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搜索隊 [[영어]]: Scout, Reconnaissance, Recon,[* Reconnaissance를 줄인 말.][* 이것을 더 줄인 이니셜 약칭으로는 RCN이라고 한다.] Recce[* 2차대전 중 사용한 명칭, 리컨과 같은 의미이며 레-키로 발음.] [목차] == 개요 == 본대보다 한 발 앞서서 적진을 [[정찰]], 탐지하며 본대의 눈과 귀 역할을 수행하는 [[부대]]. [[정찰대]]라고도 한다. 적 부대의 위치 및 대략적인 규모와 전력 파악, 지형 정찰, 각종 장애물 위치 파악 등을 통해 본대의 작전 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습득하여 전달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는다. 필요에 따라서는 적 경계병 사살 등 교전을 벌이거나 본대의 진격에 방해가 되는 장애물, 시설물을 제거하는 역할도 맡는다. 임무의 특성상 충분한 사전 정보 없이 미지의 지역에 들어가는 위험성이 도사리고 있고, 기본적으로 작전지역 대부분이 [[보급#s-2]]과 같은 아군의 지원을 바로 받기 힘든 '''적지'''이기 때문에 대체적으로 [[특수부대]]급 상위 정예 부대로 대접받는다. == [[한국군]]의 수색대 == [include(틀:대한민국 국군 특수임무부대)] === [[대한민국 육군/수색대|육군수색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대한민국 육군/수색대)] === [[대한민국 해병대/수색대|해병수색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대한민국 해병대/수색대)]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해병대 특수수색대)] == [[미군]]의 수색대 == [[미군]]의 수색대로는 [[미 육군]] [[제75레인저연대]] 휘하의 수색대나 [[미 해병대]]의 [[미합중국 해병수색대|해병수색대]] 등이 있으며, 이와 같은 보병수색대 이외에도 [[항공기]]를 사용하는 항공수색대인 '공중 기병대'와 [[기갑]]차량을 사용하는 기갑수색대인 '기갑 기병대'가 존재한다. 지금의 수색대 단대호는 본래, 그리고 현재 미국 [[기병]]의 단대호이기도 하다. 그 시초는 미군의 기병사단이 베트남 전쟁 당시에 [[UH-1]]을 주력으로 공중강습전을 벌이는 '''공중 기병대'''(Air Cavalry), 기갑차량을 편제받아 위력정찰 역할을 하는 '''기갑 기병대'''(Armored Cavalry)로 개편된 것에서 시작된다. 이후 공중 기병대는 보다 전문적인 공중강습부대나 [[공수부대]] 등에게 그 자리를 넘겨주고 대신 [[OH-58|카이오와]] 정찰헬기 등을 사용해 기갑 기병대의 눈 역할을 맡고 있으며, 기갑기병은 각 사단 내지 [[BCT|여단전투단]]에 연대 단위로 파견되어 활동하기도 한다. === 보병수색대 === * [[제75레인저연대#s-2.6|미 육군의 군단/사단 정찰대(LRSU)]] [[미 육군]] [[제75레인저연대]] 휘하의 수색대이다. * [[미합중국 해병수색대|미 해병대 수색대(리콘 마린)]] [[미 해병대]] 소속 수색대이다. [[미합중국 해병특수작전사령부|해병대 특수작전사령부]](MARSOC) 산하의 [[특수부대]]인 [[미합중국 해병레이더연대|해병레이더연대]]와는 별개의 부대이므로 유의. 이들 중 [[미 육군]] [[제75레인저연대]] 휘하의 수색대의 경우에는 상위 부대인 제75레인저연대 자체가 [[미합중국 육군특수작전사령부|육군 특수작전사령부]] 산하의 [[특수부대]]인 관계로 역시 특수부대로 분류된다. === 항공수색대 및 기갑수색대 === ||
[[파일:external/www.cavhooah.com/Cav-Branch-Insignia-300x158.gif|width=100%]] || || [[미합중국 육군]] [[기병]] [[병과]] 휘장. 기병용 외날도 [[세이버]] 두 자루를 교차시킨 모양새다.[br]현재는 미 육군 [[기갑]], [[헬리콥터|공중강습]], [[기계화보병]] 등의 부대 중 기병 부대에서 개편된 일부 부대가 전통 계승 차원에서 전투 병과 인원들이 해당 휘장을 사용한다. || ==== 공중 기병대 ==== [[파일:external/cdn-images.9cloud.us/xwygv_128943460.jpg|width=600]] '''Air Cavalry'''. [[냉전]]과 그에 수반된 [[베트남 전쟁]] 당시, [[보병]]으로는 극복하기 힘든 지형들을 통과하여 전장을 자신들이 먼저 고른다는 개념으로 [[미 육군]] 제1기병사단이 공중강습사단으로 개편되어 제11공중강습연대가 사단 내에 예하 부대로 배속되면서 베트남 전쟁을 상징하는 하늘을 뒤덮은 휴이의 파도를 볼 수 있게 되었다. 지금에 와서는 수송헬기를 이용한 공중강습전은 여타 다른 공중강습사단들에 소속하는 보다 전문적인 공중강습부대들에게로 넘기고, 정찰헬기와 [[무장헬기]]·[[공격헬기]] 등을 이용한 [[정찰]]과 [[화력지원]]·[[대전차전]] 등을 주로 수행하고 있다. 