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수메르(원신))] [include(틀:원신)] [include(틀:원신/지역)] [include(틀:수메르(원신))] [목차] == 개요 == [[수메르(원신)|수메르]]의 세부 지역을 정리한 문서. 풀의 신이 통치한 지역은 우림 지역이고, 사막은 본래 적왕과 화신의 통치지였다가 둘의 사후 사실상 방치되어왔으나, 나히다가 정식으로 집권하게 되면서 사막 역시 정식으로 수메르에 포함되었다. 덕분에 수메르 국토의 크기를 보면 우림 지역 만으로도 리월과 비슷하고, 사막은 우림과 층암거연 지상부를 합친 크기와 비슷하다. 즉 국가 전체의 크기는 리월의 2배 이상으로, 정식 출시 이후 현 티바트 역대 최대 크기 국가 타이틀을 차지했다. 덕분에 풀의 신의 신상은 3.6 버전 기준 무려 '''13개'''이다. 여기에 수메르는 아직 층암거연, 드래곤 스파인, 연하궁 같은 추가 지역이 없으므로, 나타 직전에 사막 서부에 나올것으로 추정되는 수메르 추가 지역이 나오면 14개로 늘어나게 된다! 여담으로 공개 당시에는 우림 지역과 사막 지역의 넓이가 비슷했으나, 이후 우림 쪽은 신지역의 공개가 없었고, 계속 사막 쪽의 신 맵(하드라마베스 사막 - 라즈워드 황야/파라컬트)만 업데이트되고 있다보니 현재까지 공개된 지역은 사막 지역이 우림 지역의 2배 이상의 크기다. 맵만 보면 풀의 나라인지 모래의 나라인지 구분이 안갈 정도. 물론 풀의 신의 신상 개수는 숲 지역이 6+1(과거의 바나라나)개, 사막이 6개로 숲쪽에 더 많다. 수메르 지역은 우림 지역 및 사막 지역 모두 '''지하 지역이 매우 많다.''' 때문에 불편을 호소하는 유저들이 많아 3.4 업데이트 이후로 호요랩의 티바트 월드맵 한정으로 수메르 지역의 지하 지도를 제공하고 있었고 4.0 폰타인 업데이트떄 지하지도가 게임내에 정식으로 추가되어 게임내에서도 확인 할 수 있게 되었다. [[캐서린(원신)|캐서린]]을 비롯한 주요 시설이 있는 곳은 항목에 (★) 표시. == 다르마의 숲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harma_Forest.png|width=100%]] || [[파일:원신_수메르_아이콘.png|width=50]] ||<(> {{{#!wiki style="margin: -5px -10px; {{{#ffffff {{{+1 '''다르마의 숲''' }}}[br]{{{#fff Dharma Forest [br] دارما غابة / धर्म वन }}} }}} }}} ||}}} || || '''{{{#FFFFFF 언어별 표기}}}''' ||<-2>[[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Dharma Forest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诸法丛林, ruby=Zhūfǎ Cónglín)]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ruby(諸法, ruby=しょほう)]の[ruby(森, ruby=もり)] || 수메르 지역은 상당히 넓은데 환경이 완전히 다른 지역이 두 곳이나 있어서 상징하는 아이콘도 다르다. 우림 지역의 아이콘이 곧 수메르 지역의 대표적인 상징이다. 플레이어블 캐릭터 일러스트 뒷배경의 경우도 우림 지역 캐릭터[* [[나히다]], [[사이노]], [[닐루]], [[방랑자(원신)|방랑자]], [[파루잔]], [[레일라]], [[타이나리]], [[콜레이]], [[도리]]]와 사막 지역 캐릭터[* [[데히야]], [[캔디스(원신)|캔디스]]]가 각각 따로 그려져 있다. 3.0 오픈 당시 이벤트 페이지에서 우림 지역의 공식 명칭이 다르마의 숲이라 표기되어 있었다. '''[[다르마|다르마(धर्म)]]'''는 인도 철학에서 나오는 용어로, ''''정의'''', ''''가치'''', ''''질서'''' 등으로 번역할 수 있다.[* 게임 내에서의 언급은 따로 없지만 설정상으로 [[부에르(원신)|부에르]]의 과거를 지칭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위대한 쿠살라 다르마'라는 호칭에 쓰였다.] [[불교]] 문화권에서 한자어로 [[달마|달마(達磨)]], 혹은 법(法)이라고 하는 그것이다. 그래서 한자 문화권인 중국어와 일본어 버전은 '다르마' 대신 '''제법(諸法)'''이라는 표현을 썼다. === 아비디야 숲 === [anchor(아비디야 숲)]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vidya_Forest.png|width=100%]]}}} || ||<-3> '''{{{+1 아비디야 숲}}}'''[br]{{{#fff Avidya Forest}}} [br] أفيديا غابة / अविद्या वन || ||<-2>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Avidya Forest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道成林, ruby=Dàochéng-lín)]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アビディアの[ruby(森, ruby=もり)] || >층암거연과 맞닿아 있으며, 수메르 동부 지역을 덮은 울창한 우림. >수메르 현자의 신비로운 분위기가 가득한 시에서는 종종 아비디야 숲을 진리를 추구하는 자가 모색하는 고민의 숲에 빗댄다. 그러나 숲에 사는 바나라에게는 지식에 집착하는 것이야말로 모든 고민의 근원이다 >----- >''탐색 파견 설명문 中'' [[층암거연]]과 이어져 있고 수메르로 진입하면 처음 만나는 우림. 수메르의 중심지이고, 2.8 버전 방송 당시 공개된 수메르 공개영상 초반에 등장했던 신상이 보이는 숲 지역[* [[파일:원신 수메르 일부 공개 이미지-1.jpg]]]이다. '''아비디야(अविद्या)'''는 인도 철학의 개념으로 한자어로는 '''무명(無明)'''이라고 하며, [[산스크리트어]]로 부정형인 아(अ)와 '지혜'를 뜻하는 비디야(विद्या)의 합성어이다. [[힌두교]], [[자이나교]], 그리고 특히 '''[[불교]]'''에서 강조되는 개념인데, [[12연기|12 연기(緣起)]]의 첫 단계로서 ''''무언가를 모르거나, 잘못 알고 있거나, 헛된 기대를 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곳에 처음 수메르성과 간다르바 성곽을 짓고 지혜를 추구하던 선대 현자들이 겸손의 의미에서 붙인 이름이라고 볼 수 있다. {{{#!folding 스포일러 ▼ 지혜를 추구하는 수메르성이 있는 지역에 이런 이름이 붙은 것은 사실 해석하기에 따라서 3.1 버전 때 공개된 [[원신/임무/마신 임무|마신임무]] 제 3장 3막에서 드러난 [[수메르 아카데미아]]의 [[칠엽 적조의 비밀주|신 창조 프로젝트]]와 오만한 모습을 수메르 출시 때부터 미리 암시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아카데미아는 [[룩카데바타|위대한 룩카데바타]]의 업적을 '''직접 본 적도 없는''' 자손 세대이면서 [[나히다]]의 능력을 '''잘못 평가하고''' 500년간 감금시켰으며, 인공 신을 만들면 병든 세계수를 포함해 수메르의 문제점들이 해결될 것이라는 '''헛된 기대를 품었다.''' 지명 하나에서도 이중적인 의미를 숨겨 치밀한 복선을 깔아놓은 센스가 돋보인다.[* 다만 중국어 버전에서는 '무명'이 아니라 '도를 닦아 이룬다'라는 뜻의 '''도성(道成)'''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의미가 많이 희석되어 버렸다.]}}} 여담으로 해당 신상 바로 밑에 있는 폭포 아래쪽 바위 틈새를 통해 [[층암거연#s-2.2|층암거연 - 지하광구]]로 진입이 가능하며, 반대로 나무뿌리가 자라난 해당 지역[* 여담으로 해당 지역에서 기믹을 해제하고 얻을 수 있는 아이템인 "말라버린 씨앗"은 서브 퀘스트인 "신비한 스크랩북"의 클리어 후에 원래 모습으로 되돌릴 수 있는데, 바로 [[아란나라]] 중 하나인 아란님바이다.]에서 이 곳으로 나오는 것도 가능하다. ==== 간다르바 성곽 ==== [anchor(간다르바 성곽)]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원신_간다르바 성곽.jpg|width=100%]]}}} || ||<-2> '''{{{+1 간다르바 성곽}}}''' [br] Gandharva Ville [br] {{{#fff قرية غاندهارفا / गन्धर्व ग्राम}}} || ||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Gandharva Ville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化城郭, ruby=Huàchéng-guō)]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ガンダルヴァー[ruby(村, ruby=むら)] || >'''「지혜의 성곽과 끝을 알 수 없는 밀림은 모두 우리의 것. 진귀한 나무 위를 가득 채운 것은 꿈을 잃은 나라의 유물이로다」''' >----- >''전망 포인트 설명문 中'' 수메르 학자들이 우림에 지은 임시 휴식처로, 거대한 나무 위에 열매가 매달린 것처럼 명상실이 주렁주렁 달려 있는 것이 특징. 현재는 [[원신/설정/수메르#숲의 순찰관|숲의 순찰관]]들이 주둔하고 있으며, [[콜레이]]와 [[타이나리]]가 이곳에서 거주하고 있다. [[층암거연]]의 단사 절벽 아래 동굴을 지나면 이쪽으로 나오게 된다. '''간다르바(गन्धर्व)'''는 [[불교]]에서 일컫는 실체가 없는 도시인 '''간다르바나가라(गन्धर्वनगर)'''에서 따온 것이다. 간다르바나가라, 혹은 '''화성(化城)'''이라는 것은 [[법화경]]에 실린 7가지 이야기[* [[불교]]에는 심오하고 어려운 교리를 가르치는 열두 가지 교육법인 12분교(分敎)라는 것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일종의 우화로 교리를 빗대어 풀어 설명하는 비유(譬喩)이다. 법화경에는 총 7개의 비유가 나오며 이를 아울러 법화칠유(法華七喩)라고 한다.] 가운데 4번째 이야기에 나오는 개념이다. 진리에 도달하려 사람들이 먼 길을 여행하다 지쳤을 때 이들을 이끌어 주는 부처가 잠시 실체가 없는 성을 만들어, '''임시 휴식처'''로 삼고 심신을 쉬게 하여 사기를 충전시켜 줌으로서 결국 목적지까지 도달하게 만든다는 뜻의 단어이다.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8279|#]] 명상하던 학자들이 지은 임시 휴식처라고 하는 간다르바 성곽의 설정과 부합하는 용어라고 할 수 있다. 중국어 버전은 여기에 중심 도시에서 벗어난 변두리 지역을 뜻하는 한자인 '곽(郭)'을 붙여 '''화성곽(化城郭)'''이라고 표기한다. 