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론 합의2, 합의사항1=환승역 분리, 합의사항2=3호선 분당선은 도시철도로 분리, 토론번호1=ASpiritualAndLopsidedField, 토론번호2=ASulkyAndFadedPest)] || {{{+1 水西驛}}} || {{{+1 Suseo Station}}} || ||<:><-6>[[수도권 전철|{{{#000000 '''수도권 전철'''}}}]]|| ||<-6><:>{{{+2 '''수서역'''}}}|| ||<:><-2>[[대화역|{{{#!html
대화 방면}}}]][[일원역|일 원]][br]← 1.8 ㎞ ||<:><-2>[[수도권 전철 3호선|{{{#!html
3호선
(349)
}}}]]{{{#!html
(입고열차 시종착)}}}||<:><-2>[[오금역|{{{#!html
오금 방면}}}]][[가락시장역|가락시장]][br]1.4 ㎞ →|| ||<:><-2>[[청량리역|{{{#!html
청량리 방면}}}]][[대모산입구역|대모산입구]][br]← 3.0 ㎞||<:><-2>[[수도권 전철 분당선|{{{#!html
분당선
(K221)
}}}]]||<:><-2>[[수원역|{{{#!html
수원 방면}}}]][[복정역|복 정]][br]3.2 ㎞ →|| ||<:><-6>[include(틀:지도, 장소=수서역, 너비=100%, 높이=225px)]|| ||<:><-6><#ffffff>[[SRT|[[파일:SRT.png|width=30]]]] [[수서역|{{{#5A2149 SRT로 갈아타기}}}]] || ||<:><-6>'''다국어 표기'''|| ||<:><-2>[[영어]]||<:><-4> Suseo || ||<:><-2>[[한자]]||<:><-4><|2> 水西 || ||<:><-2>[[중국어]]|| ||<:><-2>[[일본어]]||<:><-4> [ruby(水, ruby=ス)][ruby(西, ruby=ソ)] || ||<:><-6>'''주소'''|| ||<:><-3>[[수도권 전철 3호선|{{{#FFFFFF 3호선}}}]]||<:><-3>[[수도권 전철 분당선|{{{#FFFFFF 분당선}}}]]|| ||<:><-6>[[서울특별시]] [[강남구]] [[광평로]] 지하 270 ([[수서동]])|| ||<:><-6> '''관리역 등급'''|| ||<:><-2>[[수도권 전철 분당선|{{{#FFFFFF 분당선}}}]]||<:><-4>[[관리역]][br](2급 /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수도권동부본부)|| ||<:><-6>'''운영 기관'''|| ||<:><-2>[[수도권 전철 3호선|{{{#FFFFFF 3호선}}}]]||<:><-4>[[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jpg|width=120]]]]|| ||<:><-2>[[수도권 전철 분당선|{{{#FFFFFF 분당선}}}]]||<:><-4>[[한국철도공사|[[파일:koraill_ogo.jpg|width=100]]]]|| ||<:><-6>'''개업일'''|| ||<:><-2>[[수도권 전철 3호선|{{{#FFFFFF 3호선}}}]]||<:><-4>1993년 10월 30일|| ||<:><-2>[[수도권 전철 분당선|{{{#FFFFFF 분당선}}}]]||<:><-4>1994년 9월 1일|| ||<:><-6>'''역사 구조'''|| ||<:><-6> 지하 2층 ([[서울 지하철 3호선|3호선]])[br]지하 4층 ([[분당선]]) || ||<:><-6>'''승강장 구조'''|| ||<:><-6> 2면 3선식 승강장 (횡단 가능) ([[수도권 전철 3호선|3호선]])[br][[복선]] [[상대식 승강장]] ([[수도권 전철 분당선|분당선]]) || ||<:><-6>'''열차거리표'''|| ||<:><-2>[[청량리역|{{{#!html
청량리 방면}}}]][[대모산입구역|대모산입구]][br]← 3.0 ㎞||<:><-2>'''[[분당선]]'''[br]수 서||<:><-2>[[수원역|{{{#!html
