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의 약한 해(Weak solution)의 존재성 증명 || 1979년 울프상 수학 부문 || ||넬슨 제임스 던포드 || 1906 ||던포드-페티스 정리, 던포드-페티스 성질, 던포드-슈원츠 정리 || || ||레이몬드 에드워드 앨런 크리스토퍼 페일리 || 1907 ||리틀우드-페일리 이론, 페일리 그래프, 페일리-위너 정리,페일리-지그문트 부등식 || || ||미셸 루에브[* 2년마다 45세 미만의 [[확률론]]에 뛰어난 공헌을 한 수학자에게 주는 루에브(Loève) 상[* [[https://en.wikipedia.org/wiki/Lo%C3%A8ve_Prize]]]은 그의 이름을 딴 것이다.] || 1907 ||카루넨-루에브(Karhunen–Loève) 정리 || || ||해럴드 스콧 맥도널드 콕서터 || 1907 ||콕서터 군, 콕서터 다이어그램, 콕서터-토드 격자 || || ||해슬러 휘트니 || 1907 ||매트로이드, 특성류, 휘트니 부등식 || 1983년 울프상 수학 부문 || ||마르크 그리고리예비치 크레인 || 1907 ||크레인-밀만 정리, 크레인 공간, 타나카-크레인 쌍대성 || 1982년 울프상 수학 부문 || ||솔로몬 쿨백 || 1907 ||쿨백-라이블러 발산(Kullback–Leibler divergence), 상대 엔트로피(relative entropy) || || ||라르스 발레리안 알포르스 || 1907 ||알포르스 유한 정리, 알포르스 측도 추측, 당주아-칼레만-알포르스 정리 || 1936년 필즈상, 1981년 울프상 수학 부문 || ||존 플린더스 페트리 || 1907 ||페트리 다각형, 페트리 쌍대 || || ||헤르베르트 카를 요하네스 자이페르트 || 1907 ||자이페르트-판 캄펀 정리, 자이페르트 올공간, 자이페르트 곡면 || || ||앨버트 찰스 쉐퍼 || 1907 ||듀핀-쉐퍼 추측 || 1948년 보셰 기념상 || ||주로 쿠레파 || 1907 ||아론샤인 나무, 쿠레파 나무, 수슬린 나무 || || ||피터 툴렌 || 1907 ||2차원 유계 라인하르트 정의역의 분류 || || ||빌헬름 오토 루드비히 스펙트 || 1907 ||스펙트 정리, 스펙트 가군 || || ||해롤드 데이븐포트 || 1907 ||데이븐포트-슈미트 정리, 데이븐포트-에르되시 정리, 하세-데이븐포트 관계 || || ||존 바클리 로서 || 1907 ||처치-로서 정리, 로서의 정리(정수론), 로서의 트릭, 클레이니-로서 역설, 로서의 체(sieve) || || ||[[레프 란다우|레프 다비도비치 란다우]] || 1908 ||ㅣ밀도 행렬, 긴즈부르크-란다우 이론, 란다우 준위, [[초유체]], 란다우 감쇠 || 1962년 노벨 물리학상 || ||아이버 말콤 해든 이더링턴|| 1908 ||유전 대수학(Genetic algebra) || || ||자크 에르브랑 || 1908 ||에르브랑 정리, 에르브랑-리벳 정리, 에르브랑 몫 || || ||존 바딘 || 1908 ||BCS 이론, 트랜지스터 발명 || 1956년 노벨 물리학상, 1972년 노벨 물리학상 || ||에흐베르튀스 뤼돌프 판 캄펀 || 1908 ||자이페르트-판 캄펀 정리, 폰트랴긴 쌍대성 일반화 || || ||[[윌러드 밴 오먼 콰인]] || 1908 ||콰인의 번역 불확정성 논제, 새 기초론(New Foundations), 술어 함자 논리, 콰인-매클러스키 알고리즘, 뒤엠-콰인 논제 || || ||에버트 윌렘 베스 || 1908 ||베스의 정의 가능성, semantic tableaux || || ||존 아서 토드 || 1908 ||토드 특성류, 콕서터-토드 격자, 슈발레-셰퍼드-토드 정리, 토드-콕서터 알고리즘 || || ||레프 세묘노비치 폰트랴긴 || 1908 ||폰트랴긴 쌍대성, 폰트랴긴 특성류, 보충 경계, 폰트랴긴 최대 원리 || || ||프레더릭 브렌턴 피치 || 1908 ||피치 표기법[* [[https://en.wikipedia.org/wiki/Fitch_notation]]], 피치의 인식 가능성의 역설 || || ||세르게이 리보비치 소볼레프 || 1908 ||소볼레프 공간, 분포 || || ||한스 아놀드 하일브론 || 1908 ||데이븐포트-하일브론 방법, 하일브론 집합, 듀링-하일브론 현상, 가우스 추측 증명 || || ||휴고 하드비거[* Hugo Hadwiger] || 1908 ||하드비거 추측[* [[https://en.wikipedia.org/wiki/Hadwiger_conjecture_(graph_theory)]]], 하드비거 정리, 핀슬러-하드비거 정리 || || ||타나카 타다오 || 1908 ||타나카-크레인 쌍대성, Tannakian formalism || || ||로버트 호튼 카메론 || 1908 ||카메론-마틴 정리 || || ||스티븐 콜 클레이니 || 1909 ||정규 표현식, 클레이니 스타, 클레이니-로서 역설, 계산 가능성 이론 || || ||요시다 코사쿠 || 1909 ||힐레-요시다 정리(Hille–Yosida theorem) || || ||클로드 슈발레 || 1909 ||아델 환, 리 대수 코호몰로지, 슈발레 군, 슈발레 스킴 || 1941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 ||스타니스와프 마르친 울람 || 1909 ||보르수크-울람 정리, 몬테카를로 방법, 가측 기수, 마주르-울람 정리 || || ||에두아르드 슈티펠 || 1909 ||슈티펠-휘트니 특성류, 특성류, 슈티펠 다양체 || || ||손더스 매클레인 || 1909 ||범주론, 에일렌베르크-매클레인 공간, 막대 복합체, 매클레인 집합론 || || ||베른하르트 헤르만 노이만 || 1909 ||페트르-더글라스-노이만 정리, 한-말체프-노이만 급수, HNN 확장, 군의 절대 표시, 모저-노이만 질문 || || ||아나톨리 이바노비치 말체프 || 1909 ||말체프 대수, 비가산의 경우의 콤팩트성 정리 증명, 영다양체 || ||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보골류보프 || 1909 ||보골류보프 변환, 보골류보프-파라슈크 정리, 크릴로프-보골류보프 정리, Describing function || || ||게르하르트 카를 에를리히 겐첸 || 1909 ||초한 귀납법을 이용해 페아노 공리의 일관성 증명, 시퀀트 계산, 자름-제거 정리, 자연 연역 || || ||마르크 아로노비치 나이마르크 || 1909 ||겔판트-나이마르크 정리, 나이마르크 확장 정리, c*대수 || || ||섬너 바이런 마이어스 || 1910 ||마이어스 정리, 마이어스-스틴로드 정리 || || ||조지프 리오 두브 || 1910 ||두브 분해 정리, 두브 마팅게일, 두브의 선택 샘플링 정리 || || ||클라우스 바그너 || 1910 ||바그너 정리, 바그너 그래프 || || ||노먼 얼 스틴로드 || 1910 ||스틴로드 제곱, 스틴로드 대수, 에일렌베르크-스틴로드 공리, 스틴로드 호몰로지 || || ||프리츠 존 || 1910 ||뢰브너-존 타원체, 존의 방정식, 존-니런버그 부등식, Bounded mean oscillation, X-ray 변환(존 변환) || || ||폴 존 플로리 || 1910 ||플로리-스톡마이어 이론(Flory–Stockmayer theory), 자기 회피 걷기(self-avoiding walk), 플로리-폭스 방정식, 플로리-허긴스 이론 || 1974년 노벨 화학상 || ||로타르 콜라츠 || 1910 ||[[콜라츠 추측]] || || ||투란 팔 || 1910 ||투란 그래프, 투란 정리, 투란 체, 투란-쿠빌리우스 부등식, 에르되시-투란 부등식, 투란의 벽돌 공장 문제 || || ||존 윌리엄 시어도어 영스 || 1910 ||히우드(Heawood) 추측 증명(링겔-영스 정리) || || ||피에르 에티엔 베지에 || 1910 ||베지에 곡선, 베지에 곡면 || || ||네이선 제이콥슨 || 1910 ||제이콥슨 근기, 제이콥슨 환, 제이콥슨 추측, 제이콥슨 밀도 정리, 제이콥슨-부르바키 정리 || || ||자히트 아르프[* 10 터키 리라 지폐의 주인공이다.] || 1910 ||아르프 불변량, 하세-아르프 정리, 아르프 환 || ||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 || 1910 ||찬드라세카르 한계 || 1983년 노벨 물리학상 || ||화뤄겅 || 1910 ||화 보조정리(Hua's lemma), 화의 정리(Hua's theorem), 카르탕-브라우어-화 정리 || || === 1911 ~ 1920년 출생 === ||'''{{{#white 이름}}}''' || '''{{{#white 출생 년도}}}''' ||'''{{{#white 주요 업적}}}''' ||'''{{{#white 주요 수상 내역}}}'''[* [[필즈상]], [[아벨상]], [[울프상]], [[노벨상]], [[튜링상]], [[가우스상]], [[천 메달]], 쇼상, 브레이크스루 상,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보셰 기념상, 오스트로우스키(Ostrowski) 상, 국제 통계학상] || ||개릿 버코프 || 1911 ||양자 논리, 격자 정리, 영다양체 || || ||프랜시스 조셉 머레이 || 1911 ||교환(Commutation) 정리, [[폰 노이만 대수]], Affiliated 연산자, 인자 대수 || || ||테오도어 슈나이더 || 1911 ||겔폰트-슈나이더 정리 || || ||윌리엄 테드 마틴 || 1911 ||카메론-마틴 정리 || || ||한스 마스 || 1911 ||코이쳐-마스 급수, 마스 파동 형식, 마스-셀베르그 관계 || || ||에른스트 비트 || 1911 ||비트 대수, 비트 벡터, 비트 환, 부르바키-비트 정리 || || ||존 아치볼트 휠러 || 1911 ||산란 행렬, 휠러-디윗 방정식 || 1997년 울프상 물리학 부문 || ||가쿠타니 시즈오 || 1911 ||가쿠타니 고정점 정리, 버코프-가쿠타니 정리 || || ||저우웨이량 || 1911 ||저우 환, 저우 정리 || || ||루이스 안토니오 산탈로 소르스[* Luis Antonio Santaló Sors] || 1911 ||블라슈케-산탈로 부등식, 산탈로 공식[* [[https://en.wikipedia.org/wiki/Santal%C3%B3%27s_formula]]] || || ||[[천싱선]] || 1911 ||천-가우스-보넷 정리, 천-사이먼스 이론, 천-베유 이론, 천 특성류 || 1983 울프상 수학 부문, 2004년 쇼상 수학부문 || ||라파엘 미첼 로빈슨 || 1911 ||로빈슨 산술 || || ||앤서니 페리 모스 || 1911 ||MK집합론, 사드-모스 정리, 페더러-모스 정리 || || ||데이비드 핀후소비치 밀만 || 1912 ||크레인-밀만 정리, 밀만-페티스 정리 || || ||레오니트 비탈리예비치 칸토로비치 || 1912 ||선형 계획법, 칸토로비치 정리, 몽주-칸토로비치 운송 문제 || 1975년 [[노벨 경제학상]] || ||마르틴 막시밀리안 에밀 아이클러 || 1912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해결에 기여, 아이클러-시무라 동형사상, 아이클러 순서,아이클러 코호몰로지 || || ||도널드 클레이튼 스펜서 || 1912 ||코다이라-스펜서 사상, 살렘-스펜서 집합 || 1948년 보셰 기념상 || ||한스 차센하우스 || 1912 ||슈어-차센하우스 정리, 차센하우스 군, 나비 보조정리 || || ||아서 노턴 밀그램 || 1912 ||럭스-밀그램 정리, 리옹-럭스-밀그램 정리 || || ||[[앨런 튜링]] || 1912 ||[[튜링 머신]], [[튜링 테스트]], 튜링 패턴, 처치-튜링 명제, [[정지 문제]], 계산 가능성 이론 || || ||데이비드 가웬 챔퍼나운 || 1912 ||챔퍼나운 수, 챔퍼나운 분포 || || ||티보르 갈라이 || 1912 ||에르도시-갈라이 정리, [[실베스터-갈라이 정리]], 갈라이-하세-로이-비타버 정리, 완벽 그래프, 딜워스 정리 || || ||알렉산드르 다닐로비치 알렉산드로프 || 1912 ||알렉산드로프 정리, 알렉산드로프 유일성 정리, 알렉산드로프-펜첼 부등식 || || ||노먼 레빈슨 || 1912 ||리만 제타 함수의 영점 중 1/3 이상이 임계선 위에 있음을 증명 , 레빈슨 재귀 알고리즘, 레빈슨 정리, 레빈슨 부등식 || 1953년 보셰 기념상 || ||카를로 미란다 || 1912 ||푸앵카레-미란다 정리 || || ||프랑수아 샤틀레 || 1912 ||샤틀레-베유 군, 샤틀레 곡면 || || ||루벤 루이스 굿스타인 || 1912 ||[[굿스타인 정리]] || || ||카를 스타인 || 1913 ||스타인 분해(Stein factorization), 스타인 다양체, 렘머트-스타인 정리 || || ||[[에르되시 팔]] || 1913 ||불가촉 수, [[소수 정리]]의 초등적 증명, 약콤팩트 기수, 확률론적 정수론, 확률론적 방법 외 다수 || 1951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1984년 울프상 수학 부문 || ||오스왈드 타이히뮐러 || 1913 ||타이히뮐러 공간 || || ||랄프 사울 필립스 || 1913 ||럭스-필립스 산란 이론, p는 소수이고 [math(p\equiv 1\left(\text{mod}\,4\right))]일때 무한히 많은 (p+1) 정규 라마누잔 그래프를 구성함 || || ||이즈라일 겔판트 || 1913 ||겔판트 표현, 겔판트-마주르 정리, 겔판트-나이마르크 정리, c*대수 || 1978년 울프상 수학 부문 || ||빌리 제임스 페티스 || 1913 ||겔판트-페티스 적분, 페티스 정리, 밀만-페티스 정리, 던포드-페티스 정리, 오를리츠-페티스 유형 정리|| || ||사무엘 에일렌베르크 || 1913 ||범주론 창시, 막대 복합체, 에일렌베르크-매클레인 공간, 에일렌베르크-스틴로드 공리, 리 대수 코호몰로지 || 1986년 울프상 수학 부문 || ||안제이 모스토프스키 || 1913 ||모스토프스키 붕괴 정리, 모스토프스키 모형, 기울기(Gradient) 추측 증명 || || ||리처드 라이블러 || 1914 ||쿨백-라이블러 발산(Kullback–Leibler divergence), 상대 엔트로피(relative entropy) || || ||리오니더스 앨러오글루 || 1914 ||바나흐-앨러오글루 정리 || || ||월터 휴고 스톡마이어 || 1914 ||플로리-스톡마이어 이론(Flory–Stockmayer theory) || || ||리프만 버스 || 1914 ||Bers slice, 버스 조밀성 추측, 버스 영역 부등식, 버스 콤팩트화, 유사 해석함수 || || ||흐리스토스 디미트리우 파파키리아코풀로스 || 1914 ||덴의 보조정리 증명, 루프 정리, 구(Sphere) 정리(3차원 다양체) || 1964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 ||마크 카츠 || 1914 ||에르되시-카츠 정리, 파인만-카츠 공식, 확률론적 정수론 || || ||R.H.(아르에이치) 빙 || 1914 ||빙 거리화 정리, 빙 축소, 측면 근사 정리 || || ||[[마틴 가드너]] || 1914 ||항목 참조 || || ||조지 버나드 댄치그 || 1914 ||선형 계획법, 단체법 || || ||로버트 파머 딜워스 || 1914 ||딜워스 정리 || || ||아서 노먼 프라이어 || 1914 ||하이브리드 논리, 프라이어 시제논리 || || ||유리 블라디미로비치 린닉 || 1915 ||린닉 정리, 큰 체(Large sieve), 린닉 에르고딕 방법 || || ||리처드 웨슬리 해밍 || 1915 ||해밍 부호, 해밍 거리, 해밍 무게, 해밍 창문 함수 || 1968년 튜링상 || ||고다이라 구니히코 || 1915 ||고다이라-스펜서 사상, 엔리퀘스-고다이라 분류, 고다이라 소멸 정리, 고다이라 차원, 고다이라 소멸 정리 || 1954년 필즈상, 1984~1985년 울프상 수학 부문 || ||모리타 기이치 || 1915 ||모리타 동치, 모리타 쌍대, 모리타 정리 || || ||귀스타브 쇼케 || 1915 ||쇼케 게임, 쇼케 적분, 쇼케 이론 || || ||해롤드 네빌 바질 템퍼리[* Harold Neville Vazeille Temperley] || 1915 ||탬퍼리-리브 대수(Temperley–Lieb algebra), FKT 알고리즘 || || ||[[로랑 슈바르츠]] || 1915 ||[[함수]]와 [[확률분포]]을 일반화한 '분포 이론', 슈바르츠 커널 정리, 슈바르츠 공간 || 1950년 [[필즈상]] || ||라슬로 페예 토스[* László Fejes Tóth] || 1915 ||이산 기하학 토대 마련, 투에 정리의 일반화, [[케플러의 추측]] 해결에 기여 || || ||폴 로렌젠 || 1915 ||게임 의미론, 구성주의 해석학 || || ||카리 카루넨[* Kari Karhunen] || 1915 ||카루넨-루에브(Karhunen–Loève)정리, Functional data analysis[* [[https://en.wikipedia.org/wiki/Functional_data_analysis]]] || || ||게르하르트 파울 호흐실트 || 1915 ||호흐실트 코호몰로지, 호흐실트-모스토 군 || || ||[[폴 새뮤얼슨]] || 1915 ||기하 브라운 운동, 스톨퍼-새뮤얼슨 정리, 린달-보웬-새뮤얼슨 조건 || 1970년 노벨 경제학상 || ||필립 하트먼 || 1915 ||하트먼-그로브먼(Hartman–Grobman) 정리 || || ||이토 기요시 || 1915 ||확률미적분학 창시, 이토 적분, 이토 확률 과정, 이토 보조정리, 이토 등거리변환 || 1987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06년 가우스상 || ||로버트 알렉산더 랭킨 || 1915 ||랭킨-셀베르그 방법, 랭킨-코헨 괄호 || || ||폴 리처드 핼모스 || 1916 ||Polyadic 대수(핼모스 대수), 모나딕 불 대수 || || ||[[클로드 섀넌]] || 1916 ||[[논리회로|디지털 회로]], 통신 이론, 정보 이론 창시, 정보 엔트로피, 합성 암호 || || ||허버트 알렉산더 사이먼 || 1916 ||[[인공지능]], 정보 처리 언어, 일반 문제 해결기 || 1975년 튜링상, 1978년 노벨 경제학상 || ||아서 해롤드 스톤[* 그의 아내 또한 수학자로 마하람 대수로 알려진 도로시 마하람이다.] || 1916 ||에르되시-스톤 정리[* [[https://en.wikipedia.org/wiki/Erd%C5%91s%E2%80%93Stone_theorem]]], 플렉사곤(Flexagon)[* [[https://en.wikipedia.org/wiki/Flexagon]]] || || ||로저 아페리 || 1916 ||아페리 상수, 아페리 정리 || || ||존 리로리 켈리 || 1916 ||MK 집합론 || || ||그레이엄 히그먼 || 1917 ||히그먼 군, 홀-히그먼 정리, 히그먼 매장 정리, 히그먼 보조정리, HNN 확장 || || ||일리야 로마노비치 프리고진 || 1917 ||비평형열역학, 소산구조, 브뤼셀레이터(Brusselator) || 1977년 노벨 화학상 || ||허버트 애런 하우프트먼 || 1917 ||직접법(X선 결정학) || 1985년 노벨 화학상 || ||윌리엄 카뤼시 || 1917 ||카뤼시-쿤-터커 조건 || || ||메리 보아스 || 1917 ||유명 [[수리물리학]] 책의 저자 || || ||어빙 커플랜스키 || 1917 ||커플랜스키 밀도 정리, 커플랜스키 정리, 힐베르트 C* 가군, 무한 4목, 요르단 초대수(superalgebras) || || ||윌리엄 토머스 텃 || 1917 ||텃 다항식, 텃 정리, 텃 호모토피 정리, 텃 매장, 텃-베르게 공식, BEST[* de '''B'''ruijn, van Aardenne-'''E'''hrenfest, Cedric '''S'''mith, William Thomas '''T'''utte] 정리 || || ||에드워드 노턴 로렌즈 || 1917 ||[[나비 효과]], 로렌즈 방정식, 로렌즈 끌개 || || || ||아틀레 셀베르그 || 1917 ||[[소수 정리]]의 초등적 증명, 셀베르그 클래스, 셀베르그 체(sieve), 셀베르그 대각합 공식, 셀베르그 제타 함수 || 1950년 필즈상, 1986년 울프상 수학 부문 수상, 2002년 명예 아벨상[* 아벨상은 원래 닐스 헨리크 아벨의 탄생 200주년을 기념하여 2002년부터 수상을 시작하려고 했고 아틀레 셀베르그는 2002년에 명예 아벨상을 받았지만 실제 아벨상의 수상은 2003년 부터 시작했다.] || ||도로시 마하람 스톤 || 1917 ||마하람 정리, 마하람 대수 || || ||가토 토시오 || 1917 ||가토의 추측, 가토 평활 효과(Kato smoothing effect), 가토-렐리치(kato-Rellich) 정리, 하인즈-가토(Heinz–Kato) 부등식 || || ||이와사와 켄키치 || 1917 ||이와사와 이론, 이와사와 분해, 이와사와 대수 || 1962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 ||샤라드찬드라 샹카르 슈리칸데[* Sharadchandra Shankar Shrikhande] || 1917 ||슈리칸데 그래프, n에 대해서 order가 4n+2인 두 개의 상호 직교 라틴 방진이 존재하지 않음을 증명 || || ||레너드 지미 새비지 || 1917 ||최소극대화 후회, 주관적 기대효용 || || ||로저 코넌트 린든 || 1917 ||크레이그-린든 보간 정리, 린든-호흐실트-세르 스펙트럼 열, 커티스-헤들런드-린든 정리, 린든 워드(Lyndon word) || || ||어빈 솔 코언 || 1917 ||코언-세이덴버그 정리, 코언-매콜리 환, 코언 구조 정리, 비혼합(unmixedness) 정리, 코언 환 || || ||줄리언 시모어 슈윙거 || 1918 ||구보-마틴-슈윙거 상태, 슈윙거-다이슨 방정식, [[양자 전기역학]], 라리타-슈윙거 방정식, 리프먼-슈윙거 방정식 || 1965년 노벨 물리학상 || ||[[리처드 필립스 파인만]] || 1918 ||경로 적분, [[파인만 다이어그램]], 헬만-파인만 정리, 파인만-카츠 공식, [[양자 전기역학]] || 1965년 노벨 물리학상 || ||니콜라스 고베르트 드 부루인 || 1918 ||드 브루인 수열, 드 브루인 인덱스, 모저-드 브루인 수열, 드 브루인-뉴먼 상수, BEST 정리 || || ||프레더릭 생어 || 1918 ||인슐린 구조 해석, 생어 염기서열 분석 || 1958년 노벨 화학상, 1980년 노벨 화학상 || ||어빙 에즈라 시걸 || 1918 ||c* 대수 || || ||에이브러햄 로빈슨 || 1918 ||비표준 해석학 창시, 초실수 || || ||윌리엄 크레이그 || 1918 ||크레이그-린든 보간 정리, 크레이그 정리 || || ||레오니트 미르스키 || 1918 ||미르스키 정리, 미르스키-뉴먼 정리 || || ||에드윈 에바리스트 모이스 || 1918 ||모이스(Moise) 정리 || || ||네이선 만텔 || 1919 ||로그순위법, 만텔 테스트 || || ||알렉세이 바실레비치 포고레로프 || 1919 ||알렉산드로프-포고레로프 정리, 포고레로프 유일성 정리, 대칭공간의 경우에 대하여 힐베르트의 네 번째 문제 해결, 유클리드 공간에서 다차원 민코프스키 문제 해결 || || ||데이비드 해롤드 블랙웰 || 1919 ||라오-블랙웰 정리, 블랙웰 채널, arbitrarily varying channel || || ||우원쥔 || 1919 ||우 특성류, 우 공식, 우원쥔의 characteristic set 방법 || 2006년 쇼상 수학부문 || ||블라디미르 아브라모비치 로흘린 || 1919 ||로흘린 정리, 르베그-로흘린 공간, 카쿠타니-로흘린 보조정리, 로흘린 분할 || || ||제임스 하디 월킨슨 || 1919 ||월킨슨 행렬, 월킨슨 다항식, 후방 오류 분석(Backward error analysis) || 1970년 튜링상 || ||게르하르트 링겔 || 1919 ||히우드(Heawood) 추측 증명(링겔-영스 정리) || || ||마구누스 웨닝거 || 1919 ||웨닝거의 다면체 모델 목록[* [[https://ko.wikipedia.org/wiki/%EC%9B%A8%EB%8B%9D%EA%B1%B0_%EB%8B%A4%EB%A9%B4%EC%B2%B4_%EB%AA%A8%EB%8D%B8%EC%9D%98_%EB%AA%A9%EB%A1%9D]]] || || ||줄리아 홀 보먼 로빈슨 || 1919 ||힐베르트의 열번째 문제 해결(MRDP 정리) || || ||에른스트 폴 스페커 || 1920 ||베어-스페커 군, 스페커 수열, 코헨-스페커 정리 || || ||뱌르니 욘손[* Bjarni Jónsson] || 1920 ||욘손-타르스키 쌍대성, 욘손-타르스키 대수, 욘손 대수, 욘손 기수, 욘손 보조정리 || || ||구보 료고 || 1920 ||구보-마틴-슈윙거 상태, 그린-구보 관계, 구보의 공식, 운동의 계층적 방정식(Hierarchical equations of motion) || || ||아즈마야 고로 || 1920 ||아즈마야 대수, 헨젤 환 || || ||존 마이클 해머슬리 || 1920 ||해머슬리 집합, 해머슬리-클리포드 정리, 헤머슬리 소파(Hammersley sofa), 소파 옮기기 문제[* [[https://ko.wikipedia.org/wiki/%EC%86%8C%ED%8C%8C_%EC%98%AE%EA%B8%B0%EA%B8%B0_%EB%AC%B8%EC%A0%9C]]]에서 소파 상수의 상한인[math(2\sqrt{2} \approx 2.8284)]와 소파 상수의 하한인 [math(\frac{\pi}{2}+\frac{2}{\pi}\approx2.2074)]을 찾음|| || ||예르지 워시[* Jerzy Łoś] || 1920 ||워시 정리, 워시-보트 테스트, 초실수 체계에서 Transfer principle 증명 || || ||레스터 더빈스 || 1920 ||더빈스-스파니에 정리, 더빈스 경로 || || ||니콜라스 헨드릭 니코 카위퍼르 || 1920 ||카위퍼르 판정법, 카위퍼르 정리 || || ||허버트 페더러 || 1920 ||기하 측도론, coarea 공식, integral currents, 페더러-모스 정리 || || ||리처드 어니스트 벨먼 || 1920 ||동적 계획법, 확률 동적 계획법, 벨먼 방정식, 선형 검색 문제 || || ||칼리암푸디 라다크리슈나 라오 || 1920 ||크라메르-라오 하한, 직교 배열, 스코어 테스트, 라오-블랙웰 정리 || 2023년 국제 통계학상 || ||알베르토 페드로 칼데론 || 1920 ||코시 문제의 해가 유일성을 가짐을 증명, Calderón projector, 칼데론-지그문트 보조정리, 칼데론-지그문트 커널, 칼데론-지그문트 분해 || 1979년 보셰 기념상, 1989년 울프상 수학 부문 || === 1921 ~ 1930년 출생 === ||'''{{{#white 이름}}}''' || '''{{{#white 출생 년도}}}''' ||'''{{{#white 주요 업적}}}''' ||'''{{{#white 주요 수상 내역}}}'''[* [[필즈상]], [[아벨상]], [[울프상]], [[노벨상]], [[튜링상]], [[가우스상]], [[천 메달]], 쇼상, 브레이크스루 상,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보셰 기념상, 오스트로우스키(Ostrowski) 상, 국제 통계학상, 카프(Karp)상] || ||장루이 코쥘 || 1921 ||코쥘 접속, 코쥘 복합체, 코쥘 쌍대성 || || ||난부 요이치로 || 1921 ||[[자발 대칭 깨짐]], 난부-고토 작용, 난부-골드스톤 보손, [[끈 이론]] 창시 || 1994년 울프상 물리학 부문, 2008년 노벨 물리학상 || ||로트피 애스커 자데 || 1921 ||[[퍼지 이론]], 퍼지 논리, 퍼지 집합론, Z 변환 || || ||마틴 휴고 뢰프[* Martin Hugo Löb] || 1921 ||뢰프의 정리 || || ||레온 알버트 헨킨 || 1921 ||헨킨 의미론, 1차 논리의 완전성 정리, 헨킨의 정리, 분기 양화사(Branching quantifier) || || ||이아코프 바르소티 || 1921 ||바르소티-테이트(Barsotti–Tate) 군 || || ||[[루딘]] || 1921 ||[[해석학(수학)|해석학]]에 대한 세 저서 [* 《Principles of Mathematical Analysis》, 《Real and Complex Analysis》, 《Functional Analysis》]로 알려진 수학자 || || ||왕하오[* Wáng Hào] || 1921 ||왕(wang) 타일[* [[https://en.wikipedia.org/wiki/Wang_tile]]] || || ||루스 바컨 마커스 || 1921 ||바컨 공식(Barcan formula), Necessity of identity[* [[https://en.wikipedia.org/wiki/Necessity_of_identity]]], tag theory of names || || ||에드윈 헨리 스파니에 || 1921 ||스파니에-화이트헤드 쌍대성, 알렉산더-스파니에 코호몰로지, 더빈스-스파니에 정리 || || ||[[케네스 애로]] || 1921 ||[[불가능성 정리|애로의 불가능성 정리]], 애로-드브뢰 모형, 후생 경제학의 기본정리 || 1972년 노벨 경제학상 || ||로제 고드망 || 1921 ||고드망 분해(resolution), 고드망 콤팩트성 판정, 보흐너-고드망 정리 || || ||데이비드 게일 || 1921 ||게일-섀플리 알고리즘, 게일 다이어그램, 게일 균일성 조건, 섀넌 스위칭 게임의 변형(Gale 또는 Bridg-It) || || ||제임스 톰슨[* James F. Thomson] || 1921 ||[[톰슨 램프]], 슈퍼태스크(Supertask)[* [[https://en.wikipedia.org/wiki/Supertask]]] || || ||에르빈 오토 크라이슈치히 || 1922 ||유명 [[공업수학]] 책의 저자[* [[공업수학]] 항목에 언급되는 바이블 "Advanced Engineering Mathematics".] || || ||가에타노 피체라[* Gaetano Fichera] || 1922 ||피체라 존재 원리, 시뇨리니 문제(Signorini problem) || || ||올가 알렉산드로브나 라디젠스카야[* Olga Aleksandrovna Ladyzhenskaya] || 1922 ||2차원에서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의 전역적인 매끄러운 강해의 존재를 증명 || || ||아서 스트롱 와이트먼 || 1922 ||와이트먼 공리계 || || ||루돌프 하크 || 1922 ||하크 정리, 하크-워푸샨스키-조니우스 정리, 양자장론의 하크-카스틀레 공리계 || || ||앙드레 페테르만 || 1922 ||재규격화군 || || ||양전닝 || 1922 ||양-밀스 이론, [[양-밀스 질량 간극 가설]], 리-양 정리, 양-백스터 방정식, 바이어스-양 정리, 홀짝성 비보존 || 1957년 노벨 물리학상 || ||앙드레 네롱 || 1922 ||네롱-세베리 군, 네롱 미분, 네롱 모형, 네롱-오그-샤파레비치 판정법, 네롱-테이트 높이 || || ||[[림학 리]]([[이임학]]) || 1922 ||유한단순군, 리(Ree) 군 이론 || || ||다니엘 고렌슈타인 || 1923 ||고렌슈타인 환, 고렌스타인 프로그램, 고렌슈타인-하라다 정리, 고렌슈타인-월터 정리, 알페린-브라우어-고렌스타인 정리, signalizer functor || || ||막스 에이지코비치 아키비스[* Maks Aizikovich Akivis] || 1923 ||아키비스 대수 || || ||브라이스 셀리그먼 디윗 || 1923 ||휠러-디윗 방정식, 정준 양자 중력 || || ||월터 콘 || 1923 ||코링가-콘-로스토커 방법, 호헨버그-콘 정리, 콘 이상(anomaly) || 1998년 노벨상 || ||브루노 추미노 || 1923 ||베스-추미노 모형, 베스-추미노-노비코프-위튼 모형 || || ||에우제니오 칼라비 || 1923 ||칼라비-야우 다양체, 초켈러 다양체 || || ||아르망 보렐 || 1923 ||보렐 고정점 정리, 보렐 부분군, 보렐 정리 || || ||버나드 모리스 드워크 || 1923 ||베유 추측 중에서 유리성 부분을 P-진수 해석학적 기법을 사용하여 증명 || 1962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 ||로이드 스토어 섀플리 || 1923 ||확률적 게임(stochastic game) 도입, 반다레바-섀플리 정리, 게일-섀플리 알고리즘, 안정적인 결혼 문제, 잠재력 게임(Potential game) 도입, 섀플리 값, 섀플리-슈빅 투표력 지수, 섀플리-아우만 값, 권력 분포 || 2012년 노벨 경제학상 || ||이고리 로스티슬라프 샤파레비치 || 1923 ||샤파레비치-베유 정리, 골로드-샤파레비치 정리, 가해 갈루아 군에 관한 샤파레비치 정리, 번사이드 문제, 테이트-샤파레비치 군 || || ||조지 대니얼 모스토 || 1923 ||모스토 강성 정리, 모스토-팔레 정리, 호흐실트-모스토 군 || 2013년 울프상 수학 부문 || ||조지프 비숍 켈러[* 그는 1999년, 2012년 [[이그 노벨상]]을 받음으로써 현재까지 유일하게 두 번 [[이그 노벨상]]을 받은 사람이 되었다.] || 1923 ||기하학적 회절 이론(geometrical theory of diffraction) 창시, 아인슈타인-브릴루앙-켈러 방법, 켈러-루비노프 공식, 켈러-마슬로프 지표 || 1996년~1997년 울프상 수학 부문 || ||존 마이힐 || 1923 ||라이스-마이힐-샤피로 정리, 마이힐 속성, 마이힐-네로드 정리, 선형 경계 오토마타, 에덴 동산의 정리 || || ||야마베 히데히코 || 1923 ||야마베 문제, 힐베르트의 다섯번째 문제 해결 || || ||르네 프레데리크 톰 || 1923 ||보충 경계, 톰 횡단 정리, 톰 공간, 톰 특성류, 톰 동형, 톰 추측, 톰 스펙트럼, 돌트-톰 정리, 파국 이론(Catastrophe theory) || 1958년 필즈상 || ||라울 보트 || 1923 ||보트 주기성 정리, 아티야-보트 고정점 정리, 모스-보트 함수, 보렐-베유-보트 정리, 보트-사멜슨 특이점 해소, 보트-천 클래스, Bott cannibalistic class, 보트 유수 공식 || 1964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2000년 울프상 수학 부문 || ||하리시찬드라 메로트라[* 로버트 랭글랜즈가 하리시찬드라의 전기에 쓴 글에서 하리시찬드라는 1958년 필즈상 수상자로 고려 되었으나 위원회는 르네 톰을 부르바키의 일원으로 여겼고 부르바키였던 하리시찬드라까지 부르바키만 필즈상을 주는건 적절하지 못하다 판단하여 받지 못했다 당시에는 필즈상을 2명까지만 받을 수 있었고 1966년에 4명으로 늘리자는 안건이 채택되어 현재는 최대 4명까지 받을 수 있다.] || 1923 ||하리시찬드라 c 함수, 하리시찬드라 규칙성 정리, 하리시찬드라 변환, 하리시찬드라 가군, 하리시찬드라-슈바르츠 공간, 하리시찬드라 동형사상, 하리시찬드라 준동형사상 || 1954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 ||프리먼 존 다이슨 || 1923 ||다이슨 급수, 슈윙거 다이슨 방정식, 리차드 파인만의 파인만 도표를 이용한 경로적분과 줄리안 슈윙거, 도모나가 신이치로가 제안한 연산자 계산이 동치라는 것을 증명, 다이슨 방정식, 다이슨 작용소 || 1981년 울프상 물리학 부문 || ||막스 코쉐[* Max Koecher] || 1924 ||칸토르-코쉐-티츠 구성, 코쉐-마스 급수, 코쉐-빈베르크 정리, 코쉐 원리 || || ||도미타 미노루 || 1924 ||도미타-타케사키 이론, 도미타 정리 || || ||아코스 차사르[* Ákos Császár] || 1924 ||차사르 다면체, Syntopogeneous space 도입 || || ||데이비드 세이어 || 1924 ||세이어 방정식(Sayre equation) || || ||맥스웰 알렉산더 로젠릭트 || 1924 ||일반화된 야코비안 || 1960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 ||이자도어 마누엘 싱어 || 1924 ||아티야-싱어 지표 정리, 캐디슨-싱어 문제 || 1969년 보셰 기념상, 2004년 [[아벨상]] || ||예브기니 딘킨 || 1924 ||딘킨 다이어그램, 도브-딘킨 정리, 딘킨 계 || || ||델버트 레이 폴커슨[* 그의 이름을 딴 3년 마다 이산수학 분야의 뛰어난 논문에 주는 상이 있다.