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성공회]]를 제외한 [[개신교]]에서 매주 [[수요일]] [[저녁]]에 드리는 [[예배]]를 칭하는 것. '수요기도회' 또는 '삼일예배'라고도 한다. [[가톨릭]]·[[정교회]]·[[성공회]]에서는 매일 [[미사]]나 [[성찬예배]], [[감사성찬례]]를 드리지만, 교회법으로 정한 '수요예배'라는 [[개념]]은 딱히 없다. 한 성당에서 성직자와 교인들이 평일 저녁에 미사를 드리기로 했는데 그게 마침 수요일 저녁일 수는 있어도, 수요일이라서 꼭 드려야 하는 미사가 따로 있지는 않다는 이야기. == 유래 == 수요예배는 [[한국의 개신교]] 초기에 한국에 파송된 외국인 [[선교사]]들에 의해 실시된 것으로 전해진다. 원래는 [[안식일]]을 기념하는 의미에서 [[일요일]]에만 예배를 드렸으나, 주중에 일요일 예배를 기다리는 것이 길다고 하여 주 중에 정식 집회를 갖기를 원했는데 이것이 수요예배의 시발점으로 보고 있다. 처음에는 "수요기도회"로 명칭이 시작됐으나 집회형식을 갖춰 "수요예배"가 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예배는 주일에만 드리는 것이라 하여 수요기도회라는 명칭을 쓰는 교회도 존재한다. [[http://srchdb1.chosun.om/pdf/i_service/pdf_ReadBody.jsp?Y=2016&M=02&D=19&ID=2016021900052|이 조선일보]] 기사에 따르면, 정설은 따로 없으나 개신교계에서는 [[1907년]]의 평양 대부흥을 기원으로 추정한다. 외국 선교사들은 수요예배라는 전통이 없었기 때문에 그들이 의도해서 만든 게 아니고, 신자들이 매일 기도회를 열다보니 동양의 상징적인 수인 3과 결합하여 수요예배라는 전통이 생겼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 성경에서는 수요예배라는 언급이 없다.] == 특징 == 주일예배에 비해 간소하게 열린다.찬송[*A 또는 찬양] - 기도 - 성경 봉독 - 설교 - 찬송[*A] - 주기도문 순서로 진행되며 1시간도 안 되어서 예배가 끝나는 일이 많다. == 그 외 == [[금요일]]에 드리는 금요예배도 있다. 단, 수요예배와 달리 교회에 따라 진행하지 않는 곳도 있다. [[분류:예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