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물학 관련 정보]] [목차] == 개요 == 수용세포(Competent cell)은 외부 [[DNA]]를 수용하는 능력을 가진 세포로, 인공적으로 조작되어 실험실에서 주로[* 보통 냉동보관한다] 쓰인다. == 특징 == 칼슘이나 마그네슘을 처리해 세포벽이 약화된 상태이므로 외부 DNA가 쉽게 들어올 수 있지만 그만큼 세포가 취약한 상태이므로 조심해서 취급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볼텍스를 하면 안된다.] 'Competent'의 'Com'만 떼서 컴 셀이라고 줄여부르기도 한다. 세포가 있는 곳에 DNA를 넣어주면, DNA가 [[세포막]](혹은 [[세포벽]])을 통과해 세포 안으로 들어오게 된다. 세포 안으로 들어온 외부 DNA는 두 가지 길을 걸을 수 있다. 첫째로, 뉴클레오티드로 분해되어 세포의 대사에 이용될 수 있다. 두번째로, 원래 세포가 가지고 있던 DNA와 합쳐진다. 두번째 길을 걷게 되면, 세포의 형질이 변화하게 되는데 이를 형질전환(Transformation)이라 부른다. 수용세포를 이용하면, 세포가 증식하는 특성을 이용해 외부 DNA도 같이 증폭시킬 수 있다. == 사례 == 대표적인 수용세포로는 DH5α와 BL21이 있는데, 둘 다 [[대장균]]을 개조한 것이다. [[분류:유전공학]][[분류:세포생물학]][[분류:세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