[* [[https://en.wikipedia.org/wiki/Fulkerson_Prize]]]] || 1924 ||포드-폴커슨 알고리즘, 최대 흐름 최소 절단(Max-flow min-cut) 정리 || || ||피에르 돌보 || 1924 ||돌보 정리, 돌보 코호몰로지 || || ||먼로 데이비드 돈스커 || 1924 ||돈스커 정리, 위너 소시지 || || ||브누아 망델브로 || 1924 ||[[프랙탈 이론]], 망델브로 집합, 지프-망델브로 법칙, 프랙탈 차원 || 1993년 울프상 물리학 부문 || ||줄리어스 리차드 부치 || 1924 ||부치 산술, 부치 문제 || || ||자크 디미에 || 1924 ||디미에 사상, 디미에 대각합 || || ||데이비드 콕스 || 1924 ||[[로지스틱 회귀]], 콕스 프로세스, 비례위험모형, 박스-콕스 변환 || 2017년 국제 통계학상 || ||하인즈 바흐만 || 1924 ||바흐만-하워드 서수, 서수 붕괴 함수[* [[https://en.wikipedia.org/wiki/Ordinal_collapsing_function]]] || || ||후지타 후미아키 || 1924 ||후지타-하토리 공리 || || ||에릭 크리스토퍼 지먼[* Erik Christopher Zeeman] || 1925 ||스톨링스-지먼 정리, 지먼 비교 정리, 헤플리거-지먼 매듭풀기(Haefliger-Zeeman unknotting) 정리 || || ||루이스 니런버그 || 1925 ||3차원 유클리드 공간에서 바일 문제와 민코프스키 문제 해결, 뉴랜더-니런버그 정리, 갈리아르도-니런버그 보간 부등식, Bounded mean oscillation, 갈리아르도-니런버그-소볼레프 부등식, 유사 미분 연산자, 카파렐리-콘-니런버그 부등식 || 1959년 보셰 기념상, 2010년 천 메달, 2015년 아벨상 || ||나가타 준이치 || 1925 ||나가타-스미르노프 거리화 정리 || || ||존 테이트 || 1925 ||강체 해석 기하학, 테이트 곡선, 호지-테이트 가군, 테이트 가군, 테이트-샤파레비치 군, 바르소띠-테이트 군, 테이트 코호몰로지 군, 테이트 추측, 세르-테이트 정리, 사토-테이트 추측 || 1956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2002년 울프상 수학부문, 2010년 아벨상 || ||앨런 로스 앤더슨 || 1925 ||모순허용 논리의 일종인 '연관논리' 구축 || || ||마이클 앤토니 어들리 더밋 || 1925 ||Quota Borda system, 괴델-더밋 논리, 논리적 조화(Logical harmony)[* [[https://en.wikipedia.org/wiki/Logical_harmony]]] || || ||리처드 캐디슨[* Richard Kadison] || 1925 ||캐디슨-케스틀레 계량, 캐디슨-슈바르츠 부등식, 캐디슨 추이성 정리, 캐디슨-싱어 문제 || || ||해럴드 윌리엄 쿤 || 1925 ||카뤼시-쿤-터커 조건, 쿤 [[포커]], 쿤의 정리 || || ||프레데릭 윌리엄 게링[* Frederick William Gehring] || 1925 ||게링 보조정리, 2차원 이상에서 준등각사상(quasiconformal mapping) 이론 개발 || || ||폴 말리아빈 || 1925 ||말리아빈 미적분, 말리아빈 절대 연속성 보조정리, 회르만데르 정리를 확률론적 방법으로 증명 || || ||마틴 데이비드 크러스컬[* 조셉 크러스컬의 형이다.] || 1925 ||크러스컬-제커스 좌표, 크러스컬-샤프라노프 불안정, 역산란 변환 || || ||클라우스 프리더릭 로스 || 1925 ||투에-지겔-로스 정리, 등차 수열에 대한 에르되시-투란 추측 증명 || 1958년 필즈상 || ||존 포플 || 1925 ||파리저-파-포플 방법, 포플 다이어그램, 포플 표기법, STO-nG 기저 함수 집합, 포플-네스벳-베르티에 방정식, NDDO(neglect of diatomic differential overlap) || 1992년 울프상 화학 부문, 1998년 노벨 화학상 || ||에드워드 포레스트 무어 || 1925 ||[[유한 상태 기계]], 무어 그래프, 에덴 동산의 정리 || || ||다케우치 가이시 || 1926 ||다케우치 추측[* [[https://en.wikipedia.org/wiki/Takeuti%27s_conjecture]]], 서수 도표(ordinal diagram), 다케우치-페퍼만-부흐홀츠(Takeuti-Feferman-Buchholz) 서수 || || ||다니엘 카스틀레르 || 1926 ||카디슨-카스틀레르 계량, 양자장론의 하크-카스틀레르 공리계 || || ||로버트 랄프 펠프스 || 1926 ||비숍-펠프스 정리 || || ||이보 바부슈카[* Ivo M. Babuška] || 1926 ||바부슈카-럭스-밀그램(Babuška–Lax–Milgram) 정리, Ladyzhenskaya-Babuška-Brezzi (LBB) 조건 || || ||로버트 로슨 보트 || 1926 ||보트 정리, 페퍼먼-보트 정리, 워시-보트 테스트, 타르스키-보트 테스트, 기본 부분 모형, 보트 추측 || 1978년 카프상 || ||럭스 페테르 || 1926 ||럭스 쌍, 럭스-밀그램 정리, 럭스 등가 정리, 럭스-웬드로프 방법, 럭스-프리드리히 방법 || 1987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05년 아벨상 || ||하틀리 로저스 주니어 || 1926 ||로저스 동등성 정리[* [[https://en.wikipedia.org/wiki/Admissible_numbering#Rogers'_equivalence_theorem]]] || || ||프랭크 루드빅 스피처[* Frank Ludvig Spitzer] || 1926 ||ASEP(Asymmetric simple exclusion process)[* [[https://en.wikipedia.org/wiki/Asymmetric_simple_exclusion_process]]] || || ||[[힐러리 퍼트넘]] || 1926 ||힐베르트의 열번째 문제 해결(MRDP 정리), 데이비스-퍼트남 알고리즘, [[통 속의 뇌]] || || ||모리스 오슬랜더 || 1926 ||오슬랜더 대수, 오슬랜더-북스바움 공식, 오슬랜더-북스바움 정리, 오슬랜더-라이텐 이론 || || ||'''[[장피에르 세르]]'''[* 27세에 역대 최연소로 필즈상을 받았고 초대 아벨상의 수상자이다.] || 1926 ||세르 쌍대성, 가가(GAGA) 정리, 세르 스펙트럼 열, 세르-스완 정리, 세르 소멸 정리, 세르 군, 세르-테이트 정리, 세르 올뭉치, 배스-세르 이론, 세르 높이 부등식, 세르 뒤틀림 층, l-진 표현 || 1954년 [[필즈상]], 2000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03년 [[아벨상]] || ||스즈키 미치오 || 1926 ||스즈키 군, 스즈키 산재군, 베어-스즈키 정리, 벤더-스즈키 정리, 브라우어-스즈키 정리 브라우어-스즈키-월 정리 || || ||리정다오 || 1926 ||리 모형, 키노시타-리-나우엔베르크 정리, 리-양 정리, 반전성 위반 || 1957년 노벨 물리학상 || ||윌리엄 앨빈 하워드 || 1926 ||커리-하워드 대응, 바흐만-하워드 서수 || || ||앤드루 휴 월리스 || 1926 ||리코리쉬-월리스 정리 || || ||나가타 마사요시 || 1927 ||나가타 환, 나가타 추측, 힐베르트 14번 문제의 부정적 해결 || || ||앨런 뉴웰 || 1927 ||[[인공지능]], 정보 처리 언어(Information Processing Language), 일반 문제 해결기 (General Problem Solver) || 1975년 튜링상 || ||스탠리 테넨바움 || 1927 ||반복 강제법, 수슬린 가설의 독립성, 테네바움 정리 || || ||마르셀 베르제르 || 1927 ||수축량, 베르제르-카즈단 비교 정리 || || ||로버트 로렌스 밀스 || 1927 ||양-밀스 이론, [[양-밀스 질량 간극 가설]] || || ||미셸 앙드레 케르베르 || 1927 ||매끄러움 구조가 없는 위상다양체 존재 증명, 케르베르 다양체, 케르베르 불변량, 이국적 초구 || || ||발터 티링 || 1927 ||리브-티링 부등식, 티링 모형 || || ||조지프 로버트 숀필즈 || 1927 ||숀필드 절대성 정리 || || ||[[서지 랭]] || 1927 ||슈나이더-랭 정리, 모델-랭 추측, 랭-스타인버그, 카츠-랭 유한성 정리 || 1960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 ||머레이 거스텐하버 || 1927 ||거스텐하버 대수 || || ||헨리 피터 프란시스 스위너턴다이어 || 1927 ||[[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 타원 K3 곡면과 유한체 위의 타원 곡선 다발(pencil)에서 테이트-샤파레비치 추측 해결 || || ||마빈 리 민스키 || 1927 ||[[인공지능]],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 프레임(인공지능) || 1969년 튜링상 || ||[[존 매카시]] || 1927 ||비단조 논리(Non-monotonic logic), 상황 계산(Situation calculus)[* [[https://en.wikipedia.org/wiki/Situation_calculus]]], 제한화(Circumscription)[* [[https://en.wikipedia.org/wiki/Circumscription_(logic)]]], [[리스프]] || 1971년 튜링상 || ||레스터 랜돌프 포드 주니어 || 1927 ||포드-폴커슨 알고리즘, 포드-존슨 알고리즘, 최대 흐름 최소 절단(Max-flow min-cut) 정리 || || ||프리드리히 에른스트 페터 히르체부르흐 || 1927 ||위상 K 이론, 히르체부르흐-리만-로흐 정리, 아티야-히르체부르흐 스펙트럼 열, 히르체부르흐 곡면 || 1988년 울프상 수학 부문 || ||타니야마 유타카 || 1927 ||[[모듈러성 정리]] || || ||헨리 오토 폴락 || 1927 ||그레이엄-폴락 정리 || || ||제럴드 베레스포드 휘트햄[* Gerald Beresford Whitham] || 1927 ||휘트햄 방정식, 평균 라그랑지안 방법(averaged Lagrangian method) || || ||존 해리스 월터 || 1927 ||월터의 정리, 고렌스타인-월터 정리 || || ||첸청창[* 张 晨钟, Chen Chung Chang] || 1927 ||창의 추측, MV-대수, 창의 모형 || || ||마르틴 크네저 || 1928 ||크네저 그레프, 크네저 정리, 크네저-티츠 추측 || || ||조셉 크러스컬 || 1928 ||[[크러스컬 알고리즘]], 크러스컬 나무 정리, 크러스컬-카토나 정리 || || ||엔니오 데 조르지 || 1928 ||힐베르트의 19번째 문제 해결, 번스타인 문제가 8차원 까지만 참이 됨을 증명, 데 조르지 정리, 카치오폴리 집합 || 1990년 울프상 수학 부문 || ||웬델 헬름스 프레밍 || 1928 ||기하 측도론, integral currents || || ||마틴 데이비스 || 1928 ||힐베르트의 열번째 문제 해결(MRDP 정리), 데이비스-퍼트넘 알고리즘, DPLL 알고리즘 || || ||렌나르트 악셀 에드바르드 칼레손 || 1928 ||루진 추측 해결(칼레손의 정리), 코로나 문제 해결(코로나 정리)[* 코로나 바이러스와 관련 없음], 칼레손 측도, 칼레손-제이콥스 정리, 에농 사상(Hénon map)에 이상한 끌개가 존재함을 증명 || 1992년 울프상 수학 부문 || ||'''[[알렉산더 그로텐디크]]''' || 1928 ||안아벨(Anabelian) 기하학, [[스킴(대수기하학)|스킴 이론]], TG 집합론, 유도 함자, 모티브, 에탈 코호몰로지, 데생당팡, 그로텐디크-리만-로흐 정리, 토포스, 결정 코호몰로지, 그로텐디크 군, 그로텐디크 위상, 그로텐디크 전체, 베유 추측의 부분적 해결[* 베유 추측에서 유리성, 함수 방정식, 베티 수 부분 증명], 그로텐디크 스펙트럼 열, nuclear space || 1966년 [[필즈상]] || ||사토 미키오 || 1928 ||대수적 해석학 창시, 초함수, 번스타인-사토 다항식, Prehomogeneous vector space || 2002년 울프상 수학 부문 || ||자크루이 리옹[* 1994년 필즈상 수상자 피에르루이 리옹의 아버지이다] || 1928 ||리옹-럭스-밀그램 정리 || || ||[[존 내시]][* [[필즈상]] 수상도 유력했으나 조현병 치료 때문에 학계를 떠나있는 동안 40세를 넘겨서 필즈상이 무산되었다. 그래도, 업적을 인정받아 아벨상을 수상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수상하고 집으로 돌아오던 중에 교통사고로 부인과 함께 사망하였다.] || 1928 ||힐베르트의 19번째 문제 해결, 내시 매장 정리, 내시-모저 정리, 내시 함수, 내시 다양체,[[내시균형]] || 1994년 [[노벨 경제학상]], 2015년 [[아벨상]] || ||로버트 브라우트 || 1928 ||[[힉스 보손]], 힉스 메커니즘, 힉스 장 || 2004년 울프상 물리학 부문 || ||[[볼프강 하켄]] || 1928 ||[[4색정리]][* 케네스 아펠과 함께 컴퓨터를 사용하여 증명], 하켄 다양체, 크네저-하켄 유한성, 하켄 추측 || || ||프랭크 로젠블랫 || 1928 ||[[퍼셉트론]] || || ||위르겐 쿠르트 모저 || 1928 ||KAM 정리, 내시-모저 정리, 칼로제모-모저 계(Calogero–Moser system), 하르낙 부등식을 타원 또는 포물선 편미분방정식의 해로 일반화함, 트루딩거-모저 부등식, 모저-노이만의 질문, 볼테라 격자 || 1994~1995년 울프상 수학 부문 || ||유리스 하르트마니스 || 1928 ||계산 복잡도 이론, 시간 복잡도와 공간 복잡도를 정의, 시간 계층 정리, 버만-하르마니스 추측 || 1993년 튜링상 || ||베르나르 말그랑주 || 1928 ||에렌프라이스-말그랑주 정리, Malgrange preparation theorem || || ||에렛 앨버트 비숍 || 1928 ||비숍-펠프스 정리, 비숍 조건, 구성주의 측도론 || || ||존 스튜어트 벨 || 1928 ||[[벨의 부등식|벨 부등식]] || || ||알브레히트 돌트 || 1928 ||돌트-톰 정리, 돌트 다양체, 돌트-칸 대응 || || ||만프레도 페르디강 두 카르무[* Do Carmo - Differential Geometry of Curves and Surfaces라는 미분 기하학 전공서가 유명하다.] || 1928 ||미분 기하학에 대한 여러 연구[* Riemannian manifolds, topology of manifolds, rigidity and convexity of isometric immersions, minimal surfaces, stability of hypersurfaces, isoperimetric problems, minimal submanifolds of a sphere, and manifolds of constant mean curvature and vanishing scalar curvature] || || ||도널드 히그먼 || 1928 ||히그먼-심스 군, 히그먼-심스 그래프 || || ||이안 그랜트 맥도날드 || 1928 ||맥도날드 항등식, 맥도날드 다항식 || || ||솔로몬 페퍼만 || 1928 ||페퍼먼 세타 함수, 솔로몬-슈테(Feferman–Schütte) 서수, 명시적 수학[* [[https://en.wikipedia.org/wiki/Explicit_mathematics]]], 다케우치-페퍼만-부흐홀츠(Takeuti–Feferman–Buchholz ordinal) 서수 || || ||카렐 램버트 || 1928 ||자유 논리[* [[https://en.wikipedia.org/wiki/Free_logic]]], 램버트 법칙 || || ||장 서프 || 1928 ||서프(Cerf)의 정리, 유사 아이소토피(Pseudoisotopy) 정리 || || ||자코 카를로 주하니 힌티카 || 1929 ||Independence-friendly logic || || ||일리야 이오시포비치 퍄테츠키샤피로 || 1929 ||Converse theorem을 더 높은 차원으로 확장, 함수를 삼각 급수로 확장하는 유일성에 대한 살렘의 문제 해결, 4차원에서 비대칭 동차 정의역(homogeneous domain) 예를 통해 엘리 카르탕의 질문에 답하고 모든 유계 동차 정의역(bounded homogeneous domains)의 완전한 분류, K3 곡면에 대한 토렐리 문제 해결 || 1990년 울프상 수학 부문 || ||[[마이클 아티야]] || 1929 ||아티야-싱어 지표 정리, ADHM 작도, 위상 K 이론, 아티야-히르체부르흐 스펙트럼 열, 아티야-시걸 공리, 아티야-시걸 완비성 정리 || 1966년 [[필즈상]], 2004년 [[아벨상]] || ||한스 이바르 리젤 || 1929 ||리젤 수, 뤼카-레머-리젤 소수판별법 || || ||[[피터 힉스|피터 웨어 힉스]] || 1929 ||[[힉스 보손]], 힉스 메커니즘, 힉스 장 || 2004년 울프상 물리학 부문, 2013년 노벨 물리학 상 || ||[[머리 겔만]] || 1929 ||겔만 행렬, 팔정도, [[쿼크]], Current algebra, 겔만-로우 정리, 겔만-니시지마 공식, 겔만-오쿠보 질량 공식, 교차(Crossing) 대칭 || 1969년 노벨 물리학상 || ||니우통 카르네이루 아폰수 다 코스타 || 1929 ||모순허용논리의 형식체계 구축, 슈뢰딩거 논리[* [[https://en.wikipedia.org/wiki/Schr%C3%B6dinger_logic]]] || || ||아스콜트 이바노비치 비노그라도프[* 비교적 더 유명한 동명의 수학자 이반 마트베예비치 비노그라도프와 착각하기 쉬우니 주의] || 1929 ||봄비에리-비노그라도프 정리 || || ||데이비드 앨빈 북스바움 || 1929 ||아벨 범주, 북스바움 환, 오슬랜더-북스바움 공식, 오슬랜더-북스바움 정리, 북스바움-아이젠버드 판정법 || || ||아서 펜틀런드 뎀스터 || 1929 ||뎀스터-쉐퍼(Dempster–Shafer) 이론, 기댓값 최대화 알고리즘 || || ||한스 그라우어트 || 1930 ||그라우어트-리멘슈나이더(Grauert–Riemenschneider) 소멸 정리, 안드레오티-그라우어트(Andreotti–Grauert) 정리, 그라우어트 정리 || || ||잭 로런스 트레이너 || 1930 ||트레이너-블랙 모형 || || ||[[시무라 고로]] || 1930 ||[[모듈러성 정리]], 시무라 대수 다양체 || 1977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 ||미우라 코료 || 1930 ||미우라 접기[* [[https://en.wikipedia.org/wiki/Miura_fold]]] || || ||빅토르 안드레비치 토포노고프 || 1930 ||토포노고프 정리 || || ||글렌 얼 백스터 || 1930 ||로타-백스터 대수, 백스터 순열 || || ||요네다 노부오 || 1930 ||요네다 보조정리, 퀼런 완전 범주, 요네다 합성 || || ||누엘 벨납 || 1930 ||모순허용 논리의 일종인 '연관논리' 구축, 4치 논리 개발 || || ||조엘 루이스 레보비츠[* Joel Louis Lebowitz] || 1930 ||레보비츠 부등식, 쿨롱 법칙이 열역학적 극한(Thermodynamic limit)을 따른다는 것을 증명 || || ||[[에츠허르 다익스트라|에츠허르 비버 데이크스트라]] || 1930 ||[[데이크스트라 알고리즘]], 프림 알고리즘, 식사하는 철학자들 문제, 차량기지 알고리즘, 세마포어 외 다수 || 1972년 튜링상 || ||루돌프 칼만 || 1930 ||칼만 필터, 관측 가능성(observability), 제어 가능성(controllability), 칼만 분해(Kalman decomposition) || || ||엘리저 레온 에렌프라이스 || 1930 ||에렌프라이스-말그랑주 정리 || || ||루슬란 레온티예비치 스트라토노비치 || 1930 ||스트라토노비치 적분, 허바드-스트라토노비치 변환 || || ||로버트 존 아우만 || 1930 ||상관균형을 정의, 아우만-섀플리 값, 최초로 공통지식이론에 공통지식(Common knowledge ) 사용, 아우만의 합의(agreement) 정리 || 2005년 노벨 경제학상 || ||빅토르 파블로비치 마슬로프 || 1930 ||라그랑지안 부분 다양체, 마슬로프 지표 || || ||스티븐 스메일 || 1930 ||5차원 이상의 모든 차원에 대해서 [[푸앵카레 추측]]을 증명, h-보충 경계 정리, 스메일의 문제, 말굽 사상(Horseshoe map) || 1966년 필즈상, 1966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2007년 울프상 수학 부문 || ||슈리람 샹카르 아비안카 || 1930 ||아비안카 추측, 아비안카-모 정리, 아비안카 부등식, 아비안카 보조정리,3차원에서 표수가 최소7인 경우와 모든 표수의 곡면에서 특이점 해소 || || ||도널드 뉴먼 || 1930 ||미르스키-뉴먼 정리 || || ||알렉산더 그로스만 || 1930 ||웨이블릿 || || ||자크 티츠 || 1930 ||티츠 군, 티츠 빌딩, 티츠 대안, 크네저-티츠 추측, 칸토르-코이쳐-티츠 구성 || 2008년 아벨상 || ||아나톨리 볼로디미로비치 스코로호드 || 1930 ||스코로호드 적분, 스코로호드 매장 정리, 스코로호드 표현 정리, 스코로호드 공간, 스코로호드 위상, 스코로호드 문제 || || ||리처드 몬터규 || 1930 ||스콧-몬터규 의미론, 몬터규 문법 ,ZFC 집합론이 유한한 공리화가 불가능함을 증명 || || ||마이클 다윈 몰리 || 1930 ||몰리 범주성 정리, Morley rank, 몰리의 문제, Stability theory[* [[https://en.wikipedia.org/wiki/Stable_theory]]] || || ||월터 파이트 || 1930 ||파이트-톰프슨 정리 || 1965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 ||존 프랭크 애덤스 || 1930 ||애덤스 스펙트럼 열, 애덤스 연산, 호프 불변량이 1인 경우의 목록 || || ||노먼 우드슨 존슨 || 1930 ||존슨 다면체[* [[https://en.wikipedia.org/wiki/Johnson_solid]]] || || ||티모시 스마일리|| 1930 ||다중 결론 논리(multiple-conclusion logic) || || ||헨리 프랫 맥킨 주니어[* Henry Pratt McKean junior] || 1930 ||맥킨-블라소프 과정(McKean–Vlasov process) || || === 1931 ~ 1940년 출생 === ||'''{{{#white 이름}}}''' || '''{{{#white 출생 년도}}}''' ||'''{{{#white 주요 업적}}}''' ||'''{{{#white 주요 수상 내역}}}'''[* [[필즈상]], [[아벨상]], [[울프상]], [[노벨상]], [[튜링상]], [[가우스상]], [[천 메달]], 쇼상, 브레이크스루 상,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보셰 기념상, 오스트로우스키(Ostrowski) 상, 국제 통계학상, 살렘상, 카프(Karp)상, 하우스도르프 메달] || ||세르게이 이바노비치 아디안 || 1931 ||경계 번사이드 문제, 노비코프-아디안 정리, 아디안-라빈 정리 || || ||엘리아스 메나헴 스타인 || 1931 ||스타인-스트롬베르(Strömberg ) 부등식, 스타인 여급수 표현(Complementary series representation), 코틀러-스타인 보조정리, 페퍼먼-스타인 이론, 스타인 극대 원리, 스타인 보간법, 스타인-토마스 제한 정리, 카케야 문제와 유사한(Analogues) 문제에 대한 추측[* 모든 측도가 0인 점 주위에 구를 포함하는 집합이 존재한다는 추측이다]에 대해서 그러한 모든 집합이 n>3일 때 양의 측도를 가져야 함을 증명 || 1999년 울프상 수학 부문 || ||장 몰레 || 1931 ||웨이블릿 || || ||라르스 발테르 회르만데르 || 1931 ||회르만데르 조건, 파면 집합(wavefront set), 유사 미분 연산자, 레비 문제 해결 || 1962년 필즈상, 1988년 울프상 수학 부문 || ||아즈리엘 로젠펠드 || 1931 ||디지털 위상(Digital topology) || || ||존 윌러드 밀너[* 학부생 시절 지금은 페리-밀너 정리라고 부르는 당시에 풀리지 않은 문제를 해결한 일화가 있다.] || 1931 ||7차원 이국적 초구의 존재 증명, 밀너 환, 페리-밀너 정리, 밀너 추측(매듭 이론), 밀너 추측(대수적 K 이론), 밀너-서스턴 반죽 이론, 밀너 정리, 밀너 사상, microbundle, 슈바르츠-밀너 보조정리, 밀너-우드 부등식, 수술 이론, 끌개(attractor)를 정의, 밀너-무어 정리, 밀너 불변량 || 1962년 필즈상, 1989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11년 아벨상 || ||로이 리 아들러 || 1931 ||위상 엔트로피, 도로 색칠 추측(road coloring conjecture) || || ||히로나카 헤이스케 || 1931 ||표수 0인 체 위의 대수적 다양체의 특이점 해소 및 해석 다양체의 특이점 해소, 켈러 다양체에 관한 히로나카의 예시 || 1970년 필즈상 || ||리처드 셸던 팔레 || 1931 ||모스토-팔레 정리, 리(Lie)-팔레 정리, 모스-팔레 보조정리, 팔레-스메일 콤팩트성 조건 || || ||허버트 사울 윌프 || 1931 ||윌프-자일베르거 쌍, 캘킨-윌프 나무, 제커스-윌프(Szekeres-Wilf) 수 || || ||툴리오 에우제니오 레제 || 1931 ||레제 미적분, 레제 이론 || || ||미셸 에농 || 1931 ||에농 사상(Hénon map) || || ||[[로저 펜로즈]] || 1931 ||펜로즈 삼각형, 펜로즈 타일링, 트위스터 이론, 펜로즈-호킹 특이점 정리, 스핀 네트워크, 갇힌 표면, 테렐 회전, 펜로즈 과정 || 1988년 울프상 물리학 부문, 2020년 [[노벨 물리학상]] || ||모턴 브라운 || 1931 ||일반화 쇤플리스 정리 || 1966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 ||미하엘 오제르 라빈 || 1931 ||밀러-라빈 소수판별법, 라빈 암호체계, 아디안-라빈 정리, 확률적 알고리즘, 비결정론적 유한 오토마타 || 1976년 튜링상 || ||브라이언 존 버치 || 1931 ||버치의 정리, 모듈러 기호(Modular symbol), [[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 버치-테이트 추측, 헤그너 점 정의 || || ||해리 케스텐[* Harry Kesten] || 1931 ||종순군(amenable group)에 대한 케스텐 판정법, 케스텐 비율 극한(Kesten's ratio limit) 정리, 무리 회전(irrational rotation)의 불일치에 대한 에르되시와 Szűsz의 추측 해결, 케스텐-스티검(kesten-stigum) 정리, 유한 확산 집합체(Diffusion-limited Aggregation)의 d 차원에서 팔의 성장률이 [math(n^{2/(d+1)})] 보다 클 수 없음을 증명 || || ||고바야시 쇼시치 || 1932 ||고바야시 계량, 고바야시-히친 대응 || || ||얀 미치엘스키 || 1932 ||결정 공리 || || ||잔카를로 로타 || 1932 ||근접대수, 12정도, 로타-백스터 대수, 선형 범함수를 사용하여 음계산법을 엄밀하게 유도 || || ||에드워드 넬슨 || 1932 ||확률적 양자화,내부 집합론 || || ||피에르 에밀 장 카르티에 || 1932 ||카르티에 연산자, 카르티에 인자 || || ||아라키 후지히로 || 1932 ||위그너-아라키-야나세 정리, 아라키-서처 보정, 폰 노이만 대수의 상태의 상대 엔트로피(relative entropy of states of von Neumann algebras) || || ||엘리엇 허셸 리브[* Elliott Hershel Lieb] || 1932 ||리브 추측[* [[https://en.wikipedia.org/wiki/Lieb_conjecture]]], 리브-옥스퍼드 부등식, 템퍼리-리브 대수(Temperley–Lieb algebra), 아라키-리브-티링(Araki–Lieb–Thirring) 부등식, AKLT 모델 외 다수[* 이외에 업적은 [[https://en.wikipedia.org/wiki/Elliott_H._Lieb]]를 참고 바람] ||2022년 가우스상 || ||루이 드브랑주 드 부루시아 || 1932 ||비버바흐 추측 증명(드 브랑주 정리) || 1989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 ||쿠노 로렌츠 || 1932 ||게임 의미론 || || ||하이먼 배스 || 1932 ||스미스 추측 증명, 사영 덮개, 완전 환, 반완전 환, 준반사 가군, 배스-세르 이론, 배스 수 || 1975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 ||케네스 아펠 || 1932 ||[[4색정리]][* 볼프강 하켄과 함께 컴퓨터를 사용하여 증명] || || ||데이나 스콧 || 1932 ||SP 집합론, 스콧 계교(Scott's trick), 스콧-몬터규 의미론, 비결정론적 유한 오토마타, 무한 논리 || 1976년 튜링상 || ||존 그리그스 톰프슨 || 1932 ||파이트-톰프슨 정리, 톰프슨 산재군, 톰프슨 순서 공식, 톰프슨 유일성 정리, 톰프슨 부분군 || 1965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1970년 필즈상, 1992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08년 아벨상 || ||프랑수아 앙글레르 || 1932 ||[[힉스 보손]], 힉스 메커니즘, 힉스 장 || 2004년 울프상 물리학 부문, 2013년 노벨 물리학상 || ||즈보니미르 얀코 || 1932 ||얀코 군 || || ||제럴드 에녹 색스 || 1933 ||색스 강제법, 색스 밀도 정리, 색스 성질 || || ||[[스티븐 와인버그]] || 1933 ||와인버그-위튼 정리, 주스-와인버그 방정식, 와인버그 각 || 1979년 노벨 물리학상, 2021년 브레이크스루상 물리학 부문(특별상) || ||천징룬 || 1933 ||천의 정리, 천 소수 || || ||윌리엄 벨블 모턴 카한 || 1933 ||카한 합계 알고리즘, 데이비스-카한-와인버거 확대(dilation) 정리, [[IEEE 754]] || 1989년 튜링상 || ||다야난드 베르마 || 1933 ||베르마 가군 || || ||프레더릭 저스틴 암그렌 주니어 || 1933 ||암그렌 정규성 정리, 바리폴드, 암그렌-피츠 최소 극대화 이론 || || ||스티븐 호엘 섀뉴얼 || 1933 ||섀뉴얼 추측, 섀뉴얼 보조정리 || || ||타케사키 마사미치 || 1933 ||도미타-타케사키 이론 || || ||피에르 가브리엘 || 1933 ||가브리엘 정리, 화살집(quiver), 가브리엘-로젠버그 재구성 정리, 비가환 기하학, 가브리엘-지스먼 국소화, 가브리엘-포페스쿠 매장 정리 || || ||제프리 골드스톤 || 1933 ||골드스톤 보손, 골드스톤 정리 || || ||볼프강 슈미트 || 1933 ||데이븐포트-슈미트 정리, 부분 공간 정리, log r / log