그 중 가장 중요한 역할은 기갑 기병대의 눈으로서 [[OH-58|OH-58 카이오와]] 정찰헬기나 [[AH-64|AH-64D 롱보우 아파치]] 공격헬기 등을 통하여 기병대의 정찰을 주로 도맡는 역할이다. 물론 그렇다고 수송헬기 자체를 아예 안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며, [[UH-60]]과 [[CH-47]] 등으로 구성되는 수송헬기 전력도 자체적으로 어느 정도 보유하고 있다. 또한 공중기동 기병대라고 해서 장갑차 같은 지상 기동장비들을 쓰지 않는 것도 아니다.[* 당장 [[험비]]는 전 미 지상군의 종마 역할을 하고 있는 놈이기에 이 녀석을 빼면 병력 수송, 물자 운반 등, 기초적인 지원들도 불가능하다. 트럭들이 있기는 하지만 험비의 마당발(?) 능력에는 못 미친다.] [[파일:AH-1_USA_227DA2335282E456283061_7.jpg]][* 사진의 헬기는 [[AH-1]].] 이 때문인지 부대에서 운용하던 [[헬기]]의 퇴역식에서는, 과거 기병대의 전통에 따라 [[군마|애마]]를 [[안락사]]시키듯이 퇴역하는 헬기를 보내는 행사를 하기도 한다. 이 부대의 강습[[보병]]들과 [[조종사]] 등 항공대 인원들도 [[군복]]의 병과표지를 [[기병]]의 것으로 달기도 한다. ==== 기갑 기병대 ==== [[파일:external/ncojournal.dodlive.mil/web-bradleys-DBC3728.jpg|width=600]] [[파일:external/images.fineartamerica.com/armored-cavalry-unknown.jpg]] '''Armored Cavalry'''. [[베트남 전쟁]]의 종결 이후, 공중강습사단이었던 [[미 육군]] 제1기병사단이 삼중임무수행능력(TRICAP, 기갑/항공/강습 3개 임무의 동시수행)을 요구받으면서, 공중강습과 더불어 편제에 [[전차]]와 [[정찰 장갑차|기병전투차]]를 편제받기 시작한 것으로부터 현대적인 기갑 기병대가 등장하기 시작한다. 기갑차량을 활용한 위력정찰이 주된 임무이며, 각 사단 내지 [[BCT|여단전투단]]에 연대 단위로 파견되어 활동하기도 한다. 또한 [[정찰 장갑차|기병전투차]]만이 아니라 [[전차]]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단순히 [[정찰]]만을 수행하는 부대는 아니라고 볼 수 있다. 기갑 기병대는 수색대의 역할을 맡고 있는 부대이지만, 타 국가의 수색부대와는 교리가 다소 다르다. 한국을 포함한 많은 나라의 수색부대들은 가급적 직접교전을 피하여 [[정찰]]을 하나, 미군 기갑 기병대의 경우에는 정찰을 한 뒤 그 상대들을 '''직접 갈아버리는''' 교리를 가지고 있다. 마치 전근대의 [[기병]]과도 비슷하다. 아예 현용 [[브래들리 전투차#s-5.1|CFV(기병전투차)]]와 [[주력전차]]가 배정되고 직접 교전을 꺼리지 않는 점에서 점에서 타국의 수색부대와는 차이가 큰 편. 중과부적이라고 판단될 때에는 [[육군 항공대]]나 [[공군]] 등의 지원을 요청하게 되지만, 기본적으로는 정찰만이 아니라 교전에도 스스로 적극적으로 나서기 때문에 단순한 수색부대는 아니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 육군]] 편제에서는 각 기계화 보병사단 직할의 [[대한민국 육군/수색대|기갑수색대대]]와 독립 기갑여단의 기갑수색중대가 그 명맥을 이어받았다. 영문 명칭 역시 동일하게 사용한다. == 창작물 == 명칭에 레인저가 들어간 수색대는 [[레인저]] 문서도 참조. 여담으로 알고보니까 [[놈은 사천왕 최약체지|먼저 힘들게 싸운 적들이 알고보니 한낱 수색대였고 본대는 따로 있다]]는 전개도 흔하다. * [[레젠다리움]] - [[순찰대]] * [[고스트 리콘 시리즈]] - [[고스트(고스트 리콘)|고스트]] * [[더 로그]] - [[벨키서스 레인저]] *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 [[케르베로스 사령관|케르베로스 정찰 부대]], [[사신(스타크래프트 2)|사신]][* 발레리안 멩스크가 집권한 후 수색대로 전환되었다] * [[얼음과 불의 노래]] - [[밤의 경비대]] 순찰대 * [[워머신]] - [[수색대(워머신)]] * [[워크래프트 시리즈]] - [[엘프 순찰자]], [[어둠 순찰자]] * [[진격의 거인]] - [[조사병단]] * [[폴아웃 시리즈]] - [[NCR 레인저]] * [[헤일로 시리즈]] - [[키그야르]] 수색대 * [[Warhammer 40,000]] - [[스카웃 스쿼드]] == 같이보기 == * [[관측반]] - 포병 내에서 수색대와 유사한 역할을 담당한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기병, version=1966)] [[분류:부대]][[분류:군 용어]] [include(틀:포크됨2, title=수색대, d=2023-01-10 10:4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