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려의 궁궐)] [include(틀:고려의 역대 법궁)] [include(틀:조선의 별궁과 궁가)] ||<-2><#FEDC89><:>{{{#670000 {{{+3 수창궁}}}}}}|| ||<:><-2>[include(틀:지도, 장소=고려박물관, 높이=224px, 너비=100%)] || [목차] == 개요 == 壽昌宮 [[고려시대]]에 [[개성시|개경]]의 서소문 안에 있던 [[궁궐]]로 본래 별궁이었으나 고려 말에서 [[조선]] 초까지는 [[법궁]]으로 승격되었다. == 역사 == === 고려 왕조 === 어느 시기에 세워졌는지는 미상이다. 1011년([[현종(고려)|현종]] 2년) 2월에 [[거란]]의 침입으로 피난 갔던 [[청주시|청주]]에서 [[개성시|개경]]으로 돌아와 당시 전소된 [[만월대]]를 복구하는 동안 기거했으나, 1116년(현종 7년)에 수창궁 안에 기괴한 일이 많이 일어나게 되자 결국 [[명복궁]]으로 이어했다. 그 뒤 1147년(의종 1)에는 군소배가 [[의종(고려)|의종]]과 어울리자 어사대의 건의로 북문을 봉쇄해 군소배의 출입을 금하기도 하였다. 그뒤 내시 윤언문이 수창궁 북쪽에 매우 화려한 만수정을 설치하면서 북쪽으로 권역이 확장되었다. [[무신정변]] 이후 1181년([[명종(고려)|명종]] 11) 수창궁에 돌이 날아들어와 계엄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1187년(명종 17) 정월에는 추밀원에서 불이 번져 수창궁의 행랑 기둥 20여 채가 불에 탔으며 같은 해 7월에는 치사공부상서 [[조원정]]의 가신 무리 70여 명이 수창궁에 들어와 추밀사 양익경과 내시원낭중 이규ㆍ이찬 등 많은 사람을 살해하였다. 1196년 4월에는 수창궁 중서성문이 무너졌으며 8월에는 1171년 10월 화재 이후 기거했던 수창궁을 떠나 [[연경궁]]으로 옮기었다. 1211년(희종 7) 12월, 수창궁에서 희종의 최충헌 암살 시도가 일어났다. 최충헌의 호위대는 다 죽이는데 성공했지만, 최충헌을 죽이는데 실패했다. 1213년(강종 2) 8월에 [[강종(고려)|강종]]이 수창궁 화평전(和平殿)에서 세상을 떠났으며, 1220년(고종 7) 4월에는 수창궁 침전에 [[호랑이]]가 들어오기도 하였다. 1232년, 무신정권 집권자 [[최이]]의 결정으로 강화도로 천도하게되었다. 강화도엔 수창궁의 이름을 그대로 따온 새로운 별궁을 지었다. 개경 수창궁은 폐쇄 되었다. 1234년 11월에 [[태조(고려)|태조]]의 신어[* 神御 : 임금의 화상. [[어진]].]를 개경 수창궁에 봉안했고 1250년과 1251년에는 [[몽골]] 사신을 강도(江都) 수창궁에서 향연하기도 하였다. 이후 몽골과의 [[여몽전쟁]]으로 본토가 황폐화되면서 개경 수창궁은 폐허가 되었다. 1270년, 본토로 출륙할 때 강도 수창궁은 허물어졌다. 1297년([[충렬왕]] 23) 윤12월에는 당시 세자였던 [[충선왕]]이 부지밀직사사 최충소에게 명해 수창궁 터에 장차 원공주가 기거할 궁려를 짓기 위해 큰 공사를 시작했는데 가운데에 방단을 쌓고 둘레에는 높은 담을 둘렀다. 1361년(공민왕 10) [[홍건적]]의 침입으로 [[연경궁]](본궐)이 불타 이 곳으로 옮기었으며 1370년 8월 다시 수창궁 옛 터를 보고 궁궐 짓기를 명하였다. 