즉 '화성-곽'으로 끊어 읽어야 하는 것이다. 안타까운 것은 띄어쓰기를 하지 않는 중국어의 특성상 끊어 읽기가 어려워 한국어 지명이 간다르바 '성곽'으로 잘못 번역되었다는 것. 실제로 한국어를 제외하고는 모두 성곽이 아닌 '마을'로 번역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간다르바'라는 이름은 [[불교]]의 [[팔부신중]] 가운데 하나인 '''[[간다르바]]'''와도 관련이 있다. [[간다르바]]는 [[제석천]]의 음악을 맡아 보고 [[수미산]] 남쪽의 금강굴에 살면서 술과 고기를 먹지 않으며 오직 향(香)만 먹는다고 한다. 이는 동굴 속에서 명상하면서 음식을 먹지 않고 영분향 냄새를 맡으며 세계수에 닿으려고 하는 수메르 학자들의 모습과 닮았다. 마침 간다르바 성곽이 [[수미산]]을 모티브로 한 수메르성의 남동쪽에 위치해 있기도 하다. ==== 간다 언덕 ==== [anchor(간다 언덕)]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원신_간다언덕.png|width=100%]]}}} || ||<-2> '''{{{+1 간다 언덕}}}''' [br] Gandha Hill [br] {{{#fff منحدر غاندا / गंधा चोटी}}} || ||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Gandha Hill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香醉坡, ruby=Xiāngzuì-pō)]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ガンダ[ruby(丘, ruby=おか)] || 간다르바 성곽에서 동굴을 통해 북쪽으로 길이 이어지는 [[층암거연]]의 서쪽 기슭. 단사 절벽과의 사이 지점에 [[원신/성유물#숲의 기억|숲의 기억]]과 [[원신/성유물#도금된 꿈|도금된 꿈]] 성유물을 파밍할 수 있는 [[원신/비경/반복 보상 비경#연각의 탑|연각의 탑]]이 있다. 두 세트는 범용성 있게 쓰이는 성유물이니 비경을 발견하고 개방해 두자. '''간다(गंधा)'''는 [[불교]]의 성지이자, 일각에서는 [[간다르바]]들의 왕이 산다고도 하는 '''[[카일라스 산]]'''의 이칭 '''간다마다나(गंधमादन)'''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중국어 버전도 간다마다나의 번역어인 '''향취(香醉)'''라는 단어를 가져왔다. [[카일라스 산]]은 [[티베트 불교]]에서는 아예 [[수미산]] 그 자체로 여겨지기도 한다. ==== 친바트 협곡 ==== [anchor(친바트 협곡)]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원신_친바트 협곡.png|width=100%]]}}} || ||<-2> '''{{{+1 친바트 협곡}}}''' [br] Chinvat Ravine [br] {{{#fff وادي شينفات / चिन्वत् घाटी}}} || ||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Chinvat Ravine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离渡谷, ruby=Lídù-gǔ)]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チンワト[ruby(峡谷, ruby=きょうこく)] || >고대 수메르의 경전에서「친바트」란, 지혜를 좇는 사람이 무지몽매한 고해를 건너야 피안의 진리를 깨우칠 수 있음을 상징한다. >지금은 우림을 지나온 사람이 신성한 나무 아래의 골짜기를 가리킬 때 사용하는데, 드디어 지혜의 도시에 도착한 자신의 기쁨을 표현하려는 것 같다 >----- >''탐색 파견 설명문 中'' 수메르성 서쪽에 깊게 파여 있는 골짜기. 이곳에 주간 보스 [[칠엽 적조의 비밀주]]를 토벌할 수 있는 비경 [[원신/비경 #조루리 공방| 조루리 공방]]이 있으며, 마신임무 제 3장 1막에서 [[타이나리]]와 함께 처치하게 되는 첫 죽음의 땅이 위치한 곳이다. '''친바트(شينفات)'''는 [[조로아스터교]]에서 가져온 단어로, [[아베스타|아베스타어]]로는 '''친바토 페레툼(𐬗𐬌𐬥𐬬𐬀𐬙𐬋 𐬞𐬈𐬭𐬈𐬙𐬏𐬨)''', 즉 ''''심판의 다리''''를 뜻한다. 조로아스터교에서는 사람이 죽으면 3일밤을 거쳐 정의의 신 미트라와 그 권속 스라요샤의 판결을 받은 뒤, 4개의 눈이 달린 두 마리 개의 인도에 따라 친바트 다리를 건너게 된다고 믿는다. 이때 선하게 살아온 사람일수록 넓고 튼튼해져서 쉽게 건너 천국으로 갈 수 있지만, 악하게 살아온 사람은 다리가 점점 좁아지다 결국 무너져 지옥으로 떨어지게 된다.[* [[파일:The-Chinvat-Bridge.jpg]]] 중국어 버전도 고대 사서에서 친바트 다리의 번역어로 사용된 '''이도지교(離渡之橋)'''에서 따와 '''이도곡(離渡谷)'''으로 표기한다. 작중에서는 진리를 추구하는 학자들이 걸어야 하는 고행길을 비유한 것으로 보인다. ==== 수메르성(★)[anchor(수메르성)]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원신_아비디야 숲.jpg|width=100%]]}}} || ||<-2> '''{{{+1 수메르성}}}''' [br] Sumeru City [br] {{{#fff مدينة سوميرو / सुमेरु नगरी}}} || ||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Sumeru City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须弥城, ruby=Xūmí-chéng)]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スメールシティ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다른 주요 지점 보기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원신_바자르.png|width=100%]]}}} || ||<-2> '''{{{+1 바자르}}}''' [br] Grand Bazaar [br] {{{#fff البازار الكبير / भव्य बाज़ार}}} || ||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Grand Bazaar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大巴扎, ruby=Dà-bāzhā)]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グランドバザール || ||<-2> [br]{{{#!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원신_귀금속 거리.png|width=100%]]}}} || ||<-2> '''{{{+1 귀금속 거리}}}''' [br] Treasures Street [br] {{{#fff شارع الكنوز / खजाने सड़क}}} || ||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Treasures Street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宝商街, ruby=Bǎoshāng-jiē)]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トレジャーストリート || }}} }}} || >'''세상의 모든 지혜가 모인 곳.''' >'''무성한 가지와 잎이 달린 신성한 나무 아래, 학문의 도시의 현자들은 세상의 모든 지식을 기록해 두었다.''' >'''답을 찾고 있는 여행자여, 수메르에 온 것을 환영한다''' >----- >''전망 포인트 설명문 中'' 「신성한 나무」에 자리 잡고 있는 수메르 지역의 중심 지역. 이외에 모험가 길드의 캐서린, 합성대 등도 이곳에 존재한다. ---- * '''[[수메르 아카데미아]]'''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원신_수메르 아카데미아.png|width=100%]]}}} || ||<-2> '''{{{+1 수메르 아카데미아}}}''' [br] Sumeru Akademiya [br] {{{#fff أكاديمية سوميرو / सुमेरु अकादमी}}} || || '''{{{#FFFFFF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Sumeru Akademiya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须弥教令院, ruby=Xūmí Jiāolìng-yuàn)]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スメール[ruby(教令院, ruby=きょうれいいん)]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다른 주요 지점 보기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원신_지혜궁.png|width=100%]]}}} || ||<-2> '''{{{+1 지혜궁}}}''' [br] House of Daena[br] {{{#fff بيت داينا / धेना का घर}}} || || '''{{{#FFFFFF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House of Daena[* '''다에나(داينا/𐬛𐬀𐬉𐬥𐬁)'''는 [[조로아스터교]]에서 ''''영적 존재'''', ''''의식'''', 혹은 ''''종교'''' 등을 일컫는 용어이다. 이 단어는 주변의 여러 문화권에 영향을 주었는데, [[인도]]로 수입되면서 ''''영적인 수준에 다다른 고찰''''을 뜻하는 '''데나(धेना)'''가 되었다. 이것이 또 [[불교]]로 수입되면서 '''디야나(ध्यान)'''가 되었다. 한자어로 '''[[禪|선(禪)]]''', 혹은 참선(參禪)이라고 하는 그것이다. 어느 쪽이든 수메르 최대의 도서관인 지혜궁에 어울리는 말이다.]