s가 유리수인 경우에만 base r의 모든 정규수(Normal number)가 base s에서 정상(normal)임을 증명 || 1972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 ||리처드 고든 스완 || 1933 ||세르-스완 정리, 스완 표현, 스톨링스-스완 정리 || 1970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 ||로빈 밀너 || 1934 ||Logic for Computable Functions, π-calculus, 힌들리-밀너 유형 체계(type system), calculus of communicating systems || 1991 튜링상 || ||류드비크 드미트리예비치 파데예프 || 1934 ||파데예프-포포프 유령, 파데예프 방정식 || 2008년 쇼상 수학부문 || ||[[폴 코언]][* 현재까지 유일한 수학 기초론 분야 필즈 메달리스트] || 1934 ||[[ZFC 공리계]]와 [[연속체 가설]]의 거짓이 무모순함을 증명, 강제법 || 1964년 보셰 기념상, 1966년 [[필즈상]] || ||잭 에드몬드 || 1934 ||에드몬드-카프 알고리즘, 에드몬드 행렬, 꽃(Blossom) 알고리즘, Polymatroid, 에드몬드 알고리즘, 매트로이드 교차 정리, 갈라이-에드몬드 분해 || || ||로이 패트릭 커 || 1934 ||커 계량, 커-뉴먼 계량, 커 블랙홀 || || ||알베르트 솔로모노비치 시바르츠 || 1934 ||AKSZ 모형, BPST 순간자, 시바르츠형 위상 양자장론 || || ||마이클 아틴 || 1934 ||아틴 스택, 아틴 근사 정리, 아틴 판정법, 아틴-메이저 제타 함수, 아틴-베르디에 쌍대성, 타원 K3 곡면과 유한체 위의 타원 곡선 다발(pencil)에서 테이트-샤파레비치 추측 해결, 아틴-프로세시(Procesi) 정리 || 2013년 울프상 수학 부문 || ||도널드 사무엘 오른스타인 || 1934 ||오른스타인 동형 정리 || 1974년 보셰 기념상 || ||사이먼 베른하르트 코헨 || 1934 ||엑스-코헨 정리, 코헨-스페커 정리, 자유의지 정리 || 1967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 ||이고르 블라디미로비치 기르사노프 || 1934 ||기르사노프 정리 || || ||대니얼 클라이트먼 || 1934 ||그린-클라이트먼 정리 || || ||로드니 마티노 버스톨[* Rodney Martineau "Rod" Burstall] || 1934 ||제도[* [[https://ko.wikipedia.org/wiki/%EC%A0%9C%EB%8F%84_(%EB%85%BC%EB%A6%AC%ED%95%99)]]], NPL[* [[https://en.wikipedia.org/wiki/NPL_(programming_language)]]] || || ||아놀드 쇤하게 || 1934 ||오들리즈코-쇤하게 알고리즘, 쇤하게-스트라센 알고리즘, 원분할 방법 || || ||율리우스 베스 || 1934 ||베스-추미노 모형, 베스-추미노-노비코프-위튼 모형 || || ||아즈리엘 레비 || 1934 ||레비 붕괴, 레비 위계, 붕괴 대수(Collapsing algebra) || || ||하가 카즈오 || 1934 ||하가 정리[* [[https://en.wikipedia.org/wiki/Mathematics_of_paper_folding#Haga's_theorems]]] || || ||리처드 매닝 카프 || 1935 ||에드먼드-카프 알고리즘, 카프의 21가지 NP 완전 문제[* [[https://en.wikipedia.org/wiki/Karp%27s_21_NP-complete_problems]]], 호프크로프트-카프 알고리즘, 카프-립톤 정리, 라빈-카프 알고리즘 || 1985년 튜링상 || ||로널드 브라운 || 1935 ||고차원 대수학(higher-dimensional algebra), 비아벨 대수 위상수학(nonabelian algebraic topology), 자이페르트-판 캄펀 정리를 기본 준군(fundamental groupoid)에 대하여 일반화함 || || ||장루이 베르디에 || 1935 ||아틴-베르디에 쌍대성, 베르디에 쌍대성, 유도 범주, 삼각 분할 범주 || || ||페트르 보펜카 || 1935 ||보펜카 기수, 보펜카 원리, semiset[* [[https://en.wikipedia.org/wiki/Semiset]]], 보펜카 강제법 || || ||블라디미르 이오시포비치 레벤시테인 || 1935 ||레벤시테인 거리, 레벤시테인 코딩, 레벤시테인 자동화 || || ||존 로버트 스톨링스 주니어 || 1935 ||군의 끝에 관한 스톨링스 정리, 6 이상의 차원에서 [[푸앵카레 추측]] 증명[* 4 이상의 차원에서 증명한 스티븐 스메일과는 독자적으로 증명], 스톨링스-지먼 정리, 스톨링스-스완 정리, 스톨링스 올뭉치(fibration) 정리 || 1970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 ||다비드 피에르 뤼엘 || 1935 ||이상한 끌개, 뤼엘 제타 함수, 시나이-뤼엘-보웬 측도, 하크-뤼엘 산란 이론, 깁스 측도 || || ||야코프 그리고리예비치 시나이 || 1935 ||시나이 정리, 시나이 당구, 콜모고로프-시나이 엔트로피, 시나이-뤼엘-보웬 측도, 블레어-시나이 재규격화 이론, 피고로프-시나이 이론 || 1996년~1997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14년 [[아벨상]] || ||힐렐 퓌르스텐베르크[* 힐렐 퓌르스텐베르크의 업적을 소개하는 글[[https://horizon.kias.re.kr/15046/]]] || 1935 ||소수가 무한함을 위상수학으로 증명[* 소수가 무한하다는건 고대부터 알려져 있었지만 퓌르스텐베르크는 위상수학을 이용한 새로운 증명을 보였다], 세메레디 정리를 에르고딕 이론으로 증명을, 에르고딕 램지 이론, 퓌르스텐베르크 경계,퓌르스텐베르크-사르코지 정리, 콤팩트 쌍곡 리만 곡면에서 호로사이클 흐름(horocycle flow)의 고유 에르고딕성 증명, 동역학계의 서로소(Disjointness) || 2006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20년 아벨상 || ||예브게니 솔로모노비치 골로드 || 1935 ||골로드-샤파레비치 정리, 번사이드 문제 || || ||[[로널드 그레이엄]] || 1935 ||그레이엄-로스차일드 정리, [[그레이엄 수]], 그레이엄 스캔, 그레이엄-폴락 정리, 코프먼-그레이엄 알고리즘, 에르되시-그레이엄 문제 || || ||아마리 슌이치 || 1936 ||정보 기하학의 창시자 || || ||장 지로 || 1936 ||지로의 정리, 지로의 공리, 제르브 || || ||로널드 뵤른 젠슨 || 1936 ||NFU[* 새 기초론(New Foundations)에 원초(urelement)의 존재를 허용한 기초론이다.], 젠슨 피복 정리, 젠슨 위계, 수슬린 가설이 일반화 연속체 가설과 독립임을 증명 || 2015년 하우스도르프 메달 || ||볼커 스트라센 || 1936 ||솔로베이-스트라센 소수 판정법, 쇤하게-스트라센 알고리즘 || || ||페르 펠 린드스트롬[* Per "Pelle" Lindström] || 1936 ||린드스트롬 정리, 린드스트롬 양화사 || || ||알렉산드르 알렉산드로비치 키릴로프 || 1936 ||키릴로프 궤도 방법, 키릴로프 모델, 키릴로프 지표 공식 || || ||로버트 윌러비 플로이드 || 1936 ||비결정적 알고리즘을 정의함, 플로이드-워셜 알고리즘, 플로이드-스타인버그 디더링, 플로이드 주기 찾기 알고리즘 || 1978년 튜링상 || ||리처드 에드윈 스턴스 || 1936 ||계산 복잡도 이론, 시간 복잡도와 공간 복잡도를 정의, 시간 계층 정리 || 1993년 튜링상 || ||유디 펄 || 1936 ||베이지안 네트워크, 신뢰전파(Belief Propagation), causal calculus || 2011년 튜링상 || ||로버트 필런 랭글랜즈[* 로버트 랭글랜즈의 업적을 소개하는 글[[https://horizon.kias.re.kr/6772/]]] || 1936 ||랭글랜즈 프로그램, 랭글랜즈 쌍대군, 자케-랭글랜즈 대응, L-패킷 || 1982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1995~1996 울프상 수학 부문, 2007년 쇼상 수학부문, 2018년 아벨상 || ||조람 린덴스트라우스[* 그의 아내 나오미 린덴스트라우스는 이론 컴퓨터 과학자이고 아들 엘론 린덴스트라우스는 2010년에 필즈상을 받았으며 그의 딸 아예렛 린덴스트라우스 또한 수학자이고 가족 모두 수학 리뷰에 논문이 기록 되어있다.] || 1936 ||존슨-린덴스트라우스 보조정리 || || ||프레데릭 윌리엄 갤빈 || 1936 ||디니츠(Dinitz) 추측 증명, 모든 보렐 집합이 램지 속성을 가짐을 증명, 선택 공리가 모든 그래프에 색칠수가 있다는 진술과 동일하다는 것을 보임 || || ||로힛 지반랄 파리크 || 1936 ||파리크 정리, Bounded arithmetic || || ||드미트리 빅토로비치 아노소프 || 1936 ||아노소프 미분동형사상, 아노소프 사상, 아노소프 흐름 || || ||올렉산드르 미콜라요비치 샤르코우스키 || 1936 ||샤르코우스키 정리 || || ||찰스 테런스 클레그 월 || 1936 ||L 이론, 브라우어-월 군 || || ||베른트 피셔 || 1936 ||피셔 군, 괴물 군 || || ||이사야 칸토르 || 1936 ||칸토르-코이쳐-티츠 구성, 칸토르 더블 || || ||나움 주셀레비치 쇼어[* Naum Zuselevich Shor] || 1937 ||타원체 방법(Ellipsoid method), Subgradient method[* [[https://en.wikipedia.org/wiki/Subgradient_method]]] || || ||제임스 버튼 엑스 || 1937 ||엑스-그로텐디크 정리, 엑스-코헨 정리, 형식적 멱급수에 관한 샤누엘 추측 증명 || 1967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 ||아나톨리 알렉세예비치 카라추바 || 1937 ||카라추바 알고리즘, 카라추바 현상[* [[https://en.m.wikipedia.org/wiki/Parity_problem_(sieve_theory)#Karatsuba_phenomenon]]] || ||프랜시스 윌리엄 로비어 || 1937 ||토포스, 로비어 공간, 쉼표 범주, 로비어-티어니 위상, 로비어 이론(Lawvere theory) || || ||유리 이바노비치 마닌 || 1937 ||ADHM 작도, 마닌-드린펠트 정리, 마닌 행렬, 가우스-마닌 접속, 양자 컴퓨터 개념 제안, 디외도네-마닌 분류 정리, 마닌-멈퍼드 추측, CH 유사군 || || ||시드니 리처드 콜먼 || 1937 ||콜먼-맨듈라 정리, 콜먼 정리, 콜먼-와인버그 모형 || || ||찰스 코핀 심스 || 1937 ||히그먼-심스 군, 히그먼-심스 그래프, 리옹 군, 오낸 군, 슈라이어-심스 알고리즘, 심스 추측 || || ||프란시스 부켄하우트 || 1937 ||Buekenhout 기하학, Quadratic set || || ||조지 츠바이크 || 1937 ||[[쿼크]], 연속 웨이블릿 변환 || || ||조나단 라자르 알페린 || 1937 ||알페린-브라우어-고렌스타인 정리 || || ||데이비드 브라이언트 멈퍼드 || 1937 ||기하 불변량 이론, 들리뉴-멈퍼드 스택, 멈퍼드 곡면, 멈퍼드-샤 함수, 안정점, 준안정점, 힐베르트-멈퍼드 판정법, 멈퍼드 콤팩트성 정리, 멈퍼드 소멸 정리, 호록스-멈퍼드 다발, 카스텔누오보-멈퍼드 정규성(regularity), 마닌-멈퍼드 추측 || 1974년 필즈상, 2006년 쇼상 수학부문, 2008년 울프상 수학부문 || ||블라디미르 이고레비치 아르놀트[* 1974년 필즈상 후보에 올랐지만, 소련 정부의 간섭으로 인해 필즈 메달은 철회되었다.] || 1937 ||KAM 정리, 아르놀트 확산, 구드코프 추측, 힐베르트 13번 문제 해결, 아르놀트 스펙트럼 열, 리우빌-아르놀트 정리, 위상 갈루아 이론, 아르놀트-벨트라미-차일드리스 흐름, 아르놀트의 혀 || 2001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08년 쇼상 수학부문 || ||리처드 앨런 헌트 || 1937 ||칼레손-헌트 정리[* 칼레손 정리를 p ∈ (1, ∞)일 때 Lp 함수에 대해서도 성립하는 일반적인 경우로 확장하였다.] || 1968년 살렘상 || ||에르네스트 보리소비치 빈베르크 || 1937 ||코이쳐-빈베르크 정리, 빈베르크 알고리즘 || || ||베리 찰스 메이저 || 1937 ||메이저 꼬임 정리, s-보충 경계 정리, 메이저 다양체, 일반화 쇤플리스 정리, 메이저 제어 정리, 메이저 다양체, 메이저-와일스 정리 || 1966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1982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2022년 천 메달 || ||[[존 호튼 콘웨이]] || 1937 ||가공할 헛소리(Monstrous moonshine), 초현실수[* 바둑을 연구하던 중 영감을 받아 새로운 수의 구성방식을 만든 결과물이 초현실수이다, 도널드 커누스가 쓴 초현실수를 주제로한 단편소설 "Surreal Numbers: How Two Ex-Students Turned on to Pure Mathematics and Found Total Happiness"에서 초현실수라는 명칭이 처음 사용되었다], 콘웨이 다면체 표기법, 콘웨이 군, 마티외 준군, 알렉산더-콘웨이 다항식, 콘웨이 매듭, [[읽고 말하기 수열]], 콘웨이 판정법, 콘웨이 표기법, 자유의지 정리, 유한군의 아틀라스, 이코시안[* [[윌리엄 로원 해밀턴]]이 만든것과는 다름[[https://en.wikipedia.org/wiki/Icosian]]], 15 정리[* [[https://en.wikipedia.org/wiki/15_and_290_theorems]]] || || ||[[도널드 커누스|도널드 어빈 커누스]] || 1938 ||[[커누스 윗화살표 표기법]], 커누스-모리스-프랫 알고리즘, 커누스-벤딕스 완성 알고리즘, 로빈슨-셴스테드-커누스 대응, [[계승(수학)#s-2|상승 계승과 하강 계승]], [[TeX]] || 1974년 튜링상 || ||피셔 셰피 블랙 || 1938 ||[[블랙-숄즈 모형|블랙-숄즈-머튼 모형]], 블랙-숄즈 방정식, 블랙-76 모형, 블랙 근사,블랙-더만-토이 모형, 트레이너-블랙 모형, 블랙-카라신스키 모형, 블랙-리터만 모형 || || ||이아니스 니콜라스 모스코바키스[* Yiannis Nicholas Moschovakis] || 1938 ||모스코바키스 코딩 보조정리, 효과적인 기술적 집합론(Effective descriptive set theory) || || ||존 마이클 보드먼 || 1938 ||오퍼라드, 준 범주(Quasi-category) || || ||윌리엄 버나드 레이몬드 리코리쉬[* William Bernard Raymond Lickorish] || 1938 ||리코리쉬-월리스 정리 || || ||로비언 크롬웰 커비 || 1938 ||커비 계산, Torus trick, 커비-시벤만 클레스, 이국적 R4 발견, 커비 다이어그램 || 1971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 ||세르게이 페트로비치 노비코프 || 1938 ||유리 폰트랴긴 특성류가 위상 불변량임을 증명, 애덤스 스펙트럼 열을 일반화(애덤스-노비코프 스펙트럼 열), 노비코프 환, 노비코프-슈빈 불변량, 노비코프 추측, 크리치에버(Krichever)-노비코프 대수, 모스-노비코프 이론, 노비코프-베젤로프 방정식, 베스-추미노-노비코프-위튼 모형 || 1970년 필즈상, 2005년 울프상 수학 부문 || ||제임스 해리스 사이먼스[* 르네상스 테크놀로지라는 헤지 펀드 회사를 설립했고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수학자이다, 그의 자산은 약 125억 달러(약 12조 원)에 이른다] || 1938 ||천-사이먼스 이론 || 1976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 ||매뉴얼 블럼 || 1938 ||블럼의 복잡도 공리, 블럼의 속도 향상 정리, 블럼-골드바서 암호체계 || 1995년 튜링상 || ||데틀레프 그로몰 || 1938 ||분할(Splitting) 정리, 영혼 정리, 영혼 추측 || || ||브래들리 에프론 || 1938 ||부트스트래핑(통계학) || 2019년 국제 통계학상 || ||미셸 레노 || 1938 ||마닌-멈퍼드 추측 증명, 아비안카(abhyankar)추측 증명, 레노 아이소제니 정리 || 1995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 ||디트리히 브라에스 || 1938 ||[[브라에스 역설]] || || ||알렉산더 조엘 초린 || 1938 ||투영법[* [[https://en.wikipedia.org/wiki/Projection_method_(fluid_dynamics)]]], 무작위 소용돌이 방법(Random Vortex Method), 인공 압축률 방법(Artificial Compressibility Method), Implicit 샘플링 || || ||필립 오거스터스 그리피스 4세 || 1938 ||그리피스 횡단성(transversality), 일반적으로 삼차 삼차원 다양체(cubic three-fold)가 유리 다양체(rational variety)가 아님을 증명, 호지 구조의 변동(variation of Hodge structure) 도입, 그리피스 유수 정리 || 2008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14년 천 메달 || ||마리나 에브시브나 래트너 || 1938 ||래트너의 정리 || 1993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 ||피터 폴 니콜라스 올리크 || 1938 ||올리크-솔로몬 대수, 초평면 배열의 선구자 || || ||조지 닐 로버트슨 || 1938 ||로버트슨-시모어 정리, 로버트슨 그래프, 강한 완벽 그래프 추측 증명 || || ||알프레드 워싱턴 헤일스 || 1938 ||헤일스-주에트 정리 || || ||로버트 마틴 솔로베이 || 1938 ||솔로베이 정리, 솔로베이-스트라센 소수판별법, 반복 강제법, 마틴 공리, 증명 가능성 논리(Provability logic) || || ||프리트헬름 발트하우젠 || 1938 ||order가 2인 미분동형사상의 특수한 경우에 대해서 스미스 추측을 증명, 발트하우젠 범주, 발트하우젠 S-구성, 발트하우젠 정리 || || ||게오르기 페트로비치 에고리체프 || 1938 ||판데르바르던 추측 증명 || || ||난바 칸지[* Kanji Namba] || 1939 ||난바 강제법 || || ||바실리 이소코프스키[* Vasily Iskovskikh] || 1939 ||3차원 매끄러운 파노공간의 17가지 기본형 분류, 3차원 4차 초곡면의 비유리성 증명 || || ||레이몬드 라이터 || 1939 ||비단조 논리(Non-monotonic logic), 기본 논리(Default logic)[* [[https://en.wikipedia.org/wiki/Default_logic]]], 닫힌 세계 가정[* [[https://en.wikipedia.org/wiki/Closed-world_assumption]]], 상황 계산(Situation calculus)[* [[https://en.wikipedia.org/wiki/Situation_calculus]]] || || ||이브 메예르[* 이브 메예르의 업적을 소개한 글[[https://horizon.kias.re.kr/5586/]]] || 1939 ||다중 해상도 분석, 메예르 집합, 메예르 웨이블릿, harmonious 집합 || 1970년 살렘상, 2010년 가우스상, 2017년 아벨상 || ||해롤드 미드 스타크 || 1939 ||스타크-헤그너 정리, 가우스 유수 문제 || || ||[[앨런 베이커]] || 1939 ||[[초월수]]론의 대가, 베이커 정리, 가우스 유수 문제 || 1970년 [[필즈상]] || ||윌리엄 에드거 풀턴[* William Edgar Fulton]|| 1939 ||풀턴-한센 연결성 정리[* [[https://en.wikipedia.org/wiki/Fulton%E2%80%93Hansen_connectedness_theorem]]] || || ||존 피터 메이 || 1939 ||메이 스펙트럼 열, 오퍼라드 || || ||존 에드워드 호프크로프트 || 1939 ||호프크로프트-카프 알고리즘, 선형시간 평면성 테스트 알고리즘 || 1986년 튜링상 || ||스티븐 아서 쿡 || 1939 ||NP-완전 개념 제시, 쿡-레빈 정리, [[P-NP 문제]], 증명 복잡도 이론 || 1982년 튜링상 || ||장루이 크리빈 || 1939 ||바나흐 공간 이론에 초곱을 도입(Ultraproduct), stable Banach spaces 도입, 크리빈 머신 || || ||로랑 칼 시벤만 || 1939 ||커비-시벤만 클레스 || || ||에르브 자케 || 1939 ||자케-랭글랜즈 대응, 자케 가군 || || ||로버트 리시 || 1939 ||[[리시 방법]] || || ||윌리엄 넬슨 라인하르트 || 1939 ||라인하르트 기수[* [[https://en.wikipedia.org/wiki/Reinhardt_cardinal]]] || || ||스리니바사 바라단 || 1940 ||큰 편차 이론(Large deviations theory), 바라단 보조정리, 위너 소시지, 스트록-바라단 받침(Support) 정리 || 2007년 아벨상 || ||미겔 안헬 비라소로 || 1940 ||비라소로 대수 || || ||레너드 서스킨드 || 1940 ||[[끈 이론]] 창시, 홀로그래피 원리를 끈 이론에서 정의, 끈 이론 풍경, ER=EPR, RST 모델, 서스킨드-글로그아워 연산자 || || ||[[킵 손|킵 스티븐 손]] || 1940 ||[[중력파]] 관측, [[블랙홀 정보 역설]], 후프 추측 || 2016년 브레이크스루상 물리학 부문(특별상), 2016년 쇼상 천문학 부문, 2017년 노벨 물리학상 || ||니콜라스 테오도르 바로풀로스[* Nicholas Theodore Varopoulos] || 1940 ||바로풀로스 정리 || 1968년 살렘상 || ||대니얼 그레이 퀼런 || 1940 ||퀼런 플러스 구성, 퀼런 Q 구성, 퀼런 완전 범주, 유리수 호모토피 이론, 모형 범주, 애덤스 추측 증명, 세르 추측 증명(퀼런-수슬린 정리) || 1975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1978년 필즈상 || ||윌리엄 하워드 버스 자코 || 1940 ||JSJ 분해(toral 분해) || || ||세메레디 엔드레 || 1940 ||세메레디 정리, 세메레디 정규성 보조정리, 에르되시-세메레디 정리, 하즈날-세메레디 정리, 세메레디-트로터 정리 || 2012년 아벨상 || ||조지 스티븐 불로스 || 1940 ||증명 가능성 논리(Provability logic), S(불로스가 제시한 공리적 집합론), [[가장 어려운 논리 퍼즐]] || || ||스틸리아노스 피초리데스[* Stylianos Pichorides] || 1940 ||지수 합에 관한 리틀우드의 추측을 증명에 기여 || 1980년 살렘상 || ||플로리스 타켄스[* Floris Takens] || 1940 ||이상한 끌개, 타켄스의 정리[* [[https://en.wikipedia.org/wiki/Takens%27s_theorem]]], 보그다노프-타켄스 분기(Bogdanov–Takens bifurcation) || || ||[[솔 크립키]] || 1940 ||KP 집합론, 크립키 구조, 가능세계론, 크립키-주얄 의미론 || || ||엔리코 봄비에리 || 1940 ||번스타인 문제가 8차원 까지만 참이 됨을 증명, 봄비에리-비노그라도프 정리, 봄비에리 부등식, 봄비에리 노름, 점근 체(asymptotic sieve) || 1974년 필즈상 || ||한스 폴커 니마이어 || 1940 ||니마이어 격자 || || ||도널드 앤서니 마틴 || 1940 ||마틴 공리, 마틴 측도, 모든 보렐 집합이 결정 집합임을 증명, 큰 기수 공리를 이용하여 사영 결정(projective determinacy)을 증명 || 1988년 카프상 || ||나시르 아메드 || 1940 ||이산 코사인 변환, 이산 사인 변환 || || === 1941 ~ 1950년 출생 === ||'''{{{#white 이름}}}''' || '''{{{#white 출생 년도}}}''' ||'''{{{#white 주요 업적}}}''' ||'''{{{#white 주요 수상 내역}}}'''[* [[필즈상]], [[아벨상]], [[울프상]], [[노벨상]], [[튜링상]], [[가우스상]], [[천 메달]], IMU 주판 메달, 쇼상, 브레이크스루 상,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보셰 기념상, 오스트로우스키(Ostrowski) 상, 국제 통계학상, 살렘상, 페르마상, 카프(Karp)상, 하우스도르프 메달, 클레이 연구상] || ||단 셰흐트만 || 1941 ||[[결정(과학)|준결정]]의 발견 || 1999년 울프상 물리학 부문, 2011년 노벨 화학상 || ||레슬리 램포트 || 1941 ||램포트 서명, 비잔티움 장군 문제, 챈디-램포트 알고리즘, 팩소스 알고리즘, 원자적 레지스터 계층 || 2013년 튜링상 || ||데니스 설리번 || 1941 ||설리번 대수, 유리수 호모토피 이론, 위상 공간 국소화, 페리-설리번 불변량 || 1971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2010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22년 아벨상 || ||마이클 빅터 베리 || 1941 ||[[섭동 이론|기하학적 위상(geometric phase)]][* 베리 위상(Berry phase)이라고도 부른다.] || 1998년 울프상 물리학 부문 || ||클라우디로 프로세시[* Claudio Procesi] || 1941 ||호지 대수, 데 콘치니-프로세시 콤팩트화, 헤센베르크 다양체, 아틴-프로세시 정리 || || ||앨드리지 나이트 바우스필드 || 1941 ||바우스필드 국소화 || || ||바스 반 프라센 || 1941 ||초평가주의(Supervaluations)[* [[https://en.wikipedia.org/wiki/Supervaluationism]]], 굿맨-응우옌-반 프라센 대수, 반 프라센 반사 원리 || || ||아미르 프누엘리 || 1941 ||선형 시제 논리 || 1996년 튜링상 || ||조셉 아마디 고겐[* Joseph Amadee Goguen] || 1941 ||고겐 범주(Goguen categories), 제도(institution)[* [[https://ko.wikipedia.org/wiki/%EC%A0%9C%EB%8F%84_(%EB%85%BC%EB%A6%AC%ED%95%99)]]], OBJ[* [[https://en.wikipedia.org/wiki/OBJ_(programming_language)]]], 숨겨진 대수(Hidden algebra)[* [[https://en.wikipedia.org/wiki/Hidden_algebra]]] || || ||로날드 라파엘 코이프만[* Ronald Raphael Coifman] || 1941 ||순수 및 응용 조화 해석학에 대한 기여[* Calderon-Zygmund theory and multilinear operato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Analyse harmonique non-commutative sur certains espaces homogènes. É́tude de certaines intégrales singulières. Springer-Verlag 1971.][* Representation theorems for holomorphic and harmonic functions in Lp, Paris, SMF, 1980][* Au delas des operateurs pseudo-differentiels, SMF, Asterisque 1978] || || ||마이런 새뮤얼 숄즈 || 1941 ||[[블랙-숄즈 모형|블랙-숄즈-머튼 모형]], 블랙-숄즈 방정식 || 1997년 노벨 경제학상 || ||칼 그루스 조쿠시[* Carl Groos Jockusch Jr.] || 1941 ||낮은 기저 정리(Low basis theorem), 조쿠시-소아르(Jockusch–Soare) 강제법 || || ||세르게이 빅토로비치 보츠카레프[* Sergei Viktorovich Bochkarev] || 1941 ||유계 변동 함수의 푸리에 급수의 절대 수렴에 대한 지그문트 문제해결, 쌍직교계(biorthogonal system)에 대한 콜모고로프 정리의 일반화, 직교기저 이론의 평균화 방법 || 1977년 살렘상 || ||브루스 리 로스차일드 || 1941 ||그레이엄-로스차일드 정리, [[그레이엄 수]] || || ||윌리엄 베크너 || 1941 ||바벤코-베크너 부등식, 엔트로피 불확정성(Entropic uncertainty)에 관한 허시만(Hirschman)의 추측 증명 || 1975년 살렘상 || ||데이비드 켈로그 루이스 || 1941 ||가능세계론, 공통지식(Common knowledge), 램지-루이스 방법, 루이스 신호 게임 || || ||존 벤자민 프리들렌더 || 1941 ||무한히 많은 [math(a^2 + b^4)] 형식의 소수가 있음을 증명(프리드렌더-이와니에크 정리) || || ||피터 헨리 조지 악첼[* Peter Henry George Aczel] || 1941 ||악첼의 반기초 공리[* [[https://en.wikipedia.org/wiki/Aczel%27s_anti-foundation_axiom]]], 프레게 구조, 초집합론(Hyper set Theory)[* [[http://tinf2.vub.ac.be/~dvermeir/mirrors/www.cs.bilkent.edu.tr/%257Eakman/jour-papers/air/node8.html]]] || || ||존 헨리 슈워츠 || 1941 ||그린-슈워츠 메커니즘, GS 포멀리즘, RNS 포멀리즘, 느뵈-슈워츠 대수 || 2014년 브레이크스루상 물리학 부문 || ||로버트 본 무디 || 1941 ||카츠-무디 대수 || || ||그레임 브라이스 시걸 || 1941 ||시걸 추측, 아티야-시걸 완비화 정리, 아티야-시걸 공리 || || ||하라다 코이치로 || 1941 ||하라다-노턴 군, 고렌스타인-하라다 정리 || || ||제프리 엘리스 맨듈라 || 1941 ||콜먼-맨듈라 정리 || || ||벤자민 와이스 || 1941 ||유한 위상 엔트로피를 가진 계(system)는 평균 차원(mean dimension)이 0임을 증명, sofic subshifts, 도로 색칠 추측(road coloring conjecture), Small sets || || ||이둔 라이텐[* Idun Reiten] || 1942 ||오슬랜더-라이텐 이론 || || ||로베르토 다니엘 페체이 || 1942 ||페체이-퀸 이론 || || ||[[스티븐 윌리엄 호킹]] || 1942 ||[[호킹 복사]], 펜로즈-호킹 특이점 정리, 기번스-호킹 가설 풀이, 기번스-호킹-요크 항, 하틀-호킹 상태, 기번스-호킹 공간, [[블랙홀 정보 역설]] || 1988년 울프상 물리학 부문, 2013년 브레이크스루상 물리학 부문(특별상) || ||입 헤닝 마센[* Ib Henning Madsen] || 1942 ||안정 사상류군의 코호몰로지에 대한 멈퍼드 추측 증명 || 2011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 ||잭 하워드 실버 || 1942 ||실버 정리, 창의 추측(Chang's conjecture)의 일관성 증명, 실버 강제법, 실버 기계[* [[https://en.wikipedia.org/wiki/Silver_machine]]], 0#[* [[https://en.wikipedia.org/wiki/Zero_sharp]]]를 발견, 기수 k가 비가산 공종도를 가진 특이 무한 기수 λ <κ에 대해 2λ = λ +이면 2κ = κ +임을 증명 || || ||스탠리 조엘 오셔 || 1942 ||ENO 방법, WENO 방법, 레벨 집합 방법 || 2014년 가우스상 || ||펄 에릭 루트거 마틴뢰프 || 1942 ||마틴뢰프 유형 이론, 마틴뢰프 무작위성 || || ||닐 시드니 트루딩거 || 1942 ||트루딩거-모저 부등식, 야마베 문제 || || ||케네스 존 바와이즈[* Kenneth Jon Barwise] || 1942 ||추상 모형이론(Abstract model theory)의 공리화[* [[https://en.wikipedia.org/wiki/Abstract_model_theory]]], 거지말쟁이 역설에 관한 해법을 제시[* [[https://en.wikipedia.org/wiki/Liar_paradox#Jon_Barwise_and_John_Etchemendy]]] || || ||라이너 보그트[* Rainer M. Vogt] || 1942 ||오퍼라드, 준 범주(Quasi-category) || || ||[[카렌 울렌벡]][* 여성 최초 아벨상 수상자] || 1942 ||도널드슨-울렌벡-야우 정리, 2차원 조화 사상의 거품화(bubbling), 국소 쿨롱 게이지의 존재와 양-밀스 방정식이 타원형 방정식임을 보임, 4차원의 고립된 특이점이 거품화될 수 없음을 보임 || 2019년 [[아벨상]] || ||알렉산드르 아브라모비치 벨라빈 || 1942 ||등각 장론, BPST 순간자, 벨라빈-니즈닉 정리 || || ||브루노 부흐베르거 || 1942 ||그뢰브너 기저, 부흐베르거 알고리즘 || || ||마이클 로버트 허먼 || 1942 ||허먼 환(Herman ring), M이 부드럽고 닫힌 유향 다양체인 경우 방향을 보존하는 미분동형사상 군의 Identity component는 단순군이다는 스메일의 추측을 증명 || 1976년 살렘상 || ||라요스 스칠라시[* Szilassi Lajos] || 1942 ||스칠라시 다면체 || || ||크리스핀 제임스 거스 라이트 || 1942 ||신논리주의(Neo-logicism) || || ||윌리엄 조셉 하부쉬[* William Joseph Haboush] || 1942 ||하부쉬 정리[* [[https://en.wikipedia.org/wiki/Haboush%27s_theorem]]] || || ||피에르 라몽 || 1943 ||라몽 대수, RNS 포멀리즘, 라몽-라몽 장, 라몽 경계조건 || || ||월터 존 새비치[* Walter John Savitch] || 1943 ||새비치 정리, NL(Nondeterministic Logarithmic-space)을 정의함 || || ||앙드레 주얄 || 1943 ||크립키-주얄 의미론, Combinatorial species || || ||시우얌통 || 1943 ||표준환의 유한 생성성 증명 || || ||헬렌 로다 아놀드 퀸 || 1943 ||페체이-퀸 이론 || || ||윌프리드 슈미트 || 1943 ||이산급수에 대한 랭글랜즈 추측 증명, 블래트너(Blattner) 추측 증명 || || ||멜빈 혹스터 || 1943 ||혹스터-로버트 정리, [[가환대수에서의 호몰로지 추측]], Tight closure || 1980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 ||허버트 케네스 쿠넌 || 1943 ||거대 기수(Huge cardinal), 쿠넌 비일관성(inconsistency) 정리 || || ||마이클 오낸 || 1943 ||오낸 군, 오낸-스콧 정리 || || ||임레 사이먼 || 1943 ||열대 기하학(Tropical geometry)[* 열대 기하학의 창시자인 임레 사이먼의 국적이 브라질이라서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다.] || || ||낸 멕켄지 레어드 || 1943 ||기대값 최대화 알고리즘, 데르시모니안-레어드(DerSimonian-Laird) 추정량 || 2021년 국제 통계학상 || ||로버트 스티븐 스트리차츠[* Robert Stephen Strichartz] || 1943 ||스트리차츠 추정[* [[https://en.wikipedia.org/wiki/Strichartz_estimate]]] || || ||제프 치거 || 1943 ||치거 상수, 영혼 정리, 분할(Splitting) 정리, 영혼 추측, 치거 부등식 || 2001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2021년 쇼상 수학부문 || ||빅토르 게르셰비치 카츠 || 1943 ||카츠-무디 대수 || || ||도널드 브루스 루빈 || 1943 ||루빈 인과 모델(Rubin causal model), 기댓값 최대화 알고리즘 || || ||미하일 레오니도비치 그로모프 || 1943 ||사교 위상수학, 그로모프 조임 불가능성 정리, 쌍곡군, 유사정칙곡선, 그로모프 경계, 그로모프 부등식, 그로모프-하우스도르프 수렴, 그로모프 컴팩트 정리, 그로모프-위튼 불변량, Pseudoholomorphic curve, 호모토피 원리(Homotopy principle), 평균 차원(Mean dimension), 소픽군(Sofic group)[* sofic은 히브리어 סופי 에서 왔으며 의미는 "유한"이다] || 1981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1993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09년 [[아벨상]] || ||리처드 스트라이트 해밀턴 || 1943 ||야마베 흐름, 리치 흐름[* 푸앵카레 추측을 증명하는데 사용되었다], 게이지-해밀턴-그레이슨 정리, 얼-해밀턴 고정점 정리 || 1996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2003년 클레이 연구상, 2011년 쇼상 수학부문 || ||앤드루 존 캐슨 || 1943 ||캐슨 불변량, 캐슨 핸들 || 1991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 ||찰스 헨리 베넷 || 1943 ||양자 키 분배(BB84 프로토콜), 양자 정보에 관한 베넷의 네가지 규칙[* [[https://en.wikipedia.org/wiki/Bennett%27s_laws]]], 양자 순간이동(Quantum teleportation), Logical depth[* [[https://en.wikipedia.org/wiki/Logical_depth]]], [[맥스웰의 악마]][* 1960년 롤프 란다우어는 어떠한 측정 방법에 있어 만약 그 측정 방법이 열역학적으로 가역적인 방법이라면 열역학적 엔트로피의 증가가 필요하지 않음을 알았다. 