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수신사([[修]][[信]][[使]])는 [[강화도 조약]] 체결 이후 [[조선]]에서 [[일본 제국]]으로 파견한 사절단을 말한다. 신뢰를 닦는 사절이라는 뜻으로 양국의 신뢰를 돈독히 하겠다는 뜻이다.[* 과거 조선이 일본에 문물을 전달해준 [[조선 통신사]]에 대비하여 일본의 문물을 받는 입장이기 때문에 명칭이 수신사로 정해졌다는 설명은 틀렸다.] == 1차 수신사 == 1876년 2월 22일 [[김기수(1832)|김기수]]를 수신사로 임명하였고 그를 [[위시]]한 75명을 일본에 파견하였다. 김기수 일행은 4월 29일 부산을 출발해 5월 7일 도쿄에 도착하였고 20일간 도쿄에 머물면서 [[메이지 덴노]]를 비롯해 [[산조 사네토미]], [[이토 히로부미]] 등 일본의 주요 인사를 만나고 일본의 각종 시설을 시찰하였다. 김기수는 기행문「일동기유」에서 [[메이지 유신]] 이후의 서구화된 일본의 모습을 소개하고 일본과 서양의 문물을 받아들일 것을 주장했다. 다만 주장과는 별개로 김기수를 비롯한 수신사 일행은 일본을 보면서 상당한 [[컬쳐 쇼크]]를 받고 서양 문물에 대해서 상당히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기도 했는데, 대표적으로 일본 정부가 주최한 무도회에 참석한 것이 있다. 남녀 쌍쌍이 모여서 [[왈츠]]를 추는 것을 본 수신사 일행은 그야말로 경악했으며, 김기수는 일본 육군경의 딸이 서슴없이 자신에게 다가와서 손을 잡고 인사한 것을 두고 예절이 무너졌다며 개탄하기도 했다. 또한 일본의 학교들을 시찰하는 자리에서 인체 해부실습을 하는 걸 보고 질색하면서 '성현의 말씀은 다 접어두고 부국강병의 술책만 숭상하고 있다'면서 비판하기도 했다.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6189210|출처]] == 2차 수신사 == 1880년 3월에는 [[김홍집]]을 수신사로 임명하였고 김홍집 일행은 7월 6일 도쿄에 도착해 1개월간 머물다가 8월 28일에 귀국하였다. 김홍집은 일본의 시설을 시찰하고 황준헌(황쭌셴)의 [[조선책략]]을 가져와 신문물 수입과 외교 정책을 건의하였고 이후 조선책략은 [[조미수호통상조약]] 체결과 [[위정척사]] 운동에 영향을 끼쳤다. == 3차 수신사 == 1881년 강화도 조약의 무관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조병호를 일본에 파견하였다. 조병호는 일본으로 가는 도중 [[조사 시찰단]] 민종묵과 이헌영을 만나 관세에 관한 조선 측 안을 협의한 후, 11월 17일 일본 정부에 관세 자주권에 입각한 조선 측 해관세칙 초안을 제출하고 통상 장정 및 세칙 협상을 진행했다. 하지만 일본 외무경 [[이노우에 가오루]]가 조병호에게 전권이 위임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세칙 협상을 보류시켜 조병호는 목적을 이루지 못하고 돌아와야만 했다.[* 이후 1882년 4월 조선이 미국과 [[조미수호통상조약]]을 체결하여 제한적 관세를 설정하게 되자, 일본은 더이상 무관세 조치를 유지할 명분이 없어 1883년 7월 25일 [[조일통상장정]]을 체결하여 제한적 관세를 설정하게 된다.] [[http://contents.history.go.kr/front/tg/view.do?treeId=0209&levelId=tg_004_0510&ganada=&pageUnit=10|#]] == 4차 수신사 == 1882년 8월 30일 조선은 [[임오군란]]에 대한 책임 문제로 일본과 [[제물포 조약]]을 체결하였고 제물포 조약 5조에 의거해 [[박영효]]를 전권대신 겸 수신사로 임명해서 일본에 파견하였다.[* 이때 박영효와 같은 개화파였던 [[김옥균]]과 [[서광범]]도 일행으로 합류하였다.] 박영효 일행은 4개월간 일본에 머물면서 일본의 근대적 발전상을 확인하고, 서구 외교관과의 교섭을 통해서 국제 정세를 파악하였다. 한편 박영효는 일본으로 향하는 도중에 [[태극기]]를 제작하여[* 이응준이 만들었던 태극기 4괘의 좌우를 바꾸었다.] 공식석상에 내걸었고 오늘날 태극기의 원형을 이루었다. == 관련 문서 == * [[조사 시찰단]] * [[영선사]] * [[보빙사]] * [[http://contents.history.go.kr/front/tg/view.do?treeId=0209&levelId=tg_004_0510&ganada=&pageUnit=10|우리역사넷-수신사]] [[분류:고종 시대/사건 사고]][[분류:1876년/사건사고]][[분류:1880년/사건사고]][[분류:1881년/사건사고]][[분류:1882년/사건사고]][[분류:근대화]][[분류:조일관계]][[분류:한일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