그러다가 [[공민왕]]의 시해로 공사가 중단되었다가 1381년(우왕 7) 3월 수창궁조성도감을 설치하여 [[최영]], 이성림 등에게 공사를 계속 담당하게 해 다시 수창궁을 경영해 1384년 윤10월에 수창궁의 낙성을 보게 되었다. 1388년 [[창왕]] 때 왕의 이름 창(昌)을 [[피휘]]하여 수창궁을 수령궁(壽寧宮)으로 개칭하고 대비 이씨를 옮기었다. 그 뒤 [[공양왕]]이 여기서 즉위하였다. 창왕은 폐위된 후 이성계 일파에 의해 [[신돈]]의 핏줄로 모함당해 아예 그런 왕이 있었다는 것까지 부정되어 피휘도 취소됐고 궁 이름은 다시 수창궁으로 돌아왔다. '''1392년 7월 17일, 감록국사 이성계가 수창궁 정전에서 군주가 되었다.''' 그 이전인 7월 12일, 공양왕이 왕대비의 교령에 의해 북천동궁에서 폐위되었다. 이후 이성계는 왕대비의 교령으로 감록국사에 봉해졌다. 이성계는 [[만세]] 함성을 들으며 수창궁 서쪽으로 말을 타고 들어와 어좌에 앉지 않고 선 채로 조하를 받았다. 왕씨가 아닌 이씨가 고려 법궁을 차지하는 순간이다. === 조선 왕조 ===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태조(조선)|태조]]는 수창궁 영화전(永和殿)에서 즉위했다고 한다. 이후 태조가 수도를 개경에서 [[한양]]으로 옮기면서 일시적으로 비게 되었으나 [[제1차 왕자의 난]] 이후 즉위한 [[정종(조선)|정종]]이 수도를 한양에서 다시 개경으로 옮기면서 다시 기거했고, 1400년 침실에서 화재가 나 대전으로까지 번졌고, 같은 해 11월에 즉위한 [[태종(조선)|태종]]도 한양으로 다시 이어했다. 이후 관리를 소홀히 했는지 조선 [[성종(조선)|성종]] 연간에는 이미 허물어져 개성부의 창고로 사용되었다. === 구한말 ~ 대한민국 === 수창궁 자리는 일제강점기 때 관청이 집중되어 있었고, 대화정(大和町)으로 불렸다. 광복 이후 수창궁의 이름을 딴 개성시 수창동으로 개칭하였다. 현재는 개성 학생소년궁전이 있는 듯하다 == 주요 건축 == * '''경신전(敬愼殿) / 왕대비전(王大妃殿):''' 정식 명칭은 경신전이며 [[정비 안씨|왕대비 안씨]]가 살고 있었기에 왕대비전이라 불렸다. 공양왕의 폐위가 결정된 곳이며 이성계가 감록국사로 봉해진 곳이다. 또한 고려 왕씨의 [[국새]]가 마지막으로 보관되어 있던 곳이다. * '''영화전(永和殿):''' 조선시대에 제작된 신증동국여지승람 제5권에서 등장하는 전각인데, 이곳에서 태조 이성계가 즉위했다고 한다. 조선왕조실록에선 이성계가 수창궁 정전에서 즉위했다 했으니, 영화전이 수창궁의 정전이라고 볼 수 있을 듯 하다. 한국고전종합DB에서 제공하는 원문에 의하면 "在西小門內。自延慶宮焚燹後,王皆御是宮,我太祖亦卽位于是。今頹廢,爲開城府倉廩。"이라고만 되어 있다. 영화전에서 즉위하였다는 말은 번역문에만 등장한다. * 관인전(寬仁殿) * 화평전(和平殿): [[강종(고려)|강종]]이 붕어한 곳이다. * 명인전(明仁殿) * 중화전(重華殿) * 만수정(萬壽亭) * 팔각전(八角殿): 공민왕이 건설한 중층 건물이다. 2층으로 되있고 팔각형 모양으로 세운 커다란 건축. 주위엔 후원(後園)을 만들어 꽃, 새, 귀석을 진열했다고 한다. 수창궁의 동남쪽 근처에 위치했다. * 지주사방(知奏使房): 수창궁 내의 근무시설. 희종이 최충헌을 죽이려 했을 때, 최충헌은 지주사방 문[* 중문이었던 걸로 보인다.] 사이에 숨어 피신했다. [[분류:고려의 궁전]][[분류:조선 시대의 없어진 건축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