이것은 또한, 열역학적 엔트로피와 정보 엔트로피 사이의 관계로 인해, 기록된 측정은 지워져선 안 됨을 뜻한다. 다른 말로 하면 문의 어느 쪽에 분자가 있어야 하는지 결정하기 위해, 맥스웰의 악마는 분자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해야 된다는 뜻이다. 그러나 찰스 헨리 베넷은 맥스웰의 악마의 정보 저장공간은 꽉 찰 것이고 전에 모았던 정보를 지우기 시작해야만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정보를 지운다는 것은 열역학적으로 비가역적인 과정이고 계의 엔트로피를 증가시킨다.] || 2018년 울프상 물리학 부문, 2023년 브레이크스루상 물리학 부문|| ||윌리엄 존 미첼 || 1943 ||미첼 순서 || || ||아브라함 나우모비치 트라트만[* Avraham Naumovich Trahtman] || 1944 ||도로 색칠 추측 증명, 6보다 작은 차수의 모든 반군이 유한 기저임을 증명 || || ||아드리안 리처드 데이비드 마티아스 || 1944 ||마티아스 강제법 || || ||장 마크 폰테인 || 1944 ||p진 호지 이론, 폰테인-마주르 추측, 폰테인 주기 환, logarithmic geometry(가토 카즈야, 뤼크 일뤼지와 함께 창시자 중 한 명) || || ||마이클 애쉬바처 || 1944 ||Thin 군의 분류, quasithin 군의 분류 || 1980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2012년 울프상 수학 부문 || ||카렐 리보 프리크리[* Karel Libor Prikry] || 1944 ||프리크리 강제법(Prikry forcing) || || ||제임스 그리그 아서 || 1944 ||아서-셀베르그 대각합 공식(Arthur–Selberg trace formula), 아서 추측, 아서 패킷(Arthur packet) || 2015년 울프상 수학 부문 || ||로버트 던컨 맥퍼슨 || 1944 ||교차 코호몰로지 || || ||[[게르하르트 프라이]] || 1944 ||프라이 곡선,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해결에 도움(엡실론 추측), trace zero varieties || || ||베일리 휫필드 휘트 디피 || 1944 ||디피-헬먼 키 교환 || 2015년 튜링상 || ||리처드 피터 스탠리 || 1944 ||스탠리 분해, 스탠리 상호 정리(Stanley's reciprocity theorem), Order polynomial[* [[https://en.wikipedia.org/wiki/Order_polynomial]]], 일반 단순 구(general simplicial spheres)에서 g-추측을 증명 || || ||이바르 에클랑 || 1944 ||Symplectic capacities 도입, 에클랑 변분원리 || || ||로버트 콕스 머튼 || 1944 ||블랙-숄즈-머튼 모형, 머튼 모형, 머튼 포토폴리오 문제, 점프 확산(Jump diffusion) || 1997년 노벨 경제학상 || ||휴 로웰 몽고메리 || 1944 ||몽고메리-오들리즈코 법칙 || 1974년 살렘상 || ||레오니드 니소노비치 바세르스타인[* Leonid Nisonovich Vaserstein]|| 1944 ||바세르스타인 계량(Wasserstein metric) || || ||피에르 르네 들리뉴 || 1944 ||베유 추측 증명, 절대 호지 사이클 정의, 들리뉴-베일린손 코호몰로지, 들리뉴-루스티그 이론, 들리뉴-멈퍼드 스택, 푸리에-들리뉴 변환, 들리뉴 추측, 랭글랜즈-들리뉴 국소 상수 || 1978년 필즈상, 2008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13년 아벨상 || ||앨런 에드워드 해처[* A. Hatcher. Algebraic Topology라는 대수위상수학 교재의 저자이다.] || 1944 ||스메일 추측 증명, end-incompressibility 발명, 모든 비압축성 곡면을 원위에 뚫린 토러스 번들(punctured-torus bundles over the circle)로 분류 || || ||제프 패리스 || 1944 ||패리스-해링턴 정리, 커비-패리스 정리 || || ||미첼 파이겐바움 || 1944 ||[[파이겐바움 상수]], 파이겐바움 함수 || 1986년 울프상 물리학 부문 || ||리처드 닐 라이언스 || 1945 ||라이언스 군 || || ||조셉 번스타인 || 1945 ||번스타인-사토 다항식, 카즈단-루스티그 추측 증명, 얀첸 추측 증명, D-모듈 || || ||아루나스 루드발리스 || 1945 ||루드발리스 군 || || ||에브게니 미하일로비치 니키신[* Evgenii Mikhailovich Nikishin] || 1945 ||니키신-스타인 분해(factorization) 정리, 니키신 시스템 || 1973년 살렘상 || ||사하론 셸라흐 || 1945 ||화이트헤드 문제가 ZFC 공리계와 독립임을 증명, 가능 공종도(possible cofinalities), 몰리의 문제 해결, 사우어-셸라흐 보조정리, 셸라흐 기수, 적절한 강제법 공리, Superstable theories || 1983년 카프상, 2001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17년 하우스도르프 메달 || ||레온 멜빈 사이먼 || 1945 ||변분 문제의 해결을 위한 singular sets의 구조를 이해하는데 공헌함[* Asymptotics for a class of nonlinear evolution equations, with applications to geometric problems. Ann. of Math. (2) 118 (1983), no. 3, 525–571.][* Cylindrical tangent cones and the singular set of minimal submanifolds. J. Diff. Geom. 38 (1993), no. 3, 585–652.][* Rectifiability of the singular set of energy minimizing maps. Calc. Var.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3 (1995), no. 1, 1–65.] || 1994년 보셰 기념상 || ||에드먼드 멜슨 클라크 주니어 || 1945 ||계산 트리 논리, Model Checking || 2007년 튜링상 || ||[[이언 스튜어트]][* [[플랫랜드]]의 후속작이라고 할 수 있는 [[flatterland|플래터랜드]]를 쓰기도하였다] || 1945 ||여러 유명 대중 수학서를 집필 || || ||알렉산드르 마르코비치 폴랴코프 || 1945 ||BPST 순간자, 등각 장론, 폴랴코프 경로 적분, 벨라빈-폴랴코프-자몰롯치코프 방정식 || 2013년 브레이크스루상 물리학 부문 || ||마틴 에드워드 헬먼 || 1945 ||디피-헬먼 키 교환 || 2015년 튜링상 || ||로버트 루이스 그리스 주니어 || 1945 ||괴물 군, 그리스 대수, 길만-그리스 정리 || || ||레너드 애들먼 || 1945 ||[[RSA 암호]], 애들먼-포메란스-루멜리 소수판별법, DNA 컴퓨팅 분야 시작 || 2002년 튜링상 || ||이매뉴얼 더만 || 1945 ||블랙-더만-토이 모형 || || ||앨러스터 이안 펜톤 우르크하트[* Alasdair Ian Fenton Urquhart] || 1945 ||관련성 논리(Relevance logic) R의 결정 가능하지 않음을 증명[* "The Undecidability of Entailment and Relevant Implication." Journal of Symbolic Logic 49(4): 1059–1073 (1984).] || || ||마틴 리베 || 1945 ||균등 위상동형인 바나흐 공간이 균등 선형 동형인 유한차원 부분공간을 가지고 있음을 증명, 리베(Ribe) 프로그램 || || ||고드프리 피터 스콧 || 1945 ||스콧 핵(Scott Core) 정리 || || ||카메론 고든 || 1945 ||순환 수술(Cyclic surgery) 정리, 캐슨-고든 불변량, 고든-루케 정리 || || ||장루이 로데 || 1946 ||진비엘 대수, 라이프니츠 대수 || || ||메나헴 마기도르 || 1946 ||마기도르 강제법, 마틴 최대 공리, 가장 작은 강콤팩트 기수가 가장 작은 가측 기수 또는 가장 작은 초콤팩트 기수와 같을 수 있음을 증명 || || ||토마스 윌리엄 쾨르너[* Thomas William Körner] || 1946 ||크로네커, 디리클레, 헬슨 집합에 대한 일부 결과[* "Some results on Kronecker, Dirichlet and Helson sets." Annales de l'institut Fourier 20.2 (1970): 219-324.] || 1972년 살렘상 || ||그리고리 알렉산드로비치 마르굴리스[* 그리고리 마르굴리스의 업적을 소개한 글[[https://horizon.kias.re.kr/16505/]]] || 1946 ||균질 동역학, 카즈단-마르굴리스 정리, 초강체(superrigidity) 정리, 오펜하임 가설 증명, 마르굴리스-개버-갈릴 Expander graph 구성, 보웬-마르굴리스 측도 || 1978년 필즈상, 2005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20년 아벨상 || ||존 윌러드 모건 || 1946 ||톰 추측 증명[* 토머스 므로카, 피터 크론하이머와는 별개로 증명], 스미스 추측 증명 || || ||루디 러커[* 공상 과학 소설 작가로도 유명하며 알레프 수를 주제로한 단편 소설 "White Light"[[https://en.wikipedia.org/wiki/White_Light_(novel)]]가 유명하다][*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의 증증증 손자이다] || 1946 ||Pocket set theory || || ||알렉산더 소티리오스 케크리스 || 1946 ||보렐 동치 관계에 난류 이론을 사용 || 2003년 카프상 || ||배리 사이먼 || 1946 ||사이먼의 문제[* [[https://de.wikipedia.org/wiki/Simon-Probleme]]], 수리 물리학과 해석학 분야에 폭 넓은 연구[* Resonances in n-body quantum systems with dilatation analytic potentials and the foundations of time-dependent perturbation theory, Annals of Mathematics 97 (1973), 247–274][* The P(φ)2 quantum theory as classical statistical mechanics, Annals of Mathematics 101 (1975), 111–259][* Spectral analysis of multiparticle Schrödinger operators, Annals of Mathematics 114 (1981), 519–567][* Semiclassical analysis of low lying eigenvalues, II. Tunneling, Annals of Mathematics 120 (1984), 89–118][* Operators with singular continuous spectrum: I. General operators, Annals of Mathematics 141 (1995), 131–145] || || ||레오 안토니 해링턴 || 1946 ||패리스-해링턴 정리 || || ||조지 루스티그 || 1946 ||들리뉴-루스티그 이론, 카즈단-루스티그 다항식, 카즈단-루스티그 추측, 결정기저, 루스티그 추측 || 1985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2014년 쇼상 수학부문, 2022년 울프상 수학 부문 || ||마이클 보리스 그린 || 1946 ||그린-슈워츠 메커니즘, GS 포멀리즘 || 2014년 브레이크스루상 물리학 부문 || ||데이비드 카즈단 || 1946 ||카즈단-루스티그 다항식, 카즈단-루스티그 추측, 카즈단-마르굴리스 정리, 카즈단의 속성 T || 2020년 쇼상 수학부문 || ||헤라르뒤스 엇호프트 || 1946 ||차원 조절, 변칙 일치 조건, 엇호프트 연산자, 엇호프트 기호, 홀로그래피 원리 || 1981년 울프상 물리학 부문, 1999년 노벨 물리학상 || ||피터 샬렌 || 1946 ||JSJ 분해(toral 분해), 순환 수술(Cyclic surgery) 정리 || || ||나이절 제임스 히친 || 1946 ||히친 계, ADHM 작도, 일반화 복소 다양체, 힉스 다발 || 2016년 쇼상 수학부문 || ||리처드 아놀드 쇼어 || 1946 ||로저스의 동질성 추측[*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11543/]]]을 반박, 튜링 점프(Turing jump)가 튜링 차수(Turing degree)에서 정의 가능함을 증명 || || ||앙드레 느뵈 || 1946 ||RNS 포멀리즘, 느뵈-슈워츠 대수, 그로스-느뵈 모델 || || ||리처드 제이 립톤 || 1946 ||카프-립톤 정리, 평면 분리기(Planar separator) 정리 || || ||윌리엄 서스턴 || 1946 ||서스턴 기하화 추측, 닐센-서스턴 분류, 예르겐센-서스턴 정리, 오비폴드, 밀너-서스턴 반죽 이론, 이중 극한 정리(Double limit theorem), 쌍곡 덴 수술 정리, 서스턴 지진 정리[* [[https://en.wikipedia.org/wiki/Earthquake_map]]], Ending lamination 정리[* [[https://en.wikipedia.org/wiki/Ending_lamination_theorem]]] || 1976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1982년 필즈상 || ||글렌 쉐퍼 || 1946 ||뎀스터-쉐퍼(Dempster–Shafer) 이론 || || ||유리 발렌티노비치 네스테렌코[* Yuri Valentinovich Nesterenko] || 1946 ||π, e^π, Γ(1/4)[* [[감마 함수]]], e^π√3, Γ(1/3)는 Q에 대해 대수적 독립임을 증명하고 또한 Q에 대해 e^π√n (n은 양의 정수)이 대수적 독립임을 증명함 || 1997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 ||야코프 엘리아시베르크 || 1946 ||엘리아시베그크-그로모프 정리, 접촉 기하학, 사교 장론(Symplectic Field Theory), 3차원 구의 접촉 구조(contact structures) 분류, 호모토피 원리(Homotopy principle), 3차원 다양체의 overtwisted contact structures의 분류 || 2001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2020년 울프상 수학 부문 || ||앤드루 치치 야오 || 1946 ||야오의 원리, 야오 그래프, 돌레프-야오 모델, 야오 테스트 || 2000년 튜링상 || ||조셉 시파키스 || 1946 ||Model checking || 2007년 튜링상 || ||알렉산더 르보비치 로젠버그 || 1946 ||가브리엘-로젠버그 재구성 정리, 비가환 기하학 || || ||마이클 필딩 반즐리 || 1946 ||프랙탈 압축(fractal compression), 프랙탈 변환(Fractal transform), 콜라주 정리, 반즐리 고사리(Barnsley fern) || || ||데이비드 프레이스[* David Preiss] || 1947 ||프레이스 정리, 분리 가능한 쌍대를 가진 바나흐 공간의 모든 립시츠 함수는 조밀 집합에서 프레셰 미분 가능함을 증명 || 2011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 ||도리안 모리스 골드펠드 || 1947 ||허수 이차 수체의 가우스 유수 문제를 타원 곡선의 L-함수와 연결시키고 유효 하한을 증명, (마이클)앤쉘-(아이리스)앤쉘-골드펠드 키 교환 || 1987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 ||마사키 카시와라 || 1947 ||결정 기저, D 모듈, 카시와라 지표 정리, 카즈단-루스티그 추측 증명, 코바노프-라우다 추측 증명 || 2018년 천 메달 || ||더글라스 코너 라베넬 || 1947 ||타원 코호몰로지, 라베넬 추측, 케르베르 불변량 문제 || 2022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 ||앨런 하비 구스 || 1947 ||[[인플레이션 이론|급팽창 이론]], 인플라톤, 보르데-구스-빌렌킨 정리 || 2012년 브레이크스루상 물리학 부문 || ||유리 블라디미로비치 마티야세비치 || 1947 ||힐베르트의 10번째 문제 해결(MRDP 정리) || || ||아르카디 세묘노비치 네미로프스키[* Arkadi Semyonovich Nemirovsky] || 1947 ||타원체 방법(Ellipsoid method), convex extremal problem에 대한 정보 복잡성 및 효과적인 해결법[* Judin, D.B.; Nemirovski, Arkadi (1976). "Informational complexity and effective methods of solution for convex extremal problems". Ekonomika i Matematicheskie Metody. 12: 357–369.], Self-concordant function, Semidefinite programming(SDP) || || ||존 로런스 카디 || 1947 ||카디 엔트로피 공식, 양자장론에서 중심 원소 c가 계의 자유도의 수를 나타내는 것을 보임, 짝수 차원의 시공간에서 C에 해당하는 값을 정의하고 이를 A라고 명명하고 A가 재규격화군 흐름에 따라 항상 감소한다는 가설을 세움(A정리), 경게 등각 장론(Boundary conformal field theory), 삼투(percolation)에 관한 카디 공식 || || ||알랭 콘 || 1947 ||비가환 기하학, 콘 주기성, 스펙트럼 삼조, 순환 호몰로지, 순환 대상, Ⅲ종 인자 대수의 분류 완료, 바움-콘 추측, 보스트-콘 시스템, 콘 임베딩 문제, 열 시간 가설(Thermal time hypothesis), 비가환 [[표준 모형]] || 1982년 필즈상, 2000년 클레이 연구상 || ||데이비드 아이젠버드 || 1947 ||호지 대수, 아이젠버드-레빈-킴시아시빌리(Khimshiashvili) 시그니쳐 공식, 북스바움-아이젠버드 판정법 || || ||야코브 다비드 베켄슈타인 || 1947 ||베켄슈타인-호킹 엔트로피, [[호킹 복사]], 블랙홀 열역학 || 2012년 울프상 물리학 부문 || ||로널드 로린 라이베스트 || 1947 ||[[RSA 암호]] || 2002년 튜링상 || ||그레고리 차이틴 || 1947 ||차이틴 불완전성 정리, 차이틴 상수, 콜모고로프 복잡도, 차이틴 알고리즘 || || ||헨리크 이와니에크 || 1947 ||무한히 많은 [math(a^2 + b^4)] 형식의 소수가 있음을 증명(프리드렌더-이와니에크 정리), 2차원 구의 반지름의 증가에 따른 정수점(integral point)의 고른 분포에 관한 린닉 문제 해결 || 2001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2002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2015년 쇼상 수학부문 || ||수렌 유리예비치 아라켈로프 || 1947 ||아라켈로프 기하학, 아라켈로프 인자 || || ||장 루이 콜리엇 텔렌[* Jean-Louis Colliot-Thélène] || 1947 ||엑스-코헨 정리를 일반화하는 추측을 제시, 정수론과 유리 다양체에 관한 연구 || 1991년 페르마상 || ||제프리 에버레스트 힌턴 || 1947 ||힌턴 다이어그램, 오류 역전파법, 볼츠만 기계, 캡슐 신경망, Wake-sleep 알고리즘 || 2018년 튜링상 || ||이삭 리처드 제이 말리츠[* Isaac Richard Jay Malitz] || 1947 ||Positive set theory || || ||장 이브 지라르[* Jean-Yves Girard] || 1947 ||지라르 역설, [[선형논리]], Geometry of interaction[* [[https://en.wikipedia.org/wiki/Geometry_of_interaction]]], System F[* [[https://en.wikipedia.org/wiki/System_F]]], 타케우치 추측 증명 || || ||마일스 앤서니 리드 || 1948 ||가중 사영 공간에서 파노 초곡면 95개 모두 유리(rational)가 아님을 증명, Canonical singularity와 terminal singularities 도입 || || ||미클로스 라치코비치[* Miklós Laczkovich] || 1948 ||타르스키 원 제곱 문제 해결 || 1993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 ||장 미셸 비스무트 || 1948 ||역 확률미분방정식(Backward stochastic differential equation), 비스무트 초접속(Bismut superconnection), 비스무트 접속(Bismut connection), 해석적 뒤틀림(Analytic torsion)에 대한 비스무트-르뷰(Bismut—Lebeau) 임베딩 공식, 가약 리 군(reductive Lie group)의 반단순(semi-simple) 원소에서 모든 궤도 적분에 대한 비스무트의 명시적 공식(explicit formula) || 2021년 쇼상 수학부문 || ||안드레이 드미트리예비치 린데 || 1948 ||신 급팽창(new inflation) 이론, 영원한 급팽창(Eternal inflation) 이론 || 2012년 브레이크스루상 물리학 부문 || ||로바스 라슬로[* 로바스 라슬로의 업적을 소개하는 글[[https://horizon.kias.re.kr/17681/]]] || 1948 ||위상수학적 조합론(Topological combinatorics)[* 로바스 라슬로는 크네저 그래프의 채색수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수적 위상수학의 보르숙-울람 정리를 사용하였는데 이산수학 분야에 대수적 위상수학 분야의 정리가 사용된 것은 이때가 처음이다], 크네저 추측 증명, 로바즈 수, 조합 최적화에 타원체 방법을 적용, 약한 완벽 그래프 정리 || 1999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21년 아벨상 || ||로버트 엔드레 타잔 || 1948 ||타잔의 오프라인 최하위 공통 조상(off-line lowest common ancestors) 알고리즘, 타잔의 강하게 연결된 연결성분(Tarjan's strongly connected components) 알고리즘, 선형시간 평면성 테스트 알고리즘, 피보나치 힙, 스플레이(Splay) 트리 || 1982년 IMU 주판 메달, 1986년 튜링상 || ||알렉산더르 슈리이버[* Alexander Schrijver] || 1948 ||조합 최적화에 타원체 방법을 적용[* Grötschel, Martin; Lovász, László; Schrijver, Alexander (1981). "The ellipsoid method and its consequences in combinatorial optimization". Combinatorica. 1: 169–197.] || || ||케네스 리벳 || 1948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해결에 도움(엡실론 추측을 증명 현재는 리벳의 정리), 에르브랑-리벳 정리 || 1989년 페르마상 || ||조르지오 파리시 || 1948 ||KPZ 방정식, 알타렐리-파리시(Altarelli–Parisi) 방정식 || 2021년 울프상 물리학 부문, 2021년 노벨 물리학상 || ||클라우스 요한슨 || 1948 ||JSJ 분해(toral 분해) || || ||사무엘 제임스 패터슨 || 1948 ||3차 가우스합에 대한 쿠머의 추측을 반증하고 수정된 형태를 증명 || || ||마르틴 그뢰첼[* Martin Grötschel] || 1948 ||조합 최적화에 타원체 방법을 적용 || || ||하비 프리드먼 || 1948 ||역 수학(Reverse mathematics)의 설립, Friedman translation || || ||요아킴 쿤츠[* Joachim Cuntz] || 1948 ||쿤츠 대수[* [[https://en.wikipedia.org/wiki/Cuntz_algebra]]], 쿤츠 반군(Cuntz semigroup) || || ||옌스 카르스텐 얀첸 || 1948 ||얀첸 여과, 얀첸 합 공식, 얀첸 추측, Translation functor || || ||존 로버트 스틸 || 1948 ||큰 기수 공리를 이용하여 사영 결정(projective determinacy)을 증명 || 1988년 카프상, 2015년 하우스도르프 메달, 2023년 카프상 || ||레오니드 아나톨리에비치 레빈 || 1948 ||쿡-레빈 정리, NP-완전 개념 제시, [[P-NP 문제]], 평균의 경우의 복잡도 || || ||찰스 웨일 래코프 || 1948 ||영지식(zero-knowledge) 증명 || || ||루이스 앙헬 카파렐리 || 1948 ||카파렐리-콘-니런버그 부등식, 완전비선형 타원 편미분 방정식(fully nonlinear elliptic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의 해의 정상성(regularity), 자유 경계 문제(Free boundary problem)의 정상성(regularity) || 1984년 보셰 기념상, 2012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18년 쇼상 수학부문, 2023년 아벨상 수상 || ||베르나르 모리 || 1948 ||stable Banach spaces 도입, 바나흐 공간 이론에서 무조건 기본열 문제(unconditional basic sequence problem) 해결 || || ||알렉스 제임스 윌키 || 1948 ||윌키(Wilkie)의 정리, 타르스키의 고등학교 대수 문제[* [[https://en.wikipedia.org/wiki/Tarski%27s_high_school_algebra_problem]]] 해결 || 1993년, 2013년 카프상 || ||헤인즈 로버트 밀러 || 1948 ||설리번 추측 증명 || || ||레슬리 가브리엘 발리언트 || 1949 ||발리언트-바지라니 정리, #P-완전, 홀로그램 알고리즘, Probably approximately correct learning || 1986년 IMU 주판 메달, 2010년 튜링상 || ||야우싱퉁 || 1949 ||칼라비 추측 증명, 칼라비-야우 다양체, 양 에너지 정리(positive-energy theorem), SYZ 추측, 오모리-야우 최대 원리, 다차원 민코프스키 문제와 몽주-앙페르 방정식의 경계 값 문제 해법 제시, 도널드슨-울렌백-야우 정리 || 1981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1982년 필즈상, 2010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23년 쇼상 수학부문 || ||찰스 루이스 페퍼먼[* 찰스 페퍼먼 그는 12세에 대학에 입학해 15세에 첫 논문을 썼다. 20세에 박사 학위를 받고 22세에 미국 역사상 최연소 대학 정교수가 됐다.] || 1949 ||페퍼먼-스타인 이론, 다양체 가설이 검증 가능함을 증명, Ambient construction, 베시코비치 집합 구조를 사용하여 1보다 큰 차원에서 원점 중심에 있는 공(ball)에 대해 절단된 푸리에 적분(truncated Fourier integrals)이 무한대에 이르는 반경으로 p ≠ 2일때 LP 노름으로 수렴 할 필요가 없음을 보여줌 || 1971년 살렘상, 1978년 필즈상, 2008년 보셰 기념상, 2017년 울프상 수학 부문 || ||알렉산더 빌렌킨 || 1949 ||영원한 급팽창(Eternal inflation)이 일반적임을 보임, 보르데-구스-빌렌킨 정리 || || ||댄 버질 보이쿨레스쿠[* Dan-Virgil Voiculescu] || 1949 ||자유 확률(비가환 확률론)[* [[https://en.wikipedia.org/wiki/Free_probability]]], 보이쿨레스쿠 비가환 엔트로피 || || ||앤드루 마이클 오들리즈코 || 1949 ||메르텐스 추측이 거짓임을 증명, 오들리즈코-쇤하게 알고리즘, 몽고메리-오드리즈코 법칙 || || ||코라도 데 콘치니[* Corrado de Concini] || 1949 ||호지 대수, 드 콘치니-프로세시 콤팩트화 || || ||크리스토스 파파디미트리우 || 1949 ||내쉬 균형의 계산 복잡성[* The Complexity of Computing a Nash Equilibrium], 최소 3명의 플레이어가 있는 게임에서 내쉬 균형을 찾는 것이 복잡도 종류 PPAD[* [[https://en.wikipedia.org/wiki/PPAD_(complexity)]]]에 대해 완전하다는 것을 보임[* 나중에 Xi Chen과 Xiaotie Deng에 의해 2 명의 플레이어로 확장됨] || || ||보리스 질버 || 1949 ||자리스키 기하학 창시, pseudo-exponentiation || || ||리처드 버트 멜로즈 || 1949 ||기하학적 산란 이론(Geometric Scattering Theory), 회절 이론과 산란 이론의 몇 가지 미해결 문제에 대한 그의 해결책 그리고 그들의 해결에 필요한 해석적 도구들을 개발함 || 1984년 보셰 기념상 || ||뵤른 달버그[* Björn Dahlberg] || 1949 ||달버그(Dahlberg) 정리, 네 정점 정리(Four-vertex theorem)의 역(converse)을 증명 || 1978년 살렘상 || ||세르주 클라이너만 || 1950 ||민코프스키 공간의 비선형 안전성, Null 형식 및 국소 존재 정리에 대한 시공간 추정[* Space-time estimates for null forms and the local existence theorem] || 1999년 보셰 기념상 || ||뱌체슬라프 블라디미로비치 쇼쿠로프 || 1950 ||비소멸 정리, 3차원과 4차원 로그 플립 존재 증명 || || ||베네딕트 하이먼 그로스 || 1950 ||그로스-재기어 정리, 가우스 유수 문제, 겐-그로스-프라사드 추측 || 1987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 ||도론 자일베르거[* Doron Zeilberger] || 1950 ||교대 부호 행렬(Alternating sign matrix) 정리, 윌프-자일베르거 쌍, q-TSPP 추측 증명 || || ||로버트 마이클 구랄닉 || 1950 ||유한 유사 단순군(finite quasi-simple groups)의 표현론, 코호몰로지, 부분군 연구와 이 작업을 다른 수학 영역에 적용 || 2018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 ||라즐로 바바이 || 1950 ||아서-멀린 프로토콜, 라스베가스 알고리즘, 그래프 동형 문제의 준다항식 시간 알고리즘 || || ||폴 시모어 || 1950 ||로버트슨-시모어 정리, 강한 완벽 그래프 추측 증명, 최대 흐름 최소 절단(Max-flow min-cut) 정리를 매트로이드로 일반화 || 2003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 ||리처드 멜빈 쉔 || 1950 ||야마베 문제 해결, 야마베 불변량, 양 에너지(Positive energy) 정리, 미분 가능한 구(Sphere) 정리 || 1989년 보셰 기념상, 2017년 울프상 수학부문 || ||질 피지에 || 1950 ||같지 않은 두 텐서 노름을 만들어내 힐베르트 공간 H 의 선형 유계 작용소 B (H) 의 두 복사본의 텐서 곱에 대한 C *노름의 유일성 문제 해결, 폰 노이만 부등식을 만족하는 작용소가 축약과 비슷한지에 대한 여부를 부정적으로 해결 || 1979년 살렘상, 1997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 ||야노시 핀츠 || 1950 ||하일브론 삼각형 문제의 반증함[* [[https://en.wikipedia.org/wiki/Heilbronn_triangle_problem]]], 쌍둥이 소수 추측과 관련된 다음의 정리를 증명했다. [math(\displaystyle\liminf_{n\to\infty}\frac{p_{n+1}-p_n}{\log p_n}=0)] 여기서 [math(p_n)]은 n번째 소수를 의미한다. 