수원 방면}}}]][[복정역|복 정]][br]3.2 ㎞ →|| [목차] [include(틀:-)] == 개요 == [[서울 지하철 3호선]] 349번. [[서울특별시]] [[강남구]] [[광평로]] 지하 270 ([[수서동]])[* 수서동 728번지] 소재. [[수도권 전철]] [[분당선]] K221번. [[서울특별시]] [[강남구]] [[광평로]] 지하 270 ([[수서동]])[* 수서동 728번지] 소재. == 역 정보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의 중심에 위치한 역이다. [[분당선]]은 [[1994년]]부터 [[2003년]]까지 [[관리역]]이었으나 [[선릉역]] 연장 개통으로 인해 [[보통역]]으로 격하되었다가 [[2012년]] [[4월]] [[분당선]] [[왕십리역]] 연장 개통을 선반영하여 관리역으로 재승격하였다. 3호선 스크린도어는 진작에 가동하고 있었고 [[분당선]] 측은 2011년 중순 [[도곡역]]과 비슷한 시기에 가동을 시작했다. [[2010년]] [[2월 17일]]까지는 [[수도권 전철 3호선]]의 종착역으로 기능했으나, [[오금역]]까지 연장 구간이 개통하여 종전의 수서행은 대부분 오금행으로 변경되어 운행한다. 3호선은 [[수서차량사업소]]의 입출고역이기도 하고 [[분당선]]이 처음 개통했을 당시에는 수서역이 종착역 기능을 했기 때문에 지하철을 이용하는 [[분당신도시]] 주민이라면 반드시 거치는 [[환승역]]이기도 했다. [[신분당선]]이 강남과 양재를 주파하고 있는 지금에 와서는 분당이나 수지 방면으로의 환승거점 역할은 많이 분담되었다. 그리고 이 역이 3호선의 종착역이던 시절의 건설 당시부터 가락시장 방면으로의 3기 지하철 연장을 예정하고 있어서 회차선을 탄천 건너까지 길게 빼놓았는데, 그 덕분에 8호선과의 연결선도 만들어서 5호선이나 8호선 전동차 반입에 사용되기도 하였고 본격적인 3기 지하철 건설 시에도 수월하게 공사를 진행할 수 있었다. 모든 출입구는 서울교통공사에서 관리하며 분당선과 3호선은 공통의 대합실을 이용한다. 대신 환승동선은 꽤 길기 때문에 처음에 찍고 들어갈 때 잘 보고 들어가야 시간을 더 까먹는 일이 없을 것이다. 분당선 게이트를 찍고 3호선을 타러 가면 U자 모양으로 길게 돌아가야 하는데 다만 분당선 게이트 들어가기 직전의 엘리베이터를 이용해 중간층에 내리면 3호선 타러 가는 길은 가까운 편이니 참고할 것. 3호선 게이트를 찍고 분당선을 타러 가면 3호선 승강장을 경유해야 한다. 3호선 대합실은 4번 출구 쪽에 가깝고 분당선 대합실은 1번 출구 쪽에 가깝다. [[SRT]] 연결통로가 [[2016년]] [[12월 9일]]에 개통되었고, [[도시철도]] 5번 출구 쪽으로 나 있다. 4번 출구로 나가도 SRT역으로 갈 수는 있지만 무빙워크가 있고 날씨의 영향을 적게 받는 지하 연결통로 이용을 추천한다. 그러나 SRT역과 도시철도역은 출구번호가 연동되지 않으므로 수서역 1번, 2번 또는 3번 출구에서 약속을 잡을 땐 고속철도인지 지하철인지 여부를 꼭 확인하도록 하자. == 수서 착발 열차 == 3호선의 경우 거의 풀타임으로 존재하는 구파발발 오금/수서행에 비해 수서발 대화행/구파발행 열차는 거의 출퇴근시간에만 있다. 분당선은 수서역 시종착 열차가 없다. ※ 대화행의 경우 (대), 구파발행의 경우 (구)로 표기함. === 수서발 대화/구파발행 === ||||||||||||<:>{{{#ffffff 평일}}}|| ||05:22 (구) ||05:30 (대) ||05:48 (구) ||05:57 (대) ||06:02 (구) ||06:11 (구) || ||06:21 (구) ||06:26 (대) ||06:35 (구) ||06:45 (대) ||06:54 (대) ||07:02 (구) || ||07:19 (구) ||07:43 (구) ||07:58 (구) ||08:12 (대) ||16:21 (대) ||17:20 (대) || ||17:34 (구) ||17:44 (구) ||18:19 (대) || || || || ||||||||||||<:>{{{#ffffff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 ||05:25 (대) ||05:39 (구) ||05:52 (구) ||06:05 (구) ||06:17 (구) ||06:29 (구) || ||09:05 (대) ||12:17 (대) || || || || || == 승강장 == === [[서울 지하철 3호선]] === [[파일:수서역 지하1.png|width=500]] [[파일:3호선 수서역 역명판.jpg|width=500]] [[파일:31수서.gif|width=500]] [br] 역 안내도 [[https://namu.wiki/w/%ED%8C%8C%EC%9D%BC:31%EC%88%98%EC%84%9C.gif|크게보기]] ||<:><-6>[[일원역|일원]] ↑ || ||<:><#EF7C1C>{{{#FFFFFF 2}}}||<:>ㅣ||<:>ㅣ||<:><#EF7C1C>{{{#FFFFFF 1}}}||<:><#EF7C1C>{{{#FFFFFF 3}}}||<:>ㅣ|| ||<:><-4> ↓ [[가락시장역|가락시장]]||<:><-2> ↓ [[수서차량사업소|기지]]|| ||<:><#EF7C1C>{{{#FFFFFF 1}}}||<:><|3>[[파일:Seoulmetro3_icon.png|width=17]] [[서울 지하철 3호선]]||오금발 [[고속터미널역|고속터미널]]·[[을지로3가역|을지로3가]]·[[구파발역|구파발]]·[[대화역|대화]] 방면|| ||<:><#EF7C1C>{{{#FFFFFF 2}}}||[[가락시장역|가락시장]]·[[경찰병원역|경찰병원]]·[[오금역|오금]] 방면[br]당역종착|| ||<:><#EF7C1C>{{{#FFFFFF 3}}}||수서발 [[고속터미널역|고속터미널]]·[[을지로3가역|을지로3가]]·[[구파발역|구파발]]·[[대화역|대화]] 방면|| 이 역은 가락시장방면으로 5퍼밀 하구배가 있다. 대화 방면 승강장 1-2번 중앙 기둥에 2000년 이전에 사용된 구형 역명판이 남아 있다.[[https://m.blog.naver.com/digmon2001/221501493768|사진]] === [[분당선]] === [[파일:IMG_9333.jpg|width=500]] ||<:><-4>↑ [[대모산입구역|대모산입구]]|| ||<:><#F5A200>{{{#FFFFFF 2}}}||<:>ㅣ||<:>ㅣ||<:><#F5A200>{{{#FFFFFF 1}}}|| ||<:><-4>[[복정역|복정]] ↓|| ||<:><#F5A200>{{{#FFFFFF 2}}}||<:><|2>[[파일:BundangLine_icon.png|width=17]] [[수도권 전철 분당선]]||[[선릉역|선릉]]·[[강남구청역|강남구청]]·[[왕십리역|왕십리]]·[[청량리역|청량리]] 방면|| ||<:><#F5A200>{{{#FFFFFF 1}}}||[[정자역|정자]]·[[죽전역(분당선)|죽전]]·[[기흥역|기흥]]·[[수원역|수원]] 방면|| == 빠른 환승 == ||<:>'''노선 및 방면'''||<:>'''빠른 환승'''|| ||[[파일:Seoulmetro3_icon.png|width=17]] 3호선 (대화/구파발 방면) → [[파일:BundangLine_icon.png|width=17]] 분당선||<:>3-1|| ||[[파일:Seoulmetro3_icon.png|width=17]] 3호선 (당역종착/오금 방면) → [[파일:BundangLine_icon.png|width=17]] 분당선||<:>6-3|| ||[[파일:Seoulmetro3_icon.png|width=17]] 3호선 (대화/구파발 방면) → [[파일:SRT.png|width=60]]||<:>7-2|| ||[[파일:Seoulmetro3_icon.png|width=17]] 3호선 (당역종착/오금 방면) → [[파일:SRT.png|width=60]]||<:>4-2|| ||[[파일:BundangLine_icon.png|width=17]] 분당선 (왕십리/청량리 방면) → [[파일:Seoulmetro3_icon.png|width=17]] 3호선, [[파일:SRT.png|width=60]]||<:>6-1|| ||[[파일:BundangLine_icon.png|width=17]] 분당선 (죽전/수원 방면) → [[파일:Seoulmetro3_icon.png|width=17]] 3호선, [[파일:SRT.png|width=60]]||<:>2-4|| ||[[파일:SRT.png|width=60]] → [[파일:Seoulmetro3_icon.png|width=17]] 3호선, [[파일:BundangLine_icon.png|width=17]] 분당선||<:>1호차|| == 일평균 이용객 == 수서역을 이용하는 도시·광역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며, [[환승 게이트]]가 없으므로 도시철도 간의 환승객 수는 나타내지 않는다. ||<:><-10>[[서울 지하철 3호선|{{{#FFFFFF '''서울 지하철 