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智慧宫, ruby=Zhìhuì-gōng)]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ruby(知恵, ruby=ちえ)]の[ruby(殿堂, ruby=でんどう)]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원신_라잔 정원.png|width=100%]]}}} || ||<-2> '''{{{+1 라잔 정원}}}''' [br] Razan Garden [br] {{{#fff حديقة رزان / रजन बगीचा}}} || || '''{{{#FFFFFF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Razan Garden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寂静园, ruby=Jìjìng-yuán)]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ラザンガーデン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원신_정선궁.png|width=100%]]}}} || ||<-2> '''{{{+1 정선궁}}}''' [br] Sanctuary of Surasthana [br] {{{#fff نقصر سوراستان / सुरस्थान सुरधाम}}} || || '''{{{#FFFFFF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Sanctuary of Surasthana[* '''수라스타나(सुरस्थान)'''는 [[산스크리트어]]로 ''''사원'''', 혹은 신이 거주하는 ''''천상계''''를 의미하는 단어이다.]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净善宫, ruby=Jìngshàn-gōng)]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スラサタンナ[ruby(聖処, ruby=せいしょ)] || }}} }}} || 지혜궁의 경우, 마신 임무 5장 이후에는 안쪽의 엘레베이터로 윗층과 아래층의 이동이 가능하다. 위층에는 아자르가 사용했던 방이, 아래층에는 여행자와 페이몬이 갇혔던 감금실이 존재한다. ---- * [anchor(야자다하 연못)]'''야자다하 연못'''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원신_야자다하 연못.png|width=100%]]}}} || ||<-2> '''{{{+1 야자다하 연못}}}''' [br] Yazadaha Pool [br] {{{#fff بركة يزادها / यजादह नाड़ी}}} || || '''{{{#FFFFFF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Yazadaha Pool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天臂池, ruby=Tiānbì-chí)]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ヤザダハ[ruby(池, ruby=いけ)] || 수메르 성 앞에 아르드라비 강의 물이 고여 만들어진 자연 습지. 오르모스 항구와 통하는 수로가 있는 곳이어서 수메르성의 부두가 놓여 있다. '''야자다하(यजादह)'''는 ''''아름다움'''', ''''번영''''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야사(यशा)'''와 ''''연못''''을 뜻하는 '''다하(दह)'''를 합친 이름으로 보인다. 즉 '야자다하 연못'이라는 이름은 겹말인 셈. ---- * [anchor(람바드 술집)]'''람바드 술집(حانة لامباد / Lambad's Tavern)''' 람바드 생선 롤, 완두콩 민트 수프, 샤와르마, 코코넛 숯탄 전병의 레시피를 구매할 수 있다. ---- * '''[[원신/설정/수메르#비마르스탄|비마르스탄]] (بيمارستان / Bimarstan)''' 수메르의 학자들 중 의료술을 전공한 학자들이 모여 의료 기술이 필요한 사람들을 지원하는 장소이다. ---- * [anchor(귀금속 거리)]'''귀금속 거리(شارع الكنوز / खजाना सड़क / Treasures Street)''' 수메르성에는 단조, 연금, 잡화점이 전부 귀금속 거리에 있다. * [anchor(샴시르 대장간)]'''샴시르 대장간(حَدّاد شمشیر / Shamshir's Smithy)''' 대장장이 아한기르가 운영하는 대장간. * [anchor(취사청)]'''취사청(قلعة ريجزار / रेगजार का गढ़ / Citadel of Regzar)''' 수메르의 의뢰 임무 수령이 가능하다. * [anchor(푸스파 커피숍)]'''푸스파 커피숍(مقهى بوسبا / पुष्प कैफे /Puspa Café)''' 장미 커스터드, 바클라바, 대추야자 사탕, 파디사라 푸딩의 레시피를 구매할 수 있다. * [anchor(메나케리 상점)]'''메나케리 상점(محل كنز مناكيري / मेनाकेरी की खजाना दुकान / Menakeri's Treasure Shop)''' 꿈의 나무 만렙 이후의 남는 인장은 이곳의 할리드로부터 육성 재료의 구입이 가능하다. * [anchor(칼리미 거래소)]'''칼리미 거래소(كليمي للصرافة / Kalimi Exchange)''' 물물거래가 이루어지는 악명높은 거래소. ---- * [anchor(바자르)]'''[[바자르]](بازار / Grand Bazaar)''' * [anchor(주바이르 극장)]'''주바이르 극장(مسرح زُبَيْر / Zubayr Theater)''' 주바이르가 운영하는 극장. [[닐루]]가 소속된 곳으로 화신 탄신 축제의 주무대이다. === 로카팔라 숲 === [anchor(로카팔라 숲)]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okapala_Jungle.png|width=100%]]}}} || ||<-3> '''{{{+1 로카팔라 숲}}}'''[br]{{{#fff Lokapala Jungle}}} [br] غابة لوكابالا / लोकपाल वन || ||<-2>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Lokapala Jungle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护世森, ruby=Hùshì-sēn)]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ローカパーラ[ruby(密林, ruby=みつりん)] || 수메르 북동쪽에 위치한 깊은 골짜기로, [[리월]]의 민림과 국경을 맞대고 있다. [[여행자(원신)/미선택성별|나라바루나]]가 남긴 마우티이마가 숨겨진 곳으로 거대한 형광 버섯이 자라는 등 수메르의 다른 지역에 비해 식생이 특이하다. '''로카팔라(लोकपाल)'''는 ''''세계의 수호자''''라는 뜻의 [[산스크리트어]]로 [[불교]]의 '''[[사천왕 #불교의 사천왕|사천왕(四天王)]]'''을 뜻한다. 사천왕은 불법(佛法)의 수호자로 [[수미산]]의 동서남북을 방위한다. 중국어 버전의 '''호세삼(護世森)'''이라는 이름도 사천왕의 다른 이름인 '''호세사천왕(護世四天王)'''에서 따온 것이다. 이는 심연의 침식에 대항하고 우림에 영양분을 공급하여 수메르를 수호하고 있는 마우티이마를 상징하는 이름이다. ==== 카자르자레궁 ==== [anchor(카자르자레궁)]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원신_카자르자레궁.jpg|width=100%]]}}} || ||<-2> '''{{{+1 카자르자레궁}}}''' [br] The Palace of Alcazarzaray [br] {{{#fff القصر زراي / अल्काज़ार्ज़ाराय का महल}}} || ||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The Palace of Alcazarzaray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卡萨扎莱宫, ruby=Kǎsàzhālái-gōng)]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アルカサルザライパレス || >'''깊은 숲속 궁전 앞에 펼쳐진 보라색 정원에는 흐드러지게 핀 꽃과 노래하는 새들이 있다.''' >'''아름다운 해후를 하기에 걸맞은 곳이다.''' >----- >''전망 포인트 설명문 中'' [[도리(원신)|도리]]의 사유지이고, [[카베]]가 설계 및 건축을 담당하였다. [[카베]]의 인생 역작으로 평가되지만, 70퍼센트쯤 시공을 마쳤을 때 죽음의 땅이 궁전을 파괴해 버려서 지금의 건축물은 재건한 것이다. 수메르성 북쪽 땅이 움푹 꺼진 골짜기 속에 숨어 있는데, 풀 원소 비석 몇 개가 있고 파디사라가 많이 분포한다는 것 외에는 특별한 것이 없다. '''[[알카사르|알카자르(القصر)]]'''[* 한국어 버전에서는 관사 '알(ا)'을 빼고 '카자르'만 표기하고 있다.]는 ''''궁전'''', 혹은 ''''성(城)''''을 뜻하는 [[아랍어]]이고, '''자레(زراي)'''는 [[아베스타|아베스타어]]로 ''''금빛''''을 뜻한다. '알카자르'가 이미 궁전을 뜻하는 일반명사이므로, 겹말이 되지 않게 하려면 '''자레 궁'''이 올바른 번역이다. ==== 차트라캄 동굴 ==== [anchor(차트라캄 동굴)]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원신_차트라캄 동굴.png|width=100%]]}}} || ||<-2> '''{{{+1 차트라캄 동굴}}}''' [br] Chatrakam Cave [br] {{{#fff كهف شاتراكام / छत्राकम् गुहा}}} || ||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Chatrakam Cave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茸蕈窟, ruby=Róngxùn-kū)]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チャトラカム[ruby(洞窟, ruby=どうくつ)] || >숲속 깊숙이 숨겨진 은밀한 동굴. 버섯이 특히 자라기 좋은 습한 환경이다. >생론파 학자의 연구에 따르면 이곳의 버섯 품종은 유난히 풍부하다고 한다. 다만 동굴에는 상당수의 버섯몬이 서식하고 있어서인지 버섯 채취를 생업으로 하는「바나라」외에 이곳에 발을 들이는 자는 거의 없다 >----- >''탐사 파견 설명문 中'' 수메르성 정북쪽의 언덕 아래에 있는 동굴. 동굴 안쪽에는 버섯몬들이 다른 지역에 비해 유독 많이 서식하고 있다. 3.3버전의 [[영리한 버섯몬 대전]] 이벤트 때 이 근처로 오면 숨겨진 스토리들을 볼 수 있었다. 서쪽에는 수메르 특성 재료 파밍처인 [[원신/비경/반복 보상 비경#무지의 탑|무지의 탑]] 비경이 있다. '''차트라캄(छत्राकम्)'''은 ''''버섯''''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차트라카(छत्राक)'''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측된다. 