이 식의 의미는 임의의 양의 실수 c에 대해서도 무한히 많은 소수 p와 바로 다음 소수 p'의 쌍이 존재하여, 차이가[math(c\log p)]보다 작게 된다는 것이다.] || 2014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 ||안드레이 수슬린 || 1950 ||세르 추측 증명(퀼런-수슬린 정리), 메르쿠르예프-수슬린 정리 || 2000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 ||로버트 마크 고어스키 || 1950 ||교차 호몰로지 || || ||프랭크 켈리 || 1950 ||quasireversibility(준 가역성), Dynamic Alternative Routing(동적 대체 라우팅), 혼잡 제어(Congestion control), Loss network의 동작이 히스테리시스(hysteresis)를 나타낼 수 있음을 보여줌 || || ||제프 네드 칸 || 1950 ||보르수크 추측이 거짓임을 증명, 칸의 정리, 랜덤 그래프가 주어진 작은 그래프의 분리된 복사본으로 덮일 수 있는 변의 밀도의 하한 결정 || || === 1951 ~ 1960년 출생 === ||'''{{{#white 이름}}}''' || '''{{{#white 출생 년도}}}''' ||'''{{{#white 주요 업적}}}''' ||'''{{{#white 주요 수상 내역}}}'''[* [[필즈상]], [[아벨상]], [[울프상]], [[노벨상]], [[튜링상]], [[가우스상]], [[천 메달]], IMU 주판 메달, 쇼상, 브레이크스루 상,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보셰 기념상, 오스트로우스키(Ostrowski) 상, 국제 통계학상, 살렘상, 페르마상, 루에브(Loève)상, 카프(Karp)상, 하우스도르프 메달, 클레이 연구상] || ||겐나디 블라디미로비치 벨리 || 1951 ||벨리 사상, 벨리 쌍, 벨리 정리 || || ||모리 시게후미 || 1951 ||킬-모리 정리, 최소 모델 프로그램(minimal model program) || 1990년 [[필즈상]], 1990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 ||마이클 프리드먼 || 1951 ||4차원에서 푸앵카레 추측 증명, 이국적 R4 발견, 위상 양자 컴퓨터 || 1986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1986년 필즈상 || ||루 반 덴 드리스[* Laurentius Petrus Dignus "Lou" van den Dries] || 1951 ||Tame 위상과 O-최소 구조[* Tame topology and o-minimal structures. London Mathematical Society Lecture Notes. 248. Cambridge University Press.], 모형 이론, 특히 점근 적 미분 대수 및 Transseries의 모형 이론에 대한 연구 || 2018년 카프상 || ||돈 재기어 || 1951 ||그로스-재기어 정리, 헤르글로츠-재기어 함수, 가우스 유수 문제, 랭킨-코헨 대수, 위튼 제타 함수, 주기(대수 기하학) || 1987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 ||히로아키 테라오 || 1951 ||초평면 배열의 선구자, 테라오 추측 || || ||[[에드워드 위튼]][* 현재까지 유일한 비수학자 출신 필즈 메달리스트] || 1951 ||양 에너지 정리(positive-energy theorem), M 이론, 와인버그-위튼 정리, 베스-추미노-위튼 모형, 그로모프-위튼 불변량, 자이베르그-위튼 이론, 자이베르그-위튼 불변량, 하나니-위튼 전이, BCFW 재귀 공식, 바파-위튼 정리, 위튼 추측, 위튼 지표, 위상 끈 이론, 위튼형 위상 양자장론 || 1990년 필즈상, 2001년 클레이 연구상, 2012년 브레이크스루상 물리학 부문 || ||얀 데네프[* Jan Denef] || 1951 ||엑스-코헨 정리를 일반화하는 텔렌(Thélène)의 추측 증명 || || ||데메트리오스 크리스토둘루 || 1951 ||비선형 기억 효과(nonlinear memory effect), 벌거숭이 특이점, 민코프스키 공간의 비선형 안전성 || 1999년 보셰 기념상, 2011년 쇼상 수학부문 || ||진보 미치오 || 1951 ||양자 군 || || ||로버트 브루스 리터만 || 1951 ||블랙-리터만 모형 || || ||다니엘 베네퀸 || 1952 ||서스턴-베네퀸 수, 3차원 유클리드 공간의 매장된 이국적 접촉 구조의 첫 번째 예를 제시함 || || ||가토 가즈야 || 1952 ||블록-가토 추측, 더 높은 국소 유체론(Higher local class field theory), logarithmic geometry(장 마크 폰테인, 뤼크 일뤼지와 함께 창시자중 한 명이다) || || ||군터 알베르토 울만 아란시비아[* Gunther Alberto Uhlmann Arancibia] || 1952 ||역문제( inverse problem)에 대한 근본적인 연구[* The Calderón problem with partial data. Ann. of Math. (2) 165 (2007), no. 2, 567–591][* The Calderón problem with partial data in two dimensions. J. Amer. Math. Soc. 23 (2010), no. 3, 655–691]뿐만 아니라 boundary rigidity의 대한 연구[* "Two dimensional, compact, simple Riemannian manifolds are boundary distance rigid", Annals of Mathematics, 161 (2005), 1089–1106][* Boundary rigidity with partial data, J. Amer. Math. Soc. 29 (2016), 299-332]와 [[클로킹]]에 관한 연구[* Uhlmann, Allan Greanleaf, Yaroslav Kurylev, Matti Lassas Inverse problems and invisibility , Bulletin AMS, Volume 46, 2009, pp 55-97] || 2011년 보셰 기념상 || ||미셸 피에르 탈라그랑 || 1952 ||파리시 공식 증명, 탈라그랑 농도 부등식, majorizing measures, generic chaining || 1995년 루에브상, 1997년 페르마상, 2019년 쇼상 수학부문 || ||사이먼 필립스 노턴 || 1952 ||하라다-노턴 군, 가공할 헛소리(Monstrous moonshine) || || ||제라르 로몽[* 로몽의 제자인 로랑 라포르그, 응오바오쩌우는 필즈상을 받았다] || 1952 ||보형 형식에 대한 기본 보조정리(fundamental lemma)의 증명 || 2004년 클레이 연구상 || ||레오니트 겐리호비치 하치얀[* Leonid Genrikhovich Khachiyan] || 1952 ||선형 계획법을 위한 타원체 방법이 다항식 시간에 구현될 수 있는 알고리즘 제시[* Khachiyan, L. G. 1979. "A Polynomial Algorithm in Linear Programming". Doklady Akademii Nauk SSSR 244, 1093-1096] || || ||아디 샤미르 || 1952 ||[[RSA 암호]], IP[* [[https://en.wikipedia.org/wiki/IP_(complexity)]]] = PSPACE[* [[https://en.wikipedia.org/wiki/PSPACE]] ]임을 증명함, 파이기-피아트-샤미르 식별 체계(identification scheme) || 2002년 튜링상 || ||데이비드 존 올더스 || 1952 ||올더스-후버(aldous-hoover) 표현 정리, 푸아송 응집 휴리스틱(Poisson clumping heuristic), 주어진 그래프에서 균일 신장 트리(uniform spanning tree)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발견 || 1993년 루에브상 || ||라르스 하칸 엘리아손[* Lars Håkan Eliasson] || 1952 ||비선형 슈뢰딩거 방정식에 대한 KAM 정리[* Eliasson, L. Hakan; Kuksin, Sergei (2010). "KAM for the nonlinear Schrödinger equation". Annals of Mathematics], 1차원 준주기 슈뢰딩거 방정식의 플로케(Floquet) 해[* Eliasson, L. H. (1992). "Floquet solutions for the 1-dimensional quasi-periodic Schrödinger equation". Communications in Mathematical Physics] || 1995년 살렘상 || ||군나르 칼슨[* Gunnar Carlsson] || 1952 ||시걸(Segal) 추측 증명, 설리번 추측의 증명에 기여, [[위상 데이터분석]](Topological data analysis) || || ||알렉산드르 보리소비치 자몰롯치코프 || 1952 ||등각 장론, W-대수, 니즈닉(Knizhnik)-자몰롯치코프 방정식, C 정리 증명 || || ||카와마타 유지로 || 1952 ||카와마타-휘벡 소멸정리, Kawamata log terminal || || ||데이비드 로드니 로저 히스 브라운 || 1952 ||3차 가우스합에 대한 쿠머의 추측을 반증하고 수정된 형태를 증명 || || ||데이비드 하바터 || 1952 ||아비안카 추측 증명 || 1995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 ||폴 조셉 스타인하트 || 1952 ||영원한 급팽창(Eternal inflation) 이론, 신 급팽창(new inflation) 이론, 에크파이로틱 우주(Ekpyrotic universe), 천연 [[결정(과학)|준결정]] 발견 || || ||본 프레더릭 랜들 존스 || 1952 ||존스 다항식, 평면 대수(Planar algebra), subfactor, 존스 지표 정리, 아하로노브-존스-란다우 알고리즘 || 1990년 필즈상 || ||스티븐 폴 케르코프 || 1952 ||닐슨 실현 문제 해결 || || ||피터 존스 || 1952 ||존스의 여행하는 외판원 정리(Jones' traveling salesman theorem in R2) || 1981년 살렘상 || ||소린 테오도르 포파 || 1953 ||유형 II의 종순(amenable) subfactor의 분류, 카즈단의 속성(T) 군 G의 베르누이 작용이 궤도 동치 초강성임을 보여줌, subfactors에 양자 이중(quantum double) 구성 도입 || 2009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 ||[[앤드루 와일스]] || 1953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 메이저-와일스 정리 || 1995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1995년 페르마상, 1995~1996년 울프상 수학 부문 수상, 1997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1998년 [[필즈상]] 특별상[* 40세가 넘어서 필즈상을 받지는 못했지만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이 너무 중요한 업적이기에 예외적으로 특별상을 받았다], 1999년 클레이 연구상, 2005년 쇼상 수학부문, 2016년 [[아벨상]] || ||장 루프 발트스퍼거[* Jean-Loup Waldspurger] || 1953 ||발트스퍼거 정리, 발트스퍼거 공식, 직교군에 대해서 국소 간-그로스-프라사드(Gan–Gross–Prasad) 추측 증명 || 2009년 클레이 연구상 || ||카리 아스탈라[* Kari Astala] || 1953 ||동역학계 이론에 준등각사상을 적용하는 프레더릭 게링(Frederick Gehring)와 에드거 라이히(Edgar Reich)의 추측을 해결 || 1994년 살렘상 || ||로버트 비타 콘 || 1953 ||카파렐리-콘-니런버그 부등식 || || ||마크 에드워드 컬러 || 1953 ||순환 수술(Cyclic surgery) 정리, Culler–Vogtmann Outer space || || ||카를로스 에두아르도 케니그 || 1953 ||조화 해석학, 편미분방정식, 비선형 분산 편미분방정식의 중요한 기여[* Well-posedness and scattering results for the generalized Korteweg-de Vries equation via the contraction principle. Comm. Pure Appl. Math. 46 (1993), no. 4, 527–620][* Global well-posedness of the Benjamin-Ono equation in low-regularity spaces. J. Amer. Math. Soc. 20 (2007), no. 3, 753–798][* Global well-posedness, scattering and blow-up for the energy-critical focusing non-linear wave equation. Acta Math. 201 (2008), no. 2, 147–212] || 1984년 살렘상, 2008년 보셰 기념상 || ||무카이 시게루 || 1953 ||푸리에-무카이 변환 || || ||닐스 요나스 덴커[* Nils Jonas Dencker] || 1953 ||니런버그-트레브스(Nirenberg-Treves) 추측 증명 || 2005년 클레이 연구상 || ||피터 클라이브 사르낙 || 1953 ||산술 양자 고유 에르고딕성(Arithmetic Quantum Unique Ergodicity) 추측, 함수체에서 일반적인 L-함수의 영점의 간격에 관한 연구, p는 소수이고 [math(p\equiv 1\left(\text{mod}\,4\right))]일때 무한히 많은 (p+1) 정규 라마누잔 그래프를 구성함, 해프너-사르낙-맥컬리 상수 || 2001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2005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2014년 울프상 수학 부문 || ||다니엘 오콘 || 1953 ||클라크-오콘 정리, 오콘 마팅게일 || || ||대니얼 앨런 골드스톤 || 1954 ||쌍둥이 소수 추측과 관련된 다음의 정리를 증명했다. [math(\displaystyle\liminf_{n\to\infty}\frac{p_{n+1}-p_n}{\log p_n}=0)] 여기서 [math(p_n)]은 n번째 소수를 의미한다. 이 식의 의미는 임의의 양의 실수 c에 대해서도 무한히 많은 소수 p와 바로 다음 소수 p'의 쌍이 존재하여, 차이가[math(c\log p)]보다 작게 된다는 것이다. || 2014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 ||블라디미르 드린펠트 || 1954 ||양의 표수의 대역체에 대한 일반선형군 GL (2, K)에서 랭글랜즈 추측 증명, 양자 군, 마닌-드린펠트 정리, 드린펠트-소콜로프-윌슨 방정식, 카이랄 대수, 카이랄 호몰로지, 리(Lie)* 대수, 드린펠트 상반 평면, 드린펠트 가군, 드린펠트 상반성 || 1990년 [[필즈상]], 2018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23년 쇼상 수학부문 || ||클리포드 헨리 토브스 || 1954 ||타우브스의 그로모프 불변량, 와인스타인 추측, R4는 비가산개의 매끄러운 구조를 가짐을 증명 || 1991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2008년 클레이 연구상, 2009년 쇼상 수학부문 || ||장 바론 부르갱 || 1954 ||카케야 문제를 산술 조합론(Arithmetic combinatorics)과 연결시킴, (n,k) 베시코비치 추측에서 [math(2^{k-1}+k>n)]일때 베시코비치 집합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 비노그라도프 평균값 정리에 대한 주요 추측 증명, 리베(Ribe) 프로그램 제안 || 1983년 살렘상, 1991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1994년 필즈상, 2010년 쇼상 수학부문, 2017년 브레이크스루 상 수학부문 || ||조지프 제라드 폴친스키 || 1954 ||D-막, 블랙홀 방화벽 || 2017년 브레이크스루상 물리학 부문 || ||어니스트 앨런 에머슨 || 1954 ||Model checking, 계산 트리 논리 || 2007년 튜링상 || ||데이비드 가바이 || 1954 ||단순 루프 추측 증명, 3차원 다양체에서 Taut foliation의 존재, tameness 정리, Property R 추측 증명, 닫힌 가향 3차원 쌍곡 다양체 중에서 Weeks 다양체가 가장 작은 부피를 가짐을 증명, 3차원 호모토피 쌍곡 다양체의 강성 || 2004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2009년 클레이 연구상 || ||토마스 하트윅 울프 || 1954 ||코로나 정리[* 렌나르트 칼레손이 증명한 방법보다 더 단순화된 방법으로 증명하였다], n차원 유클리드 공간에서 카케야 집합의 민코프스키 차원의 하한선이 [math(\frac{n+2}{2})]라는 것을 보여줌[* 울프의 하한선은 테렌스 타오와 네츠 카츠에 의해서 개선되었다] || 1985년 살렘상, 1999년 보셰 기념상 || ||게르트 팔팅스 || 1954 ||모델 추측(팔팅스 정리)을 증명, 모델-랭 추측 증명, 팔팅스 높이, 팔팅스 곱 정리 || 1986년 필즈상, 2015년 쇼상 수학부문 || ||베로니스 잉그리드 도비치 || 1954 ||도비치 웨이블릿, 코헨-도비치-포우보 웨이블릿 || 2023년 울프상 수학부문 || ||실비오 미칼리 || 1954 ||골드바서-미칼리 암호체계, 영지식(zero-knowledge) 증명, 확률적 암호화 || 2012년 튜링상 || ||장 피에르 윈텐베르거 || 1954 ||세르 모듈러성 추측을 증명 || 2011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 ||알렉세이 보리소비치 알렉산드로프 || 1954 ||알렉산드로프-클라크 측도 || 1982년 살렘상 || ||마이클 하워드 해리스 || 1954 ||표수가 0인 국소체 K에 대한 일반 선형군 [math(GL_{n}(k))]에서 국소 랭글렌즈 추측 증명 || 2007년 클레이 연구상 || ||니콜라이 게오르기예비치 마카로프 || 1954 ||마카로프 정리 || 1986년 살렘상 || ||압바스 바리 || 1955 ||변분법에 무한대의 임계점(critical points at infinity) 방법을 도입 || 1989년 페르마상 || ||장이탕 || 1955 ||소수 간극의 하극한이 유한한 수인 70,000,000보다 작다는 것을 증명함으로 쌍둥이 소수 문제에 큰 진척을 이룸 || 2013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2014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 ||빅토르 알렉산드로비치 콜리바긴 || 1955 ||오일러 시스템 도입, 콜리바긴-플라흐 방법, L(E, 1)이 영점(zero)이 아닌 모듈러 타원 곡선 E의 계수는 0이고 L(E, 1)이 s = 1에서 1차(first-order) 영점을 갖는 모듈러 타원 곡선 E는 계수로 1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줌 || || ||질 브라사드 || 1955 ||양자 키 분배(BB84 프로토콜), 양자 순간이동(Quantum teleportation), 양자 셈 알고리즘(Quantum counting algorithm), 양자 의사 텔레파시(Quantum pseudo-telepathy), BHT 알고리즘 || 2018년 울프상 물리학 부문, 2023년 브레이크스루 물리학상 || ||윌리엄 휴 우딘 || 1955 ||우딘 기수, AD +[* 결정 공리의 확장이다], Ω-논리 || 1988년 카프상, 2013년 하우스도르프 메달 || ||프레다 미허일레스쿠 || 1955 ||카탈랑 추측 증명(미허일레스쿠 정리), 대수적 수체에 대한 레오폴트 추측 증명 || || ||그렉 로울러 || 1955 ||슈람-뢰브너 진화, 지워진 루프 무작위 걸음, 평면 브라운 운동의 바깥 경계의 프랙털 차원이 4/3이라는 만델브로트 예측 증명 || 2019년 울프상 수학 부문 수상 || ||예핌 이사코비치 젤마노프 || 1955 ||제한된 번사이드 문제 해결, 무한 차원 단순 요르단 대수의 분류 || 1994년 필즈상 || ||알렉산더르 세르게예비치 메르쿠르예프[* Aleksandr Sergeyevich Merkurjev] || 1955 ||메르쿠르예프-수슬린 정리, Essential dimension 정의 || 2012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 ||토시카즈 가와사키 || 1955 ||가와사키 정리[* [[https://en.wikipedia.org/wiki/Kawasaki%27s_theorem]]] || || ||알랭 솔 스니트먼[* Alain-Sol Sznitman] || 1955 ||혼돈의 전파(propagation of chaos)[* Topics in propagation of chaos, Lecture Notes in Mathematics, Bd.1464, Springer 1991]와 함정과 장애물이 있는 브라운 운동에 대한 연구[* Brownian Motion, Obstacles and Random Media, Springer 1998] || 1999년 루에브상 || ||길 칼라이 || 1955 ||보르수크 추측이 거짓임을 증명, 양자 컴퓨팅에 관한 칼라이의 추측, 칼라이의 3차원 추측, 엔트로피 영향 추측 || || ||카리 칼레바 빌로넨[* Kari Kaleva Vilonen] || 1955 ||유한체에서 기하학적 랭글랜즈 추측을 증명, 기하학적 사타케 등가(geometric Satake equivalence) 증명[* [[https://en.wikipedia.org/wiki/Satake_isomorphism]]] || || ||칼 루빈[* 은하의 회전의 관한 연구와 암흑 물질의 존재 발견으로 유명한 베라 루빈의 아들이다.] || 1956 ||테이트-샤파레비치 군의 유한성 증명[* 유리수 위의 일부 타원곡선에서 증명], 메이저-와일스 정리를 보다 초등적인 방법으로 증명[* 타이네(Thaine)정리와 콜리바긴의 오일러 시스템을 사용하여 증명], 이와사와 이론의 주요 추측의 일반화를 증명[* 허수 이차 수체에서 증명함], 테이트-샤파레비치 군의 p-부분은 모든 소수 p>7에 대해 [[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에 의해 예측된 순서를 가짐을 보여줌[* 복소 곱셈을 가진 허수 이차 수체 K 위에 정의된 타원곡선에 대해 만약 타원곡선의 L-급수가 s=1에서 영점(zero)이 아닐 경우] || 1992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 ||유리 네스테로프[* Yurii Nesterov] || 1956 ||Self-concordant function[* [[https://en.wikipedia.org/wiki/Self-concordant_function]]], Nesterov accelerated gradient(NAG), Semidefinite programming(SDP) || || ||노가 알론 || 1956 ||알론-보파나(Alon–Boppana) 정리, 조합론적 영점 정리(Combinatorial Nullstellensatz), 스트리밍 알고리즘 || 2022년 쇼상 수학부문 || ||헬무트 헤르만 호퍼 || 1956 ||호퍼 기하학, 사교 위상수학, Symplectic capacities 도입, 사교 장론(Symplectic Field Theory) || 1999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 ||알렉산더르 르보비치 볼베르그[* Alexander Lvovich Volberg] || 1956 ||점근적 정칙 함수와 해석학에서의 사용 || 1988년 살렘상 || ||빅토르 아나톨리예비치 바실리에프 || 1956 ||바실리에프 불변량(유한 유형 불변량) || || ||카를로 로벨리 || 1956 ||[[루프 양자중력|루프 양자중력 이론]] 창시, 열 시간 가설(Thermal time hypothesis), 관계형 양자역학(Relational quantum mechanics) || || ||야노시 콜라르 || 1956 ||유효 힐베르트 영점 정리의 대수적 증명, 3차원 대수 다양체에 관한 내쉬 추측의 반례를 찾음 || 2006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2017년 쇼상 수학부문 || ||알베르토 브레산 || 1956 ||쌍곡 보존 법칙에 대한 중요한 연구들[* Hyperbolic systems of conservation laws. The one-dimensional Cauchy problem. Oxford Lecture Series in Mathematics and its Applications, 20.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2000. xii+250 pp.][* Vanishing viscosity solutions of nonlinear hyperbolic systems. Ann. of Math. (2) 161 (2005), no. 1, 223–342] || 2008년 보셰 기념상 || ||아쇼케 센 || 1956 ||타키온 응축에 관한 센의 가설, 구르는 타키온(Rolling Tachyon) S-이중성 || 2012년 브레이크스루상 물리학 부문 || ||장 미셸 코론 || 1956 ||변분 문제 및 제어이론에 공헌[* Haïm Brezis and Jean-Michel Coron. Multiple solutions of H-systems and Rellich's conjecture. Comm. Pure Appl. Math. 37 (1984), no. 2, 149–187.][* Jean-Michel Coron. Topologie et cas limite des injections de Sobolev. C. R. Acad. Sci. Paris Sér. I Math. 299 (1984), no. 7, 209–212.][* H. Brezis and J.-M. Coron. Convergence of solutions of H-systems or how to blow bubbles. Arch. Rational Mech. Anal. 89 (1985), no. 1, 21–56.][* Haïm Brezis, Jean-Michel Coron, and Elliott H. Lieb. Harmonic maps with defects. Comm. Math. Phys. 107 (1986), no. 4, 649–705.][* Jean-Michel Coron. Global asymptotic stabilization for controllable systems without drift. Math. Control Signals Systems 5 (1992), no. 3, 295–312.][* Jean-Michel Coron, Brigitte d'Andréa-Novel, and Georges Bastin. A strict Lyapunov function for boundary control of hyperbolic systems of conservation laws. IEEE Trans. Automat. Control 52 (2007), no. 1, 2–11.][* A. Bahri and J.-M. Coron. On a nonlinear elliptic equation involving the critical Sobolev exponent: the effect of the topology of the domain. Comm. Pure Appl. Math. 41 (1988), no. 3, 253–294.][* A. Bahri and J.