3호선'''}}}]]||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18,770명||<:>20,616명||<:>22,384명||<:>24,158명||<:>23,746명||<:>24,067명||<:>23,972명||<:>23,679명||<:>26,386명||<:>24,607명|| ||<:>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 ||<:>21,472명||<:>21,554명||<:>21,777명||<:>22,723명||<:>24,849명||<:>25,492명||<:>26,387명||<:>34,753명||<:>36,611명||<:>'''37,703명'''|| ||<:><-10>[[분당선|{{{#FFFFFF '''수도권 전철 분당선'''}}}]]||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5,370명||<:>6,540명||<:>9,219명||<:>7,788명||<:>10,877명||<:>10,859명||<:>10,912명||<:>11,327명||<:>11,508명|| ||<:>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 ||<:>9,502명||<:>9,256명||<:>10,495명||<:>15,091명||<:>17,174명||<:>18,784명||<:>19,336명||<:>28,872명||<:>30,698명||<:>'''31,325명'''|| * 출처: [[http://www.seoulmetro.co.kr/kr/board.do?menuIdx=548|서울교통공사 자료실(3호선)]], [[http://info.korail.com/mbs/www/jsp/board/list.jsp?boardId=9863289&id=www_060700000000|철도통계연보(분당선, ~2004년)]], [[http://info.korail.com/mbs/www/jsp/board/list.jsp?boardId=10224927&id=www_020203020000|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분당선, 2005년~)]] 두 노선의 일평균 이용객을 합치면 '''69,028'''명이다. * 분당선의 이용객이 3호선을 추월한 [[도곡역]]과는 다르게 아직까지 3호선의 승하차객 수가 더 많다. 하지만 분당선의 이용객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어 도곡역과 같은 전철을 밟을 가능성이 있다. * [[SRT]]의 개통으로 이용객이 급증하고 있다. 이전에는 동네 주민들이 외지로 나가기 위한 용도로만 주로 사용되었던 역이었다. 강남구이긴 하나 시외곽의 고립된 위치에 있고 환승객 수요는 나름 받쳐주지만 [[환승 게이트]]가 없어 집계가 안되므로 전적으로 지역 주민에게 수요를 의존했다. 그러나, [[2016년]] [[12월 9일]] [[SRT]] 고속열차가 개통되면서 새로운 경부선, 호남선의 간선교통 거점역으로서의 임무를 수행하기 시작하면서 이용수요가 매우 증가하였다. * 2016년 → 2017년 통계의 변화가 매우 극단적이다. 3호선 기준으로는 하루 평균 26,387명에서 34,753명으로 전년도보다 무려 8,366명이 증가했고, 분당선 기준으로는 하루 평균 19,389명에서 28,872명으로 전년도에 비해 9,483명이나 증가해 무려 1.5배의 상승폭을 보였다! 게다가 이것은 교통 거점으로 거듭난 지 첫해에 불과하므로 향후 몇 년간 지속적인 이용객 증가가 예측되는 곳이다. * 3호선은 2001년에 2만 명을 넘은 이래로 꾸준히 2만 명대의 수요를 유지하다가 [[2017년]] 수도권고속선 개통으로 갑자기 올라선 반면에, 분당선은 하루 평균 5~6천 명 정도만이 이곳을 찾았으나 [[2003년]] [[선릉역]] 연장개통 이후 1만 명 내외로 2배가량 상승했고, [[2012년]] [[왕십리역]] 연장개통 이후에는 1만 명대 후반으로 1.5~1.8배 더 올랐다가 2017년 수도권고속선 개통으로 1년 만에 1.5배 증가라는 기록을 세웠다. 이용객 증가에서는 분당선 수서역이 전국에서 손꼽을 것이다. * 향후 3호선이 하남으로 연장될 경우 강남방향 승객으로 인해 헬게이트가 열릴 역으로 점찍히고 있다. == 연계교통 == === 수서역5번출구(23409), 수서역5번출구.