중국어 버전도 ''''무성한 버섯이 자란 동굴''''을 뜻하는 '''용심굴(茸蕈窟)'''이라는 표현을 썼다. ==== 마우티이마 숲 ==== [anchor(마우티이마 숲)]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원신_마우티이마 숲.jpg|width=100%]]}}} || ||<-2> '''{{{+1 마우티이마 숲}}}''' [br] Mawtiyima Forest [br] {{{#fff غابة موتياما / मावतियिमा वनम्}}} || ||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Mawtiyima Forest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无郁稠林, ruby=Wúyù Chóulín)]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マウティーマ[ruby(稠林, ruby=ちゅうりん)]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다른 주요 지점 보기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원신_마우티이마의 땅.jpg|width=100%]]}}} || ||<-2> '''{{{+1 마우티이마의 땅}}}''' [br] The Land of Mawtiyima [br] {{{#fff أرض موتياما / मावतियिमा की भूमि}}} || ||<-2>숲의 기억과 꿈이 모이는 곳. 자신의 의식을 가지고 있는 듯하다 || ||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The Land of Mawtiyima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无郁稠林之地, ruby=Wúyù Chóulín zhī Dì)]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マウティーマの[ruby(地, ruby=ち)] || }}} }}} || >'''이곳에서 석류들은 노래하고, 사과는 박수를 치네''' >----- >''전망 포인트 설명문 中'' 거대한 버섯들이 자라난 기이한 숲으로 숲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마우티이마가 이곳 지하에 심연에 의해 오염된 채로 있다. [[이나즈마(원신)#진수의 숲|이나즈마 진수의 숲]]처럼 날씨가 고정된다. 월드 임무 '''아그니호트라 수트라'''에 의하면, 나라바루나가 마우티이마를 보호하기 위해 입구를 자미카요마르스로 막았다고 한다. 아란나가와 함께 야즈나 풀을 모아 아란하오마 영약을 만든 뒤 공양해야만 아래로 내려갈 수 있다. '''마우티이마(موتياما)'''는 [[아랍어]]로 ''''죽음''''을 뜻하는 '''마우트(مَوْت)'''와 [[아베스타|조로아스터교 신화]]에 등장하는 영웅왕 '''[[잠시드]]'''의 이칭인 '''이마(یما)'''를 합친 이름으로 추정된다. [[잠시드]]는 [[조로아스터교]]의 최고신인 [[아후라 마즈다]]에게 '''땅을 다스려 옥토로 만들어 생물들이 번성하게 만드는 임무'''를 받는다. [[원신/등장인물/수메르 #바나라나(아란나라)|아란나가]]가 알려준 바에 따르면 마우티이마는 나라바루나가 만든 것으로 원소와 영양분을 모아 숲을 먹여살리는 기능을 하는데, 이는 잠시드가 수행한 임무와 일치한다. === 아르드라비 골짜기 === [anchor(아르드라비 골짜기)]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rdravi_Valley.png|width=100%]]}}} || ||<-3> '''{{{+1 아르드라비 골짜기}}}'''[br]{{{#fff Ardravi Valley}}} [br] وادي أردرافي / आर्द्रावी घाटी || ||<-2>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Ardravi Valley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阿陀河谷, ruby=Ātuó Hégǔ)]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アルダラビ[ruby(河谷, ruby=かこく)] || >수메르를 관통하는 큰 강 아르드라비의 거센 물살이 오랜 기간에 거쳐 만들어 낸 하곡으로, 강을 따라 남쪽 해안에 도달할 수 있다. >수메르의 주요 수상 상로지만, 강가는 숲의 순찰관의 세심한 보호로 여전히 깨끗한 자연 생태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귀여운 생령이 많이 서식하고 있다 >----- >''탐사 파견 설명문 中'' 수메르 우림의 남단이자 아르드라비 강의 하류 지역으로, 수메르성에서 비마라 마을을 거쳐 오르모스 항구까지 이어지는 길이 있다. 강줄기를 따라 깊고 웅장한 하안절벽이 나 있어 등반을 하거나 클로버 인장을 자주 타고 다녀야 한다. '''아르드라비(आर्द्रावी)'''는 [[조로아스터교]]의 물과 생명의 여신 '''[[아나히타|아르드라비 수라 아나히타(आर्द्रावी शूरा अनाहिता)]]'''를 뜻한다. [[아베스타|아베스타어]]로는 '''아레드비 수라 아나히타(𐬀𐬭𐬆𐬛𐬎𐬎𐬍⸱𐬯𐬏𐬭𐬁⸱𐬀𐬥𐬁𐬵𐬌𐬙𐬀)'''라고 불리는데, 물의 여신이자 정결한 물의 수호자, 대지에 있는 모든 물의 근원이자 물을 통해 자라는 모든 생명을 관장하는 여신이고, 식물의 생육과 작물의 풍작을 관장하는 풍요의 여신으로써도 숭배되었다. 물이 풍부하고 그로 말미암아 무성한 우림을 이루는 아르드라비 강을 비유하는 이름이라고 할 수 있다. '''[[나히다]]'''의 모티브 역시 [[아나히타]]에서 따왔다. ==== 오르모스 항구 ==== [anchor(오르모스 항구)]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원신_아르드라비 골짜기.jpg|width=100%]]}}} || ||<-2> '''{{{+1 오르모스 항구}}}''' [br] Port Ormos [br] {{{#fff ميناء أورموس / बंदरगाह ओरमोस}}} || ||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Port Ormos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奥摩斯港, ruby=Àomósī-gǎng)]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オルモス[ruby(港, ruby=こう)] || >'''「따분한 현자의 설교를 듣느니, 꽃으로 빚은 술을 마시며 칠해를 정복하는 항해를 떠나리」''' >----- >''전망 포인트 설명문 中'' 수메르의 가장 큰 대외 무역항이자 '''제 2의 도시'''. 마치 대문과도 같은 거대한 나무 2그루 사이를 나무로 된 아치 구조물[* [[카베]]의 초대 이벤트에 따르면 이것 역시 카베의 작품이라고 한다.]이 있고, 그 아래에 부두가 형성되어 있다. 수메르성과는 거리가 멀어 아카데미아의 통제를 덜 받고, 항아리 지식 밀수 등 여러 불법적인 거래도 자주 일어난다고 한다. 수메르성보다 대체로 물가도 싼 편이어서, 아카데미아의 학생들이 간혹 항아리 지식을 밀매하러 이곳에 오기도 한다. 외국인들이 간간히 보이는 편이며,[* 이나즈마 출신 야에 미코도 버섯몬 대전 이벤트 때 이곳을 방문했고, 요이미야도 전설임무 2막에서 찾아와 이나즈마의 무역항인 이도보다 훨씬 크다며 감탄했다.] 게시판에서도 다른 나라의 상회들이 활발히 거래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낮 시간에 흘러나오는 BGM 는 원신의 삽입곡 중에서도 가장 호평을 많이 받는 곡들 중 하나다. 아치 위쪽 벤치에 앉아 있는 NPC 파라나즈의 말에 따르면, 오르모스 항구가 생기기 전에 이곳에는 '''[[원신/설정/수메르 #오르가나|오르가나]]'''라고 하는 연맹국가가 있었다고 한다. '''29 해양 데이(داي)[* 데이는 [[오스만 제국]]에서 [[https://ko.m.wikipedia.org/wiki/%EC%98%A4%EC%8A%A4%EB%A7%8C%EB%A0%B9_%EC%95%8C%EC%A0%9C%EB%A6%AC|오스만령 알제리]], [[리비아|트리폴리]], [[튀니지]] 등지의 총독에게 내리던 호칭이다.] 연맹'''이라고도 불렸던 오르가나는 스물아홉 개 해적단의 지도자들이 권력 균형을 유지하며 다스렸으나, 점차 내분이 일어났고 결국 바다 괴물이 습격해서 거대한 파도를 일으켜 하룻밤 사이에 멸망했다고 한다.[* 이 바다 괴물의 정체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오르모스 항구는 [[리월 #리월항|리월항]]과 같이 티바트 동쪽 바다 방면으로 트여 있는 도시이므로, 옛 운래해의 괴수 중 하나가 이곳을 침공한 것일 수도 있다.] 이후 이곳에 상인들이 모여들어 항구도시를 세워 지금의 오르모스 항구가 되었다. '''오르모스(أورموس)'''는 지금의 [[호르무즈 해협]]의 어원이자 그 한가운데에 위치했던 '''호르무즈 왕국(هرمز)'''[* 오르무스(Ormus) 왕국이라고도 한다.]을 모티브로 한 것으로 보인다. 이곳은 해협 한가운데에 위치해 예로부터 전략적 • 상업적 요충지였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왕국의 중심지였던 [[호르무즈 섬]]을 '''오르가나(Όργανα)'''라고 불렀다고 하니 더더욱 모티브로 삼았을 가능성이 크다. 또한, [[그리스어]]로 '''오르모스(όρμος)'''라고 하면 ''''만(灣)''''을 뜻하기도 한다. ---- * [anchor(디아파르 식당)]'''디아파르 식당(حانة جعفر / Djafar Tavern)''' * [anchor(샤푸르 여관)]'''샤푸르 여관(فندق شابور / Shapur Hotel)''' * [anchor(위칼라 상인 여관)]'''위칼라 상인 여관(فندق ويكالا / Wikala Funduq)''' * [anchor(파로스 등대)]'''파로스 등대(منارة فاروس / Pharos Lighthouse)''' * [anchor(아짜라 조형소)]'''아짜라 조형소(الحرف أجانتا / Acara Crafts)''' [[동심 조각]] 이벤트 때에는 수메르 어린이들 사이에서 유행하는 [[아란나라]] 조각상을 제작할 수 있었다. ==== 비마라 마을 ==== [anchor(비마라 마을)]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원신_비마라 마을.jpg|width=100%]]}}} || ||<-2> '''{{{+1 비마라 마을}}}''' [br] Vimara Village [br] {{{#fff قرية بيمارا / विमरा ग्राम}}} || ||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Vimara Village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维摩庄, ruby=Wéimó-zhuāng)]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ヴィマラ[ruby(村, ruby=むら)] || >'''비마라 마을에는 오직 평온한 생활만이 있을 뿐이다.''' >'''지친 여행자여, 이곳에서 편히 쉬었다 가기를''' >----- >''전망 포인트 설명문 中'' 아르드라비 강 중류에 위치한 작은 시골 마을. 