-M. Coron. The scalar-curvature problem on the standard three-dimensional sphere. J. Funct. Anal. 95 (1991), no. 1, 106–172.] || 1993년 페르마상 || ||피에르 루이 리옹 || 1956 ||Viscosity solution 도입, 해밀턴-야코비 방정식의 Viscosity solution, 볼츠만 운송 방정식의 재규격화된 해를 제시, 평균장 게임 이론(Mean field game theory) || 1994년 필즈상 || ||안드레아스 플로어 || 1956 ||플로어 호몰로지, 사교 기하학에서 아르놀트 추측 증명 || || ||아비 위그더슨[* 아비 위그더슨의 업적을 소개하는 글[[https://horizon.kias.re.kr/17920/]]] || 1956 ||지그재그 곱(Zig-zag product), Algebrizing proof로는 [[P-NP 문제]]를 증명하는데 충분하지 않음을 증명, 위그더슨 알고리즘 || 1994년 IMU 주판 메달, 2021년 아벨상 || ||나탄 자이베르그 || 1956 ||자이베르그-위튼 이론, 자이베르그 이중성, 자이베르그-위튼 불변량 || 2012년 브레이크스루상 물리학 부문 || ||제프리 위크스 || 1956 ||위크스(Weeks) 다양체 || || ||나렌드라 크리슈나 카르마르카[* Narendra Krishna Karmarkar] || 1956 ||내부점법[* [[https://en.wikipedia.org/wiki/Interior-point_method]]], 카르마르카(Karmarkar) 알고리즘[* [[https://en.wikipedia.org/wiki/Karmarkar%27s_algorithm]]] || || ||데이비드 도노호 || 1957 ||압축 센싱, outlyingness, 도노호-존스턴 소프트-스레시홀딩 알고리즘 || 2013년 쇼상, 2018년 가우스상 || ||매튜 딘 포먼 || 1957 ||마틴 최대 공리, 베르 성질이 있는 조각으로 [[바나흐-타르스키 역설]]이 가능함을 보여 마르체프스키(Marczewski)의 문제를 해결 || || ||비제이 버쿠마르 바지라니 || 1957 ||발리언트-바지라니 정리, 고립(Isolation) 보조정리 || || ||세르게이 블라디미로비치 코냐긴[* Sergei Vladimirovich Konyagin] || 1957 ||지수 합의 하한에 대한 리틀우드 추측 증명 || 1990년 살렘상 || ||장 크리스토프 요코즈 || 1957 ||요코즈 퍼즐, [[만델브로 집합]]이 유한하게 재규격화 가능한 매개변수 값에 대해 국소 연결되어 있음을 증명, 호모클리닉(Homoclinic) 역학계의 공명현상을 해석 || 1988년 살렘상, 1994년 필즈상 || ||가이 데이비드 || 1957 ||T(1) 정리, 비투쉬킨(Vitushkin)의 문제의 특별한 경우를 해결[* dim H K = 1 및 H 1 ( K ) <∞ 사례에서] || 1987년 살렘상 || ||알렉산드르 알렉산드로비치 베일린손 || 1957 ||카즈단-루스티그 추측 증명, 얀첸 추측 증명, 카이랄 대수, 카이랄 호몰로지, 리(Lie)* 대수, 베일린손-술레 가설 || 1999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2018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20년 쇼상 수학부문 || ||사이먼 커원 도널드슨 || 1957 ||도널드슨 불변량, 야우-톈-도널드슨(Yau- Tian- Donaldson) 추측 증명, 도널드슨 정리, 미분기하학에서 순간자를 사용하여 4차원 유클리드 공간 위의 이국적 매끄러움 구조를 찾아냄 || 1986년 필즈상, 2009년 쇼상 수학부문, 2015년 브레이크스루 수학상, 2019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2020년 울프상 수학 부문 || ||메란 카르다르[* Mehran Kardar] || 1957 ||KPZ 방정식 || || ||파울 앨런 보이타 || 1957 ||보이타 추측, 팔팅스 정리[* 팔팅스와는 다르게 디오판틴 근사를 기반으로 팔팅스의 정리를 증명] || 1992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 ||장 린 주른[* Jean-Lin Journé] || 1957 ||T(1) 정리 || 1987년 살렘상 || ||헤르베르트 에델스브루너[* Herbert Edelsbrunner] || 1958 ||지속적 호몰로지 (Persistent homology), [[위상 데이터분석]] || || ||마르쿠스 로스트 || 1958 ||로스트 불변량, 노름 대수 다양체에 대한 존재 정리 || || ||마이클 제롬 홉킨스 || 1958 ||멱영원 정리(Nilpotence theorem), 홉킨스-밀러 정리, 위상 모듈러 형식, 케르베르 불변량 문제 || 2001년, 2022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 ||알렉산더 기벤탈 || 1958 ||아르놀트-기벤탈 추측, 사교 장론(Symplectic Field Theory) || || ||커티스 트레이시 맥멀런 || 1958 ||4차 이상의 다항식의 근을 찾기위한 일반적으로 수렴하는 알고리즘이 없음을 보여주고 3차 다항식에 대해 일반적으로 수렴하는 알고리즘을 제시, 맥멀런 계량, 리만 곡면의 모듈라이 공간이 켈러 쌍곡임을 증명 || 1991년 살렘상, 1998년 필즈상 || ||토마스 칼리스터 헤일스 || 1958 ||[[케플러의 추측]] 증명, 벌집 추측 증명, 십이면체 추측 증명 || || ||샤피 골드바서 || 1958 ||블럼-골드바서 암호체계, 골드바서-미칼리 암호체계, 영지식(zero-knowledge) 증명, 확률적 암호화 || 2012년 튜링상 || ||톈강 || 1958 ||K-안정성, 야우-티엔-도널드슨 추측, α 불변량 || 1996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 ||마에카와 준 || 1958 ||마에카와 정리[* [[https://en.wikipedia.org/wiki/Maekawa%27s_theorem]]] || || ||존 윌리엄 로트[* John William Lott] || 1959 ||보렐 측도를 갖춘 일반적인 거리 공간의 리치 곡률의 하한을 정의 || || ||린 팡화[* 林芳華, Fanghua Lin] || 1959 ||작은 매개 변수를 가진 긴즈부르크-란다우 방정식에 대한 이해에 근본적인 연구와 액정에 대한 많은 깊은 기여[* Some dynamical properties of Ginzburg-Landau vortices. Comm. Pure Appl. Math. 49 (1996), no. 4, 323–359.][* Gradient estimates and blow-up analysis for stationary harmonic maps. Ann. of Math. (2) 149 (1999), no. 3, 785–829.] || 2002년 보셰 기념상 || ||후카야 켄지 || 1959 ||후카야 범주, 약한 버전의 아르놀트 추측 증명 || || ||[[피터 쇼어]] || 1959 ||쇼어 알고리즘, 쇼어 코드 || 1998년 IMU 주판 메달, 2023년 브레이크스루상 물리학 부문|| ||[[스티븐 울프럼]] || 1959 ||렙톤의 양자색역학적 해석 및 수리적 분석, 세포자동자 계산 방법의 이론적 연구 || || ||마이클 레이시 || 1959 ||쌍선형 힐베르트 변환, 칼레손 정리, 칼데론 추측 해결, 가토의 추측 해결[* [[https://en.wikipedia.org/wiki/Kato%27s_conjecture]]] || 1996년 살렘상 || ||에후드 흐루쇼브스키 || 1959 ||자리스키 기하학 창시, 흐루쇼브스키 구성, 함수체 상의 모델-랭 추측 증명, List of possible spectra of a countable theory[* [[https://en.wikipedia.org/wiki/Spectrum_of_a_theory]]] || 1993년, 1998년 카프상, 2022년쇼상 수학부문 || ||장 프랑수아 르 갈 || 1959 ||브라운 뱀(Brownian snake) 도입과 비선형 편미분 방정식에 응용 || 1997년 루에브상, 2005년 페르마상, 2019년 울프상 수학 부문 수상 || ||리처드 유언 보처즈 || 1959 ||가공할 헛소리(monstrous moonshine) 추측 증명, 꼭짓점 대수(vertex algebra), 보처즈 대수 || 1998년 필즈상 || ||이브 앙드레 || 1959 ||멜빈 혹스터의 [[가환대수에서의 호몰로지 추측]] 중에서 직합인자 추측을 증명, 앙드레-오르트(André–Oort) 추측 || || ||요시타카 다니무라 || 1960 ||운동의 계층적 방정식(Hierarchical equations of motion) || || ||캄란 바파 || 1960 ||F 이론, 바파-위튼 정리, 고파쿠마르-바파 불변량 || 2017년 브레이크스루상 물리학 부문 || ||칼 테오도르 슈투름[* Karl-Theodor Sturm] || 1960 ||국소 디리클레 공간에 대한 연구[* Sturm, K.-T. Analysis on local Dirichlet spaces – I. Journal für die reine und angewandte Mathematik 456 (1994), 173–196.][* Sturm, K.-T. Analysis on local Dirichlet spaces – II. Osaka Journal of Mathematics 32 (1995), 275–312.][* Sturm, K.-T. Analysis on local Dirichlet spaces – III. Journal de Mathématiques Pures et Appliquées 75 (1996), 273–297.], metric measure spaces의 기하학에 대한 연구[* Sturm, K.-T. On the geometry of metric measure spaces. Acta Mathematica 196, 1 (2006), 65–131.][* Sturm, K.-T. On the geometry of metric measure spaces II. Acta Mathematica 196, 1 (2006), 133–177.] || || ||시시쿠라 미츠히로 || 1960 ||파투의 추측 증명, 만델브로트 집합의 경계는 하우스도르프 차원이 2라는 만델브로트의 추측을 증명 || 1992년 살렘상 || ||강현배 || 1960 ||포여-세괴 추측과 에셸비 추측 증명 || || === 1961 ~ 1970년 출생 === ||'''{{{#white 이름}}}''' || '''{{{#white 출생 년도}}}''' ||'''{{{#white 주요 업적}}}''' ||'''{{{#white 주요 수상 내역}}}'''[* [[필즈상]], [[아벨상]], [[울프상]], [[노벨상]], [[튜링상]], [[가우스상]], [[천 메달]], IMU 주판 메달, 쇼상, 브레이크스루 상,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보셰 기념상, 오스트로우스키(Ostrowski) 상, 국제 통계학상, 살렘상, 페르마상, 루에브(Loève)상, 카프(Karp)상, 하우스도르프 메달, 클레이 연구상] || ||티에리 코캉[* Thierry Coquand] || 1961 ||CoC(Calculus of constructions), Coq || || ||젬 얄츤 이을드름[* Cem Yalçın Yıldırım] || 1961 ||쌍둥이 소수 추측과 관련된 다음의 정리를 증명했다. [math(\displaystyle\liminf_{n\to\infty}\frac{p_{n+1}-p_n}{\log p_n}=0)] 여기서 [math(p_n)]은 n번째 소수를 의미한다. 이 식의 의미는 임의의 양의 실수 c에 대해서도 무한히 많은 소수 p와 바로 다음 소수 p'의 쌍이 존재하여, 차이가[math(c\log p)]보다 작게 된다는 것이다. || 2014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 ||토마시 므루브카[* Tomasz Mrowka] || 1961 ||크론하이머-므로카 기본 클래스, 밀너 추측(매듭 이론) 증명, 톰 추측 증명, 자이베르그-위튼 플로어 호몰로지 || 2007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 ||스티븐 루디치 || 1961 ||자연 증명(natural proof)[* [[https://en.wikipedia.org/wiki/Natural_proof]]] || || ||오데드 슈람[* 2008년 9월 1일 단독 산행 중 낙사로 사망하였다. 뉴욕 타임즈는 그의 사망 기사에 다음과 같이 썻습니다, "슈람 박사가 3주하고 하루만 더 늦게 태어났다면 그는 2002년에 아마도 수학에서 가장 높은 영예인 필즈 메달의 수상자 중 한 명이었을 것입니다" 원문(If Dr. Schramm had been born three weeks and a day later, he would almost certainly have been one of the winners of the Fields Medal, perhaps the highest honor in mathematics, in 2002.) 실제로 그의 주요 협력자인 벤델린 베르너와 그렉 로울러는 각각 2006년 필즈상(벤델린 베르너), 2019년 울프상(그렉 로울러)을 받은 바 있다.] || 1961 ||슈람-뢰브너 진화, 지워진 루프 무작위 걸음, 평면 브라운 운동의 바깥 경계의 프랙털 차원이 4/3이라는 만델브로트 예측 증명 || 2001년 살렘상, 2002년 클레이 연구상, 2003년 루에브상, 2007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 ||지브 루드닉 || 1961 ||산술 양자 고유 에르고딕성(Arithmetic Quantum Unique Ergodicity) 추측 || || ||바딤 겐리코비치 니즈닉[* Vadim Genrikhovich Knizhnik] || 1961 ||니즈닉-자몰롯치코프 방정식, 벨라빈-니즈닉 정리 || || ||사이토 모리히코 || 1961 ||Mixed Hodge module 도입, 번스타인-사토 다항식을 임의의 대수 다양체로 일반화함 || || ||클레르 부아쟁 || 1962 ||켈러 다양체에서 [[호지 추측]]이 거짓임을 증명 || 2008년 클레이 연구상, 2017년 쇼상 수학부문 || ||즐릴 셀라[* Zlil Sela] || 1962 ||유한 생성 비아벨 자유군이 동일한 first-order theories을 가지고 있음을 보임으로 타르스키 문제를 해결 || 2008년 카프상 || ||리처드 로런스 테일러 || 1962 ||[[모듈러성 정리]],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의 증명, 사토-테이트 추측 증명, 표수가 0인 국소체 K에 대한 일반 선형군 [math(GL_{n}(k))]에서 국소 랭글렌즈 추측 증명 || 2001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2001년 페르마상, 2002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2007년 쇼상 수학부문, 2007년 클레이 연구상, 2015년 브레이크스루 상 수학부문 || ||김정한 || 1962 ||램지의 정리에서 R(3,t)의 값이 [math(\Theta(t^2/\log t))]의 점근식을 가진다는 것을 증명 || || ||울리히 빌헬름 콜렌바흐[* Ulrich Wilhelm Kohlenbach] || 1962 ||Proof mining[* [[https://en.wikipedia.org/wiki/Proof_mining]]] || || ||조나단 솔로몬 필라 || 1962 ||지겔 모듈러 대수 다양체 및 모듈러 곡선의 임의에 곱의 경우에 대해서 앙드레-오르트(André–Oort) 추측을 증명 || 2011년 클레이 연구상, 2013년 카프상 || ||피에르 콜메즈 || 1962 ||L 함수 및 p진 갈루아 표현에 기여 || 2005년 페르마상 || ||로빈 토머스 || 1962 ||강한 완벽 그래프 추측 해결 || || ||장수우[* Shou-Wu Zhang] || 1962 ||평균 콜메즈 추측(averaged Colmez conjecture) 증명, 보고몰로프 추측(Bogomolov conjecture) 증명, 유리수 위의 타원곡선에서 totally real field에 대한 GL(2) 유형의 모듈러 아벨리안 대수 다양체에서 그로스-재기어 정리의 일반화를 증명 || || ||프랭크 멀 || 1962 ||비선형 분산 방정식의 해석에 중요한 연구들[* tability of blow-up profile and lower bounds for blow-up rate for the critical generalized KdV equation. Ann. of Math. (2) 155 (2002), no. 1, 235–280][* Blow up in finite time and dynamics of blow up solutions for the L2-critical generalized KdV equation. J. Amer. Math. Soc. 15 (2002), no. 3, 617–664][* On universality of blow-up profile for L2 critical nonlinear Schrödinger equation. Invent. Math. 156 (2004), no. 3, 565–672], 일부 초임계 영역에서 디포커싱 비선형 슈뢰딩거 방정식과 압축성 오일러 및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에 대한 폭발하는 해의 존재를 증명 || 2005년, 2023년 보셰 기념상, 2023년 클레이 연구상 || ||나카지마 히라쿠 || 1962 ||네크라소브 추측 증명, 준사영 곡면에 있는 힐베르트 스킴의 호몰로지 군의 직합(direct sum)에 대한 하이젠베르크 대수의 표현을 구성함 || 2003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 ||이반 보리소비치 페센코[* Ivan Borisovich Fessenko] || 1962 ||더 높은 국소 유체론(Higher local class field theory), 더 높은 국소 유체론과 adelic 대상에서 더 높은 하르 측도와 적분을 발견 || || ||루이지 암브로시오 || 1963 ||유계 변동 함수의 연쇄 법칙을 확장, 암브로시오-토르토렐리(Ambrosio–Tortorelli limit) 극한 || 2003년 페르마상 || ||알렉산드르 알렉산드로비치 라즈보로프[* Aleksandr Aleksandrovich Razborov] || 1963 ||자연 증명(Natural proof), 플래그 대수(flag algebra), 몇가지 필수적인 알고리즘 문제의 불 회로(Boolean circuit)의 하한을 증명하는 근사 방법을 도입 || 1990년 IMU 주판 메달 || ||프레데리크 엘랭[* Frédéric Hélein] || 1963 ||기하학과 물리학에 영향을 미치는 변분법에 대한 몇가지 공헌[* Fabrice Bethuel, Haïm Brezis, and Frédéric Hélein. Asymptotics for the minimization of a Ginzburg-Landau functional. Calc. Var.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1 (1993), no. 2, 123–148.][* Frédéric Hélein. Régularité des applications faiblement harmoniques entre une surface et une variété riemannienne. C. R. Acad. Sci. Paris Sér. I Math. 312 (1991), no. 8, 591–596.] || 1999년 페르마상 || ||파브리스 브두엘[* Fabrice Bethuel] || 1963 ||기하학과 물리학에 영향을 미치는 변분법에 대한 몇가지 공헌[* Fabrice Bethuel and Xiao Min Zheng. Density of smooth functions between two manifolds in Sobolev spaces. J. Funct. Anal. 80 (1988), no. 1, 60–75.][* Fabrice Bethuel. The approximation problem for Sobolev maps between two manifolds. Acta Math. 167 (1991), no. 3-4, 153–206.][* Fabrice Bethuel, Haïm Brezis, and Frédéric Hélein. Asymptotics for the minimization of a Ginzburg-Landau functional. Calc. Var.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1 (1993), no. 2, 123–148.] || 1999년 페르마상 || ||그레고리 홀스[* Gregory Hjorth] || 1963 ||보렐 동치관계에 turbulence 이론을 사용 || 2003년 카프상 || ||페드로 도밍고스 || 1963 ||마르코프 논리 네트워크(Markov logic network) || || ||알렉세이 유리에비치 키타예프 || 1963 ||[[양자 컴퓨터|위상 양자 컴퓨터]], 양자 위상 추정 알고리즘, QMA(Quantum Merlin Arthur) 양자 멀린-아서 프로토콜 || 2012년 브레이크스루상 물리학 부문 || ||유발 페레스[* 그는 여러 여성 과학자들에 의해 성희롱 혐의로 기소되었다, [[https://en.wikipedia.org/wiki/Yuval_Peres]]] || 1963 ||무한 케일리 그래프의 무작위 침투에 대한 연구, tree-indexed 무작위 걸음과 무작위 트리에서의 무작위 걷기 속도 연구, 브라운 운동과 무작위 걸음에 대한 특정 교차 특성이 분기과정의 생존 특성과 사실상 동등하다는 관찰 || 2001년 루에브상 || ||윌리엄 티머시 가워스 || 1963 ||바나흐 공간 이론에서 무조건 기본열 문제(unconditional basic sequence problem) 해결, 가워스 노름, 발로그-세메레디-가워스 정리, 세메레디 정규성(regularity) 보조정리가 tower type 하한을 가짐을 증명 || 1998년 필즈상 || ||[[김민형(수학자)|김민형]][* 한국인 최초 옥스퍼드 수학과 정교수] || 1963 ||산술 천-사이먼스 이론(Arithmetic Chern-Simons Theory), 산술 게이지 이론(Arithmetic gauge theory) || || ||[[황준묵]] || 1963 ||라자스펠트 예상을 증명함 || || ||피터 베네딕트 크론하이머 || 1963 ||크론하이머-므로카 기본 클래스, 밀너 추측(매듭 이론) 증명, 톰 추측 증명, 자이베르그-위튼 플로어 호몰로지 || 2007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 ||토비아스 홀크 콜딩 || 1963 ||3차원 다양체에 고정된 종수의 매장된 최소 곡면의 공간에 관한 연구, 매장된 곡면에서의 칼라비-야우 추측 증명 || 2010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 ||마티아스 플라흐 || 1963 ||콜리바긴-플라흐 방법 || || ||베른트 지베르트 || 1964 ||그로스-지베르트(Gross-Siebert) 프로그램 || 2016년 클레이 연구상 || ||제임스 맥커넌 || 1964 ||모든 표수가 0인 체에 대한 모든 일반 유형 다양체는 최소 모델을 가짐을 증명, 다양체의 로그 일반 유형의 유계성, 고차원에서의 로그 플립의 존재 증명 || 2007년 클레이 연구상, 2009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2018년 브레이크스루상 수학부문 || ||가보르 타르도스[* Gábor Tardos] || 1964 ||스탠리-윌프 추측 증명 || || ||막심 리보비치 콘체비치[* 그의 아버지 레프 라파일로비치 콘체비치는 한국어를 키릴 문자로 표기하는 방법인 [[한국어의 키릴 문자 표기|콘체비치 체계]]를 고안하였으며, 막심 콘체비치는 브레이크스루 상 기초물리학 부문과 수학 부문 두 분야 모두 받았다.] || 1964 ||콘체비치 불변량(콘체비치 적분), 모티빅 적분, 콘체비티 양자화 공식, 안정 사상(Stable map), 위튼 추측 증명, 호몰로지 거울 대칭, 주기(대수 기하학), 미분 등급 스킴 || 1998년 필즈상, 2012년 쇼상 수학부문, 2012년 브레이크스루 상 물리학 부문, 2015년 브레이크스루상 수학부문 || ||트래버 디옹 울리 || 1964 ||웨어링 문제에 대한 돌파구 마련[* Trevor D. Wooley, Large improvements in Waring's problem. Ann. of Math. (2) 135 (1992), no. 1, 131—164.][* Trevor D. Wooley, Breaking classical convexity in Waring's problem: sums of cubes and quasi-diagonal behaviour. Invent. Math. 122 (1995), no. 3, 421—451.][* Vaughan, R. C.; Wooley, Trevor (2002). "Waring's Problem: A Survey". In Bennet, Michael A.; Berndt, Bruce C.; Boston, Nigel; Diamond, Harold G.; Hildebrand, Adolf J.; Philipp, Walter (eds.). Number Theory for the Millennium. III. Natick, MA: A. K. Peters. pp. 301–340.] || 1998년 살렘상 || ||프레드 어빈 다이아몬드 || 1964 ||[[모듈러성 정리]] || || ||텅샹화[* 滕尚华, Shang-Hua Teng] || 1964 ||Smoothed analysis[* [[https://en.wikipedia.org/wiki/Smoothed_analysis]]] || || ||리처드 케니언 || 1964 ||도미노 타일링의 등각 불변성[* Conformal invariance of domino tiling. R Kenyon. Annals of probability, 2000], 이합체와 아메바[* Dimers and amoebae R Kenyon, A Okounkov, S Sheffield - Annals of mathematics, 2006], 도미노 타일링과 가우스 자유 장[* Dominos and the Gaussian free field R Kenyon - Annals of probability, 2001], 도미노 타일링의 변분 원리[* A variational principle for domino tilings H Cohn, R Kenyon, J Propp - Journal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001] || 2007년 루에브상 || ||장 이브 베지아우[* Jean-Yves Béziau] || 1965 ||보편 논리학[* [[https://en.wikipedia.org/wiki/Universal_logic]]] || || ||파비앙 모렐 || 1965 ||A¹호모토피 이론 도입 || || ||알렉스 에스킨 || 1965 ||마술 지팡이 정리(Magic wand theorem), P-불변량의 분류와 변환 곡면(translation surfaces)의 모듈라이에 대한 정상(stationary) 측도 || 2007년 클레이 연구상, 2020년 브레이크스루상 수학부문 || ||엠마누엘 울모 || 1965 ||보고몰로프 추측(Bogomolov conjecture) 증명 || || ||앙리 르네 다몽 || 1965 ||다몽 점(Darmon points), 베르톨리니-다몽 정리, P진수에서 그로스-재기어 공식과 유사한 공식을 증명하고 P진 L-함수의 값을 모듈러 곡선의 기하학적 구조로 구성된 코호몰로지류와 연결한 연구 || 2017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 ||서보 졸탄 || 1965 ||히가드 플로어 호몰로지, 매듭 플로어 호몰로지, 4차원 다양체의 오즈바스-서버 불변량, 사교 톰 추측 증명 || 2007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 ||마크 윌리엄 그로스 || 1965 ||그로스-지베르트(Gross-Siebert) 프로그램 || 2016년 클레이 연구상 || ||아이세 요한 데 용[* Aise Johan de Jong] || 1966 ||표수가 0인 경우에 모든 차원에서 특이점 해소(데 용의 방법은 표수 p에 대해 모든 차원의 다양체에 대해 약한 결과를 제공함) || 2000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 ||마닌드라 아그라왈 || 1966 ||AKS 소수판별법 || 2002년 클레이 연구상 || ||블라디미르 알렉산드로비치 보예보츠키 || 1966 ||모티브 코호몰로지, A¹호모토피 이론 도입, 밀너 추측(대수적 K 이론) 증명, 노름 대수 다양체, 블록-가토 추측(노름 유수 동형사상 정리) 증명, Univalent foundations || 2002년 필즈상 || ||스베틀라나 야코블레브나 지토미르스카야 || 1966 ||열 잔의 마티니(Ten Martini) 문제 해결 || || ||[[그리고리 페렐만]] || 1966 ||[[푸앵카레 추측]] 증명, 서스턴 기하화 추측 증명, 영혼 추측 증명 ||~~2006년 [[필즈상]]~~[* 이 비범한 천재는 수상을 거부하고 그 뒤 자취를 감추었다. 졸지에 갈 곳이 없어진 필즈상은 푸앵카레 추측인지라 프랑스의 [[앙리 푸앵카레]] 연구소에 기증되었다.] || ||[[노암 엘키스]] || 1966 ||[[오일러 추론]]이 거짓임을 증명, 유리수에 대한 타원곡선에는 무한히 많은 Supersingular prime이 있음을 증명, 슈프-엘키스-앳킨(Schoof–Elkies–Atkin) 알고리즘 || || ||마두 수단[* Madhu Sudan] || 1966 ||PCP 정리 및 근사의 난해함(hardness of approximation)의 응용, 구루스와미-수단 리스트 디코딩 알고리즘(Guruswami–Sudan list decoding algorithm) || 2002년 IMU 주판 메달 || ||로랑 라포르그 || 1966 ||함수체 K 위의 일반선형군 GL(n, K)에 대한 랭글랜즈 추측 증명(라포르그 정리) || 2000년 클레이 연구상, 2002년 필즈상 || ||벤 괴르첼[* 블록체인 기반 AI 마켓플레이스 프로젝트인 싱귤래리티넷(SingularityNET)의 창립자이자 CEO이다.] || 1966 ||확률적 논리 네트워크(Probabilistic logic network) || || ||자비에르 톨사[* Xavier Tolsa] || 1966 ||Analytic capacity의 준 가산성(semi-additivity)에 대한 비투쉬킨(Vitushkin)의 문제 해결, 팽르베(Painlevé) 문제 해결 || 2002년 살렘상 || ||다니엘 이오안 타타루[* Daniel Ioan Tătaru] || 1967 ||거친 계수와 준선형 파동 방정식에 대한 스트리차츠(Strichartz) 추정 및 unique continuation problem에 대한 많은 깊은 기여[* On global existence and scattering for the wave maps equations. Amer. J. Math. 123 (2001) no. 1, 37-77] || 2002년 보셰 기념상 || ||피터 스티븐 오즈배스 || 1967 ||매듭 플로어 호몰로지, 4차원 다양체의 오즈바스-서보 불변량, 히가드 플로어 호몰로지, 사교 톰 추측 증명 || 2007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 ||윌리엄 필립 미니코지 2세 || 1967 ||3차원 다양체에 고정된 종수의 매장된 최소 곡면의 공간에 관한 연구, 매장된 곡면에서의 칼라비-야우 추측 증명 || 2010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 ||찬드라셰카르 카레 || 1967 ||세르 모듈러성 추측을 증명 || 2007년 페르마상, 2011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 ||페도르 르보비치 나자로프[* Fedor Lvovich Nazarov] || 1967 ||지수 합(exponential sum)에 대한 나자로프 부등식, 불확정성 원리와 벨만(Bellman) 함수 방법의 발전에 기여[* [[https://www.ams.org/notices/199909/people.pdf]]] || 1999년 살렘상 || ||마한 엠제이[* Mahan Mj] || 1968 ||캐넌-서스턴 사상(Cannon-Thurston maps)의 존재 증명[* Cannon-Thurston maps for surface groups, Annals of Mathematics 179(1) 2014 pp 1-80; math/0607509][* Ending laminations and Cannon–Thurston maps M Mj - Geometric and Functional Analysis, 2014][* Mahan Mj (2017). "Cannon–Thurston maps for Kleinian groups"] || || ||에드워드 프렌켈[* '내가 사랑한 수학 천재수학자가 찾아낸 사랑의 공식'의 저자이다.] || 1968 ||양자 아핀 대수 표현인 W-대수 및 q-지표의 변형을 도입, 유한체에서 기하학적 랭글랜즈 추측을 증명 || || ||후안 마르틴 말다세나 || 1968 ||Ads/CFT 대응성, ER=EPR, ABJM 초등각장론 || 2012년 브레이크스루상 물리학 부문 || ||크리스토프 틸레 || 1968 ||쌍선형 힐베르트 변환, 칼레손 정리, 칼데론 추측 해결 || 1996년 살렘상 || ||벤델린 베르너 || 1968 ||슈람-뢰브너 진화, 평면 브라운 운동의 바깥 경계의 프랙털 차원이 4/3이라는 만델브로트 예측 증명, 지워진 루프 무작위 걸음 || 2001년 페르마상, 2005년 루에브상, 2006년 [[필즈상]] || ||크리스토프 브뢰일[* Christophe Breuil] || 1968 ||[[모듈러성 정리]] || || ||[[모치즈키 신이치]][* 2009년에 정체불명의 프로그래머인 [[사토시 나카모토]]가 일종의 전자화폐인 [[비트코인]]의 개발을 발표하자, 그가 진짜 사토시일 것이라는 추측이 돌았으나, 본인이 자신은 사토시 나카모토가 아니라고 밝혔다.] || 1969 ||프로베니오이드(Frobenioid), p진수 타이히뮐러 이론, 호지-아라켈로프 이론, 우주-간 타이히뮐러(Inter-universal Teichmüller) 이론, 안아벨 기하학에서 그로텐디크 추측을 증명, --abc 추측의 증명--[* 모치즈키의 증명이 옳은지는 아직 학계에서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논문의 주요 쟁점을 관통하는 내부 국소 타이히뮐러 정의에 대한 증명이 담긴 3.12의 설명이 너무 짧게 압축되어 있어 이에 대한 논란이 많다.] || || ||앨리스 기오네트 || 1969 ||위그너 행렬의 스펙트럼 측도에 대한 큰 편차 원리와 일반화된 가우시안 행렬의 스펙트럼 측도 및 더 일반적인 모델의 스펙트럼 측도에 농도에 대한 큰 편차 원리 증명, 무작위 행렬과 다이슨의 