이마트앞(23544) === 수서역 5번 출구 정류장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 [[서울 버스 2412|2412]], [[서울 버스 3416|3416]], [[서울 버스 강남03|강남03]], [[서울 버스 강남06|강남06]], [[서울 버스 강남06|강남06-1]] * 경기도 시내버스 * [[하남 버스 87|87]], [[성남 버스 101|101]], [[경기광주 버스 1007|1007]], [[경기광주 버스 1007-1|1007-1]], [[용인 버스 5600|5600]], [[용인 버스 5700|5700]], [[경기광주 버스 6900|6900]] === 수서역(23408) === 수서역 6번 출구 정류장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 [[서울 버스 402|402]], [[서울 버스 2412|2412]], [[서울 버스 3416|3416]], [[서울 버스 3425|3425]], [[서울 버스 3426|3426]], [[서울 버스 4419|4419]], [[서울 버스 강남03|강남03]], [[서울 버스 강남06|강남06]], [[서울 버스 강남06|강남06-1]] * 경기도 시내버스 * [[성남 버스 15-1|15-1]], [[하남 버스 87|87]], [[성남 버스 101|101]], [[경기광주 버스 500-2|500-2]], [[경기광주 버스 1007|1007]], [[경기광주 버스 1007-1|1007-1]], [[용인 버스 5600|5600]], [[용인 버스 5700|5700]], [[경기광주 버스 6900|6900]] === 수서역(23402) === 수서역 2번 출구 정류장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 [[서울 버스 2412|2412]], [[서울 버스 3011|3011]], [[서울 버스 강남06|강남06]] * 경기도 시내버스 * [[경기광주 버스 500-2|500-2]] === 수서역KT수서지점(23403), 수서역(23871) === 수서역 1-1번 출구 정류장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 [[서울 버스 2412|2412]], [[서울 버스 3011|3011]], [[서울 버스 강남06|강남06]] === 수서역현대벤쳐빌(23401) === 수서역 3번 출구 정류장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 [[서울 버스 3011|3011]] * 경기도 시내버스 * [[경기광주 버스 16|16]] * 공항버스 * [[공항버스 6300|6300]] === 수서역로즈데일빌딩(23410) === 수서역 4번 출구 정류장 * 광역급행버스 * [[광역급행버스 M5333|M5333]]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 [[서울 버스 333|333]], [[서울 버스 401|401]], [[서울 버스 461|461]], [[서울 버스 3011|3011]], [[서울 버스 3413|3413]], [[서울 버스 3416|3416]], [[서울 버스 N37|N37]] * 경기도 시내버스 * [[경기광주 버스 16|16]], [[하남 버스 87|87]], [[성남 버스 101|101]] * 공항버스 * [[공항버스 6300|6300]] === 수서역KT수서지점(23404) === 수서역 1번 출구 정류장 * 광역급행버스 * [[광역급행버스 M5333|M5333]]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 [[서울 버스 333|333]], [[서울 버스 401|401]], [[서울 버스 402|402]], [[서울 버스 461|461]], [[서울 버스 3413|3413]], [[서울 버스 3425|3425]], [[서울 버스 3426|3426]], [[서울 버스 4419|4419]], [[서울 버스 강남03|강남03]], [[서울 버스 N37|N37]]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수서역, version=520)] [[분류:1993년 개업한 철도역]][[분류:1994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수도권 전철 3호선]][[분류:분당선]][[분류:서울 지하철 3호선 구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