평화로운 분위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휴양지로 찾는다고 한다. 또한 수메르성과 오르모스 항구를 잇는 상로 중간에 있어 캐러밴이 쉬어가는 장소이기도 하다. 월드 임무 '''숲의 책'''이 이곳에서 시작한다. '''비마라(विमरा)'''는 [[산스크리트어]]로 ''''마음의 정화''''를 의미하는 '''비말라(विमल)'''에서 따온 것으로 추측된다. ==== 데반타카 산 ==== [anchor(데반타카 산)]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원신_데반타카 산.jpg|width=100%]]}}} || ||<-2> '''{{{+1 데반타카 산}}}''' [br] Devantaka Mountain [br] {{{#fff جبل ديفانتاكا / देवन्तक पर्वत}}} || ||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Devantaka Mountain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降诸魔山, ruby=Xiángzhūmó-shān)]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デーヴァーンタカ[ruby(山, ruby=やま)]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다른 주요 지점 보기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원신_유적 거상.png|width=100%]]}}} || ||<-2> '''{{{+1 유적 거상}}}''' [br] Ruin Golem [br] {{{#fff خراب غولم / बर्बाद गोलेम}}} || ||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Ruin Golem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遗迹巨像, ruby=Yíjì Jùxiàng)]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ruby(遺跡巨像, ruby=いせききょぞう)] || }}} }}} || >'''여러분, 고대 국가 [[켄리아]]의 수천 년 역사가 우리를 지켜보고 있습니다!'''[* 이 문구는 [[나폴레옹]]이 [[기제]]의 대피라미드를 보고 [[맘루크]] 군과의 전투를 앞둔 병사들에게 한 연설에서 가져온 것이다. 원문은 '''"제군들이여, 피라미드 위에서 수천 년의 역사가 제군을 바라보고 있다!"'''] >----- >''전망 포인트 설명문 中'' 오르모스 항구의 동쪽에 위치하여 아르드라비 강의 지류가 흘러나오는 산으로, '''말 그대로 산만 한 [[켄리아]]의 유적 거상이 산에 박혀 있다.''' 산 내부에는 큰 동굴과 유적이 있으며 [[원신/적/토벌 보스 #영겁의 드레이크|영겁의 드레이크]]가 이 동굴 속에 있다. 처음으로 유적 거상을 볼 수 있는 장소이자 수메르에 흩어진 3기의 유적 거상 중 첫 번째이다. 쟈자리가 연구를 위해 유적 거상 내부 근처에 있으며 여기서 아란리캔과 함께 처음으로 유적 거상 내부를 탐사하게 된다. '''데반타카(देवन्तक)'''는 [[힌두교]] 신화에서 [[라바나]]의 아들이자 [[아수라]]였던 '''데바나타카(देवान्तक)'''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신을 뜻하는 데바(देव)와 죽음을 뜻하는 안타카(अन्तक)의 합성어로, ''''신을 죽이는 자''''라는 뜻이다.[* 데바나타카는 '''나란타카(नरान्तक)'''라는 형제가 있었는데, 이쪽은 ''''인간(नरा, 나라)을 죽이는 자''''라는 뜻. [[아란나라]]가 인간들의 이름을 부를 때 붙이는 그 '나라'가 맞다.] 중국어 버전에서는 '''항제마산(降諸魔山)'''이라고 하는데, 여기서 마(魔)라는 것은 [[신(원신)|마신(魔神)]]을 뜻하는 듯하다.[* 아이러니하게도 '항제마산'이라는 번역은 [[소]]가 싸우고 있는 요마(妖魔)와 같은 한자를 쓰고, 요마를 없애는 행위를 작중에서 아예 '''항마(降魔)'''라는 똑같은 단어를 썼기 때문에 서로 완전히 정반대의 의미가 되어 버렸다.]티바트 7국, 나아가서는 [[셀레스티아(원신)|셀레스티아]]와도 대적하려 했던 것으로 보이는 [[켄리아]]와 어울리는 이름이다. ==== 데바 동굴 ==== [anchor(데바 동굴)]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원신_데바 동굴.png|width=100%]]}}} || ||<-2> '''{{{+1 데바 동굴}}}''' [br] Dev's Cavern [br] {{{#fff غار دیو / शैतानस्य गुहा}}} || ||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Dev's Cavern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迪弗旧窟, ruby=Dífú Jiùkū)]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ディフ[ruby(旧窟, ruby=きゅうくつ)] || 오르모스 항구 지하에 있는 지역으로, 지도에는 표기되지 않으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입장 시에 지역명이 나온다. 유적 거상의 혼돈의 노심이 위치하는데, 아란리캔과 함께 노심을 꺼트리기 위해 들르게 된다. 작중 수메르 언어로 '''데브(دیو)'''[* 한국어 버전에서는 이를 일관되게 '''데바'''로 번역해 놓았는데, 이건 명백한 오역이다. 데바(देव)는 ''''신''''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로, 이것이 [[페르시아어]]로 수입되면서 정반대의 뜻인 '디브(دیو)'가 되었다. [[영어]]에서 ''''악마''''를 뜻하는 '''데빌(Devil)'''의 어원이 이것이다. 수메르가 하필 인도와 페르시아 문화권을 섞어 놓은 국가라 어원이 똑같지만 완전히 정반대의 뜻을 지닌 '''데바타'''('데바'의 여성형, 즉 '여신')와 '''데브'''를 모두 쓰기 때문에 번역팀에서 헷갈린 것으로 보인다. 다른 언어들은 Dev와 Deva를 명확하게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다.]라고 하면 ''''마물''''을 뜻한다. 이것은 [[페르시아]] 전승 및 [[이슬람]] 설화에서 인간을 잡아먹는 괴물 '''디브(دیو)'''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 아샤반의 땅 === [anchor(아샤반의 땅)]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shavan_Realm.png|width=100%]]}}} || ||<-3> '''{{{+1 아샤반의 땅}}}'''[br]{{{#fff Ashavan Realm}}} [br] قلمرو اشوان / आशावनम् क्षेत्रम् || ||<-2>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Ashavan Realm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善见地, ruby=Shànjiàn-dì)]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アシャヴァンレルム || >풍부한 물산과 산림 습지가 분포된 남쪽 지역으로 서쪽의 거대하고 튼튼한 각질의 방벽이 모래 폭풍으로부터 이곳을 지키고 있다. >전설에 따르면 수메르의 산림에는 셀 수 없이 많은 기이한 생령이 살고 있는데, 축복받은 아샤반의 사람만이 그들을 볼 수 있다고 한다 >----- >''탐색 파견 설명문 中'' 우림의 서남쪽에 무성하게 우거진 숲으로 사막으로 통하는 유일한 공식적인 길이 나 있는 곳이다. 지하에는 [[켄리아]] 및 바루나 신기와 관련된 동굴이 상하좌우로 복잡하게 나 있어 지하 지도를 켜고 가지 않으면 길을 잃기 십상이다. '''아샤반(اشوان)'''은 [[조로아스터교]]에 나오는 개념인 '''아샤반(𐬀𐬴𐬀𐬬𐬀𐬥)'''에서 따온 것으로, ''''진리, 정의, 또는 질서[* 이를 '''아샤(𐬀𐬴𐬀)'''라고 한다.]에 통달하다''''라는 뜻이다. 또한 이를 [[산스크리트어]]라고 보고 해석하면 ''''희망''''을 뜻하는 '''아샤(आशा)'''와 ''''숲''''을 뜻하는 '''바나(वन)'''[* 전반적으로 [[산스크리트어]]를 사용하는 [[아란나라]]들도 숲을 '바나'라고 말한다.]의 합성어라고 볼 수도 있어서, 이중적인 의미를 노린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어 버전에서는 [[힌두교]]의 신 [[비슈누]]가 가지고 있다고 전해지는 신의 무기 '''[[수다르사나|수다르사나(सुदर्शन)]]'''의 번역어 ''''선견(善見)''''을 사용했다. 수다르사나는 고리 모양의 무기여서 나중에는 '''시간의 바퀴'''로도 인식되었는데, 이는 수천삼림의 물을 계속 순환시켜서 반복적으로 날씨를 바꾸는 '''바루나 신기'''를 비유하는 이름으로 추정된다. ==== 선나원 ==== [anchor(선나원)]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원신_선나원.jpg|width=100%]]}}} || ||<-2> '''{{{+1 선나원}}}''' [br] Pardis Dhyai [br] {{{#fff برديس دياي / परदिस ध्यानै}}} || ||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Pardis Dhyai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禅那园, ruby=Chánnà-yuán)]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パルディスディアイ || >'''화원에 뿌리내린 수많은 꽃들이 하나같이 수정 나비가 무색할 정도의 화려함을 뽐낸다.''' >'''이곳은 선량한 이들이 꿈꾸는 낙원이다''' >----- >''전망 포인트 설명문 中'' [[수메르 아카데미아#생론파|생론파]]의 아카데미아 소속 학자들이 동물, 식물, 곤충 등과 관련된 연구를 진행하며 머무는 식물원. 