브라운 운동에 대한 확률 해석학을 자유 확률과 연결 || 2009년 루에브상 || ||안드레이 유리예비치 오쿤코프 || 1969 ||오쿤코프 바디, 그로모프-위튼 및 도널드슨-토마스 이론과 3차원 대수 다양체 관련성 기술, 무작위 분할의 분포와 가우스-에르미트 확률 행렬의 고윳값 분포 관계를 규명 || 2006년 [[필즈상]] || ||제레미 아담 칸 || 1969 ||곡면 부분군 추측(Surface subgroup conjecture) 증명, 에렌프라이스(Ehrenpreis) 추측 증명 || 2012년 클레이 연구상 || ||안드레아스 바시[* András Vasy] || 1969 ||de Sitter 공간 및 Kerr-de Sitter 시공간과 같은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발생하는 점근 쌍곡 공간 및 시공간에 관한 산란 이론의 통합 접근법에 대한 연구[* Microlocal analysis of asymptotically hyperbolic and Kerr-de Sitter spaces. Invent. Math. 194 (2013), 381-513.][* Semilinear wave equations on asymptotically de Sitter, Kerr-de Sitter, and Minkowski spacetimes, Analysis & PDE 8 (2015), 1807–1890][* The global nonlinear stability of the Kerr-de Sitter family of black holes. Acta Math. 220(1): 1-206 (March 2018)] || 2017년 보셰 기념상 || ||라훌 판다리판데[* Rahul Pandharipande] || 1969 ||MNOP(Maulik-Nekrasov-Okounkov-Pandharipande) 추측의 3차원 칼라비-야우 다양체의 많은 종류의 사례를 증명함 || 2013년 클레이 연구상 || ||매슈 쿡 || 1970 ||규칙 110 세포 자동차가 [[튜링 완전]]이라는 스티븐 울프럼의 추측 증명 || || ||크리스토퍼 데릭 하콘 || 1970 ||모든 표수가 0인 체에 대한 모든 일반 유형 다양체는 최소 모델을 가짐을 증명, 다양체의 로그 일반 유형의 유계성, 고차원에서의 로그 플립의 존재 증명 || 2007년 클레이 연구상, 2009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2018년 브레이크스루상 수학부문 || ||다니엘 앨런 스필먼 || 1970 ||Smoothed analysis, 캐디슨-싱어 문제 해결 || 2010년 IMU 주판 메달, 2023년 브레이크스루상 수학부문 || ||이안 아골 || 1970 ||tameness 정리, 프리드먼-히-왕(Freedman–He–Wang) 추측 증명, 하켄(Virtually Haken) 추측 증명 || 2009년 클레이 연구상, 2013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2016년 브레이크스루상 수학부문 || ||부하반[* Vũ Hà Văn] || 1970 ||원 법칙(Circular law) 추측 증명, Four Moment Theorem, 샤미르의 문제(Shamir's problem)를 해결하는 임의의 k- 균일 하이퍼그래프의 완벽한 매칭에 대한 임계값을 얻음 || || ||엘론 린덴스트라우스 || 1970 ||유한 위상 엔트로피를 가진 계(system)는 평균 차원(mean dimension)이 0임을 증명, 리틀우드 추측을 성립하지 않는 점들의 하우스도르프 차원이 0임을 증명, 콤팩트 산술 곡면(compact arithmetic surfaces)의 경우에 양자 고유 에르고딕성 추측 증명 || 2003년 살렘상, 2009년 페르마상, 2010년 필즈상 || ||스타니슬라프 콘스탄티노비치 스미르노프 || 1970 ||[[통계역학]]의 삼투(percolation) 모형과 [[이징 모형]]에 대해 경계면의 척도 극한의 존재성과 등각 불변성을 증명, 삼각 격자에서 삼투에 관한 존 로런스 카디의 공식을 증명, 육각 격자의 연결 상수(Connective constant) [math(\mu=\sqrt{2 + \sqrt{2}})]임을 증명 || 2001년 살렘상, 2001년 클레이 연구상, 2010년 필즈상 || ||브라이언 콘래드 || 1970 ||[[모듈러성 정리]] || || ||파울 자이델 || 1970 ||플로어 호몰로지에 대한 사교 덴 트위스트, 피카르-렙셰츠 이론의 관점에서 사교 다양체의 후카야 범주를 계산하는 새로운 도구 개발, 4차 곡면(Quartic surface)에서 호몰로지 거울 대칭 추측 증명,무한대에서 볼록한 유클리드 공간의 이국적 사교 구조에 대한 첫 번째 예를 제시함. || 2010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 === 1971 ~ 1980년 출생 === ||'''{{{#white 이름}}}''' || '''{{{#white 출생 년도}}}''' ||'''{{{#white 주요 업적}}}''' ||'''{{{#white 주요 수상 내역}}}'''[* [[필즈상]], [[아벨상]], [[울프상]], [[노벨상]], [[튜링상]], [[가우스상]], [[천 메달]], IMU 주판 메달, 쇼상, 브레이크스루 상, 뉴 호라이즌 상,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보셰 기념상, 오스트로우스키(Ostrowski) 상, 국제 통계학상, 살렘상, 페르마상, 루에브(Loève)상, 카프(Karp)상, 하우스도르프 메달, 클레이 연구상] || ||대니얼 와이즈 || 1971 ||Virtually fibered 추측 증명 || 2013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 ||존 마이클 클라인버그 || 1971 ||HITS 알고리즘[* [[https://en.wikipedia.org/wiki/HITS_algorithm]]] || 2006년 IMU 주판 메달 || ||조던 엘렌버그[* "틀리지 않는 법: 수학적 사고의 힘"이라는 대중 수학서를 집필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 1971 ||5 이상의 여차원에 대해서 ℤ 위의 이차 형식을 이차 형식으로 표현하는 문제에 대해 하세 원리(국소-대역 원리)가 적용됨을 증명 || || ||스테파니 페터미히[* Stefanie Petermichl] || 1971 ||벡터 값 특이 연산자 이론에 대한 중요한 연구 || 2006년 살렘상 || ||요리스 반 데르 호븐[* Joris van der Hoeven] || 1971 ||모형 이론, 특히 점근 적 미분 대수 및 Transseries의 모형 이론에 대한 연구 || 2018년 카프상 || ||미하일 코바노프 || 1972 ||코바노프 호몰로지 || || ||니마 아르카니하메드 || 1972 ||거대 추가 차원, 차원 해체, 자연스러움을 무시하더라도 게이지 결합 통일과 암흑 물질 등 초대칭의 여러 장점을 보존할 수 있음을 보임, Amplituhedron || 2012년 브레이크스루상 물리학 부문 || ||이고르 로드니안스키 || 1972 ||일반 상대성 이론의 방정식 연구와 시공간 곡선에서 빛의 전파에 대한 근본적인 공헌, 일부 초임계 영역에서 디포커싱 비선형 슈뢰딩거 방정식과 압축성 오일러 및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에 대한 폭발하는 해의 존재를 증명 || 2011년 페르마상, 2023년 보셰 기념상, 2023년 클레이 연구상|| ||대니 칼레가리[* Danny Matthew Cornelius Calegari] || 1972 ||Tameness 정리 || 2009년 클레이 연구상 || ||응오바오쩌우 || 1972 ||보형 형식에 대한 기본 보조정리(fundamental lemma)의 증명[* 기본 보조정리의 증명은 2009년 [[타임(주간지)|타임]]이 선정한 '올해의 10대 과학적 발견'의 하나로 선정되었다.] || 2004년 클레이 연구상, 2010년 필즈상 || ||어니스트 쿠르트 3세[* Ernest S. Croot III] || 1972 ||에르되시-그레이엄 추측 증명 || || ||모치즈키 타쿠로 || 1972 ||비정칙 특이점의 경우를 포함하여 대수 다양체 위의 flat connection을 가진 다발 이론의 이해에 돌파구를 마련[* For monumental work leading to a breakthrough in our understanding of the theory of bundles with flat connections over algebraic varieties, including the case of irregular singularities.] || 2022년 브레이크스루상 수학부문 || ||마티아스 아셴브레너[* Matthias Aschenbrenner] || 1972 ||모형 이론, 특히 점근 적 미분 대수 및 Transseries의 모형 이론에 대한 연구 || 2018년 카프상 || ||이타이 니먼[* Itay Neeman] || 1972 ||side condition과 나무의 속성을 사용하여 반복 강제법에 새로운 방법에 대한 연구[* Forcing with sequences of models of two types, Notre Dame J. Formal Logic, vol. 55 (2014), pp. 265–298][* Two applications of finite side conditions at ω2. Arch. Math. Logic 56 (2017), no. 7-8, 983–1036][* The tree property up to ℵω+1. J. Symb. Log. 79 (2014), no. 2, 429–459.] || 2019년 하우스도르프 메달 || ||[[세드리크 빌라니]][* 2017년 프랑스 국회의원에 당선됐다.] || 1973 ||해의 적절한 정칙성 가정하에 볼츠만 운송 방정식의 맥스웰-볼츠만 분포의 균형해로의 수렴성 증명, 비선형 블라소프-푸아송 방정식에서 란다우 감쇠가 성립함을 증명, 보렐 측도를 갖춘 일반적인 거리 공간의 리치 곡률의 하한을 정의, 오토-빌라니 정리 || 2009년 페르마상, 2010년 필즈상 || ||스콧 셰필드 || 1973 ||가우스 자유장(Gaussian free field)의 등고선이 SLE (4)와 관련이 있음을 보여줌, 등각 루프 앙상블, 리우빌 양자 중력에서 프렉탈 스케일링 차원에 대한 KPZ 관계를 증명 || 2011년 루에브상, 2017년 클레이 연구상 || ||블라디미르 마르코비치 || 1973 ||곡면 부분군 추측(Surface subgroup conjecture) 증명, 에렌프라이스(Ehrenpreis) 추측 증명 || 2012년 클레이 연구상 || ||카난 사운드라잔 || 1973 ||모듈러 정역에서 holomorphic analog의 경우에 양자 고유 에드고딕성 추측 증명, 그레이엄의 최대 공약수 추측 증명 || 2003년 살렘상, 2011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 ||네츠 호크 카츠 || 1973 ||3차원에서 카케야 집합의 민코프스키 차원이 5/2보다 크다는 것을 증명, 에르되시 고유 거리 문제(Erdős distinct distances problem) 해결 || 2015년 클레이 연구상 || ||크레이그 젠트리 || 1973 ||완전 동형 암호화(Fully Homomorphic Encryption) || || ||데니스 게이츠고리 || 1973 ||유한체에서 기하학적 랭글랜즈 추측을 증명하고 이 결과를 복소수체도 포함하는 결과로 확장함 || || ||나데르 마스무디[* Nader Masmoudi] || 1974 ||비선형 편미분방정식의 해석에 대한 업적 특히나 현대 유체역학의 창시자들이 19 세기말에 제기한 유체 동역학적 안정성 문제의 엄밀하고 완전한 해결에 관한 연구[* Incompressible limit for a viscous compressible fluid, Journal de mathématiques pures et appliquées, Band 77, 1998, S. 585–627][* Une approche locale de la limite incompressible, Comptes Rendus de l'Académie des Sciences, Ser. 1, Math., Band 329, 1999, S. 387–392][* Incompressible Limit for Solutions of the Isentropic Navier–Stokes Equations with Dirichlet Boundary Conditions, Journal de mathématiques pures et appliquées, Band 78, 1999, S. 461–471][* Global solutions for some Oldroyd models of non-Newtonian flows, Chinese Annals of Mathematics, Band 21, 2000, S. 131–146][* About lifespan of regular solutions of equations related to viscoelastic fluids, SIAM journal on mathematical analysis, Band 33, 2001, S. 84–112][* From the Boltzmann Equations to the Equations of Incompressible Fluid Mechanics, Archive for Rational Mechanics and Analysis, Band 158, 2001, S. 173–193][* Incompressible, inviscid limit of the compressible Navier–Stokes system, Annales de l'Institut Henri Poincare C: Non Linear Analysis, Band 18, 2001, S. 199–224][* From the Boltzmann equation to the Stokes-Fourier system in a bounded domain, Communications on pure and applied mathematics, Band 56, 2003, S. 1263–1293][* Examples of singular limits in hydrodynamics, in: C.M. Dafermos, Eduard Feireisl (Hrsg.), Handbook of Differential Equations, Evolutionary Equations, Band 3, North Holland 2006, S. 195–275][* Infinite time aggregation for the critical Patlak-Keller-Segel model in R2, Communications on Pure and Applied Mathematics, Band 61, 2008, S. 1449–1481][* Global solutions for the gravity water waves equation in dimension 3, Annals of Mathematics, Band 175, 2012, S. 691–754][* Inviscid damping and the asymptotic stability of planar shear flows in the 2D Euler equations, Arxiv 2013] || 2017년 페르마상 || ||뱅상 라포르그[* 2002년 필즈상 수상자 로랑 라포르그의 동생이다.] || 1974 ||계수가 있는 경우의 바움-콘느 추측의 반례 발견, 대역 함수체 위에 정의된 가약군을 랭글랜즈 대응에 연결하는데 기여 || 2019년 브레이크스루상 수학부문 || ||유지니아 말린니코바[* Eugenia Malinnikova] || 1974 ||타원 고유치 문제에 대한 해의 두 배 특성을 연구하기 위한 새로운 기하학적 조합 방법의 도입 || 2017년 클레이 연구상 || ||만줄 바르가바 || 1974 ||바르가바 큐브[* [[루빅스 큐브]]에서 영감을 받아서 도입했다]를 사용하여 2차 다항식 집합에 대한 가우스의 연산법칙을 확장하여 높은 차수의 다항식의 13가지 연산 법칙을 발견했다, 290 정리, 바르가바 계승, Q 위에 타원곡선의 모델-베유 군의 평균 계수가 7/6 위로 유계임을 증명 [* [[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과 관련이 있음] || 2005년 클레이 연구상, 2008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2011년 페르마상, 2014년 [[필즈상]] || ||아사프 나오르[* Assaf Naor] || 1975 ||메트릭 공간의 새로운 불변량을 소개하고 다양한 메트릭 구조 간의 Distortion에 대한 그의 새로운 이해를 이론 컴퓨터 과학에 적용한 것과 sparsest cut problem의 하한에 대한 놀라운 작업[* On metric Ramsey-type phenomena. Ann. of Math. (2) 162 (2005), no. 2, 643–709][* Metric cotype. Ann. of Math. (2) 168 (2008), no. 1, 247–298][* Euclidean distortion and the sparsest cut. J. Amer. Math. Soc. 21 (2008)][* Compression bounds for Lipschitz maps from the Heisenberg group to L1. Acta Math. 207 (2011)] || 2008년 살렘상, 2011년 보셰 기념상, 2019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 ||알렉세이 미하일로비치 보로딘 || 1975 ||표현론, 조합론, 통계물리학의 접점에 있는 새로운 영역인 적분 가능한 확률론의 발명 || 2015년 루에브상, 2019년 페르마상 || ||[[테렌스 타오]] || 1975 ||[[그린-타오 정리]], 에르되시 불일치 문제 해결, 압축 센싱, 에르되시-랭킨 추측 해결, 3차원에서 카케야 집합의 민코프스키 차원이 5/2보다 크다는 것을 증명 || 2000년 살렘상, 2002년 보셰 기념상, 2003년 클레이 연구상, 2005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2006년 [[필즈상]], 2015년 브레이크스루 상 수학부문 || ||로르 생레몽 || 1975 ||운동론, 유체 역학 및 힐베르트의 여섯 번째 문제에 대한 변형적 기여[* Convergence of solutions to the Boltzmann equation in the incompressible Euler limit. Arch. Ration. Mech. Anal. 166 (2003), no. 1, 47–80.][* The Navier-Stokes limit of the Boltzmann equation for bounded collision kernels. Invent. Math. 155 (2004), no. 1, 81–161.][* The Brownian motion as the limit of a deterministic system of hard-spheres. Invent. Math. 203 (2016), no. 2, 493–553][* Mathematical study of degenerate boundary layers: a large scale ocean circulation problem. Mem. Amer. Math. Soc. 253 (2018), no. 1206, vi+105 pp.] || 2015년 페르마상, 2020년 보셰 기념상 || ||마르틴 하이러[* 그의 아버지인 에른스트 하이러 또한 수학자이다] || 1975 ||거친 경로(Rough path) 이론을 이용하여 KPZ 방정식의 근사적인 해를 구함, 비선형 확률편미분방정식의 정칙성 구조(Regularity structure)이론 창안 || 2013년 페르마상, 2014년 [[필즈상]] 수상, 2021년 브레이크스루상 수학부문 || ||안드레 네베스 || 1975 ||윌모어 추측 증명, 프리드먼-히-왕(Freedman–He–Wang) 추측 증명, 야우 추측, 강성에 대한 Min-Oo의 추측에 반례 제시 || 2016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2016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 ||피에르 라파엘[* Pierre Raphaël]|| 1975 || 일부 초임계 영역에서 디포커싱 비선형 슈뢰딩거 방정식과 압축성 오일러 및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에 대한 폭발하는 해의 존재를 증명 || 2023년 보셰 기념상, 2023년 클레이 연구상 || ||날리니 아난타라만[* Nalini Anantharaman] || 1976 ||양자 고유 에르 고딕 성 문제의 획기적인 발전을 포함하여 양자 혼돈, 역학 시스템 및 슈뢰딩거 방정식 영역에 대한 공헌[* Entropy and localization of eigenfunctions, Annals of Mathematics, Volume 168, 2008, pp. 435–475][* Half-delocalization of eigenfunctions for the Laplacian on to Anosov manifold, Annales Inst Fourier, Volume 57, 2007, pp. 2465–2523] || 2010년 살렘상 || ||카밀로 드 렐리스 || 1976 ||오일러 방정식의 산일(dissipation)에 대한 온사게르의 추측에 대한 해결에 기여 || 2013년 페르마상, 2020년 보셰 기념상 || ||쇠렌 갈라티우스[* Søren Galatius] || 1976 ||고차원적 다양체와 그들의 미분동형사상 군에 대한 이해에 심오한 기여 || 2022년 클레이 연구상 || ||로런스 데이비드 구스[* 급팽창 이론으로 유명한 앨런 구스의 아들이다.] || 1977 ||essential manifold에 대한 그로모프의 수축(systolic) 부등식의 증명에 대한 접근 방식 개발, 에르되시 고유 거리 문제(Erdős distinct distances problem) 해결 || 2013년 살렘상, 2015년 클레이 연구상, 2016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2020년 보셰 기념상 || ||마리아 추드노프스키 || 1977 ||강한 완벽 그래프 추측 증명 || || ||[[마리암 미르자하니]] || 1977 ||여성 최초 및 이란 출신 최초로 [[필즈상]] 수상, 마법 지팡이 정리(Magic wand theorem), 측지선에 대한 소수 정리, 타이히뮐러 공간의 지진 흐름(Earthquake flow)의 에르고딕성, 경계가 있는 리만 곡면의 모듈라이 공간의 부피를 계산하는 공식, 모듈라이 공간에서 tautological classes의 교차수에 대한 위튼-콘체비치 공식의 새로운 증명 || 2014년 [[필즈상]], 2014년 클레이 연구상, 2020년 브레이크스루상 수학부문(사후에 수여됨) || ||벤 조지프 그린 || 1977 ||[[그린-타오 정리]], 카메론-에르되시 추측 증명, 에르되시-랭킨 추측 해결 || 2004년 클레이 연구상, 2005년 살렘상, 2005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 ||아랄드 엘프고트 || 1977 ||[[골드바흐 추측#s-3.1|약한 골드바흐의 추측]] 증명 || || ||제이콥 알렉산더 루리 || 1977 ||∞-토포스, 코보디즘 가설의 해결법 제안, ∞-범주, 더 높은 토포스 이론(Higher Topos Theory) || 2015년 브레이크스루 상 수학부문 || ||제레미 셰프텔[* Jérémie Szeftel] || 1977 ||일부 초임계 영역에서 디포커싱 비선형 슈뢰딩거 방정식과 압축성 오일러 및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에 대한 폭발하는 해의 존재를 증명 || 2023년 보셰 기념상, 2023년 클레이 연구상 || ||보아스 클라태그[* Boáz Klartag] || 1978 ||볼록 집합에 대한 중심 극한 정리[* "A central limit theorem for convex sets". Inventiones Mathematicae.], 5n 민코프스키 대칭화는 근사적으로 유클리드 공에 도달하기 충분함을 보임[* "5n Minkowski Symmetrizations Suffice to Arrive at an Approximate Euclidean Ball". Annals of Mathematics.] || 2008년 살렘상 || ||수브하시 코트[* Subhash Khot] || 1978 ||고유 게임 추측(Unique games conjecture)[* [[https://en.wikipedia.org/wiki/Unique_games_conjecture]]] || 2014년 IMU 주판 메달 || ||코체르 비르카르[* 원래 이름은 페레이둔 데라흐샤니(فریدون درخشانی)이고 영국으로 이주하면서 쿠르드어로 "이주 수학자"라는 뜻을 가진 코체르 비르카르로 개명하였다, 필즈 메달을 받고 가방에 넣었는데 메달을 도둑 맞았다 그로인해 세계수학자대회는 필즈메달을 다시 만들어 재시상식을 하면서, 일단 사건은 일단락되었다. 이 때문에 역사상 최초로 필즈상을 2번 받은 사람이 되었다.][* 비르카르의 업적을 소개한 글[[https://horizon.kias.re.kr/8215/]]] || 1978 ||파노 다양체의 유계성 증명 (BAB 추측 증명), 모든 표수가 0인 체에 대한 모든 일반 유형 다양체는 최소 모델을 가짐을 증명, 고차원에서의 로그 플립의 존재 증명 || 2018년 [[필즈상]] || ||치프리안 마놀레스쿠[* 1995, 1996, 1997 3년 연속으로 [[국제수학올림피아드]] 만점을 받은 기록과 어려운걸로 유명한 대학 수학 경시대회인 윌리엄 로웰 퍼트넘 수학경시대회에서 1997, 1998, 2000년 대회에서 상위 5위 이내의 성적을 내면 받는 퍼트넘 펠로(Putnam Fellows)를 수상했다] || 1978 ||5차원 이상의 차원에서는 삼각화가 불가능한 다양체가 존재함을 증명, Pin (2) 등변 자이베르그-위튼 플로어 호몰로지 || || ||줄리앵 뒤베다[* Julien Dubedat] || 1978 ||슈람-뢰브너 진화에 대한 뛰어난 작업. 특히 가역성과 쌍대성 추측의 증명 || 2011년 살렘상 || ||드미트리 세르게예비치 첼카크[* Dmitry Sergeevich Chelkak] || 1979 ||스케일링 극한 설정 및 이론 물리학에서 비롯된 예측을 확인하고 새로운 정확한 결과를 이끌어 낸 2 차원 임계 이징 모델의 인터페이스 및 격자장에 대한 등각 불변성과 보편성을 입증 || 2014년 살렘상 || ||아르투르 아빌라 || 1979 ||준 이차(quasiquadratic) 사상의 비자명한 real analytic family에서 거의 모든 사상이 정칙적 이거나 확률적임을 증명, 열 잔의 마티니(Ten Martini)문제[* 마크 카츠가 이 문제를 해결하면 10잔의 [[마티니]]를 보상으로 주겠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해결, 조리치-콘체비치( Zorich–Kontsevich) 추측 증명, 모든 n>2에 대해 전형적인 n개 구간 교환(interval exchange)은 약한 섞임(weak mixing) 성질을 가짐을 증명 || 2006년 살렘상, 2014년 필즈상 || ||로만 홀로윈스키 || 1979 ||모듈러 정역(modular domain)에서 holomorphic analog의 경우에 양자 고유 에드고딕성 추측 증명 || || ||아담 웨이드 마커스 || 1979 ||캐디슨-싱어 문제 해결, 스탠리-윌프 추측 증명 || || ||니라지 카얄 || 1979 ||AKS 소수판별법 || || ||페르난도 코다 마르케스 || 1979 ||윌모어 추측 증명, 프리드먼-히-왕(Freedman–He–Wang) 추측 증명, 야마베 문제, 야우 추측, 강성에 대한 Min-Oo의 추측에 반례 제시 || 2016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2021년 페르마상 || ||수라브 차터지 || 1979 ||린드버그의 중심 극한 정리 증명을 약하게 종속된 무작위 변수의 임의의 부드러운 함수에 대한 불변 원리로 확장, KMT 정리의 더 간단한 증명, 셰링턴-커크패트릭 모델은 외부 장이 없을 때 임의의 온도에서의 Coupling의 작은 섭동 아래 chaotic 이라는 것을 보여줌 ||2013년 루에브상 || ||마이클 앤서니 힐 || 1980 ||케르베르 불변량 문제 || 2022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 ||마이클 브론스타인 || 1980 ||기하학적 심층학습(Geometric deep learning) || || ||니콜라이 발레리예비치 두로프[* 2013년 친동생인 파벨 발레리예비치 두로프와 함께 [[텔레그램]]이라는 메신저를 공동 창시했다, 2005년 세르게이 블라디미로비치 보스토코프 밑에서 "유리계수를 갖는 다항식의 갈루아 군 계산 방법"이라는 논문으로 첫 번째 박사학위를 받고 2007년 게르트 팔팅스 밑에서 "아라켈로프 기하학의 새로운 접근" 제목의 논문으로 두 번째 박사학위를 받았다] || 1980 ||벡토이드(vectoid)[* [[https://arxiv.org/abs/1105.3114]]] || || ||모하메드 아부자이드 || 1980 ||이국적인 구의 코탄젠트 번들을 구별하기 위해 파울 자이델과 함께 wrapped 후카야 범주를 구성하고 사교 위상 및 거울 대칭에 대한 기타 결정적인 기여 || 2017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 ||로넨 엘단 || 1980 ||확률적 지역화 방법의 생성을 위해 장 부르갱 의 슬라이싱 문제 및 KLS 추측을 포함하여 고차원 기하학 및 확률의 여러 미해결 문제에서 상당한 진전을 이룸. || 2023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 === 1981 ~ 1990년 출생 === ||'''{{{#white 이름}}}''' || '''{{{#white 출생 년도}}}''' ||'''{{{#white 주요 업적}}}''' ||'''{{{#white 주요 수상 내역}}}'''[* [[필즈상]], [[아벨상]], [[울프상]], [[노벨상]], [[튜링상]], [[가우스상]], [[천 메달]], IMU 주판 메달, 쇼상, 브레이크스루 상, 뉴 호라이즌 상,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보셰 기념상, 오스트로우스키(Ostrowski) 상, 국제 통계학상, 살렘상, 페르마상, 루에브(Loève)상, 카프(Karp)상, 하우스도르프 메달, 클레이 연구상] || ||콘스탄티노스 다스칼라키스 || 1981 ||내쉬 균형의 계산 복잡성, 최소 3명의 플레이어가 있는 게임에서 내쉬 균형을 찾는 것이 복잡도 종류 PPAD에 대해 완전하다는 것을 보임 || 2018년 IMU 주판 메달 || ||스콧 조엘 아론슨 || 1981 ||PostBQP[* [[https://en.wikipedia.org/wiki/PostBQP]]] = PP[* [[https://en.wikipedia.org/wiki/PP_(complexity)]]]임을 증명, 보손 샘플링(Boson sampling), Algebrizing proof로는 [[P-NP 문제]]를 증명하는데 충분하지 않음을 증명 || || ||[[악샤이 벤카테슈|악샤이 벤카테시]] || 1981 ||5 이상의 여차원에 대해서 ℤ 위의 이차 형식을 이차 형식으로 표현하는 문제에 대해 하세 원리(국소-대역 원리)가 적용됨을 증명, SL(3, Z)\\SL(3, R)에서 주기적 토러스 궤도의 고른 분포(equidistribution)를 증명[* 정확히는 판별식의 값이 무한대의 경향을 가질 때 실수 삼차 수체의 아이디얼 류(ideal classes)에 첨부된 SL(3, Z)\\SL(3, R)], 일반적인 수체 위에 GL(1) 및 GL(2) L-함수에 대한 subconvexity 문제 해결 || 2007년 살렘상, 2017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2018년 필즈상 || ||니틴 삭세나 || 1981 ||AKS 소수판별법 || || ||시몬 브렌들 || 1981 ||모든 등각 클레스와 임의의 초기 계량에 대한 야마베 흐름의 수렴을 증명, 미분 가능한 구(Sphere) 정리, 강성에 대한 Min-Oo의 추측에 반례 제시, 로손 추측 증명 || 2014년 보셰 기념상, 2017년 페르마상, 2024년 브레이크스루상 수학부문 || ||장웨이[* 张伟] || 1981 ||대역(global) 간-그로스-프라사드(Gan-Gross-Prasad) 추측에 대한 심층 연구 및 함수체 사례에서 L- 함수의 더 높은 도함수에 대한 기하학적 해석의 발견 || 2018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2019년 클레이 연구상 || ||쉬천양[* 许晨阳, Xu Chenyang] || 1981 ||K-안정 파노 다양체의 모듈라이에 대한 대수 이론과 K-안정성을 사용하여 최소 모델 프로그램의 특이점에 관한 접근 || 2019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2021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 ||게오르디 윌리엄슨 || 1981 ||루스티그 추측의 반례 발견, 대칭군에 대한 고든 제임스의 추측에 대한 반례 발견, Soergel bimodules에 대한 호지 이론의 개발과 일반 콕서터 군에 대한 카즈단-루스티그 추측의 증명을 포함한 기하학적 표현론의 선구적인 작업 || 2016년 클레이 연구상, 2017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 ||윈즈웨이[* 恽 之 玮, 한어 