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쇄된 교통시설)]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버스 터미널)] [[파일:attachment/suyut.jpg]] [목차] == 개요 == [[수유역]] 4번 출구에 위치했던 정류소. 과거엔 매표소가 있었으나 [[2009년]]에 매표소는 폐쇄되었다. 구석에 맞이방과 직원 대기실을 겸한 허름한 컨테이너 박스 하나가 전부이며, 안에는 정수기 한 대와 의자 몇 개 정도를 제외하면 특정 시설이 없다. 승객은 길가에서 버스를 기다려서 탄다.[* 추울 때에는 맞이방을 이용하라고 권하기도 한다. 단 출발 5분 전에 나가서 정류장으로 나가야 한다.] 요금은 현금이나 교통카드로 지불하면 된다. == 노선 == 원래 [[선진고속(의정부)|선진고속]]에서 [[상봉터미널]] 방면 노선의 중간 정류장으로 운영하던 곳이었고, 점차 [[수유역]] 착발 비중을 높이다가 [[2006년]]에 [[상봉터미널]]에서 철수하면서 순수한 수유역 착발 노선만 운영한다. 2010년 2월 [[경기고속]]에서 노선들을 인수한 후부터는 [[경기고속]]에서 관리한다. || 번호 || 기점 ||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 [[시외버스 3003, 3005|3003]] || 동송 || 관인ᆞ팔호동ᆞ육호동ᆞ자일리ᆞ운천ᆞ만세교ᆞ포천ᆞ[[도봉산역]] ||<|2> 수유역 || 1일 13회 || || [[시외버스 3003, 3005|3005]] || 와수리 || 지경리ᆞ신철원ᆞ운천ᆞ양문ᆞ포천ᆞ[[도봉산역]] || 1일 11회 || 두 노선들이 군부대가 많은 [[포천시]]와 [[철원군]]으로 가기 때문에 [[동서울터미널]]과 [[상봉터미널]]처럼 [[군인]]들을 자주 볼 수 있다. 3003번과 3005번이 번갈아가며 총 1일 32회 운행한다. 선진고속이 운행하던 시절에는 도합 15분 간격이었는데, [[경기고속]]에 인수된 후부터는 배차간격이 이전보다 길어졌다.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설치되어 왕복 4차선으로 좁아진 [[도봉로(서울)|도봉로]]에 두 노선들이 대기하느라 출퇴근 시간이나 주말에 정체가 일어나는 일이 잦았다. [[2009년]]에 버스나 택시의 정차를 위해 도로 옆에 오목하게 포켓을 만든 후부터는 조금 덜 하지만 강북구청사거리의 신호문제와 [[마을버스]] 정차로 인해 그 일대의 정체는 여전하다. [[2020년]] [[4월 1일]]부터 수유터미널로 운행하던 시외버스 노선이 전부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로 단축되었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217109&page=1|#]] 이로 인해 터미널은 폐쇄되었고, 가건물로 되어있던 승객 대합실을 비롯한 수유역 인근의 시외버스 관련 시설물들은 모두 철거되었다. [[분류:서울특별시의 폐쇄된 버스 터미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