과거에는 학생 신분의 [[타이나리]]가 이곳에서 살다시피 했고, 지금도 간다르바 성곽에 없을 때마다 여기로 갔다고 [[콜레이]]가 알려준다. 식물원이라는 설정답게 온실과 예쁜 정원이 있으며, 파디사라가 다수 분포해서 채집하기에 좋다. 한국어와 중국어 버전에서만 나타나는 '''선나(禪那)'''이라는 표현은 [[불교]]에서 ''''참선''''을 나타내는 '''디야나(ध्यान)'''를 음역한 것이다. 다른 언어로는 ''''파르디스 디아이(برديس دياي)''''로 표기한다. '''파르디스(پردیس)'''는 [[페르시아어]]로 ''''[[정원]]'''', 넓게는 ''''천국''''을 의미하는 단어로, [[영어]]의 '''파라다이스(Paradise)'''의 어원이 됐다. '''디아이(ध्यै)'''는 [[산스크리트어]]로 ''''명상하다'''', ''''고찰하다'''', ''''숙고하다'''' 등의 뜻을 지니고 있고, '디야나' 및 '데나'의 어근이다. 지혜궁의 영어 이름인 House of Daena의 그 '''Daena'''와 같은 뿌리를 가지고 있는 단어이다. ==== 수천삼림 ==== [anchor(수천삼림)]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원신_수천산림.jpg|width=100%]]}}} || ||<-2> '''{{{+1 수천삼림}}}''' [br] Apam Woods [br] {{{#fff أرض أشفان / अपम जंगल}}} || ||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Apam Woods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水天丛林, ruby=Shuǐtiān Cónglín)]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アパーム[ruby(叢林, ruby=そうりん)]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다른 주요 지점 보기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원신_비의 끝자락.jpg|width=100%]]}}} || ||<-2> '''{{{+1 비의 끝자락}}}''' [br] The Rain's End [br] {{{#fff نهاية المطر / बारिश का अंत}}} || ||<-2>「비는 없지만 비가 태어난 이곳. 바나를 정화하는 비 역시 이곳에서 시작되어 이곳에서 끝나리」 || ||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The Rain's End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雨的尽头, ruby=Yǔ de Jìntóu)]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ruby(雨, ruby=あめ)]の[ruby(果, ruby=は)]て || ||<-2> [br]{{{#!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원신_꿈의 숲.png|width=100%]]}}} || ||<-2> '''{{{+1 꿈의 숲}}}''' [br] Grove of Dreams [br] {{{#fff غابة الحلم / स्वप्नस्य जङ्गलम्}}} || ||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Grove of Dreams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梦景林莽, ruby=Mèngjǐng Línmǎng)]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ruby(夢, ruby=ゆめ)]の[ruby(林, ruby=はやし)] || }}} }}} || >'''세상에 발현된 바루나 신기의 힘은 생명의 물을 불러 일으키고 바루카를 바나로 바꾸어 불모지에 생기가 넘치도록 하였다.''' >----- >''전망 포인트 설명문 中'' 거대한 나무들이 울창하게 들어선 밀림으로 [[네덜란드|해수면보다 낮은 지역]]이기 때문에 바닷물이 폭포를 이루어 거꾸로 흘러들어오고 있다. 나무들의 옆에는 발판 역할을 하는 거대한 버섯이 달려 있고, 곳곳에 룩카데바타 성체 버섯이 많이 서식하기 때문에 파밍처로 자주 쓰인다. 먼 옛날 [[층암거연]] 서쪽이 [[셀레스티아|하늘에서 떨어진 거대한 못]]으로 인해 통째로 사막화되었던 시절, [[룩카데바타|아란야니 여왕]]이 최초의 [[아란나라]]였던 아란무후쿤다와 함께 이곳 한가운데에 물을 순환시키는 '''바루나 신기'''를 만들어 규칙적으로 내리는 비를 불러왔고 이 덕분에 지금의 우림 지역이 만들어질 수 있었다고 한다. 500년 전 [[켄리아]] 대재앙 시절 심연의 침식 때문에 해와 달이 검은 구름으로 가려지고 검은 비가 내렸는데, [[여행자(원신)/미선택성별|금빛 인간]]이 이곳에 와 바루나 신기를 고치고 검은 비를 몰아냈다고 한다. 그래서 [[아란나라]]는 이 인간을 '''나라바루나'''라고 부른다. 여행자가 이곳에 도착하는 시점에는 바루나 신기에 다시 이상이 생겨 비가 불규칙적으로 많이 내려서 버섯몬과 포자가 지나치게 늘어난 상태이다. 월드 임무 '''숲의 책''' 중 '''바루나 가타'''를 진행하게 되면 가지와 잎을 수리해 바루나 신기를 고치고, 마지막에는 신기와 직접 상호작용하여 수천삼림의 날씨를 직접 조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루나 신기는 하루에 2번, '''바루나스트라(वरुणास्त्र)'''[* 본래는 [[인도 신화]]에서 [[바루나]]가 부린다고 하는 무기의 이름이다.]라고 불리는 하늘까지 닿을 듯한 거대한 물기둥을 뿜어내 6시간 동안 비를 내린다. 이때 바닥의 물을 빨아들이기 때문에 비가 올 때는 수천삼림 바닥의 물이 빠져 상자, 타임어택 도전 등 여러 가지 기믹과 상호작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비가 오는 도중에는 곳곳에 물방울이 생겨서, 이걸 지나가면서 터뜨리면 작은 보상을 준다. '''수천삼림(水天森林)''' • '''수천총림(水天叢林)'''이라는 한자어 이름은 [[인도 신화]]에서 물과 바다, 비, 정의 등을 관장하는 창공의 신이자, [[불교]]에서 [[십이천]]의 하나로 [[수미산]]의 서쪽을 지키는 '''[[바루나|바루나(वरुण)]]''', 혹은 '''[[수천 #인도 신화에 등장하는 신|수천(水天)]]'''과 승려들이 많이 모인 '''대사원''' 내지는 ''''빽빽하게 자라난 수풀''''을 의미하는 '''총림(叢林)'''의 합성어이다. 한국어로는 '총림'이라는 단어를 거의 쓰지 않아 '삼림'으로 번역했다. 다른 언어들은 수천삼림을 '''아팜 숲(Apam Woods)'''이라고도 부르는데, '''아팜(अप्)'''은 ''''물''''을 뜻하는 고전 [[산스크리트어]]이다. ==== 야스나 유경 ==== [anchor(야스나 유경)]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원신_야스나 유경.png|width=100%]]}}} || ||<-2> '''{{{+1 야스나 유경}}}''' [br] Yasna Monument [br] {{{#fff نصب ياسنا / यसना स्मारक}}} || ||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Yasna Monument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谒颂幽境, ruby=Yèsòng Yōujìng)]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ヤスナ[ruby(幽境, ruby=ゆうきょう)] || 수천삼림 북쪽, 선나원에서 캐러밴 수도원으로 가는 길목에 위치한 숲으로 수천삼림보다는 덜하지만 그래도 높이 솟아 있는 나무들이 자라 있다. 겁의 연꽃 파밍처 중 한 곳이고, 웅덩이가 몇 군데 있어 버섯몬도 모여 서식하고 있다. '''야스나(𐬫𐬀𐬯𐬥𐬀)'''는 [[조로아스터교]]의 경전인 '''[[아베스타]]'''를 이루는 다섯 개 장 중 첫 번째로, 종교적인 제례의식을 지낼 때 읊는 식문(式文)이며 [[자라투스트라]]의 언행과 그에 대한 찬송문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개념이 [[불교]]로 수입되면서 '''게송(偈頌)'''이 되었다. 작중에서는 이 단어를 '찬송'으로 옮기고 있다.[* 월드 임무 '''선악의 크바레나'''를 진행하는 도중 [[소루쉬]]가 언급하는 '''찬송의 주인'''이라는 개념 또한 '''야스나파티(𐬫𐬀𐬯𐬥𐬀 𐬞𐬀𐬌𐬙𐬌)'''를 번역한 것이다.]또한 '''유경(幽境)'''은 ''''아주 외떨어지고 조용한 곳''''을 의미하는 한자어이다. 이 이름은 '''바루나 가타''' 진행 중에 보게 되는, 나라바루나가 [[아란나라]]와의 여정을 추억하기 위해 만든 돌 기념물을 뜻하는 이름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 때문에 한자 문화권이 아닌 언어로는 '야스나 '''기념물(Monument)''''이라고 표기한다. ==== 다흐리의 폐허 ==== [anchor(다흐리의 폐허)]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원신_다흐리의 폐허.png|width=100%]]}}} || ||<-2> '''{{{+1 다흐리의 폐허}}}''' [br] Ruins of Dahri [br] {{{#fff أطلال الظاهري / डहरी के खंडहर}}} || ||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Ruins of Dahri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荼诃之座, ruby=Túhē zhī Zuò)]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ダーリ[ruby(遺跡, ruby=いせき)] || 우림의 서남쪽 최외곽에 뜬금없이 자리하고 있는 원형의 유적. [[몬드#s-6.5.7|살-빈다그니르]], [[이나즈마(원신)#s-6.7|연하궁]], [[이나즈마(원신)#s-6.6|츠루미]]의 고대 유적과 층암거연 심층부의 [[리월#s-6.6.2.6|무명의 유적]] 등지에서 볼 수 있는 특유의 사각기둥이 세워져 있으며, 다수의 유적 헌터와 유적 순찰자들이 주변을 배회하고 있어 쉽게 발각당하고, 지형이 트여 있어서 전투에 다수가 끌려들기 쉬워 난이도가 높은 지역이다. 