병음: ùn Zhīwěi] || 1982 ||대역(global) 간-그로스-프라사드(Gan-Gross-Prasad) 추측에 대한 심층 연구 및 함수체 사례에서 L- 함수의 더 높은 도함수에 대한 기하학적 해석의 발견 || 2018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 ||아론 나베르 || 1982 ||기하적 해석학 및 리만 기하학 작업을 위해 특히 Ricci 곡률 경계가 있는 다양체의 미해결 문제를 해결 하기위한 강력한 새 기술을 도입 || 2018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 ||주신원[* 朱歆文, Xinwen Zhu] || 1982 ||시무라 대수 다양체 이론 및 p-진 대수 다양체에 대한 리만-힐베르트 문제에 관한 응용을 포함하는 산술 대수 기하학의 연구 || 2020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 ||앨런 머리 슬라이 || 1982 ||블록 모델 임계값 추측(block model threshold conjecture) 증명[* A proof of the block model threshold conjecture], 신뢰전파, 강력한 재구성 및 블록 모델의 최적 복구[* Belief propagation, robust reconstruction and optimal recovery of block models], 큰 k에 대한 만족도 추측 증명[* Proof of the satisfiability conjecture for large k], 무작위 정규 그래프에서 최대 독립 집합[* Maximum independent sets on random regular graphs], 다항식 시간의 정사각형 격자 혼합에 대한 이징모형의 임계값[* Critical Ising on the square lattice mixes in polynomial time], 격자에서 이징 모델에 대한 컷오프[* Cutoff for the Ising model on the lattice] || 2019년 루에브상 || ||빈센트 필로니[* Vincent Pilloni] || 1982 ||더 높은 히다 이론(higher Hida theory)의 도입 및 개발을 통해 p-adic 모듈러 형식의 산술 기하학에 대해서 공헌함 || 2021년 페르마상 || ||바르가브 바트 || 1983 ||프리즘 코호몰로지, 가환 대수학 및 산술 대수 기하학, 특히 p-진 코호몰로지 이론의 개발에 대한 탁월한 연구 || 2021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2021년 클레이 연구상 || ||박진영|| 1982 ||칸-칼라이 추측 증명 || || ||제이슨 피터 밀러 || 1983 ||가우스 자유장(Gaussian free field) 분야에서 슈람-뢰브너 진화를 통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imaginary geometry를 도입, 측도가 부여된 무작위 곡면의 두 가지 모델인 리우빌 양자 중력과 Brownian map이 동등하다는 것을 증명 || 2017년 클레이 연구상 || ||벤저민 일라이어스 || 1983 ||Soergel bimodules에 대한 호지 이론의 개발과 일반 콕서터 군에 대한 카즈단-루스티그 추측의 증명을 포함한 기하학적 표현론의 선구적인 작업 || 2017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 ||[[허준이]] || 1983 ||호지 이론을 조합론에 끌어옴, 기하적 격자에서 다우링-윌슨 추측의 증명, 매트로이드에서 헤론-로타-웰시 추측의 증명, Lorentzian 다항식의 개발, 강한 메이슨 추측의 증명 ||2019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2022년 필즈상 || ||[[알레시오 피갈리]][* 2010년 필즈 메달리스트 [[세드리크 빌라니]]의 제자이다, 세드리크 빌라니는 1994년 필즈 메달리스트 피에르 루이 리옹의 제자이다] || 1984 ||연속성이 없어도 몽주-앙페르 방정식의 해가 소볼레프 형태의 두 번 미분가능성을 가짐을 보였고 이를 통해 세미지오스트로픽 방정식[* 1980년대에 영국의 기상학자이자 수학자인 마이크 큘렌이 커다란 지역에서의 태풍의 이동과 같은 대기흐름을 이해하기 위하여 유도한 방정식]이 의미있는 해를 가진다는 것을 증명, 최적운송사상을 통해 일반적인 크리스탈의 모양의 정량적인 안정성을 보임, 5 이하의 차원의 경계 반응 항(boundary reaction terms)에 대한 데 조르지의 추측을 증명 || 2018년 필즈상 || ||이반 재커리 코윈[* Ivan Zachary Corwin] || 1984 ||KPZ 방적식과 universality class[* The Kardar–Parisi–Zhang equation and universality class, Random Matrices, vol 1, 2012, tome 1], 두 개의 상호 작용하는 입자 시스템 q-TASEP와 ASEP에 대한 쌍대 관계를 증명[* From duality to determinants for q-TASEP and ASEP, Annals of Probability, vol 42, 2014, p. 2314–2382], 프로호퍼-스폰(Prähofer-Spohn) 추측 증명[* Current fluctuations for TASEP: A proof of the Prähofer--Spohn conjecture, Annals of Probability], 에어리 라인 앙상블에 대한 브라운 기브스 성질[* Brownian Gibbs property for Airy line ensembles, I Corwin, A Hammond - Inventiones mathematicae, 2014] || 2021년 루에브상 || ||마리나 세르지브나 비아조프스카 || 1984 ||8차원과 24차원에서 케플러 추측 해결 || 2016년 살렘상, 2017년 클레이 연구상, 2018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2019년 페르마상, 2022년 필즈상 || ||마크 브레이버먼 || 1984 ||대화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에 정보이론을 사용하기 위한 프레임워크인 정보 복잡성 이론을 개발함 || 2022년 IMU 주판 메달 || ||[[카이사 마토마키]][* Kaisa Matomäki] || 1985 ||곱셈 함수 값의 국소 상관 관계를 이해하는데 있어 근본적인 돌파구를 제공 || 2019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2023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 ||위고 뒤미닐코팽 || 1985 ||육각 격자의 연결 상수(Connective constant) [math(\mu=\sqrt{2 + \sqrt{2}})]임을 증명, 2차원 포투인-케스텔라인(Fortuin-Kesteleyn) 침투 모형에 대해 예측되어 온 대로 q>4 일 때 이 상전이가 불연속임을 그리고 q≤4 일 때 상전이가 연속임을 증명했다, 포투인-케스텔라인 침투 모형의 장론적 회전대칭성, 즉 두 격자점이 열린 군집으로 연결될 확률이 격자가 촘촘해질수록 두 점 사이 거리에 의해서만 정해진다는 결과를 발표함 || 2017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2017년 루에브상, 2022년 필즈상 || ||트리스탄 벅마스터[* Tristan Buckmaster] || 1985 ||3차원에서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의 약한 해(weak solution)가 유한 운동 에너지를 가지는 약한 해 클래스에서 유일하지 않음을 증명[* Tristan Buckmaster, Vlad Vicol: Nonuniqueness of weak solutions to the Navier-Stokes equation. Annals of Mathematics, Band 189, 2019, S. 101–144] || 2019년 클레이 연구상 || ||아나 카라아니 || 1985 ||랭글랜즈 프로그램에 대한 다양한 변혁적 기여, 특히 시무라 대수 다양체 및 그 응용에 대한 호지-테이트 주기 사상의 기하학에 대한 기본적 결과를 페터 숄체와 함께 설립 || 2023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 ||애미 머피 || 1986 ||사교 기하학과 접촉 기하학에 대한 기여, 특히 loose 르장드르 부분 다양체(Legendrian submanifold) 개념과 매튜 스트롬 보먼 및 야코프 옐리아시베르크와 함께 더 높은 차원에서 overtwisted contact structures 도입 || 2020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 ||필립 이셋 || 1986 ||오일러 방정식의 소산(dissipation)에 대한 온사가의 추측 해결 || 2019년 클레이 연구상 || ||제임스 메이너드 || 1987 ||소수 간극의 하극한이 유한한 수인 600보다 작다는 것을 증명, 더핀-쉐퍼 추측 증명 || 2020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2022년 필즈상, 2023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 ||잭 손[* Jack A. Thorne] || 1987 ||대수적 수 이론의 다양한 영역에 대한 변환적 기여, 특히 제임스 뉴턴과 협력하여 holomorphic modular newform의 모든 대칭 거듭제곱의 자기동형을 증명[* For transformative contributions to diverse areas of algebraic number theory, and in particular for the proof, in collaboration with James Newton, of the automorphy of all symmetric powers of a holomorphic modular newform.] || 2022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2023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 ||[[페터 숄체]] || 1987 ||퍼펙토이드 개념 고안, 퍼펙토이드 공간, 표수가 0인 국소체 K에 대한 일반 선형군 [math(GL_{n}(k))]에서 국소 랭글렌즈 추측 증명[* 기존의 마이클 해리스, 리처드 테일러가 증명한 것을 더욱 간결하게 해결하였다, 이때 당시 숄체는 만 22세 대학원생이었고 석사논문에서 증명하였으며 마이클 해리스, 리처드 테일러가 증명한 논문이 288페이지이고 10년후 숄체가 새로운 방법으로 증명한 논문은 53페이지이다], 웨이트-모노드로미(weight monodromy) 추측을 부분적으로 해결, 콘덴스드 수학(Condensed Mathematics) 창시 || 2014년 클레이 연구상, 2015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2015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2016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수상을 거절함], 2017년 페르마상, 2018년 필즈상 || ||쑨쑹[* 孙 崧, 한어 병음: Sūn Sōng] || 1987 ||야우-톈-도널드슨(Yau- Tian- Donaldson) 추측 증명 || 2019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2021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 ||앙카나 뤼란드[* Angkana Rüland] || 1987 ||응용 해석학, 특히 고체-고체 상전이의 미세 구조 분석 및 역 문제 이론에 대한 기여 || 2024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 ||막심 라지윌 || 1988 ||곱셈 함수 값의 국소 상관 관계를 이해하는데 있어 근본적인 돌파구를 제공 || 2019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2023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제이콥 시머맨[* Jacob Tsimerman] || 1988 ||지겔 모듈러 대수 다양체 및 모듈러 곡선의 임의에 곱의 경우에 대해서 앙드레-오르트(André–Oort) 추측을 증명 || 2022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 ||카림 아디프라시토 || 1988 ||헤론-로타-웨일스 추측 증명, g-추측 증명, 모든 연결된 flag 호몰로지 다양체에서 허쉬 추측 증명 || 2019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 ||존 빈센트 파든 || 1989 ||3차원에서 힐베르트-스미스 추측을 증명, 매듭의 왜곡(distortion)에 대한 그로모프의 문제 해결 || 2022년 클레이 연구상 || ||알렉산더 안드레예비치 로그노프[* Alexander Andreyevich Logunov] || 1989 ||타원 고유치 문제에 대한 해의 두 배 특성을 연구하기 위한 새로운 기하학적 조합 방법의 도입, 콤팩트 매끄러운 다양체에 정의된 라플라스 고유 함수의 zero sets에 대한 하우스도르프 측도의 상한 추정치를 증명, 나디라슈빌리(nadirashvil) 추측의 증명 및 야우 추측의 하한 증명 || 2017년 클레이 연구상, 2018년 살렘상, 2021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 === 1991 ~ 2000년 출생 === ||'''{{{#white 이름}}}''' || '''{{{#white 출생 년도}}}''' ||'''{{{#white 주요 업적}}}''' ||'''{{{#white 주요 수상 내역}}}'''[* [[필즈상]], [[아벨상]], [[울프상]], [[노벨상]], [[튜링상]], [[가우스상]], [[천 메달]], IMU 주판 메달, 쇼상, 브레이크스루 상, 뉴 호라이즌 상,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보셰 기념상, 오스트로우스키(Ostrowski) 상, 살렘상, 페르마상, 루에브(Loève)상, 카프(Karp)상, 하우스도르프 메달, 클레이 연구상] || ||리사 피치릴로 || 1991 ||콘웨이 매듭이 슬라이스(Slice) 매듭이 아님을 증명 || || ||앙투안 송 || 1992 ||야우 추측을 증명함 || || ||자레드 뒤커 리히트만 || 1996 ||에르되시 소수성 집합(primitive set) 추측 증명 || || == 출생 년도 미상 == ||'''{{{#white 이름}}}''' || '''{{{#white 출생 년도}}}''' ||'''{{{#white 주요 업적}}}''' ||'''{{{#white 주요 수상 내역}}}'''[* [[필즈상]], [[아벨상]], [[울프상]], [[노벨상]], [[튜링상]], [[가우스상]], [[천 메달]], IMU 주판 메달, 쇼상, 브레이크스루 상,뉴 호라이즌 상,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보셰 기념상, 오스트로우스키(Ostrowski) 상, 국제 통계학상, 살렘상, 페르마상, 루에브(Loève)상, 카프(Karp)상, 하우스도르프 메달, 클레이 연구상] || ||게리 밀러 || 미상 ||밀러-라빈 소수판별법 || || ||마르틴 퓌러 || 미상 ||퓌러 알고리즘 || || ||예브세이 니스네비치 || 미상 ||니스네비치 위상 || || ||커티스 그린 || 미상 ||그린-클라이트먼 정리 || || ||히라구치 도시오 || 미상 ||히라구치 정리 || || ||루이스 솔로몬 || 미상 ||올리크-솔로몬 대수, 초평면 배열의 선구자 || || ||잭 매클로플린 || 미상 ||매클로플린 산재군 || || ||존 벤저민 프리드렌더 || 미상 ||프리드렌더-이와니에크 정리 || || ||윌리엄 플로이드 || 미상 ||플로이드 경계, 모든 비압축성 곡면을 원위에 뚫린 토러스 번들(punctured-torus bundles over the circle)로 분류 || || ||시우옌청 || 미상 ||다차원 민코프스키 문제와 몽주-앙페르 방정식의 경계 값 문제 해법 제시, 청의 고윳값 비교 정리, 청의 지름 강성 정리 || || ||프란시스코 타이네 || 미상 ||타이네(Thaine) 정리 || || ||빌 토이 || 미상 ||블랙-더만-토이 모형 || || ||표트르 카라신스키 || 미상 ||블랙-카라신스키 모형 || || ||로버트 주에트 || 미상 ||헤일스-주에트 정리 || || ||존 마이클 슐레싱어 || 미상 ||변형 함자, 슐레싱어 정리, 슐레싱어 표현 정리, 리치텐바움-슐레싱어 함자 || || ||폴 터윌리거 || 미상 ||테르윌리거 대수(Terwilliger algebra) || || ||조지 루파이너 || 미상 ||루파이너(Ruppeiner) 기하학, 루파이너 계량 || || ||필립 스메츠 || 미상 ||피그니스틱(pignistic) 확률, 이동 가능한 믿음 모델(Transferable belief model)[* [[https://en.wikipedia.org/wiki/Transferable_belief_model]]] || || ||천슈슝[* 陈秀雄, 한어 병음: Chén Xiùxióng] || 미상 ||야우-톈-도널드슨(Yau- Tian- Donaldson) 추측 증명 || 2019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 ||마이클 허칭스 || 미상 ||매장된 접촉 호몰로지, 이중 거품 추측 증명 || || ||J.M.C 클라크 || 미상 ||클라크-오콘 정리 || || ||파올로 카시니 || 미상 ||모든 표수가 0인 체에 대한 모든 일반 유형 다양체는 최소 모델을 가짐을 증명, 고차원에서의 로그 플립의 존재 증명 || || ||팀 오스틴 || 미상 ||에르고딕 이론에 여러 공헌 특히 약한 핀스커(Pinsker) 추측의 증명 || 2020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2021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 ||이중범 || 미상 ||버어-에르되시 추측 증명 || || ||존 에드윈 루케 || 미상 ||순환 수술(Cyclic surgery) 정리, 고든-루케 정리 || || ||세르게이 라이몬도비치 트레일[* Sergei Raimondowitsch Treil] || 미상 ||한켈 및 퇴플리츠 연산자 이론에 기여 || 1993년 살렘상 || ||다펑 잔[* Dapeng Zhan] || 미상 ||슈람-뢰브너 진화에 대한 뛰어난 작업. 특히 가역성과 쌍대성 추측의 증명 || 2011년 살렘상 || ||데이비드 그로브먼 || 미상 ||하트먼-그로브먼(Hartman–Grobman) 정리 || || ||모르데차이 모티 기틱[* mordechai "moti"gitik] || 미상 ||모든 비가산 기수는 특이 기수라는 것의 일관성을 증명[* All uncountable cardinals can be singular. In: Israel Journal of Mathematics.] || 2013년 카프상 || ||로버트 어빙 소아르 || 미상 ||낮은 기저 정리(Low basis theorem), 조쿠시-소아르(Jockusch–Soare) 강제법 || || ||어윈 굿맨[* I.R. Goodman] || 미상 ||굿맨-응우옌-반 프라센 대수, 굿맨-응우옌-워커 대수 || || ||훙 투안 응우옌[* Hung Tuan Nguyen] || 미상 ||굿맨-응우옌-반 프라센 대수, 굿맨-응우옌-워커 대수 || || ||야코프 피터질[* Ya'acov Peterzil] || 미상 ||O-최소 구조(o-minimal structures)를 대수 및 실해석, 복소해석의 문제에 적용 || 2013년 카프상 || ||세르게이 스테파노비치 스타르첸코[* Sergei Stepanovich Starchenko] || 미상 ||O-최소 구조(o-minimal structures)를 대수 및 실해석, 복소해석의 문제에 적용 || 2013년 카프상 || ||새뮤얼 퍼거슨 || 미상 ||케플러의 추측 증명 || || ||이청 장[* Yi-Cheng Zhang] || 미상 ||KPZ 방정식 || || ||다카시 야기사와 || 미상 ||확장된 양상 실재론(Extended modal realism)[* [[https://en.wikipedia.org/wiki/Extended_modal_realism]]] || || ||마리안테 엘리자베스 말리아리스 || 미상 ||모형 이론의 구성인 카이슬러(Keisler)를 순서를 사용하여 가장 작은 무한 기수보다 크고 연속체의 기수보다 작거나 같은 연속체의 두 가지 기본 특성 𝖕 및 𝖙 간의 동등성을 증명[* Malliaris, Maryanthe; Shelah, Saharon (2013), "General topology meets model theory, on 𝔭 and 𝔱",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카이슬러(Keisler) 순서의 최대성이 순순서 속성으로 특징 지어지지 않고 SOP2라는 약한 순서 속성으로 충분하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모형 이론에서 40년 된 문제를 해결함[* Cofinality spectrum theorems in model theory, set theory, and general topology. J. Amer. Math. Soc. 29 (2016), no. 1, 237-297.] || 2017년 하우스도르프 메달 || ||니킬 스리바스타바[* Nikhil Srivastava] || 미상 ||캐디슨-싱어 문제[* [[https://en.wikipedia.org/wiki/Kadison%E2%80%93Singer_problem]]] 해결 || || ||조엘 프리드먼 || 미상 ||강화된 한나 노이만 추측 증명[* [[https://en.wikipedia.org/wiki/Hanna_Neumann_conjecture]]] || || ||이고르 미네예프[* Igor Mineyev] || 미상 ||강화된 한나 노이만 추측 증명 || || ||제레미 샬로핀[* Jeremie Chalopin] || 미상 ||샤이너만(Scheinerman) 추측 증명[* [[https://en.wikipedia.org/wiki/Scheinerman%27s_conjecture]]] || || ||다니엘 곤살베스[* Daniel Gonçalves] || 미상 ||샤이너만(Scheinerman) 추측 증명 || || ||헨리크 헤흐트[* Henryk Hecht] || 미상 ||블래트너(Blattner) 추측[* [[https://en.wikipedia.org/wiki/Blattner%27s_conjecture]]] 증명 || || ||마크 데이비드 하이먼 || 미상 ||N! 추측과 맥도날드 양성(Macdonald positivity) 추측[* [[https://en.wikipedia.org/wiki/Macdonald_polynomials#The_Macdonald_positivity_conjecture]]] 증명 || || ||하오 황 || 미상 ||민감도(Sensitivity) 추측[* [[https://en.wikipedia.org/wiki/Decision_tree_model#Sensitivity_conjecture]]] 증명 || || ||크지슈토프 쿠르디카[* Krzysztof Kurdyka] || 미상 ||르네 톰의 기울기(Gradient) 추측[* [[https://en.wikipedia.org/wiki/Gradient_conjecture]]] 증명 || || ||타데우시 모스토프스키[* Tadeusz Mostowski] || 미상 ||르네 톰의 기울기(Gradient) 추측 증명 || || ||아담 파루신스키[* Adam Parusiński] || 미상 ||르네 톰의 기울기(Gradient) 추측 증명 || || ||블라디미르 체르노소프[* Vladimir I. Chernousov] || 미상 ||타마가와 수에 대한 베유 추측[* [[https://en.wikipedia.org/wiki/Weil%27s_conjecture_on_Tamagawa_numbers]]] 증명 || || ||케턴 멀뮬리[* Ketan Mulmuley] || 미상 ||기하학적 복잡도 이론(Geometric complexity theory)[* [[https://en.wikipedia.org/wiki/Geometric_complexity_theory]]] || || ||밀린드 소호니[* Milind Sohoni] || 미상 ||기하학적 복잡도 이론(Geometric complexity theory) || || ||이브 베누이스트[* Yves Benoist] || 미상 ||콤팩트하고 음으로 구부러진(negatively curved) 다양체의 아노소프 흐름(Anosov flows)에 대한 오래된 열린 추측을 증명[* Y. Benoist, P. Foulon, F. Labourie: Flots d'Anosov à distributions stable et instable différentiables. J. Amer. Math. Soc. 5 (1992), no. 1, 33–74.], 퀸트와 함께 퓌르스텐베르크의 추측을 증명[* conjecture of Furstenberg: Let H be a Zariski dense semisimple subgroup of a Lie group which acts by left translations on the quotient of G by a discrete subgroup with finite covolume. Consider a probability m measure on H whose support generates H. Then any m-stationary probability measure for such an action is H-invariant."] || 2011년 클레이 연구상 || ||장 프랑수아 퀸트[* Jean-François Quint] || 미상 ||베누이스트와 함께 퓌르스텐베르크의 추측을 증명 || 2011년 클레이 연구상 || ||블라드 비콜[* Vlad Vicol] || 미상 ||3차원에서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의 약한 해(weak solution)가 유한 운동 에너지를 가지는 약한 해 클래스에서 유일하지 않음을 증명 || 2019년 클레이 연구상 || ||기오르기 자파리드제[* Giorgi Japaridze] || 미상 ||계산가능성 논리[* [[https://en.wikipedia.org/wiki/Computability_logic]]], Cirquent calculus, Japaridze's polymodal logic [* [[https://en.wikipedia.org/wiki/Japaridze%27s_polymodal_logic]]] || || ||데시오 크라우스[* Décio Krause] || 미상 ||슈뢰딩거 논리[* [[https://en.wikipedia.org/wiki/Schr%C3%B6dinger_logic]]] || || ||아론 브라운 || 미상 ||짐머 추측[* [[https://en.wikipedia.org/wiki/Zimmer%27s_conjecture]]]을 증명 || 2022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 ||세바스찬 후르타도 살라자르[* Sebastian Hurtado Salazar] || 미상 ||짐머 추측을 증명 || 2022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 ||데이비드 피셔 || 미상 ||짐머 추측을 증명 || || ||헨리 유엔[* Henry Yuen] || 미상 ||MIP*=RE 임을 증명, 콘의 임베딩 추측[* [[https://en.wikipedia.org/wiki/Connes_embedding_problem]]]과 치렐슨 문제[* [[https://en.wikipedia.org/wiki/Tsirelson%27s_bound]]]가 거짓임을 증명 || || ||젱펭 지[* Zhengfeng Ji] || 미상 ||MIP*=RE 임을 증명, 콘의 임베딩 추측과 치렐슨 문제가 거짓임을 증명 || || ||아난느 나타라얀[* Anand Natarajan] || 미상 ||MIP*=RE 임을 증명, 콘의 임베딩 추측과 치렐슨 문제가 거짓임을 증명 || || ||토머스 비딕[* Thomas Vidick] || 미상 ||MIP*=RE 임을 증명, 콘의 임베딩 추측과 치렐슨 문제가 거짓임을 증명 || || ||존 라이트[* John Wright] || 미상 ||MIP*=RE 임을 증명, 콘의 임베딩 추측과 치렐슨 문제가 거짓임을 증명 || || ||게나디 게오르기에비치 카스파로프[* Gennadi Georgijewitsch Kasparow] || 미상 ||KK-이론[* [[https://en.wikipedia.org/wiki/KK-theory]]] || || ||다비트 보리소비치 유딘|| 미상 ||타원체 방법(Ellipsoid method), convex extremal problem에 대한 정보 복잡성 및 효과적인 해결법[* Judin, D.B.; Nemirovski, Arkadi (1976). "Informational complexity and effective methods of solution for convex extremal problems". Ekonomika i Matematicheskie Metody. 12: 357–369.] || || ||드미트리 이힐로비치 팔리크만 || 미상 ||판데르바르던 추측 증명 || || ||유리 구레비치 || 미상 ||추상 상태 기계(Abstract state machine), Forgetful Determinacy Theorem || || ||자크 저스틴 || 미상 ||후지타-하토리 공리 || || ||코시히로 하토리 || 미상 ||후지타-하토리 공리 || || ||피터 메서 || 미상 ||종이접기 작도에서 입방배적문제(델로스 문제) 해결 || || ||윌프리드 부흐홀츠 || 미상 ||부흐홀츠 프사이 함수[* [[https://en.wikipedia.org/wiki/Buchholz_psi_functions]]], 부흐홀츠 서수, 다케우치-페퍼만-부흐홀츠(Takeuti–Feferman–Buchholz ordinal) 서수 || || ||D.J. 슈미스(D. J. shoesmith) || 미상 ||다중 결론 논리(Multiple-Conclusion Logic) || || ||신이 위안[* 袁新意, Xinyi Yuan] || 미상 ||평균 콜메즈 추측(Averaged Colmez Conjecture) 증명 || || ||후이 투안 팜 || 미상 ||칸-칼라이 추측 증명 || || ||가즈오 하비로 || 미상 ||클래스퍼 계산(Clasper calculus) 도입 || || ||제임스 뉴턴 || 미상 ||holomorphic modular newform의 모든 대칭 거듭제곱의 자기동형을 증명 || 2023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 ||오스카 랜달-윌리엄스[* Oscar Randal-Williams] || 미상 ||고차원적 다양체와 그들의 미분동형사상 군에 대한 이해에 심오한 기여 || 2022년 클레이 연구상 || ||블라디미르 베르코비치[* Vladimir Berkovich] || 미상 ||베르코비치 공간[* [[https://en.wikipedia.org/wiki/Berkovich_space]]] || || ||데이비드 아스페로[* David Aspero] || 미상 ||마틴 최대 공리의 강력한 형태인 MM++가 우딘의 (*) 공리를 암시한다는 것을 보임 || 2022년 하우스도르프 메달 || ||랄프 쉰들러[* Ralf Schindler] || 미상 ||마틴 최대 공리의 강력한 형태인 MM++가 우딘의 (*) 공리를 암시한다는 것을 보임 || 2022년 하우스도르프 메달 || ||사라 앤 펠루세[* Sarah Anne Peluse] || 미상 ||이산 조화 해석학 및 에르고딕 이론에 적용할 수 있는 등차 수열의 다항식 구성에 대한 정량적 밀도 정리에 관한 작업을 포함하여 가법적 조합론(additive combinatorics) 및 관련 분야에 기여 || 2023년 살렘상 || ||줄리안 사하스라부데[* Julian Sahasrabudhe] || 미상 ||평면 다항식 구성, 무작위 대칭 행렬의 특이점 확률 경계 개선, 대각 램지 수의 새로운 상한값 획득 등 조화 해석학, 확률론 및 조합론에 기여 || 2023년 살렘상 || ||롤랜드 바우어슈미트[* Roland Bauerschmidt] || 미상 ||확률론 및 재규격화군의 기술적 개발에 대한 탁월한 공헌을 함 || 2024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 ||마이클 그뢰체니그[* Michael Groechenig] || 미상 ||강체 국소계(rigid local system) 이론과 거울 대칭 및 기본 보조 정리에 대한 p진 적분 적용에 대한 기여 || 2024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 ||예시카 핀트젠[* Jessica Fintzen] || 미상 ||“Types for tame p-adic groups”라는 논문에서 유[* Jiu-Kang Yu]의 구성에 대한 소진 정리를 증명 || 2024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수학자, version=6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