동쪽 아래 수천삼림으로 가는 쪽에 수메르 무기 육성 재료 파밍처인 [[원신/비경/반복 보상 비경#유정의 탑|유정의 탑]] 비경이 있다. '''다흐리(دَهْرِيّ)'''는 아랍어로 '물질주의자', 또는 ''''[[무신론자]]''''를 가리키는 용어로, 작중 [[수메르 아카데미아]]에서 '''[[켄리아]]'''를 부르는 별칭이다. [[국가 무신론|신을 섬기지 않고 오로지 인간의 힘으로만 건설했다고 전해지는]] 켄리아에 걸맞는 이름이다. 이 때문에 이 유적은 [[켄리아]]와 모종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히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 카라반 수도원 ==== [anchor(카라반 수도원)]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원신_카라반 수도원.jpg|width=100%]]}}} || ||<-2> '''{{{+1 카라반 수도원}}}''' [br] Caravan Ribat [br] {{{#fff كرفان الرباط / कारवां रिबत}}} || ||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Caravan Ribat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喀万驿, ruby=Kāwàn-yì)]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キャラバン[ruby(宿駅, ruby=しゅくえき)] || >'''드높은 장벽은 뜨거운 모래 폭풍만 아니라 지식의 은총까지도 가로막았다.''' >'''하지만 신이 내리는 지혜의 빛은 모든 이에게 비추어져야 하는 것이 아닌가?''' >----- >''전망 포인트 설명문 中'' '''우림 지역과 사막 지역을 잇는 관문'''으로, 이곳을 지나면 아루 마을로 넘어갈 수 있다. 사막 지역의 모래 폭풍을 막아주는 방사벽 한가운데에 존재하며 30인단이 주둔하는 등 아카데미아의 관리를 받고 있다. 그래서 상인들뿐 아니라 도금 여단도 많이 볼 수 있다. 3.1버전에 사막 지역이 공개되기 전까지는 사막에 가장 가까운 지역으로서 근처 고지대에 올라가면 사막 협곡 지형을 일부 엿볼 수 있었다. 사실 수도원이라고 하지만, 종교적인 색채를 띤 곳은 전혀 아니고 '''캐러밴'''[* 모티브는 아랍 지역에서 낙타를 타고 다니며 물건을 팔았던 '''카라반(کاروان)'''.]이 중간 기착지로서 쉬어 가는 여관이자 인구 이동을 통제하는 검문소 및 요새에 더 가깝다. 그래서인지 다른 언어로는 '''역(驛)''', 내지는 '''리바트(رِبَـاط)'''[* [[이슬람 제국]] 시절에 북아프리카 일대에 쌓은 요새로, 용병들이 거주하며 국경을 방위했다. 나중에는 대상(隊商, 카라반)들이 쉬어가는 여관의 역할을 하면서도 상로를 침략이나 약탈로부터 지키는 역할을 수행했다. 작중 카라반 수도원의 역할과 완전히 일치한다.]로 번역되었다. === 비슈다 초원 === [anchor(비슈다 초원)]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Vissudha_Field.png|width=100%]]}}} || ||<-3> '''{{{+1 비슈다 초원}}}'''[br]{{{#fff Vissudha Field}}} [br] فيشودي ميدوز / विशुद्धी क्षेत्रम्‌ || ||<-2>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Vissudha Field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二净甸, ruby=Èrjìng-diàn)]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ヴィシュッダ[ruby(辺土, ruby=へんど)] || 선나원 뒷산 너머 북쪽에 위치하는, 수메르성의 서쪽 교외 구역. 이곳은 바나라나에서 흘러나와 아르드라비 강으로 흘러드는 지류가 있는 곳인데, 계곡에 가득 차 있던 물을 기믹을 풀어 뺄 수 있다. 물을 빼면 선나원 지하에 있는 거대 유적의 다른 쪽 입구와 아슈바타 신전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비슈다(विशुद्ध)'''는 인도 문화권에서 일컫는 인간의 신체에 있는 정신적 힘의 중심점인 [[차크라]] 중 척수를 따라 위치한 6개의 구심점의 5번째로, 목에 위치하며 '''정결함'''을 상징한다. 중국어는 [[불교]]에서 집착에서 벗어난 상태를 일컫는 '''이정(二淨)'''이라는 단어를 가져왔는데, 이것도 [[산스크리트어]] '''숫디(शुद्धि)'''의 한역어로 ''''정화(淨化)''''를 의미한다. 심연의 힘을 억누르는 '''바사라 나무'''를 비유하는 표현이다. ==== 아슈바타 신전 ==== [anchor(아슈바타 신전)]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원신_아슈바타 신전.png|width=100%]]}}} || ||<-2> '''{{{+1 아슈바타 신전}}}''' [br] Fane of Ashvattha [br] {{{#fff معبد أشوباتا / अश्वत्थ मन्दिर}}} || ||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Fane of Ashvattha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觉王之殿, ruby=Juéwáng zhī Diàn)]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アシュヴァッタ[ruby(神殿, ruby=しんでん)] || [[룩카데바타|아란야니 여왕]]이 창조한 최초의 바사라 나무인 '''아슈바타 나무'''가 있으며, 여기서 최초의 [[아란나라]]인 아란무후쿤다가 태어났다. 월드 임무 '''숲의 책'''을 진행하면서 수메르 곳곳에 흩어진 3곳의 '''아슈바타 전당'''에서 아란지, 아란마하, 아란야마가 변해서 된 바사라 나무를 찾아 정화하면 '''바소마 열매'''를 맺는데, 3개의 열매를 모아 이 아슈바타 나무에 공양해야 우트사바 축제에 필요한 비야의 열매를 맺고 봉인이 풀리면서 잃어버린 모밭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바사라 나무'''는 아란나라가 변해서 된 나무로, [[원신/설정/수메르 #금단의 지식|마라나]]를 억누르며 꿈과 기억의 힘을 담고 있다. 어원은 [[산스크리트어]]로 ''''하루'''', ''''주기''''를 뜻하는 '''바사라(वासर)'''이다. 또한 '''아슈바타(अश्वत्थ)'''는 [[힌두교]] 및 [[불교]]에서 신성시되는 식물이며 [[석가모니]]가 깨달음을 얻은 장소라고 전해지는 '''[[보리수 #보리수|보리수(菩堤樹)]]'''를 뜻한다. 이 때문인지 중국어로는 ''''깨달음을 얻은 자''''라는 뜻의 '''각왕(覺王)'''이란 표현을 쓰고 있다. === 바나라나 === [anchor(바나라나)]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원신_바라나라.jpg|width=100%]]}}} || ||<-2> '''{{{+1 바나라나}}}''' [br] Vanarana [br] {{{#fff فانارانا / वनरण}}} || ||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Vanarana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桓那兰那, ruby=Huánnàlánnà)]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ヴァナラーナ || >'''「하늘과 대지가 아무리 어두워도 네 마음이 태양처럼 금빛의 따뜻한 빛을 발한다면 언제나 희망이 함께 할 거야」''' >----- >''전망 포인트 설명문 中'' 숲의 정령 '''[[아란나라]]들의 거주지.''' 정확히 말하면, 일반인들에게는 그냥 풀숲이 우거진 삼림으로 보이지만, 아란나라들이 허가한 인간(나라)들만 출입이 허용되며, 하프 기믹을 통해 꿈을 통해서만 들어갈 수 있는데 아란나라들은 이 꿈속 상태의 바나라나를 '''마하바나라나프나(महावनरणप्न)'''[* [[산스크리트어]]로 ''''큰'''', ''''위대한''''이라는 뜻을 가진 '''마하(महा)'''와 '''바나라나''', 그리고 ''''꿈''''을 뜻하는 '''스바프나(स्वप्न)'''가 합쳐진 말이다. 작중에서는 ''''위대한 꿈의 바나라나''''라는 뜻이라고 풀이한다.]라고 부른다. 꿈속 바나라나에 진입하면 평범했던 하늘이 보라색으로 변하고 노란 불빛이 떠다니는 등 몽환적이고 아름다운 분위기로 변한다. 일곱신상이 일반 필드상에 있는 게 아니라 '''꿈속 바나라나에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지도를 해금할 수 없는 지역으로, 오직 월드 임무 '''숲의 책''' 제 2장 '''꿈속의 모밭'''을 어느 정도 진행해야지만 지도를 열 수 있다. 일곱신상으로 해금할 수 있는 두 번째로 좁은 지역이기도 하다. 또한 꿈속 세계라는 설정 때문에 그런지 바나라나 북쪽 지역의 천장은 분명 뚫려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정작 그 위의 지역으로 가면 어디에도 구멍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소재도 파디사라가 존재하지 않고, 대신에 오로지 꿈속 바나라나에서만 얻을 수 있는 비파랴스가 자란다. 여담으로 '''숲의 책''' 클리어 이후 바나라나 중심의 연못광장 쪽으로 가면, 일부 음유시인 [[아란나라]]들이 노래를 부른다는 설정으로 BGM에 보컬이 추가된다. '''바나라나(वनरण)'''는 [[산스크리트어]]로 ''''숲''''을 뜻하는 '''바나(वन)'''와 ''''낯설다'''', ''''멀리 떨어져 있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아라나(अरण)'''의 합성어로 추정된다. {{{#!folding 스포일러 ▼ 본래 바나라나는 이곳이 아니라, [[적색 모래 바다 #하드라마베스 사막|하드라마베스 사막]]과 인접한 잃어버린 모밭 지역에 있었다. 그러나 [[원신/설정/수메르 #금단의 지식|마라나]] 때문에 바나라나는 멸망해 버렸고, 살아남은 아란나라들은 이곳으로 이주한 것으로도 안심할 수 없어 꿈속에 자리잡게 되었다고 한다.}}} * [anchor(꿈 나무)]'''꿈 나무'''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원신_꿈 나무.png|width=100%]]}}} || ||<-2> '''{{{+1 꿈 나무}}}''' [br] Tree of Dreams [br] {{{#fff شجرة الأحلام / स्वप्नवृक्ष}}} || ||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Tree of Dreams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梦之树, ruby=Mèng zhī Shù)]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ruby(夢, ruby=ゆめ)]の[ruby(樹, ruby=き)] || 이나즈마 나루카미 다이샤의 [[이나즈마(원신)#신성한 벚나무|신성한 벚나무]]와 비슷한 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나무.[* 모습이 꼭 양파를 닮아서, 국내외를 막록하고 '''양파 나무'''라는 별명이 붙었다.] 수메르의 인장을 공양해 레벨 보상과 맞바꿀 수 있다. 다만 벚나무처럼 씨앗 레벨이 올라간다던가 하는 콘텐츠는 없고, 순수히 보상만 바꾸는 기능만 갖추고 있다. 공양과 보상에 대해서는 [[원신/콘텐츠#꿈 나무|콘텐츠]] 문서 참조. 근처의 NPC인 아란비나이에게서 '당신과 아란나라 이야기' 아이템으로 수메르 4성 단조무기 레시피를 교환할 수 있다. ===# 잃어버린 모밭 #=== ||<-3>
'''{{{+1 잃어버린 모밭}}}'''[br]{{{#fff Lost Nursery}}} [br] حضانة لوست / खोया नर्सरी || ||<-2>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Lost Nursery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失落的苗圃, ruby=Shīluò de Miáopǔ)]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ruby(失, ruby=うしな)]われた[ruby(苗畑, ruby=なえはた)] || [anchor(과거의 바나라나)]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원신_과거의 바나라나.jpg|width=100%]]}}} || ||<-2> '''{{{+1 과거의 바나라나}}}''' [br] Old Vanarana [br] {{{#fff فانارانا القديمة / वृद्ध वानरण्यम्}}} || ||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Old Vanarana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往昔的桓那兰那, ruby=Wǎngxī de Huánnàlánnà)]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かつてのヴァナラーナ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다른 주요 지점 보기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원신_모래 속 고향.jpg|width=100%]]}}} || ||<-2> '''{{{+1 모래 속 고향}}}''' [br] Sand-Embraced Home [br] {{{#fff الوطن في الرمال / रेत में मातृभूमि}}} || ||<-2>비록 보잘것없지만 그는 나라 친구를 환대하기 위해 많은 준비를 한 듯하다. || ||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Sand-Embraced Home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沙中故里, ruby=Shā Zhōng Gùlǐ)]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ruby(砂, ruby=すな)]に[ruby(埋, ruby=う)]もれし[ruby(故郷, ruby=こきょう)] || ||<-2> [br]{{{#!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원신_꿈을 잃은 국토.jpg|width=100%]]}}} || ||<-2> '''{{{+1 꿈을 잃은 국토}}}''' [br] Land of Grounded Dreams [br] {{{#fff أرض الأحلام المتأصلة / ग्राउंडेड ड्रीम्स जड़े हुए सपने}}} || ||<-2>숲이 모든 걸 기억할 테니까. || ||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Land of Grounded Dreams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失梦的国土, ruby=Shī Mèng de Guótǔ)]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ruby(失夢, ruby=しつむ)]の[ruby(国土, ruby=こくど)] || }}} }}} || >'''「친구들과 다시 무성한 숲속을 걷게 될 거야.」''' >'''「시냇물이 자신을 정화하고 시든 나무에 새로운 새싹이 피어나듯, 아름다운 것들은 결국 돌아오고 고통의 기억은 모두 사라질 거야.」''' >----- >''전망 포인트 설명문 中'' [[원신/설정/수메르 #금단의 지식|마라나]]의 폭주로 인해 [[아란나라]]들이 대전쟁을 겪고 이주하기 전까지 바나라나'''였던''' 곳. 월드 임무 '''숲의 책''' 제 3장 '''꿈을 잃은 모밭'''을 진행하기 전에는 월드맵 바깥의 미공개 지역인 것처럼 아예 접근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은 다른 유저의 월드를 가도 마찬가지이다.] 마라나의 중심인 장소라 어찌어찌 맵뚫을 해서 들어가도 죽음의 땅 게이지가 지속적으로 차오르기 때문에 제 3장을 클리어하지 않는 이상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사실상 탐사가 불가능하다. [[아이 오브 테러|지역 자체가 거대한 죽음의 땅]]인 셈. 참고로 이곳은 일곱신상으로 지도를 해금할 수 있는 지역 중 가장 면적이 작아서, 월드 임무를 진행하지 않고 사막 지역부터 먼저 해금했을 경우 섬처럼 지도 중간에 까만색이 남아 유저들에게 불편함을 선사한다. 아슈바타 나무로 봉인되어 있던 첫 번째 봉인을 풀고 나서야 이곳으로 진입할 수 있으며, 이땐 버프를 적용한 NPC인 아란마가 죽음의 땅 게이지를 없애주고 힐링 버프도 주기 때문에 죽지 않고 전진할 수 있다. 스토리 진행 중 일회성 보스인 '''마라나의 화신'''을 처치하면서 정상으로 돌아가는데, 이 이후 출입하면 죽음의 땅 게이지가 없어져 있어서 출입이 자유로워진다. 단, 퀘스트 클리어 이후에도 지역에 기뢰 수계들과 심연 메이지들이 득시글거리니 주의할 것. '''숲의 책'''을 진행하면서 처음 들어왔을 때는 하늘이 어두워지고 체르노빌과도 같은 음산함에 지하로 내려가면 '''지옥'''이나 심연, 층암거연을 연상케 하는 비주얼[* 특히 마라나와의 최종전을 치르는 꿈을 잃은 국토.]을 볼 수 있다. 여담으로 비주얼이 너무 강력했던 나머지 마라나와 전투를 치르는 곳은 유출 당시 켄리아로 오인되기도 했으며, 이후에도 '꿈을 잃은 모밭' 관련 켄리아 드립이 나오기도 했다. 또한, 이곳 지하에는 모래가 가득 차 있어 사막 지역이 출시되기 이전까지 분위기를 예측할 수 있는 장소이기도 했다. == [[적색 모래 바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적색 모래 바다)] ||<-3>
{{{#!wiki style="margin:-10px;" || [[파일:원신_사막지역 아이콘.png|width=50]] ||<(> {{{#!wiki style="margin: -5px -10px; {{{#ffffff {{{+1 '''적색 모래 바다''' }}}[br]{{{#fff Great Red Sand [br] الرمال الحمراء العظيمة / बड़ी लाल रेत}}} }}} }}} ||}}} || || '''{{{#FFFFFF 언어별 표기}}}''' ||<-2>[[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Great Red Sand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大赤沙海, ruby=Dà-chìshāhǎi)]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ruby(大赤砂海, ruby=だいせきさかい)] || == [[유리빛 신기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유리빛 신기루)] ||<-3>
{{{#!wiki style="margin:-10px;" || [[파일:원신_유리빛 신기루 아이콘.png|width=50]] ||<(> {{{#!wiki style="margin: -5px -10px; {{{#ffffff {{{+1 '''유리빛 신기루''' }}}[br]{{{#fff Veluriyam Mirage [br] فيلوريام سراب / वैडूर्य मृगतृष्णा}}} }}} }}} ||}}} || || '''{{{#FFFFFF 언어별 표기}}}''' ||<-2>[[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Veluriyam Mirage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琉形蜃境, ruby=Liúxíng Shènjìng)]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ヴェルーリヤ・ミラージュ || == 미구현 지역 == === 베이다 항구 === ||<-3>
'''{{{+1 베이다 항구}}}'''[br]{{{#fff Bayda Harbor}}} [br] ميناء بيداء / बंदरगाह बैदा || ||<-2>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Bayda Harbor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拜达港, ruby=Bàidá-gǎng)]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バイダ[ruby(港, ruby=こう)] || 아우구스투스 러브레이스에 의해 언급된 지역. 폰타인으로 향하는 직통 항로가 있다고 한다. 개방되지 않은 우림 지역 북쪽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베이다(بيداء)'''는 [[아랍어]]로 ''''흰색''''을 뜻하는 동시에, [[사우디아라비아]]의 [[히자즈]] 지방에 있는 사막의 이름이기도 하다. 때문에 아직 공개되지 않은 파라컬트 동쪽 사막 내륙 지역에 있는 항구일 것으로 보인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수메르(원신), version=1364, paragraph=7)] [[분류:원신/지역]]